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마광운경(磨光韻鏡)』 해(蟹)섭운 자음 규정의 문제점- 3・4등운을 중심으로 -

        맹요,이경철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2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3 No.3

        본고에서는『마광운경』의 좌・우음주를 실제 오음・한음 자료와 비교・분석하고『마광운경』해섭 3・4등운에 나타나는 자음 규정의 문제점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개구3등 제(祭)운 갑류는 오음자료와 마광운경 좌음주에서 -ei형과 -ai형으로 나타나는데, 『마광운경』 좌음주의 [セイ祭]는 [サイ祭]로 수정해야 할 것이다. 2) 합구3등 제(祭)운 갑류는 오음자료에서 -ei형과 -ai형이 혼재하는데, 『마광운경』 좌음주에서는 [テ綴惙] 등과 같이 외전제14합(外轉第十四合)에 기재한 글자를 -e형으로 기재하고 있다, 3) 합구3등 제(齊)운에서 『마광운경』 좌음주의 [ゼ栘・ネ臡]와 같은 -e형은 [ゼイ栘・ネイ臡]와 같은 -ei형으로 수정해야 하며, [臡]는 개구로 옮겨야 할 것이다. 4) 개구3등 폐(廢)운을 『마광운경』좌음주에서 -ai형으로 기재하고 있는데, 이는 -ei형으로 수정해야 할 것이다. 5) 합구3등 폐(廢)운은 오음자료에서 -we형, -ai형, -ei형이 혼재하는데, 『마광운경』 좌음주에서는 -i형으로 기재하고 있다. 『마광운경』좌음주에서 아후음자는 -wei형으로 , 순음자는 -ai형으로 수정해야 할 것이다. 6) 개구4등 제(齊)운은 오음자료와 『마광운경』 좌음주에서 주로 -ai형과 -ei형으로 기재하고 있지만, 『마광운경』 좌음주의 [ナイ禰][メイ米]는 [ネイ禰][マイ米]로 수정해야 할 것이다. 7) 합구4등 제(齊)운은 오음자료에서 -wei형으로 나타나는데, 『마광운경』 좌음주에서는 -(w)e형으로 기재하고 있다. In this paper, we studied the principle of Left and Right phonetic notations of Mako-Inkyo, compared with Go’on・Kan’on.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The A type of third opened rhyme of Ji(祭) appear as -ei and -ai types in Go’on and Mako-Inkyo. However, [セイ祭] should be changed to [サイ祭] in Mako-Inkyo. 2)The A type of third rounded rhyme of Ji(祭) appear as -ei and -ai types in Go’on. However, such as [テ綴惙] on 14th zhuan(轉) was described as -e type in Mako-Inkyo. 3)The third opened rhyme of Fei(廢) appear as -ai type on the Go’on in Mako-Inkyo. However, it should be changed to -e(i) type. 4)In the third rounded rhyme of Ji(齊), the -e type such as [ゼ栘・ネ臡] be modified into the -ei type such as [ゼイ栘・ネイ臡] on Go’on in Mako-Inkyo. And [臡] should be changed to rounded rhyme. 5)The third rounded rhyme of Fei(廢) appear as -we, -ai, -ei types in Go’on, and it was described as -i type in Mako-Inkyo. Go’on of Velar・Guttural should be changed to -we type and Go’on of Labial should be changed to -ai type, being written in the -(w)ai on Kan’on of Velar・Guttural should be changed to -we(i) type n Mako-Inkyo. 6)The fourth opened rhyme of Ji(齊) appear as -ai and -ei types in Go’on and Mako-Inkyo. However, [ナイ禰][メイ米] should be changed to [ネイ禰][マイ米] in Mako-Inkyo. 7)The fourth rounded rhyme of Ji(齊) appear as -we and -ei type in Go’on. However, the -(w)e type of one mora on 14th zhuan(轉) are described in Mako-Inkyo.

