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특기적성교육을 통한 중학교 일본어교육 실태 및 활성화 방안 : 선행연구 분석을 중심으로

        문경애 동의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영어 이외의 외국어 교육이 강조되면서 초 · 중학교에서도 '재량활동'과 '특기적성교육'을 통한 외국어를 공부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특히, 일본문화의 개방 이후 상당수의 학생들이 일본과 일본어에 호기심을 가지고 자발적으로 '특기적성교육' 시간에 일본어를 선택하고 있다. 그러나 '특기적성교육을 통한 일본어교육'이 아직 체계적이지 못하여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 문제점으로 일본어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교사나 학생 · 학부모의 인식 부족과 프로그램의 운영, 지도강사, 다양한 프로그램 운영, 열악한 교육여건 및 특기적성교육 업무담당 교사의 업무과중, 그리고 학생들이 발표할 수 있는 기회 및 평가에 대한 회의(壞疑) 등에서 비롯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특기적성교육'과 '일본어교육'에 관한 관련 연구 문헌과 연구 기관, 시 · 도 교육청 및 교육부 지정 특기적성교육 과정 연구, 시범학교등의 관련 연구 보고서, 실천 사례집, 각종 지침 및 실적 자료 등을 광범위하게 수집하여 분석 연구하였다. 우선, 일본어교육이 가능한 '재량활동'과 '특기적성교육 활동'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Ⅱ장에서는 '재량활동'의 교육과정과 개념을 알아보았고, Ⅲ장에서는 '특기적성교육 활동'의 개념과 운영 현황을 알아보았다. 또한 Ⅳ장에서는 '특기적성교육 활동을 통한 일본어교육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특기적성교육' 및 '일본어교육'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통해 그 운영상에 대한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라 이 연구에서 선정한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가. '재량활동'과 '특기적성교육 활동'의 차이점은 무엇인가? 나. '특기적성교육'에 대한 운영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은 무엇인가? 다. '중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일본어교육'의 운영실태와 문제점은 무엇인가? 라. '특기적성교육 활동'을 통한 일본어교육의 개선방안은 무엇인가? 본 연구를 통해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학교관리자의 관심이 특기적성교육 활성화의 척도가 되므로 일본어교육에 대한 인식전환이 필요하다. 그리고 학부모 및 학생들의 지속적인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재량활동 및 특별활동' 등을 통해 흥미를 가질 수 있게 하여 특기적성교육 활동까지 연계할 수 있도록 한다. 소수의 인원이더라도 프로그램의 다양성, 연계성, 지속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학교차원의 프로그램의 보장성과 강제성이 요구된다. 현직교사보다 외부강사 활용이 높은 상황을 고려하여 지도강사에 대한 적절한 보수와 작업환경이 보장되어야겠다. 그리고 지도강사의 전문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교육청 및 대학이 주체가 되어 특기적성교육 활동에 대한 주기적인 연수와 전문적인 교육이 이루어져야겠다. 또 학생들에게 교육청 또는 대학에서 주관하여 외국어 경시대회, 말하기 대회 등의 기회가 많이 제공되어야겠다. 외국어 관련 각종 경시대회 운영의 내실을 기하고 수준 높은 발표를 위한 충분한 재정적, 행정적 지원이 필요하다. 중학교에서 일본어교육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교육과정에 명시된 '교과 재량활동' 및 '특기적성교육' 시간을 최대한 활용하며, 이를 고등학교는 물론 대학까지 연계될 수 있는 교육대책이 요구된다. A movement to study foreign language through discretional activity and speciality aptitude education as education of foreign language other than English is being emphasized on. Especially after opening of Japanese culture, many students are voluntarily selecting Japanese in speciality aptitude education with interest toward Japan and Japanese. However, the reality is that Japanese education through speciality aptitude education is not sufficient and unsystematic. The problems are lack of student/teacher/parent acknowledgement for the necessity of Japanese education, inferior education conditions such as operation of programs, diverse programs and guide teachers, excessive tasks for teachers in charge of a speciality aptitude test, and doubt for evaluation and chance to make announcement. This study collected, analyzed and studied all sorts of policies, performance data, and related study reports such as study organizations, city, province education offices, study of speciality aptitude education process sta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experimental schools, and study documents related to Japanese education and speciality aptitude education. First of all, the concept and education process of discretional activity in chapter 2, and concepts and operation current situations of speciality aptitude education activity in chapter 3 to study discretional activity and speciality aptitude education activity that allows Japanese education. Moreover, the problems and solutions to improve operation of the program through former studies related to speciality aptitude education and Japanese education was inquired to find solutions to activate Japanese education through speciality aptitude education activity in chapter 4. The contents selected in this study for the study goal are: A.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discretional activity and speciality aptitude education activity? B. What are problems and solutions to improve operation of speciality aptitude education? C. What are the problems and operation reality of Japanese education in middle school? D. What is the solution to improve Japanese education through speciality aptitude education activ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 There is need to change acknowledgement for Japanese education since the criteria to activate speciality aptitude education is attention from school managers. Also, discretional activity and special activity needs to be connected to speciality aptitude education activity to enlarge attention to induce constant participation of the students and parents. Compulsion and security of the program by the school is demanded to maintain diversity, connection, and constancy of the program despite the small number of persons. An appropriate payment and working environment for guide teachers are to be guaranteed considering the high rate of using exterior teachers, not teachers in present post. Also, regular training and professional education about speciality aptitude education activity is necessary by education offices and universities to uplift the profession of guide teachers. Sufficient financial and administration support is necessary for a high level of announcement and setting of the substantiality of competitions related to foreign languages. Furthermore, more chances for foreign language and speech contests hosted by education offices or universities should be provided more. To activate Japanese education in middle school, an education countermeasure that can be connected to high school and universities is demanded by activating the time for curriculum discretional and speciality aptitude education stated in education curriculum.

