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를 위한 긍정적 행동지원 연구동향 분석

        마은희(Ma, Eun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4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유아를 위한 긍정적 행동지원 논문의 전반적인 연구동향을 분석하여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분석 논문은 2002년부터 2018년 4월까지 출판된 49편의 논문이며, 5월부터 6월까지 분석이 이루어졌다. 연구 목적에 따라 검색을 통해 논문을 수집하였으며, 학술지의 연도별 동향을 파악하였다. 논문의 초록은 텍스트 마이닝(Text Mining) 기법으로 전반적인 연구동향과 연구시기별 동향을 분석하였다. 그 중 실험연구 30편은 연구 특성, 중재 실행, 효과파악으로 구분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전반적인 연구동향은 유아의 문제행동 감소에 효과적임을 입증하는 연구가 주를 이루었으며, 초기에는 특수교육분야를 중심의 연구가 이루어졌으나, 2010년 이후 부터 일반유아교육분야까지 확장되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실험연구 초기에는 장애유아 단일대상 연구로 개별적 지원을 통한 문제 행동 감소 효과 파악이 대부분이었으나, 모든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보편적 지원에의한 사회성 증진 효과를 파악하는 연구가 증가하고 있었다. 추후 연구과제로 생태적 특성을 반영한 중재 환경의 확대, 중재자 지원을 통한 효과성 검증, 유아의 사회 정서발달을 지원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research trends and future directions for young children by analyzing local PBS article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49 PBS articles from local journal which were published from 2002 to April 2018 were selected, and the abstracts of the selected articles were analyzed using Text mining. Among them, The 30 experimental studies were analyzed of the characteristics, intervention, and effects. The results show that first, the research trends showed a majority of studies verifying that positive behavior support was effective in decreasing the problem behavior of children. And the range of application has been gradually expanded from special education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Second, the individual support and single study for young child with disabilities were mainly performed in beginning level of the studies. But more and more the studies on universal support for all children has been increasing.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proposed the expansion of intervention environment reflecting ecological characteristics, the effectiveness verification through the support of mediators, and the support of social emotional development.

      • KCI등재

        초임 영유아교사의 영유아-교사 관계 증진을 위한 동료장학 병행 자기점검 체크리스트 활용 경험과 변화 탐색

        마은희(Ma, Eun-Hee),허계형(Heo, Kay-Hyung)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8 유아교육학논집 Vol.22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초임 영유아교사의 영유아-교사 관계 증진을 위한 동료장학 병행 자기 점검 체크리스트의 활용 경험과 변화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경기도의 한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경력 1년 미만의 초임 영유아교사 5명이며, 총 9주 동안 18회기에 걸쳐 영유아-교사 관계 증진을 위한 체크리스트를 활용한 자기점검과 3차에 걸친 동료장학을 병행 실행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는 동료장학에서의 초임 영유아교사의 발언, 장학 종료 후 초점집단면담, 초임 영유아교사의 자기점검 체크리스트이다. 연구결과로 첫째, 초임 영유아교사의 자기점검 체크리스트 활용 경험은 ‘일단 해보기’, ‘실제 활용하기’, ‘내 것으로 만들기’의 단계적 변화가 있었으며, 동료장학 병행이 이런 변화에 중요한 기여하였다. 둘째, 초임 영유아교사의 동료장학 병행 자기점검 체크리스트 활용을 통해 영유아-교사 관계의 긍정적 변화가 있었으며, 영유아의 문제행동에 대하여 긍정적 대처와 예방을 위한 노력이라는 변화를 보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초임 영유아교사의 영유아-교사 관계 증진을 위한 동료장학병행 자기점검 체크리스트를 활용한 장학 실천 방안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on the experience and the change of early childhood beginning teachers by using self monitoring checklist with peer coaching on building positive relationship with young children. Participants were five early childhood beginning teachers of a Children’s House located in Gyeonggi province. Study was consisted in 18 sessions of using the self-monitoring checklist and 3 times of peer coaching sessions for 9 weeks period. Self-monitoring checklists results, focus group interview materials, and peer coaching discussion data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developmental stage of ‘encountering’, ‘familiarization’, and ‘generalization’ was revealed among the participants. In particular, peer coaching played a significant role for the change. Second, the results showed that using self monitoring checklist with peer coaching encouraged early childhood beginning teachers to build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ir children, and on the prevention and intervention skills of dealing with challenging behaviors. Practical strategies using self monitoring checklist with peer coaching were suggested for promoting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beginning teachers and young children. Study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y were additionally discussed.

