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근대 한·중 양국의 자서(字書)에 대한 인식과 전개

        류화송 원광대학교 한중관계연구원 2022 韓中關係硏究 Vol.8 No.3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how the recognition and research on Chinese characters in modern Korea and China is reflected and unfolded in the dictionary of Chinese characters, based on the situation of the times. Modernity is a period of special significance for both Korea and China in that feudal society has fallen and has a confusing and transitional specificity that passes into the modern society. During this period, China fell into a war of foreign invasion and civil war, and Korea was in a position to dominate against Japan. Some intellectuals in both countries all made an effort to find and protect their own identity in the language characters. As a result, in China, Ding Fubao (丁福保) published Shuowenjiezigulin, and in Korea, Kwon Byeonghoon (權丙勳) published Yukseoshimwon. Shuowenjiezigulin and Yukseoshimwon are very similar in that they were dictionaries of Chinese characters published in China and Korea almost at the same time, in that they were compromising research of Chinese characters, and that they were written by individuals. However, despite being a contemporary writing, there is a distinct difference in the content characteristics of the two books. These points need to be compared with the background of the times. In this respect, there is a need for this study,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above points and reveal the perception and its development of the dictionaries of Chinese characters in both Korea and China in the modern era. 본 연구는 근대 한국과 중국에서 한자(漢字)에 대한 인식과 연구가 자서(字書)에 어떻게 반영되고 전개되는가를 당시 시대상황을 바탕으로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근대는 봉건사회가 몰락하고 현대사회로 넘어오는 혼란하고 과도기적인 특수성을 지녔다는 점에서 한국과 중국 양쪽에 특별한 의미가 있는 시기이다. 이 기간에 중국은 외세의 침입과 내란의 혼전 속으로 빠져들고, 한국은 일본에 강점되는 처지에 놓이게 되면서 양국의 몇몇 지식인들은 모두 자국의 주체성을 언어문자에서 찾아 지키고자 하는 노력을 하였다. 그에 따라 중국에서는 정복보(丁福保)가 설문해자고림(說文解字詁林) 을 간행하게 되고, 한국에서는 권병훈(權丙勳)이 육서심원(六書尋源) 을 간행하게 되었다. 설문해자고림 과 육서심원 은 중국과 한국에서 거의 동시대에 저술 간행된 자서라는 점, 자학(字學)에 대한 총정리의 성격을 띤다는 점, 그리고 개인이 저술했다는 점에서 매우 유사성을 갖는다. 그런데 동시대 저술임에도 불구하고 두 저서의 내용적 성격은 확연한 차이가 있다. 이러한 점들은 시대적 배경과 아울러 비교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이런 점에서 본 연구의 필요성이 있으며, 본 연구의 목적은 위와 같은 점들을 규명해 근대에 한중 양국에서 자서에 대한 인식과 전개를 밝히는 데 있다. 따라서 첫째, 근대 한국과 중국에서 한자 연구에 대한 인식이 시대적 공간적 배경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가를 비교한 연구라는 점과 둘째, 동 시대에 공간적 차이에 따른 한자 인식의 변화가 자서에 어떻게 반영되어 전개되는가를 비교 고찰한다는 점에서 ‘근대 한·중 양국의 한자학 논의’에 대한 새로운 연구의 시도이자 도전이라 하겠다.

      • KCI등재

        이고의『復性書』에 나타난 선종의 영향

        류화송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23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95 No.-