      • 어순 비교 연구 : 독일어 한국어 영어 불어를 중심으로

        문경애 全南大學校 1993 국내석사

        RANK : 247631

        외국어를 학습하는 과정에서, 우리는 모국어나 이미 배운 경험이 있는 다른 외국어를 통해서 간섭현상(Interferenz)이 나타나는 것을 경험할 수 있다. 독일어와 불어를 제2외국어로 배우고 있는 한국의 경우 제2외국어 학습과정에서 제1외국어인 영어의 간섭현상과 모국어인 한국어의 간섭현상이 나타난다. 이러한 간섭현상을 예측하고 예방하기 위해서는 이 언어들 사이의 대비 분석이 필요하다. 영어는 토착어에 게르만어와 로만스어가 혼합되어 나타난 언어인데 역사언어학자들은 영어를 게르만어로 분류한다. 그러나 과연 유형학적으로 분석해 볼때도 이분류가 타당한지는 의문이다. 이에 본 논문은 어순을 기준으로 독일어, 한국어, 영어, 불어를 비교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일반적으로 우리는 역사언어학자들이 영어를 게르만어로 분류하였고 주문장에서의 독일어의 정동사가 두 번째 위치에 오기 때문에 독일어와 영어의 어순이 같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어휘면이 아닌 어순면에서는 대부분의 영역에서 한국어와 독일어가 유사하고 영어는 불어와 유사하다. 그 근거로 첫째, 독일어의 기본어순은 한국어와 같은 SOV 구조이다. 독일어 정동사가 분리전철이나 복합동사와 불연속 구성성분을 이루며, 동사와 의미상으로 밀접한 관계에 있는 요소일수록 문장 끝에 위치한다는 특징을 고려할 때 SOV가 구성성분간의 공속성을 가장 잘 반영해 주는 구조이다. 또한 변형조작의 간편성이라는 준거에 비추어 볼 때도 SOV가 SVO보다 타당한 구조이다. 그러나 영어의 기본구조는 불어와 같은 SVO 구조이다. 독일어와 한국어는 어순에 있어 후진적(regressiv)인 구성방식을 보이는데 반해 영어와 불어는 전진적(progressiv)인 구성방식을 보인다. 둘째, 통사적 기준에 의한 표면구조의 어순(Satzgliedfolge)을 보면 독일어가 한국어와 아주 유사한 어순을 보이고 영어의 어순은 독일어보다는 불어의 어순과 유사하다는 게 더욱 분명해 진다. 문장성분들의 어순은 동사와의 통사적 밀착도에 따르는데, 독일어와 한국어에서는 문장성분들이 밀착도의 강함에 따라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영어와 불어에서는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배열된다. 따라서 독일어와 한국어는 간접목적어-직접목적어, 수의적성분-필수적성분순이 표준어순(Nomal-folge)인데 반해 영어와 불어는 필수적 성분-수의적 성분순이 표준어순이다. 불어의 표준어순이 직접목적어-간접목적어이므로 영어의 표준어순도 같을 것으로 여겨지는데 이부분은 더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부사어들간의 어순에서도 독일어와 한국어가 같고 영어와 불어가 같다. 독일어와 한국어에서는 수의적 성분 부사어-필수적 성분 부사어순인데 반해 영어와 불어에서는 필수적 성분 부사어-수의적 성분 부사어순이다. 독일어와 한국어에서는 시간부사어-원인부사어나 도구부사어-장소부사어-방향부사어순이나 영어와 불어에서는 구 순서가 반대이다. 분사구문에서의 구성성분들의 어순도 머리가 되는 명사를 제외하고는 각 언어의 기본어순과 같다. 즉 분사구문에서의 구성성분들의 어순이 독일어와 한국어에서 같게 나타나고 영어와 불어에서 같게 나타난다. 술어적 형용사와 형용사의 보족어간의 어순도 각 언어의 기본어순과 같다. 독일어와 한국어는 형용사의 보족어-술어적 형용사순인 반면 영어와 불어는 술어적 형용사-형용사의 보족어순이다. 부정소의 위치에 대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나 영어의 부정소의 위치가 독일어보다는 불어에 더 가깝다고 말할 수 있다. 통사적 기준에 의한 표면구조의 어순은 전달기능에 의해 변화될 수 있다. 중립적인 어순(neutral order)에서는 전달가치점증의 원칙(Gesets des wachsenden Mitteilungswert)에 따라 전달가치가 높은 성분일수록 문장의 뒤쪽에 오고, 표현적인 어순(express order)에서는 전달가치가 높은 성분이 앞쪽에 온다. 격 표시기능을 지닌 독일어와 한국어의 어순은 주로 전달가치에 의해 결정된다. 격 표시기능이 없는 영어의 어순은 주로 통사적 기준에 의한다. 불어도 격 표시 기능이 없긴하나 영어보다는 더 자유스러운 어순을 보인다. 독일어나 한국어에서도 어순이 엄격하게 고정된 성분들은 전달가치의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어순 비교에 있어 통사적 기준에 의한 어순 비교만으로 결론을 맺어도 충분하다고 여겨진다. 위에 기술한 내용을 종합해 보면 기본어순 뿐만 아니라 표면구조에서의 어순도 독일어와 한국어가 유사하고 영어와 불어가 유사하다. 물론 한국어는 항상 전위수식어(Pra¨spezifierende Sprache)이나 독일어는 가끔 후위수식(postspezifizierend)을 하기 때문에 어순면에서 독일어와 한국어가 완벽하게 같지는 않다. 어순면에서 독일어와 한국어가 유사하고 영어와 불어가 유사하다는 위의 근거들은 영어가 게르만어에 속한다는 역사언어학자들의 주장에 문제를 제기한 Pisani의 견해가 타당함을 보여준다. 