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설재배 인력관리 프로그램 개발

        명동주,신경호,이정현,김은지,이범선,Myung, Dong-Ju,Shin, Gyung-Ho,Lee, Jeong-Hyun,Kim, Eun Ji,Lee, Beom-Seon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21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30 No.4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d verify the smart human resource management (HRM) program in a large scale greenhouse. HRM program delivers detailed work orders to workers and gathers work results by mobile phone application. Greenhouse managers can monitor the workload, work speed, quality of employee by HRM program and can analyse performance easily. Greenhouse Managers can set the work speed including 'twisting', 'trimming' and 'harvesting' in a greenhouse. It makes planning work schedule and assigns resources to each specific job easier. Therefore, the manager can arrange the number of employees to promote work performance and also easy to estimate the labor shortage. Greenhouse managers can evaluate the adequacy of the number of employees through job performance analysis by period and adjusts the supply/demand ratio of regular and non-regular employees. The HRM program can improve work efficiency by announcing the real-time work performance of all employees on a monitor screen to induce competition among workers and re-educate unripe employees who accomplish behind average to improving work skills. 본 연구는 대규모 온실에서 작업관리와 인력관리 및 병해충 모니터링을 위한 HRM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현장적용 시험을 수행하였다. 작업자의 전용 앱으로 작업지시와 현장의 작업내용 및 병해충 발생에 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관리자는 작업자의 작업내용별 노동시간과 작업속도, 작업품질을 평가하여 기록하고 이를 토대로 작업별 작업속도 기준을 설정할 수 있으며, 작업일정 수립이나 작업 투입인원의 결정이 용이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고용인원을 효율적으로 운용하면서 작업수행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작업자의 수급계획을 세울 때도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다. 시기별 작업분석을 통해 고용인원의 적정성을 평가할 수 있고 정규인력과 비정규 인력에 대한 수급비율을 조정할 수 있게 할 것이다. 작업자의 실시간 작업성과를 공개하며 작업자 간 경쟁을 유도하고 기준작업량 이하를 달성하는 작업자의 재교육 및 작업방법 개선을 통해 작업효율의 상승이 가능하다. 실증현장에서 분석해본 파프리카의 작업은 순치기, 수확 및 유인작업이 모든 작업시간의 91%이상을 차지하며, 수확작업보다 유인 및 순치기 작업시간이 두배정도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HRM 프로그램을 도입하기 전과 도입한 이후 가장 노동부하가 높은 시기인 수확과 유인 및 순치기 작업이 동시에 진행되는 시기를 비교했을 때 HRM 프로그램의 도입으로 37%의 작업량 향상을 가져왔다.

      • KCI등재

        광량과 파프리카 품종에 따른 수량과의 상호관계

        명동주(Dong Ju Myung),배종향(Jong Hyang Bae),강종구(Jong Goo Kang),이정현(Jeong Hyun Lee)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12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21 No.3