        In this thesis, the life of LiAo (李翶)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hought of Fuxingshu (復性書) written by him and the Chan sect were discussed. LiangSu (梁肅) was the one who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formation of LiAo's thought. LiangSu studied Tiantai studies from Jingxizhanran (荊溪湛然), and the fusion of Confucianism and Tiantai studies stands out in the TianTaiZhiGuanTongLi (天太止觀統例) written by him. In particular, TianTaiZhiGuanTongLi suggests 'Fuxingmingjing (復性明靜)' by combining 'Zhiguan (止觀)' of Tiantai and 'Middle Way(中道)' of Zhongyong (中庸). It can be said that Fuxingshu succeeded to this idea of 'Fuxing (復性)'. Fuxingshu was written in an attempt to restore the Confucianism's 'Way of Xingming', and it is discussed from the relationship of Xingqing (性情). Xing (性) is the basis for becoming an noble man, and qing (情) is set up as a specter that corrupts humans. It develops the logic of 'Fuxing' by emphasizing that 'Xing' can be restored immediately if the delusion disappears. And the process of extinction of such delusion was defined as Zhicheng (至誠) emphasized in Zhongyong (中庸), and achieving it was regarded as 'Fuxing'. It is clear that this logic of Fuxingshu inherited LiangSu's TianTaiZhiGuanTongLi, but unlike LiangSu's fusion of Tiantai and Zhongyong, LiAo's Fuxingshu is the Chan thought of Chan sect's Platform Sutra of the Six Patriarch. Therefore in this paper it was revealed by comparing Fuxingshu with Platform Sutra of the Six Patriarch. 본 논문에서는 이고의 생애와 그가 찬술한 『복성서』의 사상과 선종과의 관계를 논하였다. 이고의 사상형성에 가장 커다란 영향을 준 이는 바로 양숙(梁 肅)이다. 양숙은 형계담연(荊溪湛然)으로부터 천태학을 사사하였는데, 그가 찬술한 『천태지관통례(天台止觀統例)』에는 유학과 천태학의 융합이 두드러진다. 특히 『천태지관통례』에서는 천태학의 ‘지관(止觀)’과 『중용(中庸)』의 ‘중도(中道)’ 를 융합하여 ‘복성명정(復性明靜)’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복성’의 사상을 계승한 것이 바로 『복성서』라고 할 수 있다. 『복성서』는 유학의 ‘성명(性命)의 도’를 회복하고자 찬술하였는데, 이를 성정(性情)의 관계로부터 논하고 있다. 성(性)은 성인이 될 수 있는 근거이고, 정(情) 은 인간을 타락시키는 망령된 것으로 설정하고, 그에 따라 망정(妄情)이 멸식(滅息)된다면 바로 ‘성’을 회복할 수 있음을 강조하여 ‘복성’의 논리를 전개한다. 그리고 이러한 망정의 멸식의 과정은 『중용(中庸)』에서 강조하는 지성(至誠)으로 규정하고, 이를 성취함을 ‘복성’으로 삼았다. 『복성서』의 이러한 논리는 양숙의 『천태지관통례』를 계승한 점이 분명하지만, 양숙이 천태학과 『중용』을 융합시키는 것과는 다르게 이고의 『복성서』는선종의 『육조단경』의 선사상과 융합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를 『복성서』와 『육조단경』을 비교하여 밝혔다.

      • KCI등재

        李學逵의「聲韻說」小考

        류화송(Ryu Hwa-song) 우리말글학회 2005 우리말 글 Vol.34 No.-

        The essay is focused upon Lee Hak-gyu's doctrine of pronunciation and rhyme, especially its motive, purpose and content. From the view-point of objective theoretical system, Lee Hak-gyu made an app.roach to the issues of pronunciation and rhyme in poetry and prose. Above all, he pointed out that people at that time had the problems of abusing pronunciation and rhyme. Moreover, he mentioned specifically a series of incorrect usages concerning the rule of Panjeol, of Tongyun, of Young Yeum and the doctrine of Hyeop Yeum in poetry and prose, and, furthermore, tried to correct them. Concretely, he wanted to deliver properly a correct conceptual knowledge of pronunciation and rhyme to unenlightened people. At the same time, he intended to made them recognize properly the incorrect knowledge of rhyme usages, which they at that time misused and misunderstood in writing verse.