또한 이는 일선 교육현장에서 나머지 세 언어의 불필요한 간섭현상을 줄이는데도 기여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Beim Lernen einer Fremdsprache ko¨nnen wir oft erfahren, daβ die Interferenz sich durch die Muttersprache oder eine schon erlernte andere Fremdsprache ereignet. In Korea, wo das Deutsche und das Franzo¨sische als Zweitfremdsprache gelehrt und gelernt werden, ereignet sich die Interferenz durch die Muttersprache Koreanisch und die Erstfremdsprache Englisch beim Lernen einer zweiten Fremdsprache. Um eine Interferenz zu vermuten und zu verhindern, ziehen wir in der vorliegenden Untersuchung these vier Sprachen zum Vergleich heran. Das Englische ist die Sprache, in der die einheimische Sprache, Germanisch mit Romanisch vermischt wird. Die Sprachhistoriker klassifizieren das Englische als germanisch. Aber hier lautet die Frage, ob auch bei der typologischen Klassifikationsweise diese Klassifikation bestehen kann. Zur Lo¨sung der oben erwa¨hnten zweifachen Fragestellung zielt die vorliegende Untersuchung darauf ab, die Wortstellung des Deutschen, des Koreanischen, des Englischen und Franzo¨sischen miteinander zu vergleichen. Im allgemeinen sind wir bislang davon ausgegangen, daβ das Deutsche die gleiche Wortstellung wie das Englische hat, weil das Verb des Deutschen die zweite Stellung im Hauptsatz innehat. Aber im wortstellungsyntaktischen Bereich stimmt das Deutsche mit dem Koreanischen, das Englische dagegen mit dem Franzo¨sischen u¨berein. Der Beweis ist folgender : Erstens lautet die Reihenfolge der Grundwortstellung im Deutschen 'SOV' wie im Koreanischen. Das finite Verb des Deutschen bildet mit Verbzusa¨tzen oder zusammengesetzen Verben diskontinuierliche Konstituenten. Ein Satzglied, das die syntaktische Bindung ans Verb am sta¨rksten entha¨lt, tritt ans Satzende. Die oben erwa¨hnten zweierlei Merkmale daβ Deutschen zeigen uns, daβ die Reihenfolge `SOV' die Zusammengeho¨rigkeit zwischen Konstituenten am deutlichsten spiegelt. Die Reihenfolge 'SOV' ist aufgrund der Einfachheit der Transformationen angemessen. Doch die Grundwortstellung des Englischen zeigt die Reihenfolge 'SVO' wie im Franzo¨sischen. Bei der Grundwortstellung haben das Deutsche und das Koreanische eine regressive Konstruktionsweise. Dagegen haben das Englische und das Franzo¨sische eine progressive Konstruktionsweise. Zweitens: Wenn wir die Satzgliedfolge der Oberfla¨chenstruktur betrachten, ko¨nnen wir noch deutlicher erkennen, daβ das Deutsche die gleiche Satzgliedfolge wie das Koreanische hat und das Englische die gleiche Satzgliedfolge wie das Franzo¨sische. Die Satzgliedfolge ist nach dem Grad der syntaktischen Verbindungen mit dem Verb bestimmt. Im Deutschen und Koreanischen werden die Satzglieder gema¨β der Sta¨rke der Verbindung mit dem Verb von rechts nach links aufgestellt. Aber im Englischen und Franzosischen werden sie entgegen aufgestellt. Im Deutschen und Koreanischen folgt das Akkusativobjekt auf das