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오청취당(吳淸翠堂) 한시의 작시방식과 미적 성취

        류화송(Ryu, Hwa-song) 우리말글학회 2014 우리말 글 Vol.63 No.-

        이 연구는 조선 후기 호서지역의 여성시인인 오청취당의 시를 분석하고, 그 운자의 사용 방법과 활용된 시어, 시구 등의 면모를 살펴 그녀의 작시방법과 시에 있어서의 미적 성취를 탐구해 본 것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시의 형식과 내용적 측면에서 압운 분석을 통한 그녀의 작시방법과, 사용된 시어와 시구 분석을 통한 시의 미적 성취를 살폈다. 그 결과 청취당의 시는 첫째 자신의 감정을 보다 사실적으로 독자들에게 전달하기 위해 정형화된 압운의 형식을 깼다는 점, 둘째 ‘시자구(是字句)’를 사용하여 작자인 자신과 독자, 그리고 자신이 묘사하는 정경 혹은 정서 등과 삼위일체 시키고 있다는 점, 셋째 수사(數詞)를 사용하여 자신의 심경을 독자들이 수량으로 인지해 그 정도의 깊이를 이미지화 하게 함으로써 독자들의 공감을 이끌어내고 있다는 점 등의 특징이 있음을 밝힌 것이다. This Study reviews the classical chinese poetry of Oh chengqudang who is a woman poet in the Hoseo region for the late Chosun Dynasty, and studies the manner of writing poetry and the aesthetic effect through the used rhyme(押韻), shiziju(是字句) and numerals(數詞) based on the form and contents in her poetry. In conclusion, I found out that her poem was written by three ways of special forms. Frist, when she wrote a poem, she didn"t mind formal rhyme to communicate realistically her emotion to readers. Secondly, she reconciled the reader and herself with emotion or a scene she described by using shiziju(是字句) in poetry. Thirdly, she used various numerals in her pome. Through this way, she made readers conceive vividly about her inner thoughts and feelings.

      • KCI등재

        양숙(梁肅)의 ‘천태지관(天台止觀)’을 통한 유불융합(儒佛融合)

        류화송(Ryu, Hwa-Song)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20 佛敎學報 Vol.0 No.93