        본 연구는 파프리카 생산 유리온실에서 기간별 생산량과 환경자료인 광량을 수집하여 재배기간 동안의 광량과 품종 간의 상호관계를 분석하여 생산관리의 의사결정 지지 및 수량예측을 위한 단순 모델을 개발하고자 수행하였다. 누적광량과 파프리카의 생산량은 선형적인 관계를 나타냈으며, 선형함수의 기울기는 과실 생산에 소요된 광 이용 효율(LUEF: light use efficiency for fruit production, g MJ?1)으로 정의하였다. LUEF는 ‘Ferrari’가 5.85g · MJ<SUP>?1</SUP>, ‘Fiesta’는 1년차는 5.32g · MJ<SUP>?1</SUP>와 2년차에는 4.75g ·MJ<SUP>?1</SUP>, ‘President’는 4.66g · MJ<SUP>?1</SUP>, ‘Cupra’는 3.86g ·MJ<SUP>?1</SUP>, ‘Boogie’는 6.48g ·MJ<SUP>?1</SUP>으로 ‘Boogie’의 LUEF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파프리카의 과실생산에 필요한 광량은 단위 g당 ‘Cupra’가 25.88J · g<SUP>?1</SUP> 가장 높았고, Boogie가 가장 낮은 15.42J · g<SUP>?1</SUP>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LUEF가 높은 품종 일수록 수확량이 많았다. 본 연구에서는 누적광량과 수량과의 단순 선형관계를 나타내어 광이용효율과 과실의 단위무게당 필요광량을 분석할 수 있었으나, LUEF는품종과 동일품종간에도 연도별로 상이하게 나타났다. 품종에 상관 없이 수확량 예측을 위한 모델은 품종특성, 온도, 단위면적당 착과율도 고려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study was aimed at the development of the simple linear regression model to estimate the fruit yield of sweet pepper and to support decision-making management for growing sweet pepper crop in Korea. For quantitative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data and periodical yield of sweet pepper the data obtained from the commercial Venlo-type glasshouse for 2 years. Obtained periodical yield data of five different cultivars and radiation data were accumulated and fitted by linear regression. A significant linear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radiation integral and fruit yield, whereas the production per unit of radiation was different between cultivars. The slope of linear regression could indicate as light use efficiency for fruit production (LUEF, g · MJ<SUP>?1</SUP>). LUEF of ‘Ferrari’ was 5.85 g · MJ<SUP>?1</SUP>, ‘Fiesta’ 5.32 for first year and 4.75 g · MJ<SUP>?1</SUP> and for second year, ‘President’ was 4.66 g · MJ<SUP>?1</SUP>, ‘Cupra’ was 3.86 g · MJ<SUP>?1</SUP>, and ‘Boogie’ was 6.48 g · MJ<SUP>?1</SUP>. The amount of light requirement for the unit gram of fruit was between 25.88 J · g<SUP> 1</SUP>, for ‘Cupra’ and 15.42 J · g<SUP>?1</SUP> for ‘Boogie’. Although we found the linear relationship between radiation and fruit yield, LUEF was varied between cultivars and as well as year. The linear relationship could describe the fruit yield as function of radiation, but it needed more variable to generalization of the production, such as cultivar specifications, temperature, and number of fruits set per plant or unit of ground.

      • KCI등재

        고온기 반밀폐형온실 냉방이 파프리카 생육과 광합성 특성에 미치는 영향

        김은지,박경섭,구희웅,박가은,명동주,전용환,나해영,Kim, Eun Ji,Park, Kyoung Sub,Goo, Hei Woong,Park, Ga Eun,Myung, Dong Ju,Jeon, Yong Hwan,Na, Haeyeong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21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30 No.4

        본 연구는 냉방이 가능한 반밀폐형온실과 일반 플라스틱온실에서의 정식 후 고온 스트레스가 파프리카에 미치는 영향 구명을 위해 수행하였다. 지열과 팬앤패드를 활용하여 냉방이 가능한 반밀폐형온실의 파프리카는 냉방이 되지 않는 3중 플라스틱 하우스의 파프리카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광합성 속도를 보여 주었다. 플라스틱 하우스의 파프리카가 고온 스트레스에 의해 광합성 속도가 느려지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초장은 반밀폐형온실이 13cm 더 높게 증가하였으며, 엽면적은 이식 후 2주차까지 생장 속도가 비슷하였으나 3주차 경과 시 반밀폐형온실이 플라스틱온실보다 47% 높은 차이를 보였다. 착과 수는 반밀폐형온실 10.6개/주, 플라스틱온실 4.6개/주가 착과하여 플라스틱온실 대비 반밀폐형온실이 130% 높게착과하였다. 과중 또한 반밀폐형온실과 플라스틱온실이 각각 566.7g/plant와 387g/plant으로 46% 차이를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로 냉방이 가능한 반밀폐형온실에서 파프리카를 재배할 경우 일반 플라스틱온실보다 광합성과 생육이 양호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반밀폐형온실의 냉방 효율을 위한 요소기술을 일반 플리스틱온실에 적용하여 여름철 고온기를 극복한다면 수확량 및 품질 향상을 통한 농가소득 증대가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In this study,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high- temperature stress on paprika in a semi-closed greenhouse where cooling is available and a normal plastic greenhouse. Paprika grown in a semi-closed greenhouse in which geothermal cooling is provided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speed of photosynthesis than paprika grown in a 3-layer plastic greenhouse in which there is no cooling system. It suggests that the photosynthesis speed of paprika in a plastic house decreases owing to high temperature stress. Plant height increased by 13cm more in the semi-closed greenhouse, and the size of leaf showed similar growth speed until the 2nd week after transplanting, however, after 3 weeks, the semi-closed greenhouse showed a big difference by 47% compared with the plastic greenhouse. In terms of the fruit count, the semi-closed greenhouse had 10.6 fruits/plant and the plastic greenhouse had 4.6 fruits/plant, indicating that the semi-closed greenhouse had a higher number of fruits by 130% than the plastic greenhouse. The fruit weight also presented a difference between the semi-closed greenhouse and the plastic greenhouse by 46%, which is 566.7g/plant and 387g/plant,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above mentioned results, it was validated that when paprika is cultivated in a semi-closed greenhouse where a cooling system is applied, photosynthesis and growth were better than in the normal plastic greenhouse. Thus, if the hot summer season is overcome by applying the elemental technologies for the cooling system to the normal plastic greenhouse, farm income may increase through improvement in the yield and quality.