Dativobjekt, die obligatorischen Satzkonstituenten auf die fakultativen. Im Franzo¨sischen jedoch ist die Abfolge umgekehrt. Wenn das Englische die gleiche Satzgliedfolge wie das Franzo¨sische hat, muβ auch im Englischen die Reihenfolge Akkusativobjekt-Dativobjekt die Normalfolge sein. Dieses Pha¨nomen bedarf weiterer Untersuchungen. Auch in der Sequenz der Adverbialbestimmungen ist das Deutsche dem Koreanischen a¨hnlich, das Englische dem Franzo¨sischen. Das Deutsche und das Koreanische haben z.B. die Reihenfolge Temporal-Instrumental-Richtungsbestimmung, Temporal-Kausal-Lokal-Richtungsbestimmung; aber im Englischen und Franzo¨sischen ist die Ordnung umgekehrt. Die Wortstellung der Konstituenten im Partizip fa¨llt mit der Grundwortstellung im Satz zusammen. Das heiβt, wenn wir die Wortstellung der Konstituenten im Partizip der vier Sprachen miteinander vergleichen, so ist das Deutsche mit dem Koreanischen und das Englische wieder mit dem Franzo¨sischen vergleichbar. Die Wortstellung zwischen dem Pradikatsadjektiv und den Adjektiverga¨nzungen fa¨llt mit der Grundwortstellung im Satz zusammen. Im Deutschen und Koreanischen folgt das Pra¨dikatsadjektiv auf die Adjektiverga¨nzung. Im Englischen und Franzo¨sischen dagegen ist die Folge umgekehrt. Die Satzgliedfolge gema¨β dem syntaktischen Kriterium kann nach dem Mitteilungswert gea¨ndert werden. In Neutralfolge ru¨ckt das Satzglied mit dem ho¨chsten Mitteilungswert ans Ende. In Expressivfolge steht es an der Satzspitze. Diejenigen Satzglieder im Deutschen und Koreanischen, die eine Kasuszeichen-Funktion. (Deklination) haben, werden meistens nach dem Mitteilungswert aufgestellt. Aber die Satzglieder im Englischen, die keine Deklination haben, werden hauptsa¨chlich nach dem syntaktischen Kriterium aufgestellt. Das Franzo¨sische hat eine freiere Wortstellung als das Englische. Auch im Deutschen und Koreanischen a¨ndern die Satzglieder, deren Folge fest fixiert ist, nicht ihre Stellung nach dem Mitteilungswert. Deshalb kann man u¨ber den Vergleich der Wortstellung nach dem Syntaktischen Kriterium einen Schluβ ziehen - (auβer der Wortstellung nach dem Mitteilungswert). Sowohl in der Grundwortstellung als auch in der Normalfolge der Oberfla¨chenstruktur ist das Deutsche dem Koreanischen a¨hnlich in seiner regressiven Sequenz; und das Englische ist dem Franzo¨sischen gleich in seiner progressiven Sequenz. Die oben gefu¨hrten Beweise, daβ im Wortstellungsbereich das Deutsche mit dem Koreanischen u¨bereinstimmt, das Englische dagegen mit dem Franzo¨sischen, zeigen, daβ Pisanis These richtig ist. Pisani behauptet, daβ die alte sprachhistorische Klassifikation falsch ist, die das Englische als germanisch klassifiziert. Ich gehe davon aus, daβ die Ergebnisse dieses Aufsatzes dazu beitragen ko¨nnen, unno¨tige lnterferenzen beim Lernen von Fremdsprachen zu reduzieren.