      • KCI등재

        韻鏡 의 ‘開合’에 대하여

        맹요,이경철 동국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23 일본학 Vol.60 No.-

        In this paper, we reviewed the four changes marked as ‘Kai He’ in YunJing by referring to the textbooks of each representative YunJing and the reconstruction of scholar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structure of ‘He’ is defined as [u(w) + central vowe + ending]. Scholars have defined ‘He’ to include cases where the nucleus is u or o, which is why the categories like group Tong(通) were also classified as ‘He’. 2) The second zhuan(轉) as ‘Kai He’ is determined by the coexistence of ‘Kai’ and ‘He’ characters. The first rhyme Dong(冬) belongs to ‘Kai’, while the third rhyme Zhong(鐘) belongs to ‘He’. 3) The third zhuan(轉) and fourth zhuan(轉) as ‘Kai He’ is determined to be a result of errors or additions made by later scholars. It is believed that the original text classified them simply as ‘Kai’. 4) The twelfth zhuan(轉) is written as ‘Kai He’, it is judged as ‘Kai’. 본 고에서는 각 대표적인 韻鏡 校本과 先學들의 再構音을 참고하여 韻鏡 에서 ‘開合’으로 표기되어 있는 네 개의 轉圖를 고찰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合口는 [u(w)+主母音+韻尾]라는 구조로 정의해야 한다. 학자들은 主母音이 u나 o인 경우도 合口로 정의하고 있기 때문에 通攝 등을 合口로 규정했던 것이다. 2) 第二轉을 ‘開合’으로 기재하는 것은 開口字와 合口字가 공존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第二轉의 1等 冬韻은 開口로, 3等 鐘韻은 合口로 판단된다. 3) 第三轉과 第四轉의 ‘開合’은 후인들의 誤記나 增添에 의한 것으로 판단되며 원서는 ‘開’이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4) 第十二轉을 ‘開合’으로 기재하는 것은 ‘開’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마광운경(磨光韻鏡)』 심(深)섭운 자음 및 개합(開合) 규정의 문제점

        맹요,이경철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5

        연구 목적: 이 연구는 일본 『운경』 자음 규정의 문제점을 규명하는 데 있다. 연구 방법: 『마광운경』 좌・우음주를 실제 오음・한음 자료와 비교・분석하여 『마광운경』 심섭운에 나타나는 자음 규정 및 개합의 문제점을 고찰하였다. 연구 내용: 『마광운경』 좌・우음주의 자음형을 대상으로 실제자료와의 차이점 및 문제점을 규명하였다. 결론 및 제언: 연구 결과, 첫째, 개구3등 침운 을류는 오음자료에서 아후음자뿐이며 -om/-op형과 -im/-ip형으로 나타나는데, 『마광운경』 좌음주에서 아후순음자는 주로 -on/-op형으로, 치음자는 -in/-ip형으로 기재하고 있다. 둘째, 『마광운경』에서 기재하고 있는 -on/-op형은 현용 한화사전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을 엿볼 수 있다. 셋째, 『마광운경』에서 심섭을 합구로 규정하고 있는데, 이를 개구로 수정해야 할 것이다. 향후 『마광운경』의 자음형을 통하여 현용 한화사전의 자음 규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에 대한 검토와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

        마광운경(磨光韻鏡) 진(臻)섭운 자음 규정의 문제점

        맹요,이경철 대구가톨릭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2 인문과학연구 Vol.- No.47

        In this paper, we studied the principle of Left and Right phonetic notation of Mako-Inkyo compared with Go’on・Kan’on.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first rhyme Hen(痕)・Hun(魂) appears mainly as -on/-ot type, and the rhyme Hun(魂) appears -un/-ut type in Go’on・Kan’on, but Go’on・Kan’on are described mainly as -on/-ot type in Mako-Inkyo. 2. The second rhyme Zhen(眞) appears mainly as -in/-it type and appears a -on/-ot type on the B type in Go’on・Kan’on, but [コン巾] should be changed to [キン巾] on Go’on in Mako-Inkyo. 3. The second rhyme Wen(文) appears as -un/-ut, -on/-ot type in Go’on, and appears as -un/-ut, -(w)in/-(w)it, -wen, -on types in Kan’on, but both Go’on and Kan’on are written mainly in -un/-ut type in Mako-Inkyo. 4. The second rhyme Zhun(諄) appears as -jun/-jut, -in/-(w)it, -on, -ut, iwit types in Go’on, and appears as -jun/-jut, -u(w)in/-u(w)it, -in/-it형, -un/-ut, iwin/ iwit, -iun types in Kan’on, but both Go’on and Kan’on are written mainly in -un/-ut, -in/-it types in Mako-Inkyo. 5. The Final-t of Go’on only as [チ] and Kan’on only as [ツ] in Mako-Inkyo, but some characters should be corrected with [ツ] on Go’on in Mako-Inkyo.