      • KCI등재

        한국과 네덜란드의 파프리카 재배온실의 시설 내ㆍ외부 기상환경 비교

        정원주(Won-Ju Jeong),명동주(Dong-Ju Myoung),이정현(Jeong-Hyun Lee)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09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18 No.3

        본 연구는 우리나라와 네덜란드의 상업적인 온실에서 파프리카의 전체 재배기간 동안 시설 내ㆍ외부 기상환경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양국간 생산량 차이 원인 분석을 함으로써 우리나라 파프리카의 시설내부 재배환경조건을 최적화 하기 위한 기초자료 확보를 위하여 이 연구를 수행하였다. 두 온실 모두 ‘Derby’를 공시하여 우리나라는 3.75주/㎡(2 stems), 네덜란드는 2.5주/㎡(3 stems), 1.875주/㎡(4 stems)로 암면에 수경재배 하였다. 두 온실 모두 재식주수는 상이하였지만, 줄기밀도는 7.5㎡/stems로 같았다. 양국의 파프리카 주별 생장량은 크게 차이가 나지 않았으나, 전체 마디 대비 수확마디는 네덜란드가 우리나라에 비해 두 배 이상 높았다. 전체 재배기간 동안 일중 평균 광량은 우리나라 14.5MJ/㎡/day, 네덜란드 12.1MJ/㎡/day로 우리나라가 19.8% 높았다. 시설내부 24시간 평균온도는 우리니라 21.6℃, 네덜란드 21.2℃로 비슷한 경향을 보였지만, 우리나라의 시설내부 온도관리가 변화폭이 심하였다. 전체 작기의 시설내부 수분부족분(HD)은 우리나라 4.5g/㎥, 네덜란드 3.5g/㎥로 우리나라의 시설내부가 더 건조하게 관리되었다. 특히 우리나라 야간의 수분부족분은 매우 변화폭이 컸다. 주간 평균 이산화탄소 농도는 우리나라와 네덜란드가 반대의 경향으로 관리되었고 이는 네덜란드의 겨울철 난방 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를 시설내부로 시용한 결과에 기인한다. 일중 외부 광량 대비 시설내부 24시간 평균온도와 주간 이산화탄소 농도는 우리나라는 매우 불균일하게 관리되었지만 네덜란드의 경우 균일하게 관리되었다. 네덜란드의 시설 내ㆍ외부 환경은 우리나라에 비해 균일하게 관리되었고, 우리나라의 불균일한 시설내부 환경은 작물의 불균일한 생육을 유도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research aims at comparison of climatic conditions of sweet pepper's greenhouse between Korea (KOR) and the Netherlands (NL) to find out the reason of much lower yield in KOR than NL focusing on greenhouse climatic conditions. Hence, greenhouse climate data were obtained from each one commercial glasshouse in both countries. The crops (cv. 'Derby') were grown on rockwool slab with two stems per plant with 3.75plants/㎡ in KOR and three stems per plant with 2.5plants/㎡ or four stems per plant with 1.875plants/㎡ in NL. Even though plant density was differed but stem density was on the same to 7.5stems/㎡ There was no significantly difference on weekly growth of sweet pepper plant both countries, whereas harvested nodes to whole nodes of NL's plant was more than two times higher compared to KOR. The averaged daily global radiation during the whole growing periods was 14.5MJ/㎡/day in KOR and 12.1MJ/㎡/day in NL. Averaged 24h temperature was similar to both glasshouse as 21.6℃ in KOR and 21.2℃ in NL during the whole growing periods, however the variance was higher in KOR than NL. Humidity deficit (HD) was observed higher in KOR during the whole growing periods. Averaged day CO₂ concentration was measured contrary pattern in both countries because of heating to greenhouse on NL winter season. Averaged 24h temperature and day CO₂ concentration to daily global radiation was regular pattern in NL, whereas there are large scatter in KOR. Consequently, more irregular greenhouse climate condition in KOR could be induced irregularly crop growth.