      • 뮤지컬 합창 지도법 연구 : 대학교 뮤지컬학과 '뮤지컬 합창' 지도법을 중심으로

        문경애 단국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한국의 뮤지컬은 2000년대 초반부터 급성장하여 대중문화예술의 한 축으로 발전하고 있다. 서울에는 뮤지컬 전용극장이 늘어나고 있으며, 클래식공연만을 고집하던 대규모 극장들도 뮤지컬공연을 적극 수용하는 추세이다. 이와 더불어, 뮤지컬에 대한 대중적 인기의 확대와 뮤지컬배우 지망생 및 학문적 연구를 하고자 하는 학생들의 숫자도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자가 대학교 뮤지컬학과에 진학한 학생들의 기본적인 수준을 살펴본 결과, 뮤지컬 실기에서 가장 기본이라 할 수 있는 ‘노래’에 대한 발성의 이해와 테크닉(Technic)이 부족하면서 코러스(Chorus)들이 하는 뮤지컬 합창의 중요성을 인식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보였다. 뮤지컬은 오페라처럼 노래위주의 중심이 아닌 노래, 춤, 연기 모두를 소화해내야 하는 종합예술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체계적이고 실질적인 교육이 필요한 상황이다. 학생들은 주로 입시학원에서 노래를 배운 것이 전부였기 때문에 발성에 관한 이해도가 낮고, 음악기초이론에 대한 지식도 부족했다. 따라서 입시위주의 노래 한 곡 배우기가 전부였던 이 학생들에게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발성법 지도가 요구되는 상황이다. 그리고 주인공 중심의 솔로(Solo)곡만 연습하다 보니 뮤지컬 스토리(Story) 전개의 중심적 사건을 표현하기도 하고, 주요 등장인물들을 뒷받침해주기도 하여 주인공을 돋보이게 하는 역할을 하는 코러스(Chorus)에 대한 중요한 점을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 한편, 뮤지컬 합창은 클래식 합창과 같이 제창, 여성합창, 남성합창, 혼성합창 등 다양한 형태가 있고, 코러스(Chorus)는 여러 역할의 캐릭터(Character)들이 등장한다. 따라서 그 다양한 형태에 맞는 발성법과 코러스(Chorus)에 대한 교육이 필요한 때가 되었다. 본 연구자는 대학교 뮤지컬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뮤지컬 합창' 수업의 실질적인 경험과 이를 바탕으로 연구한 '뮤지컬 합창 지도법'을 논하고자 한다. 그리고 그 방법을 크게 세 가지로 분류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첫째, 작품의 이해 및 해석 측면이다. 그 작품의 일반적인 배경과 역사적인 배경을 알아야 작품의 의도와 스토리(Story)를 이해하기 때문에 작품분석과 해석, 그리고 리서치(Research) 구성 등에 관한 지도법이 필요하다. 둘째, 음악분석 측면이다. 뮤지컬 합창은 악보에 있는 음악기호가 대부분 지켜지되 지휘자의 해석과 연출자의 의도에 따라 셈여림과 악상기호가 달라질 수 있다. 또, 그 곡에서 캐릭터(Character)의 역할에 따라 배우 자신의 개인적인 분석을 통해 개성 있는 표현을 해야 하기 때문에 음악분석이 반드시 필요하다. 셋째, 발성법적 측면이다. 뮤지컬 합창은 캐릭터(Character)와 드라마 흐름에 따라 달라지는 공명의 차이, 그리고 성구의 차이가 있어야 한다. 이것들의 차이를 두어 노래를 잘 하려면 다양한 발성법을 이해하고 그 테크닉(Technic)을 익힐 필요가 있다. 그래서 발성법의 중요한 테크닉(Technic)인 ‘배 소리 활성화시키기’와 같은 방법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은 위에 언급한 내용을 대학교 뮤지컬학과 1학년 ‘뮤지컬 합창’ 수업에 적용하여 그 실제적 평가와 분석을 통해 교육적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 ‘뮤지컬 합창 지도법’에 관한 연구이다. 주제어: 뮤지컬 합창 지도법, 뮤지컬 합창 발성법.

