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탐구형 소프트웨어 GSP를 활용한 기하학습 사례연구

        류현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03 교육논총 Vol.21 No.-

        본 연구는 동적인 소프트웨어 GSP를 사용한 기하학습에서 GSP의 역할과 학생들의 사고과 정, 수학에 대한 태도 등을 보다 심층적으로 묘사하고 분석하여 사회전반에 널리 쓰이고 있 는 컴퓨터가 학생들이 수학을 이해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지 그 가능성을 탐색하고 자 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 기하학습에서 컴퓨터 소프트웨어는 시각화를 통한 도형의 성질의 발견, 추 론에 대한 시각적 확인, 한 가지 사례에서 발견한 도형의 성질의 일반화, 작도과정을 통한 증명의 이해 등 다양하게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수학학습에서 컴퓨터의 활용은 학생들의 호 기심을 자극하고 흥미를 유발하며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학습 태도를 이끌어낼 수 있었으며, 기하학습에서 동적인 소프트웨어 GSP를 사용하여 탐구학습을 하면 학습에 흥미를 높여주고, 어려움을 완화시켜 줌으로서 학생들의 학업성취를 높일 수 있다는 교육적 시사점을 주고 있다.

      • 순 방향 DC-DC 변환기의 간단하고 효과적인 동기 정류기에 대한 연구

        柳鉉,朴鍾伯 조선대학교 생산기술연구소 1997 生産技術硏究 Vol.19 No.1

        A simple and efficient MOSFET synchronous rectiflcation circuit suitable for forward DC-DC converters is proposed. The main feature of this circuit is the addition of a capacitor in parallel with the drain-source of the MOSFET used as a rectifying device. This capacitor extends the conduction period of the MOSFET used as a freewheeling device. As a result, a 92% efficiency at 5V for 10A output is achieved.

      • KCI등재

        시각장애학교 중등학생의 수학적 성향 분석

        류현,이해균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013 시각장애연구 Vol.2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mathematical disposition of secondary course students in schools for the blind. It offers basic materials to develope methods and strategies that can enhance their interest and motivation in learning mathematics. To carry out the purpose, secondary course students attending 12 schools for the blind throughout the nation were categorized as gender, course, time at onset of the visual impairment, primary literacy medium for learning, and experience of general education.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and analyzed on behalf of their mathematical disposition. Confidence, adaptability, continuity, interest, self-monitoring and awareness of mathematical applicability were contained in mathematical disposition. The results on mathematical disposition and its components from this investigation were as follows. The mathematical disposition level of secondary course students attending schools for the blind is revealed average. Awareness of mathematical applicability indicates highest level in the mathematical disposition components. Male students indicate higher level than female students do in the mathematical disposition of secondary course students attending schools for the blind. Male students indicate higher level than female students do in their adaptability, continuity, interest of mathematics and awareness of mathematical applicability. Middle school course students indicate higher level than high school course students do in their continuity of mathematics. Braille users indicate higher level than regular print (including regular-sized, large-sized, and enlarged materials) users do in their mathematical adaptability. Students who had taken general education indicate higher level than those who had not taken general education in their mathematical confidence. 본 연구는 시각장애학교 중등학생의 수학 교과 관련 학습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전국 12개 시각장애학교 중등학생 319명을 대상으로 수학적 성향에 관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수행하기 위해 수학적 성향의 하위 6개요인 24문항의 설문지를 구성하여 도출한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각장애학교 중등학생의 수학적 성향은 보통 수준이었고, 하위 요인 중 수학의 가치 인식이 가장 높았다. 둘째, 시각장애학교 중등학생 중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수학적 성향이 더 높았으며, 사고 과정의 융통성, 문제 해결에 대한 의지, 수학적 호기심, 수학의 가치 인식도 더 높았다. 중학생이 고등학생보다 문제 해결에 대한 의지가 더 높았고, 사용하는 문자매체가 점자인 학생이 묵자인 학생보다 사고 과정의 융통성이 더 높았다. 일반학교 재학 경험이 있는 학생이 없는 학생보다 수학에 대한 자신감이 더 높았다. 이러한 연구결로 시각장애학교 중등학생의 수학적 성향은 보통의 수준이며, 성별ㆍ과정별 차이는 정안학생과 유사함을 할 수 있다. 이를 중심으로 후속 연구에 필요한 제언을 하였다.

