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금지된 감정: 『조선출판경찰월보』의 소설 기록과 탈/식민 센티멘털리즘

        류진희 ( Ryu Jinhee )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9 비교문화연구 Vol.54 No.-

        이 글은 조선총독부 경무국 도서과에서 편찬한 『조선출판경찰월보』(1928.9~1938.12)에 실린 소설 기록을 중심으로 탈/식민 센티멘탈리즘의 흔적을 짚어 보고자 했다. 이는 한국문학사에서 여성적인 것으로 젠더화되어 부정적으로 말해졌던 감성주의의 가능성을 되짚는 의미를 가진다. 또한 센티멘탈한 것으로서 감정의 감응이 오래동안 식민지인 사이 공감의 저변을 형성하고 있었음을 밝히는 것이기도 하다. 식민지 검열의 효과로 인해 정치적이고 이념적인 주장이 빠진 빈 곳을 남녀간의 연애로 채우고, 이를 다시 민족과 계급에 대한 감성적인 사랑으로 상승시키는 식민지인의 기획에 누구보다 민감했던 쪽은 바로 제국이었다. 그 지배권력은 탈/식민 주체의 소설적 상상력을 가장 견제했고, 이를 파악하기 위해 일일이 번역하는 수고로움을 감수했다. 특히 이들은 센티멘탈한 장치로서 여성이 개입되어 눈물을 흘리거나, 흘리게 하는 장면을 주로 주목했다. 이는 식민지 근대성이 금지된 감정으로 이뤄지기도 했음을 짐작케 한다. 더하여 이는 센티멘탈리즘이 탈/식민 주체의 젠더 전략일 수도 있음을 말하기도 한다. This paper investigates post/colonial sentimentalism by examining the records of deleted novels that were published in the Monthly Report of Joseon Publication Police (September 1928 to December 1938), compiled by the Book Division in the Police Bureau of the Government-General of Joseo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us,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is study revisits the possibility of sentimentalism, which has been negatively discussed and subsequently reviewed as a feminine gendered feature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and a core element of the post/colonial subjects. In addition, the present study highlights the relationship of the emotional response to the idea of sentimentalism, which is seen to have formed a base of sympathy among the colonized people. According to the incidence and influence of colonial censorship, the empty spaces left by the removal of political and ideological arguments were filled with the development and creation of love stories as experienced between men and women; and the empire was most sensitive to the colonized people raising these love stories to sentimental love stories about the plight of the people and the status of class in that society. The hegemonic ruling power kept the closest watch on the fictional imagination of the post/colonial subjects, and to determine the content, the colonial government took extra measures into monitoring the translating of all of the literature that was produced by local authors at that time in the region. They particularly paid attention to the scenes in which female characters intervened as the most sentimental literary device, including when the women shed their tears. This was often comprised of feelings that were forbidden by colonial modernity, and the possibility of sentimentalism becoming the topic of highlight as a gendered strategy of the post/colonial subject.

      • KCI등재

        해방기 여성 사회주의자 서사와 탈식민적 글쓰기

        류진희(Ryu, Jinhee)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2021 여성학논집 Vol.38 No.2