      • Hypercube machine에서의 Fast matrix multiplication

        문경애 忠南大學校 1988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thesis, we discuss the calculation of iterative full matrix-vector multiplication y= …A_t A_t-1^T … A^T_2 A₁x on the hypercube concurrent computer. We perform a two-dimensional decomposition of a M × N global matrix storing in each node of the hypercube a nonsquare (m=2^dM/Np)×(n=N/2^d) submatrix, where Np is the number of processor in the hypercube and d is the dimension of module. As a result, we obtain the more improved efficiency in the proposed method than in the other methods.

      • 中學校 體育敎育 課程의 分析

        문경애 朝鮮大學校 敎育大學院 198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s intended to examine and analyze the actual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in middle school to intensify physical education in middle school students, thus to show how the educational objectives could be actualized with keeping pace with ideas in the people's Education chart and how the contents and formation of the curriculm can be spiritually and physically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the students for the pupose of obtaining the necessary informations and data for the ideal revision of curriculum, Method of study was mainly relied on examining and analyzing theoritical backgrounds through curriculm revised in 1987 and records in home and abroad, Analysis was devided into general objective analysis. grade objective analysis, unit objective analysis, and teaching contents analysis. Fach objective was analysed by the educational classification standard of Bloom and Bucher and the contents were examined by the contents formation Standard of curriculum. Now description will be made of resultant findings of analysis. 1. General objective Analysis Term distribution by Bloom and Bucher classification show middle frequency in social development and psycho-motor domain in affective domain, and lower in cognitive domain. General objective puts emphasis on social development and motor development. 2. Grade Objective Analysis Term distribution represented in the overall grade objective by Bloom and Bucher classification shows frequency in order of cognitive domain. affective domain. and social development. Similar to this is the terms distributed in each grade objective. In comparison with general objective putting emphosis on social developent and psycho-motor domain, each grade objective puts ephasis on psycho-motor domain and cognitive domain. And terms are repeatedly used through overall domain, regardless of grade. 3. Unit objective Analysis Term distribution represened in owerall units by Bloom and Bucher classification. shows the highest frequency in psycho-motor domain and cognitive domain and considerable frequency in social derelopment. The unit objective analysis putting emphasis on psycho-motor domain and cognitive domain slightly differs from the general objective but has similar factors to grade objective competitive unit has much more terms than any other. conversely, health education has less terns. And the most frequently repeated terms are characteristics of exercise, method, effect, balance. flexibility. agility, strength, endurance, etc. 4. Teaching contents Analysis. This teaching contents unit is devided into ten items circuit training. gymnastics, order training, track and field, ball games, competitive sports, seasonal sports, dance, health education. and theoritical physical education. More importance is attached to practice than to theories. The event has more individual or team sports and less dual sports. comparatively much hours are distributed to the units of circuit training. gymnastics, ordsr training, track and field, ball games, and all most all the hours distributed to each unit show lack of hours. The resultant findings from examining the continity. sequence. integration show good vertical formation but ill horizontal formation. And similar contents are freauently repeated. In comparison with hour distribution, too heavy contents are selected and formed in the curriculu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