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예비 디자이너의 1인 기업 창업 특성에 관한 연구 : 문화콘텐츠 생태계 활성화 관점에서

        류준호,차화숙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12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2 No.3

        본 연구는 디자인 분야 및 예비 디자이너의 사회적 역할 강화 방안의 모색으로서 디자인의 창작성 강화라는 인식의 전환을 기반으로 예비 디자이너들의 창업에 대한 특성 파악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취업의 한계가 드러나면서 창업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이때 디자인 분야에서의 창업, 특히 1인창조기업의 의미에 대한 이론적 분석을 시도하였고 이에 대응하는 현 예비 디자이너들의 창업 특성에 대한 현황 파악을 통해 디자인 분야의 변화 가능성과 방향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현재 예비 디자이너들의 창업 특성은 높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특히 개인이 확보한 특성에 비해 교육 및 정책적 지원에 의해 형성되어야 할 기업가정신의 일반적요소와 창업지식 부분들은 취약한 부분이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곧 현재의 교육과 정책이 디자인 창업 분야에 매우 미약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는 상황이라고 할 수 있다. 결국 이의 개선을 위해서는 디자인에 대한 사회적 인식의 전환을 바탕으로 디자인 분야 창작자들의 특수성 인식, 프로세스 관점에서의 창업 교육 및 지원, 디자인 분야에 문화콘텐츠적 사고 즉, 창작성의 확대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한편 문화콘텐츠적 관점에서 디자인 분야는 생태계의 근간을 이룰 1차 창작 집단의 영입이란 긍정적 요건을 만들 수 있다. 이는 곧 문화콘텐츠의 질적 풍부함에 기반이 되는 양적 풍부성의 확보를 의미한다. 따라서 문화콘텐츠 분야는 디자인 분야를 비롯하여 타 분야의 적극적 참여를 유도하고 활성화할 수 있는 열린 구조를 확보해야 한다. 본 연구를 통해 디자인 분야는 1인창조기업의 주요 대상으로서 무엇보다 창작성의 확보를 바탕으로 창업이라는 사회적 구조와의 적응력을 높여야 하며 이는 곧 문화콘텐츠 생태계의 활성화를 이루는 상호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이라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stablishment characteristic of preliminary designer based on the shift of recognition, strengthening creativeness of designer as a grope to strengthen social role of preliminary designer. As the importance of employment is highlighted due to limitation of employment opportunity globally, this study performed theoretical analysis on the meaning of establishment of business in the design field, expecially that of one man creative business, and analyzed the possibility of change and direction of design field by grasping the status of establishment characteristics of current preliminary designers. As a result, it is observed that the establishment characteristic of current preliminary designer is not significant. Especially, it is analyzed that general factors and knowledge of establishment which should be formed through education and political support rather than characteristics secured by individual have more vulnerability. This means that current education system and policy are very weak for the establishment of business in design field. Consequently, to improve this, it is necessary to expand education for establishment in the perspective of process, recognition of distinctiveness of creator in the design field, thought of cultural contents, that is , creativeness. In the meantime, design field in the perspective of cultural contents can make positive condition as recruitment of 1st creative group who will make the basis of ecosystem in the design field. This means to secure quantitative abundance which becomes the basis of qualitative abundance of cultural content. Therefore, cultural content field should secure open structure which can activate and induce positive participation of other field including design field. Through this study, it is observed, the establishment based on the secureness of creativeness should increase adoptability to social structure and is a measure to secure mutuality which activates the ecosystem of cultural contents.

      • KCI등재

        문화산업의 용어적 정의가 문화콘텐츠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한국 문화산업, 미국 엔터테인먼트 산업, 영국 크리에이티브 산업과의 비교를 통하여 -

        류준호,윤승금,Yoo, Jun-Ho,Yoon, Sung-Gum 한국벤처창업학회 2010 벤처창업연구 Vol.5 No.1

        Cultural industry along with cultural content that forms the center of cultural industry is the field whose interest is continually increasing due to the increase of weight in the national economy and the strengthening of importance in future value. Cultural content, particularly, accounts for the essential position in starting a business around one-person business, which recently arouses high interest in a nation. However, it is true that the debates on the rapid growth and identity of cultural content in contrast to the reinforcement of its position, and the criticisms about the lack in development of material and cultural content in staring a business show the limitation of overall cultural content in Korea. This research examines recognition of cultural industry or cultural content through terminologies of definition as well as the relationships of configures in accordance with the outcome of cultural content. Findings demonstrate that cultural content in Korea revealed the highest cultural orientation which is the same as existing interpretations, and as comparison objects, entertainment industry in the U.S. and creative industry in the UK contained the highest part of entertainment and creativity respectively. It reflects that mythical elements of language that has been discussed from the structuralist perspectives are projected in the relevant field. In conclusion, the conceptual definition of cultural content has the structure to project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existing culture, and this limitation needs to be overcome in securing the items and business value in starting a business.