        본 논문은 당대(唐代) 양숙(梁肅)이 찬술한 저술에 나타난 ‘유불융합’의 사상을 고찰하였다. 양숙은 어려서부터 천태종의 부흥조로 일컬어지는 형계담연(荊溪湛然)에게 천태학을 사사받아 ‘심요(心要)’를 얻은 사법제자이며, 또한 당시에 뛰어난 유학자로 손꼽히는 독고급(獨孤及)에게는 유학(儒學)을 사사받았다. 이러한 인연은 양숙이 ‘유불융합’을 제창할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조건이라고 할 수 있다. 양숙은 형계담연이 입적 후에 그의 비명(碑銘)을 찬술하였다. 이후 천태종의 종요(宗要)라고 할 수 있는 『마하지관(摩訶止觀)』은 비록 “세상을 구하고 도를 밝히는 책[救世明道之書]”이지만, 세상에 널리 알려지지 않음을 슬퍼하고, 문의(⽂義)가 크고 넓어 읽는 자들이 시간을 허비하기 때문에 그는 『산정지관(刪定止觀)』을 찬술하였으며, 그에 대한 지침서인 『지관통례(止觀統例)』를 찬술하였다. 또한 『지자대사전론(智者⼤師傳論)』을 찬술하여 간략하게 지자대사의 법맥을 밝히고 있다. 그 외에 『유마경략소서(維摩經略疏序)』와 『열반경소석문(涅槃經疏釋⽂)』 등의 불교와 관련된 작품이 있으며, 『과구원부(過舊園賦)』, 『병잠(兵箴)』 등의 작품이 실린 『양숙집(梁肅集)』 6권이 『전당문(全唐⽂)』에 실려 있다. 양숙의 ‘유불융합’ 사상은 『지관통례』에 집중적으로 나타나는데, ‘지관(止觀)’의 논리를『중용(中庸)』에서 제시되는 ‘중도(中道)’와 ‘복성(復性)’의 이론으로 서로 융합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양숙은 『중용』에서는 성인(聖人)의 경지를 설명하는 ‘중도’와 ‘지관’의 궁극적 경계를 나타내는 ‘중도’를 서로 교묘하게 ‘융합’시키고자 하는 관점을 제시하고 있다. 그에 따라 송대(宋代) 찬영(贊寧)은 유학자가 불교의 이굴(理屈)에 깊이 들어와 잘 어울렸다는 평가를 내리고 있다. 양숙이 제창한 ‘유불융합’은 이후 유종원(柳宗元), 유우석(劉禹錫), 이고(李翶) 등에게 영향을 미쳐 유학자들에게 ‘유불융합’의 흐름을 유행시켰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이고는『복성서(復性書)』를 찬술하는데, 여기에서 양숙의 ‘복성명정’의 사상을 직접적으로 계승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양숙이 지니는 사상사적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is thesis examines the thoughts of LiangSu concerning the interpenetration of Confucianism and Buddhism in his writings during the Tang Dynasty. LiangSu was the successor of the master who gained the “essentials of the mind” from an early age by studying Tiantai, referred to as the revival of the Tiantai sect, from JingXiZhanRan. In addition, he studied Confucianism from DuGuJi, who was considered an outstanding Confucian scholar at the time. This type of relationship can be said to be the most basic condition for LiangSu to consider the interpenetration of Confucianism and Buddhism. LiangSu wrote JingXiZhanRan’s epitaph after his death. He evaluated “MaHeZhiGuan,” the essence of the Tiantai sect, as “a book that saves the world and reveals the way.” However, he mourned the fact that it was not well known in the world and that its message was not widespread. To reduce the reader’s time, he wrote Shan DingZhiGuan and the guidebook for it, ZhiGuanTongLi. LiangSu’s ideas concerning the interpenetration of Confucianism and Buddhism appear intensively in ZhiGuanTongLi. The logic of “ZhiGuan” is observed to fused with the theories of “ZhongDao” and “FuXing” presented in ZhongYong. LiangSu’s notes concerning the interpenetration of Confucianism and Buddhism influenced Liu ZonngYuan, LiuYuXi, and LiAo, among others, and the trend of the interpenetration of Confucianism and Buddhism was popular among Confucian scholars. In this respect, the significance of LiangSu’s ideas can be found in the history of thought.

      • KCI등재

        李學逵의「聲韻說」小考

        류화송(Ryu Hwa-song) 우리말글학회 2005 우리말 글 Vol.34 No.-

        The essay is focused upon Lee Hak-gyu's doctrine of pronunciation and rhyme, especially its motive, purpose and content. From the view-point of objective theoretical system, Lee Hak-gyu made an app.roach to the issues of pronunciation and rhyme in poetry and prose. Above all, he pointed out that people at that time had the problems of abusing pronunciation and rhyme. Moreover, he mentioned specifically a series of incorrect usages concerning the rule of Panjeol, of Tongyun, of Young Yeum and the doctrine of Hyeop Yeum in poetry and prose, and, furthermore, tried to correct them. Concretely, he wanted to deliver properly a correct conceptual knowledge of pronunciation and rhyme to unenlightened people. At the same time, he intended to made them recognize properly the incorrect knowledge of rhyme usages, which they at that time misused and misunderstood in writing verse.