      • KCI등재

        『韓國漢字語辭典』에 수록된 한국고유한자의 주석 내용에 대한 오류 검토 연구

        류화송(Hwa-song Ruy) 어문연구학회 2013 어문연구 Vol.75 No.-

        본고는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에서 편찬한『한국한자어사전(韓國漢字語辭典)』에 수록된 한국고유한자, 특히 국자(國字)에 대한 주석 내용에 있어서 그 오류를 검토한 것이다. 필자가 본 사전을 이용하면서 몇몇 표제자와 그에 대한 주석 내용에서 약간의 오류를 발견한바, 이에 대한 수정 보완 작업은 반드시 이루어져야 한다고 본다. 따라서 본 사전의 주석 내용을 전체적으로 살펴, 오류나 오해의 소지가 있는 것에 대하여 재검토하고 재정리하는 일은 누군가 필수적으로 해야만 하는 것이다. 필자는 바로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껴 진행한 것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목적은『한국한자어사전』에 수록된 국자에 대한 주석 내용을 조사 정리하고, 발견된 오류들을 재검토하여 그 오류를 바로잡는데 있다. 연구의 내실을 다지기 위하여 연구 대상은 본 사전에 수록된 ‘국자’와 그에 대한 주석만으로 한정하였다.‘국자’로 선정된 표제자와 그에 대한 주석을 살펴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첫째, 국자 선정과 분류에 대한 오류가 있는지 검토하였다. 본 사전에 수록된 국자는 모두 201개였다. 그런데 한국고유한자에 대하여 연구한 기존 학자들이 분류한 국자와 비교해본 결과, 본 사전에서 선정한 국자와는 약간의 출입이 있었다. 여러 학자들의 연구를 최대한 참고하여 국자 선정에 있어서 재고해야할 필요성이 있다. 둘째, 표제자 중복 수록과 누락된 것이 있는지 검토하였다. 그 결과 총 3개의 한자가 중복 수록 되었다. 그 가운데 ‘奈’은 1권 1105쪽과 2권 1033쪽, ‘羘’은 3권 838쪽과 3권 896쪽에 각각 중복 수록되었고, 2권 323쪽에서는 표제자가 누락되어 있는 것이 발견되었다. 이는 편찬 작업 과정에서 정밀한 대조와 교열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데서 기인한 실수로 볼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실수는 사전의 신뢰성을 크게 떨어뜨린다. 셋째, 오해를 일으키는 자원 설명과 육서 유형에 대한 규정이 있는지 검토하였다. 본 사전에서 육서의 유형을 규정하여 명기한 것은 상형자(象形字) ‘亇’ 1개, 회의자(會意字) ‘侤’ 1개, 형성자(形聲字) ‘ ’와 ‘垈’ 2개에 그친다. 이것으로 미루어 다음과 같은 점을 지적해 볼 수 있었다. 본 사전은 표제자에 대하여 육서(六書)에 의한 제자원리로 자원(字源)을 설명했음에도 불구하고 명기된 유형의 숫자가 납득하기 어려울 정도로 적다는 점이다. 또한 회의자와 형성자에 대한 자원 설명이 모호하다는 점이다. 자원 설명은 표제자에 대한 이해를 더욱 정확하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 표제자 이해를 도와야할 자원 설명이 모호하다면 오히려 표제자 이해에 방해가 될 것이다. 넷째, 주석 예문과 표제자의 상관성과 일관성이 요구되고, 예문 출전의 판본을 명기해야하는 것이 있는지 검토하였다. 그 결과 두 개의 표제자에 대하여 동일한 하나의 예문을 제시하면서 각각 그 표제자에 대하여 ‘ ’은 약자(略字)로, ‘ ’은 속자(俗字)로 분류한 것이 발견되었다. 예문은 표제자의 쓰임을 통해 표제자를 이해하게 하고, 색인 역할을 하는 중요한 부분이다. 예문과 표제자에 있어서 그 상관성과 일관성이 상실되면 그 한자(漢字)에 대한 이해를 저해할 뿐만 아니라, 이는 나아가 본 사전에 대한 신뢰성마저 떨어뜨리게 한다. 따라서 이는 반드시 바로잡아야할 부분이다. 또한 ‘巭’와 ‘ ’의 경우, ‘ ’는 ‘巭’의 속자라고 밝히면서 공교롭게도 제시한 예문은 ‘巭’에 제시된 예문과 완전히 일치되는 것이 발견되었다. 이는 예문 출전의 판본이 명기되어 있지 않아 표제자 이해에 혼란이 야기되는 경우였다. 이것 또한 반드시 교정되어야할 점이라고 여겨진다. 본 연구는『한국한자어사전』의 흠을 찾아내기 위해서가 아니라, 본 연구를 통해 본 사전이 더 완성된 사전으로 거듭나는데 미흡하나마 작은 도움이 되길 바라는 필자의 마음에서 이루어진 것임을 밝힌다. This thesis examines errors with the annotations on the traditional Korean Chinese characters, especially the Sino-Korean characters included in Dictionary for Chinese characters and compound words of Korean Origin (韓國漢字語辭典) published by Dankook University Academy of Asian Studies. Since I have found errors in some of the dictionary's head words and their annotations, I believe their correction is necessary. So, a thorough examination of all the annotations in the dictionary is required to review and collect errors and possibly misleading contents. In this light, the current study has been conducted out of such dire nee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nd collect the annotations on the Korean Chinese characters included in Dictionary for Chinese characters and compound words of Korean Originto review the discovered errors and correct them. For robust substantiation, the study has focused on the Sino-Korean characters and their annotations included by the dictionary. First, I have checked for any errors with the selection of the Sino-Korean characters. The dictionary includes a total of 201 Sino-Korean characters. But a comparison with the Sino-Korean characters previously collected by scholars of the traditional Korean Chinese characters shows some variance with the Sino-Korean characters selected for the dictionary. To address the variation, the research by scholars should be reflected in the selection of the Sino-Koean characters. Second, I have checked for any omission or repeat of head words. And it has been verified that ‘㭐’ is found twice on p. 1105 of Vol. 1 and p.1033 of Vol. 2, and ‘羘’ on p.838 of Vol. 3 and p.896 of Vol. 3. while a chinese character is omitted as head word on p.323 of Vol. 2. These appear to be errors made from the failure to perform a thorough comparison and proofreading. But such errors greatly impair the credibility of a dictionary. Third, I have checked for any possibly misleading etymological explanations or regulations on the six methods. The dictionary limits its classification into the six methods to one ideogram, one combined ideogram, and two radical plus phonetic characters. And this fact has led to the following criticism. When the dictionary provides etymology on its head words based on the character formation principle of six methods, the number of entries provided with such information is too small to sound convincing. Moreover, it does not provide sufficient explanation for combined characters and racdical plus phonetic characters. Etymology helps a more accurate understanding of head words. If etymology that should facilitate understanding of a head word turns out ambiguous, it should rather hamper it. Fourth, I have checked for any instances that require correlation and consistency between the examples in the annotations and the head words as well as disclosure of the editions of the literature from which the examples are taken. The investigation reveals that one same example is provided for two entries of ‘ ’ and ‘ ’ of which the former is defined as the simplified form while the latter as the popular form. Examples are important in that they help understand head words by showing their usage and also serve as part of the index. If examples and head words lose correlation and consistency, it hampers an understanding of Chinese characters and will eventually impair the credibility of the dictionary. In such light, the issues must be properly addressed. In another case, while ‘ ’ is given as the popular form of ‘巭’, the examples given for the two entries are exactly the same. This causes confusion in the understanding of the head words, as editions are not provided for the literature from which the examples are taken. This study is designed not to find fault with Dictionary for Chinese characters and compound words of Korean Origin, but to promote the advancement of the dictionary toward p