      • KCI등재

        『마광운경(磨光韻鏡)』 증섭운(曾攝韻) 자음(字音) 규정 고찰

        맹요,이경철 인천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2 인문학연구 Vol.37 No.-

        In this paper, we exploed the principle of Left and Right phonetic notation of the Group Zeng(曾) in Mako-Inkyo compared with Go’on・Kan’on. 1) The first opening rhyme Deng(登) appears as -o, -uku, and -aku form in Go’on and -o form in Kan’on. But they are mainly written in -ou, -oku forms in Mako-Inkyo. 2) The first rounded rhyme in Deng(登) appears as -(u)u, -oku, and -waku forms in Go’on and -oi, -otu, and -weki forms in Kan’on. But they are mainly written in -(w)ou, -wau forms on Go’on and -(w)ou, -oku forms on Kan’on in Mako-Inkyo. 3) The B form of third rhyme Zheng(蒸) appears mostly as -ou, -oku, and -iki forms in Go’on. However, Velar・Guttural is described mostly as -ou, -oki forms and Labial・Dental is described mostly as -jou, -iki forms in Mako-Inkyo. 4) The A type of third rhyme of Zheng(蒸) appears as -jou, -joku forms in Go’on, but it described mainly as -jou, -iki, and -oki f forms in Mako-Inkyo.

      • KCI등재

        『磨光韻鏡』 山攝韻 字音 규정의 문제점 - 3・4等韻을 중심으로 -

        맹요,이경철 한양대학교(ERICA캠퍼스)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22 비교일본학 Vol.55 No.-

        In this paper, we studied the principle of left and right phonetic notation of Mako-Inkyo compared with Go’on and Kan’on.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second opened rhyme Yuan(元) appears as -on, -an/-at, -en types in Go’on, butdescribed as -on/-ot, -en/-et types in Mako-Inkyo. 2) The third rounded rhyme of Yuan(元) appears as -(w)on/-(w)ot, -an/-at, -en types inGo’on. However, Velar・Guttural are written in -wan/-wat type, and Labial is describedmainly as -on/-ot type in Mako-Inkyo. 3) The second opened rhyme Xian(仙) appears mainly as -en/-et type in Go’on・Kan’on・Mako-Inkyo. But [ベン面] of the initial of Ming(明) should be changed to [メイ] on Kan’on inMako-Inkyo. 4) The third rounded rhyme of Xian(仙) appears mainly as -(w)en/-(w)et type, and -wan, -wen, -on types are mixed in Go’on, but is written in -(w)en/-(w)et type in Mako-Inkyo5) The fourth rounded rhyme of Xian(先) appears -(w)en/-(w)et type in Go’on・Kan’on・Mako-Inkyo. But some characters ending in [チ] will have to be corrected with [ツ] on Go’on inMako-Inkyo. 6) The Final-t of Go’on only as [チ] and Kan’on only as [ツ] in Mako-Inkyo. It can also beseen in Sino-Japanese dictionaries. 본고에서는 『磨光韻鏡』의 左・右音注를 실제 吳音・漢音 資料와 비교・분석하고『磨光韻鏡』 山攝 3・4等韻에 출현하는 字音 규정의 문제점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開口3等 元韻은 吳音資料에서 -on형, -an/-at형, -en형으로 출현하는데 『磨光韻鏡』 左音注에서는 -on/-ot형과 -en/-et형으로 기재하고 있다. 2) 合口3等 元韻은 吳音資料에서 -(w)on/-(w)ot형, -an/at형, -en형으로 나타나는데, 『磨光韻鏡』 左音注에서 牙喉音字는 -wan/-wat형으로, 脣音字는 주로 -on/-ot형으로 기재하고 있다. 3) 開口3等 仙韻은 吳音・漢音資料와 磨光韻鏡 左・右音注에서 모두 -en/-et형으로 기재하고있는데, 『磨光韻鏡』 右音注에서 明母의 [ベン面]는 [メン面]로 수정해야 할 것이다. 4) 合口3等 仙韻은 吳音資料에서 대부분 -(w)en/-(w)et형으로 나타나며 -wan형, -wen형, -on형이 혼재하는데,『磨光韻鏡』 左音注에서는 -(w)en/-(w)et형으로 기재하고 있다. 5) 4等 先韻은 吳音・漢音資料와『磨光韻鏡』左・右音注에서 모두 -(w)en/-(w)et형으로 기재하고있다. 6) 舌內入聲韻尾를 『磨光韻鏡』에서 左音注는 [チ]로, 右音注는 [ツ]로 규정하려는 경향이 보이며, 이러한 규정 태도는 현용 漢和辭典에까지 영향을 끼쳤을 가능성이 크다고 판단된다.