        이 글은 식민지 프로문학에서 여성작가가 꼽아지지 않았으며, 해방을 맞은 여성작가 역시 여성 사회주의자를 다루지 못했음을 지적했다. 물론 이는 식민지 매체 장의 형성과 그 탈식민의 효과 때문이다. 다시 말해 식민지 근대성의 핵심으로서 여성작가들을 비롯한 ‘여류’들이 부상했지만, 해방직후에는 그 체제와의 친연성을 이유로 활발히 나서지 못했던 것이다. 그리고 그 발언의 자리는 다시 돌아온, 스스로를 드러낸 몇몇 여성 사회주의자들에게 잠시나마 주어졌다. 그러나 신탁통치를 둘러싸고 좌우남북으로 급박하게 돌아가는 정세에서 여성 사회주의자들도 다시 몸을 숨기고, 그들을 중심으로 내세우는 서사들도 계속해서 조밀하게 짜여지지 못했다. 좌파 여성작가는 다시 몸을 숨기고, 우파 남성작가들은 재차 우파 여성작가들을 호명한다. 좌파 남성작가들은 여성대중의 군집적 힘을 강조했지만, 여성 스스로가 자신의 이념적 목소리를 드러내는 장면은 그리지 않았다. 사실 해방 당대에는 정치적으로 ‘좌우간(左右間)’의 서사들이 더 많았다. 이러한 한계에서도 자신의 주장을 사회주의에 근거해 써내려갔던 여성들이 있다. 바로 고명자(1904-?)와 최화성(1923-?)이 그랬다. 전자는 남북연석회의에 참여했지만, 다시 삼팔선 이남으로 돌아왔다. 반면 후자는 우파 여성운동에 투신했던 박승호의 딸이면서도 여성해방 이데올로그로서 여동생들과 월북을 감행한다. 결국 삼팔선을 사이에 둔 고명자와 최화성의 선택은 달랐다. 그러나 탈식민의 역설을 껴안고 이들이 짧게 제출했던 글들은 해방기 서사의 빈 곳을 메우며, 사회주의적 전망에서 여성해방이론을 전개한 여성작가의 존재를 증명한다. This article points out that female writers were not strongly represented in Korean proletarian literature and that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they were also unable to write about socialist women because of the the colonization and subsequent decolonization of the media field. In other words, female writers emerged as symbols of colonial modernity. Therefore, immediately after liberation, their works were not as well-received due to their involvement with the imperial system. The voices of socialist women who had returned to the media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were heard instead of those of female writers. However, when news of the trusteeship was reported, a political crisis emerged. Socialist women went into hiding so there were no longer as many narratives centered on them. Some left-wing female writers also went into hiding again and right-wing male writers called on right-wing female writers again. Left-wing male writers emphasized the power of women as a group, but they did not depict women themselves revealing their ideological positions.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generally, there were more narratives of between left and right . Some female writers, including Ko Myung-ja (1904–?) and Choi Hwa-sung(1923–?), wrote down their arguments even given their political limitations and other difficulties. The former was a famous socialist during the colonial period who participated in the South-North Joint Conference as the party leader. However, she returned south of the 38th parallel. The latter was a representative of the new women’s liberation ideology and the daughter of Park Seung-ho, the leader of the right-wing women’s movement. However, she defected to North Korea with her younger sisters. Those who had the 38th parallel between made different choices. However, by embracing the paradox of decolonization, their writings and books filled the blanks left by the lack of representation of female socialists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These two women who wrote during the postcolonial period proved the existence of female writers who wrote about female liberation theory from a socialist perspective.