      • KCI등재
      • KCI등재

        설주(雪舟) 간찰에 나타난 표현의 특징

        류화송(Ryu, Hwa-song) 우리말글학회 2021 우리말 글 Vol.89 No.-

        본 연구는 설주(雪舟) 간찰에 나타난 표현의 특징에 대하여 고찰을 하고자 한다. 설주 간찰은 설주 송운회(雪舟 宋運會:1874년-1965년)와 회봉 안규용(晦峰 安圭容:1873년-1959년)이 1915년부터 1938년 사이에 주고받은 편지모음집이다. 설주간찰은 한 시대의 정신과 생활의 역사를 밝혀줄 하나의 귀중한 자료로 사료적 가치가 높은 우리의 문화유산이다. 설주 송운회와 회봉 안규용은 죽마고우로 평생을 같이 생활하며 친형제 이상의 교유를 맺은 평생지기이다. 간찰에는 발신자와 수신자 간에 지극히 사적인 내용과 감성이 담겨 있다. 발신자와 수신자 간의 교유 관계와 친밀 정도에 따라 글의 표현 정도도 다양한 양상을 띠게 된다. 또한 이러한 표현을 통해 간찰 작성자의 사유 양식은 물론이거니와 문학성과 예술성 등도 함께 엿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설주 간찰을 통하여 그의 서술 표현을 분석하고 그의 표현 특징은 어떠한가를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Seolju Letter was collecion of 91 letters that was sent and received between the Seolju, Song Un-hoe (1874-1965) and Hoebong, Ahn Gyu-yong (1873-1959) between 1915 and 1938. Since this is mainly an letter sent by Seolju to Hoebong, it was called "Seolju Letter" and used as the text of this stud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his narrative expressions and to find out how his expressions were characterized by the letter of Song Un-hoe to Ahn Kyu-yong. Seolju and Hoebong are intimate lifelong friends, and there are many parts of the Seolju Letter that can be presumed to be deep friendships with Hoebong. In addition, the emotional and witty expressions that can be used to guess this relationship not only make us feel him an artist, but there are many exemplary examples that we can imitate in writing toda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xpression patterns of the Seolju Letter and to examine its features. Furthermore, through this study, I will try to illuminate chinese classics in early 20th century.

      • KCI등재

        『독서작문보(讀書作文譜)』의 한국 유입 경로 및 그 영향에 대한 고찰

        류화송(Ryu Hwa-song) 우리말글학회 2015 우리말 글 Vol.67 No.-

        본 연구는 『독서작문보』를 연구의 텍스트로 삼고, 본서가 어떤 경로를 통해서 중국에서 수입되었고, 또 그것이 유통되면서 우리나라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가를 고찰하려는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이에 한 · 중 · 일 삼국에 소장된 판본 자료를 토대로 본서의 상호 수입과 유통을 추적하여 우리가 일본에서 본서를 수입해 왔을 가능성이 있음을 살폈다. 이를 근거로 하여 우리나라 근대 계몽기에 작문 교재의 편찬에 있어서 본서가 참고서로써 활용되었을 가능성을 살폈다. 이 과정에서 본서와 계몽기 작문 교재인 『실지응용작문법』을 비교 분석한 결과, 실제로 『실지응용작문법』에 본서의 문장수사와 관련된 내용이 원용되었음을 밝혔다. 이로써 본서가 우리나라의 근대적 글쓰기 교재가 탄생하는 데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음을 살폈다. Dushuzuowenpu is a text of this study. This Study aims to review that what did it flows through the path in China and how did it affect our country. For the purpose, It is needed to track the mutual income distribution of the book on the basis of the edition collectible resources in Korea, China and Japan. And this study revealed that we were likely to purchase the book came from Japan. Based on this analysis, It found out that writing materials compiled in this book were likely to have been utilized as a reference book in Korea modern enlightenment period. In the process,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of this book and Practical applications rhetoric that is the writing books of the enlightenment period, it showed that Practical applications rhetoric took a quote from the contents of the rhetoric associated with this book. Therefore, it revealed that Dushuzuowenpu has given birth to a direct impact on our country"s modern writing materials.