      • KCI등재

        『磨光韻鏡』 梗攝韻에 나타나는 字音 규정의 문제점

        맹요,이경철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2 인문학연구 Vol.- No.51

        In this paper, we studied the principle of Left and Right phonetic notation of Group Geng(梗) in Mako-Inkyo compared with Go’on·Kan’on.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second opened rhyme Geng(耕)·Geng(庚) appears mainly as -au, -aku types in Kan’on, and -ei, -eki, -a, and -aki types are mixed. However, the initial of Ying(影) is written in the -jau, -jaku types, and the rest are written in the -au, -aku types in Mako-Inkyo. 2. The first rounded rhyme of Geng(耕)·Geng(庚) appears mainly as -wau, -waku, -wijaku types in Go’on, and -wau, -waku, -waki, -weku, -waki types coexist in Kan’on. However, Go’on is written in -jau, -jaku, -wijau, -wjiaku types, and Dental of Kan’on is written in -aku type, the rest are written in -wau, -waku types in Mako-Inkyo. 3. The third opened rhyme of Geng(庚)·Qing(淸) appears as -ei, -eki types in Kan’on and Mako-Inkyo. But [ベイ明命名眳詺] of the initial of Ming(明) should be changed to [メイ] in Mako-Inkyo. 4. The third rounded rhyme of Geng(庚)·Qing(淸) appears as -wijau, -wijaku in Go’on, but described as -jau, jaku types in Mako-Inkyo. 5. The fourth opened rhyme of Qing(青) appear -ei, eki types in Kan’on and Mako-Inkyo. But [デイ寧 寗] of the initial of Ni(泥) should be changed to [ネイ] in Mako-Inkyo. 6. The fourth rounded articulation rhyme of Qing(青) appear as -wijau in Go’ on, but described as -jau, jaku types in Mako-Inkyo. 본고에서는 『磨光韻鏡』의 左·右音注를 실제 吳音·漢音資料와 비교· 분석하고 『磨光韻鏡』 梗攝韻에 나타나는 字音 규정의 문제점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開口2等 耕韻·庚韻은 漢音資料에서 주로 -au/-aku형으로 나타나며 -ei/-eki형, -a/- aki형이 혼재하는데, 『磨光韻鏡』 右音注에서는 주로 -au/-aku형으로 기재하고 있으며, 유독 耕韻의 影母는 [ヤウ罌䙬·ヤク戹]와 같이 -jau/-jaku형으로 기재하고 있다. 2) 合口2等 耕韻·庚韻은 吳音資料에서 -wau/-waku형과 -wijaku형으로, 漢音資料에서 -wau/-waku형, -weki형, -weku형, -waki형이 혼재하는데, 『磨光韻鏡』 左音注에서는-jau/-jaku형과 -wijau/-wjiaku형으로, 『磨光韻鏡』 右音注에서는 齒音字를 -aku형으로, 나머지는 -wau/-waku형으로 기재하고 있다. 3) 開口3等 庚韻·淸韻은 漢音資料와 『磨光韻鏡』 右音注에서 모두 -ei/-eki형으로 기재하고 있는데, 『磨光韻鏡』 右音注 明母의 [ベイ明命名眳詺]는 鼻音인 [メイ]로 수정해야할 것이다. 4) 合口3等 庚韻·淸韻은 吳音資料에서 -wijau/-wijaku형으로 나타나는데, 『磨光韻鏡』 左音注에서는 -jau/-jaku형으로 기재하고 있다. 5) 開口4等 靑韻은 漢音資料와 『磨光韻鏡』 右音注에서 모두 -ei/-eki형으로 기재하고있지만, 『磨光韻鏡』 右音注 泥母字의 [デイ寧 寗]는 鼻音인 [ネイ]로 수정해야 할 것이다. 6) 合口4等 靑韻은 吳音資料에서 -wijau형으로 나타나는데, 『磨光韻鏡』 左音注에서는[キヤウ迥·キヤク殈]와 같이 合口性을 반영하지 않은 -jau/-jaku형으로 기재하고 있다.