      • KCI등재

        코로나 시대 웹(web)기반 유아-부모 세대통합 예배 전략과 실제: 기독교 유아사회정서인성 개발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마은희(Eunhee Ma),김남임(Namim Kim),김소희(Sohee Kim),허계형(Kay H. Heo)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20 기독교교육정보 Vol.0 No.66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의 도래와 코로나 19 상황으로 인해 교회교육이 무너져가고 있는 상황을 절감하며 다음세대 예배와 가정의 신앙교육 회복의 기회가 될 교회교육 패러다임 구축을 위한 전략마련을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4차 산업혁명시대를 주도하는 기독교 인재양성을 목적으로 하는 기독교 유아사회정서인성 모델 기반 기독유아 사회정서 인성개발 프로그램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특히 코로나 시대에 기독유아 사회정서 인성개발 프로그램을 효과적으로 실행할 전략으로 웹(web)기반 유아-부모 세대통합 예배를 소개하였다. 웹(web)기반 유아-부모 세대통합 예배를 통해 교회는 가정의 신앙적 양육기능이라는 플랫폼으로서의 기능을 회복하고 부모는 신앙교육의 장인 가정에서 기독교교육의 주체로서 위치를 회복하여야 한다. 웹(web)기반 유아-부모 세대통합 예배에 참여하는 유아는 기독교세계관에 근거한 사고와 행동을 하는 경건 역량, 인성역량, 지성역량을 균형적으로 개발하여 4차 산업혁명시대를 주도하는 기독교 인재로 성장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study attempted to develop a strategy to build a church school education paradigm that will be an opportunity for the next generation of worship and restoration of faith education in families by reducing the situation in which church education is collapsing due to the advent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COVID 19 To this end, a program based on the model of the christian social emotional character developing for the purpose of educating young Christian children who will lead the era of the 4th Revolution. In particular, a web-based child-parent worship model was presented as a strategy to effectively implement the Christian social emotional character program in the Corona era. Through this, a church should restore the function as a platform of the religious nurturing function of the home, and parents should restore their position as the subject of christian education for their young children’s faith education. Young children who participate in the child-parent integrated worship like this model can be developed as Christian leaders who lead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by developing a balanced development of godly capacity to think and act based on the Christian worldview.

      • KCI등재후보

        노인의 삶의 만족도 영향요인 탐색: 기독교 노인과 비기독교 노인 비교 연구

        김민선 ( Minsun Kim ),마은희 ( Eunhee Ma ) 한국교회교육·복지실천학회 2023 교회교육·복지실천 연구 Vol.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what are the main variables that cause differences in life satisfaction between Christian and non-Christian older adults so that could establish a Christian basis and foundation for the direction of welfare for the elderly in the church community. The data based on 2020 National Survey of Older Koreans of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KIHASAR) were used and research participants were 10,097 elderly adults aged 65 or older. Jamovi 2.3 program was used for data analysi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ome sub-variables of demographic, family, health, and socioeconomic factors as independent variables,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life satisfaction, which is a dependent variable. As factors affecting the older adults’s life satisfaction, it was found to be 10 factors for Christian older adults in the order of spouse relationship satisfaction, child spouse relationship satisfaction, spouse presence, subjective health status, educational background, depression, the frequency meeting with children, residence type, total household income, and friend meeting frequency. For non-Christian older adults, it were found to be 13 factors in the order of spouse relationship satisfaction, child relationship satisfaction, subjective health status, depression, spouse presence, child meeting frequency, residence type, social activity participation, age, drinking, economic activity, educational background, and total household incom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factors that cause differences in the life satisfaction of older adults were discussed from a Christian perspective, a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were presented.

      • 예비초등학생의 정서행동문제가 가정환경특성을 매개로 학교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김정민 ( Kim Jungmin ),김민선 ( Kim Minsun ),마은희 ( Ma Eunhee ) 초록우산 어린이재단(구 한국복지재단) 2017 어린이재단 연구논문 모음집 Vol.2017 No.-

        본 연구는 예비초등학생의 정서행동문제와 학교준비와의 관계를 살펴보고 가정환경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서울, 경기 및 인천지역의 예비초등학생 부모 및 주 양육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설문에 응답한 총206명의 응답내용을 바탕으로 연구결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예비초등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예비초등학생의 학교준비도는 남아와 130만원 이하의 가구의 예비초등학생이 학교준비도가 낮았으며, 아버지의 학력이 높은 예비초등학생이 학교준비도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정서행동문제를 가진 예비초등학생은 학교준비도가 낮았다. 셋째, 예비초등학생의 가정환경자극이 놓을수록 학교준비도 역시 높았다. 넷째, 예비초등학생의 정서행동문제와 학교준비도에서 가정환경특성의 매개효과는 부분매개를 확인할 수 있었다. 질적연구는 양적 설문조사 분석결과를 토대로 하여 유아교육기관의 예비초등학생의 담임교사를 대상으로 3개 그룹을 구성하여 전문가초점집단면접(Focus group interview)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학교준비도에 있어서의 중요도는 주 양육자와의 교사 간 차이가 존재했다. 둘째, 정서행동의 문제가 예비초등학생의 학교준비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셋째, 예초등학생의 가정환경 특성과 학교준비도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별히 가정환경의 특성 중 양적분석과 같은 결과로 반응적 상호작용이 가장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구의 참여자들은 예비초등학생의 학교준비도를 향상하기 위한 가정, 유아교육기관, 정부나 공공기관, 민간지역기관의 각 주체별 역할에 대해 제안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re-elementary school students `motional behavior problems and school preparedness and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of home environment.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s, quantitative data were collected from 206 pre- primary school children's parents and caregivers. As a result, first, the school readiness of the children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choolers was lower in boys and that of the children whose income was less than 1.3 million won and the children with high father's academic ability showed high school readiness. Second, children with emotional behavior problems had low school readiness. Third, the better the home environment of the preschoolers, the higher the school readiness. Fourth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home environment characteristics on the preschooler's emotional behavior problems and school readiness were partially media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quantitative survey, qualitative research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3 groups of pre-primary school'teache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First,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Second, the problems of emotional behavior were reported to affect the school readiness of the children.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the home environment and the school readiness of the preschoolers was found to be influential. Especially, the interactive interaction was the weakest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home environment. Fourth, participants of the study suggested the role of each subject of home, kindergarten educational institution, government, public institution, and private local institution to improve the school readiness of preschool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