      • KCI등재

        통합형 수리논술 지도 사례 -구체물과 공학적 도구를 활용한 원뿔곡선 수업-

        류현아 ( Hyun Ah Ryu ) 한국수학교육학회 2013 수학교육논문집 Vol.27 No.4

        대학 입학 전형에서 통합 논술이 시행되면서 학교 교사나 학생들은 통합 논술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필요하다고 생각하지만 실제 교사들은 지도 방법의 어려움을 갖고 있다. 본 연구는 예비수학교사를 대상으로 통합 논술 지도를 위한수업의 사례를 통해 교육적 시사점을 도출해보고자 한다. 수업은 내용 지식으로서 수학에서의 원뿔곡선의 정의와 안테나 반사판의 설계에 적용된 원뿔곡선의 반사 성질을 주제로 하고, 수학사, 구체물, 종이접기, 컴퓨터 등을 이용하여학생들이 원뿔곡선의 정의와 성질을 발견하게 하였다. 이러한 교수·학습 과정에서 학생들은 수학사를 통해 수학적지식이 인간에 의해서 발명되었음을 이해할 수 있고, 정의나 명제를 만들고 정당화 해봄으로써 수학적 명제의 타당성을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발견한 성질들 사이의 관계를 논리적으로 기술할 수 있으며, 정당화 과정에서 이유나 근거를 설득력 있게 기술할 수 있다. 통합 논술을 지도함에 있어서 내용에 따라 다양한 접근의 수업 자료와 지도 방법에 대한 연구가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As integrated essay writing is performed in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s, teachers and students recognize the importance of integrated essay, but teachers have still difficulties of teaching metho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educational implications through case of mathematics instruction for integrated essay education to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The content knowledge of this class is a definition of conic section in mathematics and properties of conic section in an antenna reflector. The students have to discover them using the history of math,manipulative material, paper-folding and computer simulation. In this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the students can realize mathematical knowledge invented by humans through history of mathematics. The students can evaluate the validity of that as create and justify a mathematical proposition. Also, the students can explain the relation between them logically and descript cause or basis convincingly in the process of justifying. We should keep our study to instructional materials and teaching methods in integrated essay education

      • KCI등재

        초등학교 예비교사의 수학적 신념 변화에 관한 사례연구

        류현아(Ryu, Hyunah),김윤민(Kim, Yunmin)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21 교과교육학연구 Vol.25 No.6

        본 연구는 초등학교 예비교사의 수학적 신념의 변화에 어떤 경험들이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살펴보았다. 3년간 수학적 신념에 있어 긍정적 변화를 보인 2명의 예비교사와 부정적 변화를 보인 1명의 예비교사 그리고 변화 없는 1명의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통해 그 사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대학 이전의 다양한 학교 경험을 통해 수학적 신념이 형성되고, 대학의 교육과정이나 현장 실습 등의 교사교육 그리고 사회 활동이나 교과 외 프로그램을 통해 긍정적으로 변화할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수학적 신념이 부정적으로 변화한 경우에도 대학의 교육과정과 현장 실습이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변화하지 않은 경우는 대학 이전의 학교 교육과정에서 교사와의 관계를 통해 긍정적으로 형성된수학적 신념은 대학에서도 교육과정과 현장 실습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와 그대로 유지된 사례이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안한다. 첫째, 교원양성대학의 역량 중심 교육이 필요하다. 둘째, 현장 교육 실습의 비중을 높일 필요가 있다. 셋째, 교원양성대학의 교육과정과 현장 교육 프로그램 간의 연계성 강화가 필요하다. This study analyzed the experiences that could affect changes in mathematical beliefs of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researchers examined four cases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two pre-service teachers who showed positive changes, one pre-service teacher who showed negative changes, and one pre-service teacher who showed no change in mathematical beliefs. The results indicated mathematical beliefs were formed through various school experiences before university and it was confirmed teacher education and social activities or off-curricular programs could have impact to induce positive change in the beliefs. Also, it was found that the university s curriculum and field education practice could also have an effect on negative change in mathematical belief. Looking into the cases where the beliefs did not change, positive mathematical beliefs had been formed through relationships with teachers in pre-university curriculum and these beliefs had a positive effect on university curriculum performance and field practice while mathematical beliefs remained unchanged.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e following implications are drawn. First, it is necessary a competency-oriented education of the University of Education. Second,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proportion of field education practice. Third,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connection between the university s curriculum and field training programs.

      • KCI등재

        특수교육지원센터 웹 사이트 접근성 및 준수율 분석

        류현,강종구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2019 지적장애연구 Vol.2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websites guarantee the web accessibility and compliance rate per item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level of accessibility per inspection items of 34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websites and the compliance rate of investigation items through 24 inspection items of Korean web content accessibility guidelines 2.1.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accessibility of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websites was shown less than web accessibility quality certification criteria(95%) for quality certification for web accessibility. Second, the exploration on the compliance rate per investigation items of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websites showed all the four areas(ease of perception, ease of operation, ease of understanding, and robustness) were lower than certification criteria of quality. This study shows that students with disabilities can experience difficulties in the use of web because the accessibility of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websites was not guaranteed. Therefore, web accessibility needs to be urgently improved. In addition, this study shows the necessity of various improvements related to specail education support center website such as the improvement of awareness on website development and operating personnels, the acquisition of techniques related to web accessibility, and the improvement of laws or systems related to web accessibility. 본 연구는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웹 사이트들이 장애학생들에 대한 웹 사이트의 접근성 및 항목별 준수율이 어느 정도 지키고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2.1의 24개 검사 항목을 통해 34개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웹 사이트 접근성 수준과 검사 항목별 준수율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교육지원센터 웹 사이트의 접근성 수준은 웹 접근성을 위한 품질인증 심사 기준(95%)보다 낮게 나타났다. 둘째, 특수교육지원센터 웹 사이트의 검사 항목별 준수율은 4개 영역(인식의 용이성, 운용의 용이성, 이해의 용이성, 견고성) 모두에서 품질인증 심사 기준보다 낮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특수교육지원센터 웹 사이트의 접근성이 보장되지 않아 웹 사이트에 있는 정보를 장애학생이 웹을 활용하는 데 어려움을 경험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웹 접근성은 시급히 개선될 필요가 있다. 이와 함께 본 연구는 특수교육지원센터 웹 사이트와 관련하여 웹 사이트 개발 및 운영 인력의 인식 개선, 웹 접근성 관련 기술 습득, 웹 접근성 관련 법령이나 제도의 개선 등이 필요함을 보여주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