      • KCI등재

        도생(道生)의 ‘리(理)’와 이학(理學)의 ‘이일분수(理一分殊)’

        김진무 ( Kim Jin-moo ),류화송 ( Ryu Hwa-song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8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33

        본고는 위진(魏晋)·남북조(南北朝) 교체기에 활동한 도생(道生)의 ‘리(理)’와 송대(宋代) 이학(理學)의 핵심명제인 ‘이일분수(理一分殊)’를 고찰하여 그 영향관계를 밝힌 것이다. 중국사상사에서 ‘리’를 ‘본체(本體)’의 의미로서 이른바 ‘지존(至尊)’의 자리에 올린 이는 바로 도생이라고 볼 수 있다. 그에 따라 본고에서는 도생의 ‘리’의 탐구와 그로부터 출현한 ‘돈오론(頓悟論)’을 살펴보았다. 한편 도생과 송대 ‘이일분수’를 본격적으로 제창한 이정(二程; 程顥·程?)과는 약 6백여 년의 시차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수(隋)·당(唐)대 불교와 유학자들이 제시한 ‘유불통합(儒佛統合)’과 관련된 논의를 살펴보았으며, 또한 송대에 나타난 ‘유불합류’의 흐름을 고찰하였다. 나아가 장재(張載)의 『서명(西銘)』의 해석과 관련한 논의를 통하여 이정이 제창한 ‘이일분수’와 그와 관련된 주희(朱熹)의 논술을 고찰하여 이학에서 제창하는 ‘이일분수’의 대체적인 내용을 살펴보았다. 또한 이것과 도생과 당대(唐代) 징관(澄觀)의 ‘리’와 관련된 부분을 비교하여 그 영향관계를 살펴보았다. 이로부터 이학의 ‘이일분수’에는 도생으로부터 제창된 ‘리’와 징관의 화엄학의 영향을 받아 나타난 것이 분명하다는 결론을 얻게 되었다. 그러나 한편으로 이학이 송대 이후로 주류를 차지함에 따라 불교의 흐름에도 영향을 미쳐 불교의 유학화, 즉 ‘출세’지향의 불교가 점차로 ‘입세’를 강조하여 이른바 ‘윤리화’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I considered Daosheng's ‘Li(理)’ during the transition period of Wei Jin Southern and Northern Dynasties(魏晋南北朝) and ‘one principle and its many manifestations(理 一分殊)’ as the core proposition of Neo-Confucianism in Song dynasty and then I determined their influencing relationship in this paper. We can say that Daosheng drew ‘Li’ to ‘the best’ as ‘the first principle’ in Chinese history of thought. Therefore I searched ‘Li(理)’ of Daosheng and ‘the theory of sudden enlightenment(頓悟論)’ from it. Meanwhile, there was six hundred parallax between Daosheng and er Cheng(Chenghao(程顥)·Chengyi(程?)) advocating for ‘one principle and its many manifestations(理一分殊)’. Therefore I have searched some related discussion about ‘integration with Confucianism and Buddhism(儒佛統合)’ which were presented by Buddhists and Confucianists in Sui(隋) and Tang(唐) dynasties in this paper. I also examined ‘the joining with Confucianism and Buddhism(儒彿合流)’ in Song(宋) dynasty. In this paper, I considered ‘one principle and its many manifestations(理一分殊)’ advocated by er Cheng in Zhangzai(張載)'s 『Ximing(西銘)』 and Zhuxi(朱熹)'s essay related to the slogan. Then I checked the general contents of ‘one principle and its many manifestations(理一分殊)’ in Neo-Confucianism. Comparing with Daosheng and Chengguan(澄觀)'s ‘Li(理)’ in Tang(唐) dynasty, I also examined the influencing relationship. Therefore I clearly reached a conclusion that ‘one principle and its many manifestations(理一分殊)’ in Neo-Confucianism was influenced by Daosheng's ‘Li(理)’ and the science of Huayan. But as Neo-Confucianism occupied mainstream after Song(宋) dynasty, it had a strong influence on the stream of Buddhism. So we can see Confucianized Buddhism, so-called ethicalized Buddhism, not leaving home-oriented but entering world-orien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