      • KCI등재

        『마광운경(磨光韻鏡)』 해(蟹)섭운 자음 규정의 문제점

        맹요(Yao Meng),이경철(Kyongchul Lee)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2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3 No.3

        본고에서는『마광운경』의 좌·우음주를 실제 오음·한음 자료와 비교·분석하고『마광운경』해섭 3·4등운에 나타나는 자음 규정의 문제점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개구3등 제(祭)운 갑류는 오음자료와 『마광운경』 좌음주에서 -ei형과 -ai형으로 나타나는데, 『마광운경』 좌음주의 [セイ祭]는 [サイ祭]로 수정해야 할 것이다. 2) 합구3등 제(祭)운 갑류는 오음자료에서 -ei형과 -ai형이 혼재하는데, 『마광운경』 좌음주에서는 [テ綴惙] 등과 같이 외전제14합(外轉第十四合)에 기재한 글자를 -e형으로 기재하고 있다, 3) 합구3등 제(齊)운에서 『마광운경』 좌음주의 [ゼ栘·ネ臡]와 같은 -e형은 [ゼイ栘·ネイ臡]와 같은 -ei형으로 수정해야 하며, [臡]는 개구로 옮겨야 할 것이다. 4) 개구3등 폐(廢)운을 『마광운경』좌음주에서 -ai형으로 기재하고 있는데, 이는 -ei형으로 수정해야 할 것이다. 5) 합구3등 폐(廢)운은 오음자료에서 -we형, -ai형, -ei형이 혼재하는데, 『마광운경』 좌음주에서는 -i형으로 기재하고 있다. 『마광운경』좌음주에서 아후음자는 -wei형으로 , 순음자는 -ai형으로 수정해야 할 것이다. 6) 개구4등 제(齊)운은 오음자료와 『마광운경』 좌음주에서 주로 -ai형과 -ei형으로 기재하고 있지만, 『마광운경』 좌음주의 [ナイ禰][メイ米]는 [ネイ禰][マイ米]로 수정해야 할 것이다. 7) 합구4등 제(齊)운은 오음자료에서 -wei형으로 나타나는데, 『마광운경』 좌음주에서는 -(w)e형으로 기재하고 있다. In this paper, we studied the principle of Left and Right phonetic notations of Mako-Inkyo, compared with Go’on·Kan’on.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The A type of third opened rhyme of Ji(祭) appear as -ei and -ai types in Go’on and Mako-Inkyo. However, [セイ祭] should be changed to [サイ祭] in Mako-Inkyo. 2)The A type of third rounded rhyme of Ji(祭) appear as -ei and -ai types in Go’on. However, such as [テ綴惙] on 14th zhuan(轉) was described as -e type in Mako-Inkyo. 3)The third opened rhyme of Fei(廢) appear as -ai type on the Go’on in Mako-Inkyo. However, it should be changed to -e(i) type. 4)In the third rounded rhyme of Ji(齊), the -e type such as [ゼ栘·ネ臡] be modified into the -ei type such as [ゼイ栘·ネイ臡] on Go’on in Mako-Inkyo. And [臡] should be changed to rounded rhyme. 5)The third rounded rhyme of Fei(廢) appear as -we, -ai, -ei types in Go’on, and it was described as -i type in Mako-Inkyo. Go’on of Velar·Guttural should be changed to -we type and Go’on of Labial should be changed to -ai type, being written in the -(w)ai on Kan’on of Velar·Guttural should be changed to -we(i) type n Mako-Inkyo. 6)The fourth opened rhyme of Ji(齊) appear as -ai and -ei types in Go’on and Mako-Inkyo. However, [ナイ禰][メイ米] should be changed to [ネイ禰][マイ米] in Mako-Inkyo. 7)The fourth rounded rhyme of Ji(齊) appear as -we and -ei type in Go’on. However, the -(w)e type of one mora on 14th zhuan(轉) are described in Mako-Inkyo.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