      • KCI등재

        고온기 멜론 시설재배 시 자재별 차광 효과

        이재한,이중섭,권준국,여경환,방지웅,김진현,이충근,박경섭,명동주,Lee, Jae Han,Lee, Jung Sup,Kwon, Joon Kook,Yeo, Kyung Hwan,Bang, Ji Woong,Kim, Jin Hyun,Lee, Choung Keun,Park, Kyoung Sub,Myung, Dong Ju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21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30 No.4

        고온기 시설멜론 재배 시 저비용 고효율의 개발하기 위하여 차광 자재별 이용 효과를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차광처리에 따른평균온도는 무차광이 36.6℃, 차광도포제는 34.5℃, 백색차광망은 34℃로 조사되었다. 도포제 살포 직후에 투광률이 무차광에 비해서 차광 도포제 처리구는 69%, 백색차광망 처리구는 75% 이었으나, 40일 및 80일 후 차광 도포제 처리구의 투광률이 각각 92% 및 98%로 높아져 처리된 차광도포제가 서서히 제거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백색차광망 처리구는 시간의 경과에 따른 투광률의 변화가 거의 없었다. 생육에 있어 엽수는 처리 간에 차이가 없었고, 초장은 무차광에 비해 백색차광망과 차광도포제 처리구에서 높게 나타났다. 엽중, 생체중, 건물중의 경우 차광 처리구에 비해서 무차광에서 정식 42일 후에는 더 무거운 것으로 나타났다. 총 상품수량은 무차광에 비해서 백색차광망과 차광도포제가 각각 6% 및 5% 증수되었다. 따라서 고온기 간편하게 온도를 낮출수 있는 방법으로 차광도포제는 효과적이나 서서히 제거되기 때문에 재배 시기를 고려해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되었다.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light shield materials when melon grown inside a plastic greenhouse in summer season. The average temperatures were 36.6℃, 34.5℃ and 34.0℃ respectively for the control(non-shield), coating agent, and the white net. The light transmittances were 69% and 75%, respectively inside the greenhouse treated with the coating agent and white net immediately after applicants, compared with that inside the control greenhouse. At the 40 and 80 days after treatment, the light transmittances for the coating agent were 92% and 98%, respectively, indicating it was slowly decomposed and removed, but there was no change in the transmittance for the white net. While the leaf number did not differ among the treatments, the plant height was higher in the white net and shading agent than in control. The weight of the leaves, fresh-weight and dry-weight were no different from that of shading, but it became heavier in the later stages. The marketable fruit yield was increased by 6% for white nets and 5% for the coating agent compared to control,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Therefore, coating agent is considered as an effective method to lower temperature during high temperature period, but it is preferable to use it in consideration of cultivation period, because the coating agent is gradually remov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