      • KCI등재

        해방기(1945~1948) 감정의 전환과 젠더 동학 : 여성작가의 소설을 중심으로

        류진희(Ryu, Jinhee) 구보학회 2021 구보학보 Vol.- No.28

        이 글은 여성혐오의 시대를 거쳐, ‘지금-여기’ 다시 어떠한 감정이 사회적 공감의 기반이 될 수 있을지를 해방기 여성작가들의 문학적 실천을 통해 탐색하고자 한다. 최근 페미니즘 ‘리부트’ 혹은 대중화에 맞서는 백래시(backlash)가 몰아치고, 감염병 정국으로 다시 혐오가 공포와 결합하여 강력해지고 있다. 이때 사회적인 규범과 성 역할이 변화하면서 여성을 매개로 각종 언설들이 폭증하는 역사적 시기로 해방기(1945~1948)가 주목된다. 탈/식민 남성을 기준으로 시민성이 규정될 때, 여성이 다시 남성성을 보충하는 중요한 참조로서 감정적 존재로 지목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해방기라는 격동의 순간을 여성 스스로가 겪어내면서 어떠한 작품을 생산해냈는지, 이때 감정의 문제가 어떻게 개입되는지 주목한다. 다시 말해 카테고리로서 젠더가 재조정되는 전환기에 다시 여성도 38선 남북 분할과 좌우 이념 대립 등 정치적인 압박에서 자유로울 수 없었다. 이와 관련해 여성들은 자신의 존재를 어떻게 위치시켰는지, 시대의 압박과 더불어 주체의 역량이 어떻게 변화된 감정을 형성하게 하는지, 그 긴장과 균열에 주목해 보고자 했다. 이로서 지금 혐오를 넘어 타자를 향한 서사적 상상력을 어떻게 계발시킬지, 그 문제를 해결할 단초가 찾아지리라 기대한다. This explores how certain emotions became the common foundation of social sympathy after “Here-Now” misogyny through the literary practices of female authors in the Liberation Period. Since the reemergence of feminism in recent years, backlash against feminism has become a concern and hatred has been becoming stronger in combination with fear. In this moment, the Liberation Period (1945-1948) comes to attention as a historical period that saw the significant increase in various statements that used women as a medium during a period in which social norms and gender roles began to change. When the citizenship of the self is being constructed based on the colonial or post-colonial male, women once again become important references that supplement masculinity. This essay examines such gender dynamics through works produced by women themselves in order to explore how women recognized their own existence as valuable and important under various forms of political pressure, such as the conflict between the right and the left. Furthermore, this essay examines in detail the works of female authors from the Liberation Period as the beginning of the solution to the problem of how to develop the narrative imagination towards the other in overcoming present-day hatred. Doing so will bring attention to how ideology, institutional pressure, and personal capacities distinctly produce the emotions of the times and to the tensions and rifts these processes entail.

      • 한국의 입센(Henrik Ibsen) 수용과 노라이즘(Noraism)의 역학

        류진희(Ryu Jinhee) 나혜석학회 2013 나혜석연구 Vol.2 No.-

        한국에서 입센은 여성해방의 선구자로 수용되었다. 「인형의 집」은 입센의 전체 작품을 이해하는 토대가 되었고, 작품의 여주인공 노라에 대한 해석은 당대 신여성을 이해하는 핵심으로 작용했다. 그러나 여성의 문제로만 접근된 한국에서의 입센은 또한 그렇기 때문에 소부르주아로 쉽게 낙인찍힌다. 그것은 곧 한국에서 여성해방이 부르주아적이고 개인주의적인 것이라 담론화되었던 상황과 연동한다. 근대 지식인들은 줄곧 그러한 노라이즘을 통해 여성을 비판하고 또 계몽하려 했다. 그러나 정작 이 논의는 자신이 포함되지 않는 초월적 시선에 의거한 것이었다. 그때 여성 스스로는 동일과 이탈이라는 양 지점을 오르내릴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제국주의의 광풍 속에서 근대 국가를 건설해야했던 동아시아, 그 속의 노라는 중국에서는 민족을 위해 반전통적 혁명 천사로 강림하여 찬양되었지만, 한국에서는 남녀의 진정한 연애를 토대로 하는 근대가정의 창출을 위해 돌아오라고 지탄받았다. 중국의 노라가 뛰쳐나오는 집은 유럽의 노라가 뛰쳐나온 가정이 아니었고, 한국의 노라가 돌아가야 했던 가정은 유럽의 노라가 뛰쳐나온 바로 그 집이었던 것이다. 이러한 노라의 가출, 그리고 그에 대한 해석적 태도의 차이는 근대라는 몸체가 어떠한 타자를 각인하는지, 그 각각의 차이를 역사화 시킬 수 있는 방식의 하나로서 지금도 여전히 유효하다고 할 수 있다. Henrik Ibsen is best considered the pioneer of women?s emancipation. His A Doll?s House have been termed “Nora” for it?s sustained engagement with the so-called “New women”. The reception of Ibsen?s works thus formed a discursive field onto which gender politics of colonial identity was projected. While most titles in Ibsen?s corpus eventually made their way into China and Japan, A Doll?s House received almost exclusive attention in Korea. Even when other works were introduced into Korea, interpretive fate they enjoyed differed significantly from that particularly in China. The lady from the Sea was fervently embraced as a sequel to A Doll?s House. Many newspaper and magazine articles discussed the translation and performance of the play in terms of the “Noraism” discourse, heralding the work as the very completion of Nora?s miracle in Korea. The New male intellectual who were ‘Transcendental Doublet? just wanted ladies who had to come back to the holy family. Ibsen?s Nora who had refused to accept the family in which the male order and law ruled was imprinted just in the mentions of Rha Hyeseok or Kim Il lyeop who were the famous ‘New Women?. On the other hand China encouraged the daughter of Nora to leave home which is rotten to the core. She was symbolized the angel of revolution descending upon them for nation-building. Nora slammed the door in Europe thus should come back none other but a sweet home in Korea, or come out of a traditional family which wasn?t the Nora?s house in China. This variation on interpretation about Nora?s leaving home represents how colonial modernity has to run by the politics of gender.