      • KCI등재

        창업 관련 연구에 대한 메타분석: 1998년~2013년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류준호,Yoo, Jun Ho 한국벤처창업학회 2014 벤처창업연구 Vol.9 No.1

        본 연구는 우리나라 창업연구의 역사와 흐름의 파악을 통해 창업연구의 의미를 정확히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분석 기간은 IMF 이후 우리나라에 처음으로 벤처창업 붐이 일었던 1998년부터 가장 최근 논문인 2013년 9월까지이며 온라인으로 제공되고 있는 총 382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종합적 메타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분석은 창업연구분야, 창업지원분야, 창업단계분야, 창업기업형태분야, 창업가의 인구통계적 특성 등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분석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창업연구는 경영경제학 분야에서 활발히 전개되고 있으며 또한 산업 전반에 걸쳐 연구 대상이 되고 있다. 특히 IT산업분야, 외식산업분야, 콘텐츠산업분야 등은 창업에 대한 관심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둘째, 창업지원 분야 중 주로 연구 대상이 되고 있는 것은 창업자, 창업교육, 외부환경 등이다. 셋째, 창업연구의 문제점으로 창업을 전략적, 세부적으로 파악하기보다 포괄적 관점에서 판단하고 있는 것이다. 넷째, 주요 창업연구 대상으로 기업형태로는 창업연구 발원기에 벤처기업 중심 연구가 주요 대상이었다가 최근에는 소상공인 창업 중심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창업자 특성 측면에서는 전 기간에 걸쳐 대학생을 포함한 청년 창업이 주된 연구 대상이 되고 있는 상황에서 최근 시니어 창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상의 연구를 바탕으로 향후 창업연구 활성화를 위해 창업연구는 보편적 창업연구의 활성화, 산업적 특수성이 반영된 창업연구, 융합연구의 활성화 등이 이루어져야 한다. The study is aimed to recognize the meaning of foundation study through understanding history and flow of foundation study in Korea. The analysis period is from 1998 when there was first boom of venture foundation in Korea after IMF to 2013 September when the latest thesis was made, and the analysis intends total 382 dissertations the online. The analysis was conducted in the fields of foundation study, foundation support, foundation steps, founding company forms, founder's demographic features, and from the analysis, the following conclusion could be drawn out. First, the field actively carrying out foundation studies is the business management & economics field, but the foundation is dealt as an object of study across the all industries. It could be identified that of the all industries, especially IT industry, food service industry, and contents industry are the fields showing much interest about the foundation. Second, the field attracting most keen attention among the fields of foundation support was the field related with the founders. Third, the main problem relevant to foundation study was that the foundation was judged in comprehensive viewpoint, not being judged with strategies, in detail. Fourth, investing from the company's form aspect, it was found that during the starting period, the main foundation trend was the venture firm foundation, but recently the foundation-relevant attention is focused on the small business foundation and the most dominant founder type is the youth including college students, and the women's foundation is paid continual attention and senior foundation is being actively discussed. According to these analyzed results, future foundation studies should actively promote the general foundation studies, the specified foundation studies reflecting each industry's specialities, the fusion studies.

      • KCI등재

        생태계 관점에서의 문화콘텐츠 산업 구성 및 구조

        류준호(Jun-Ho Yoo),윤승금(Seung-Keum Yoon) 한국콘텐츠학회 201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0 No.4

        문화콘텐츠는 본래 다양한 콘텐츠 생산자와 유통·소비에 이르는 사이클을 가지고 있는 분야이다. 이러한 사이클 안에는 문화콘텐츠 생태계를 구성하는 다양한 개체 요소들이 포함되어 있고 이들 개체들 간의 조화로운 관계의 모색이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 문화콘텐츠분야에 대한 생태계적 관점의 접근은 최근 관심의 확대는 물론 관점 적용에서 오는 유용성에도 불구하고 본격적으로 시도되지 않은 분야이며, 따라서 문화콘텐츠 생태계를 구성하고 있는 개체 요소의 미확인은 물론 개체간의 상호 작용 원리, 개체별 발전방안, 생태계를 구성하고 있는 모든 개체의 공통적 발전을 이루는 공진화의 원리 등 생태계 내부 및 그 작용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가 없는 상태이다.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생태계와 사회과학의 제 분야에서 연구되어 온 생태계 모델을 통해 문화콘텐츠 생태계를 구성하고 있는 개체 요소의 확인, 그리고 각 개체들간의 상호 작용 및 개체 각각은 물론 전체 생태계의 발전 방향에 대해 모색해 보고자 한다. The cultural contents are a field that originally has a cycle ranged from producers of various contents and distribution consumption. The various object elements composing of an ecosystem of cultural contents in this cycle, and the search of harmonious relations between these objects is becoming an important issue. The ecological approach on the cultural contents field is not being tried authentically until now, in spite of the expansion of interest and usefulness from its application at present, so there is no detailed discussion on the inside of an ecosystem and its action such as confirmation of object elements composing of the ecosystem, interaction principles between objects and object development, principles of co-evolution, etc. achieving common development of all objects composing of the ecosystem. Therefore, the present research aims to confirm object elements composing of the ecosystem of cultural contents through an ecosystem model that has been researched in several fields of the ecosystem and social science, and to seek interaction between objects and each object as well as a development direction of a total eco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