      • KCI등재

        『독서작문보(讀書作文譜)』의 한국 유입 경로 및 그 영향에 대한 고찰

        류화송(Ryu Hwa-song) 우리말글학회 2015 우리말 글 Vol.67 No.-

        본 연구는 『독서작문보』를 연구의 텍스트로 삼고, 본서가 어떤 경로를 통해서 중국에서 수입되었고, 또 그것이 유통되면서 우리나라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가를 고찰하려는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이에 한 · 중 · 일 삼국에 소장된 판본 자료를 토대로 본서의 상호 수입과 유통을 추적하여 우리가 일본에서 본서를 수입해 왔을 가능성이 있음을 살폈다. 이를 근거로 하여 우리나라 근대 계몽기에 작문 교재의 편찬에 있어서 본서가 참고서로써 활용되었을 가능성을 살폈다. 이 과정에서 본서와 계몽기 작문 교재인 『실지응용작문법』을 비교 분석한 결과, 실제로 『실지응용작문법』에 본서의 문장수사와 관련된 내용이 원용되었음을 밝혔다. 이로써 본서가 우리나라의 근대적 글쓰기 교재가 탄생하는 데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음을 살폈다. Dushuzuowenpu is a text of this study. This Study aims to review that what did it flows through the path in China and how did it affect our country. For the purpose, It is needed to track the mutual income distribution of the book on the basis of the edition collectible resources in Korea, China and Japan. And this study revealed that we were likely to purchase the book came from Japan. Based on this analysis, It found out that writing materials compiled in this book were likely to have been utilized as a reference book in Korea modern enlightenment period. In the process,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of this book and Practical applications rhetoric that is the writing books of the enlightenment period, it showed that Practical applications rhetoric took a quote from the contents of the rhetoric associated with this book. Therefore, it revealed that Dushuzuowenpu has given birth to a direct impact on our country"s modern writing materia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