      • 새만금 간척지구내 계화도지구의 염분농도 수준

        김영주 ( Youngjoo Kim ),오양열 ( Yangyeol Oh ),이수환 ( Suhwan Lee ),류진희 ( Jinhee Ryu ),이상훈 ( Sanghun Lee ),김영두 ( Youngdoo Kim ),김선림 ( Sunlim Kim ),최진규 ( Jinkyu Choi ),손재권 ( Jaegwon Son ),윤광식 ( Kwangsik Yoon ) 한국농공학회 2015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5 No.-

        본 연구는 새만금 간척지내 계화도 지구를 대상으로 토양 염류 농도를 조사하여 간척지의 조기 농지화를 확립하고 간척농지에 재배 가능한 작물을 선정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으며, 간척농지의 주요 재배 작물의 적정한 염분 농도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지인 새만금 간척지는 국책사업의 일환으로 전체 토지 면적 중 8,570 ha(30.3%)가 농지로 조성되며 농지이용계획 완료기간은 2030년에서 2020년으로 10년 앞당겨졌으며 이때부터 점진적으로 작물 재배가 시작된다. 연구 지역의 대기온도, 풍속, 일사량, 강수량 등의 기상자료는 직접 측정하거나 인근 기상관측소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시험지구 근거리에 위치한 전주, 군산 및 부안 관측소에서의 2014년 연강수량은 1,206.8 mm, 1,141.0 mm 및 1,187.6 mm이었으며, 2015년 9월까지 각 541.8 mm, 580.2 mm 및 622.3 mm이었다. 한편, 계화지구의 토양 염류의 변이를 조사하기 위해 1,150 ha를 200 m간격으로 구분하여 GPS를 이용하여 2014년과 2015년 3월에 표토(0~20 cm)의 시료를 채취하였다. 채취된 토양 시료는 각 토양을 풍건 세토(2mm체)로 만들어 pH와 EC는 토양과 증류수를 1:5(W/V)로 희석하였으며, 다른 성분은 농촌진흥청 토양분석법에 준하여 실시하였다.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새만금 간척지 계화지구의 평균 염농도(%)는 0.0~0.41의 범위로다양하게 분포하였으며 평균 0.32를 나타내었다, 2015년의 평균 토양 염농도는 0.317 %로 2014년에 비해 30 %정도 감소한 값을 나타내었다. 전체 조사지역의 토양의 염농도의 경시적 변화를 살펴보면 영농도는 점차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염농도가 낮은 지역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한편, 유기물 함량은 대부분 작물재배에 적당한 기준(2.0~3.0 %)에 비교하였을 때 1.0 % 내외로 작물 생장의 저조할 것으로 예상되어 토양 비옥도를 증진시킬 수 있는 향후 대책이 필요한 실정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