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선행 제왕절개술 후 질식 분만: 성공의 예측인자들

        동서연 ( Seo Yun Tong ),김여홍 ( Yeo Hong Kim ),최영준 ( Young Jun Choi ),김소라 ( So Ra Kim ),이보 ( Bo Yon Lee ),이선경 ( Seon Kyung Lee ),허주엽 ( Chu Yeop Huh ),김승보 ( Seong Bo Kim ) 대한주산의학회 2003 Perinatology Vol.14 No.4

        목적: 선행제왕절개 후 질식분만을 시도한 산모들 중 성공군과 실패군을 비교하여 성공을 예측할 수 있는 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1997년 3월부터 2003년 2월까지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산부인과에서 선행제왕절개 후 질식분만을 위하여 내원한 환자중 질식분만의 금기가 아닌 경우 위험요소 등에 대하여 충분히 상의한 후 분만을 시도한 38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군의 의무기록을 통하여 분만당시 산모의 나이, 분만력, 제태연령, 신생아 몸무게, 입원시 자궁경부 상태 및 Bishop score, 분만의 진행과정, 결과 및 합병증을 조사하여 성공군과 실패군의 차이를 비교분석 하였다. 결과: 292(76.5%)명이 질식분만에 성공하였다. 여러 인자 중 태아의 몸무게(odds ratio, 0.2 ; 95% confidence interval (CI), 0.1-0.4), 입원시 Bishop score(odds ratio, 1.8 ; 95% CI, 1.5-2.1), 질식분만의 과거력(odds ratio, 3.6 ; 95% CI, 1.1-11.6)이 VBAC의 성공과 관련이 있었다. 또한 선행제왕절개시 적응증이 태위이상인 경우에 성공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odds ratio, 3.2 ; 95% CI, 1.2~8.6). 입원시 Bishop score로 VBAC의 성공을 예측할 수 있는 지 알아보기 위하여 receiver-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분석을 시행하였고, 5점을 cut-off로 하였을 때 47.4%의 민감도와 87.6%의 특이도를 보였다(AUC, 0.765 ; p<0.05). 결론: 출생체중, 질식분만의 과거력, 입원시 Bishop score가 선행제왕절개 후 질식분만을 고려하는 경우 성공의 예측인자로서 유용하게 사용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report is to determine the predictable factors for successful vaginal birth after cesarean (VBAC). Methods: In this study, 382 women who attempted VBAC at Kyung-Hee university hospital were included. The medical records of them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Informations was collected about demographics, medical history, obstetric history, neonatal birth weight, complications, treatment, and outcome of the index pregnancy. Results: The overall success rate was 76.5% (292 cases). Among variables, neonatal birth weight (odds ratio, 0.2; 95% confidence interval, 0.1-0.4), Bishop score at admission (odds ratio, 1.8; 95% confidence interval, 1.5-2.1 ; p<0.05), and history of vaginal delivery (odds ratio, 3.6 ; 95% confidence interval, 1.1-11.6 ; p<0.05) were significant. The Bishop score showed most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successful VBAC. The Bishop score 5 at admission had a sensitivity of 47.4% and a specificity of 87.6% in the prediction of successful VBAC. Malpresentation as indications of previous cesarean delivery showed more tendency to succeed than others. Conclusion: Several factors such as birth weight, Bishop score at admission, and history of vaginal delivery may be used to predict the success of VBAC.

      • KCI등재

        자궁경부암에서 비정상적인 Fragile Histidine Triad (FHIT) 발현에 대한 연구

        동서연 ( Seo Yun Tong ),이선경 ( Seon Kyung Lee ),지성길 ( Sung Gil Ji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7 No.6

        목적 : 암의 발생기전과 관련하여 발암유전자, 항암유전자, 일정 염색체 부위의 변화 등에 대햐여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FHIT 유전자는 3번 염색체 단완에 위치하는 종양억제 유전자의 하나로 폐암, 두경부암 등 상피세포암에서 발현되며, 최근의 연구에 따르면 자궁경부암에서도 이 유전자의 이상발현이 관찰되고 있다. 저자들은 자궁경부암 환자에서 FHIT 유전자의 이상발현을 RT-PCR 방법을 통해 분석하여 FHIT 유전자의 이상발현의 원인을 살펴보고 자궁경부암에서 예후 인자로 알려진 여러 인자들과 비교 분석하여 FHIT 이상 발현의 중요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 7개의 정상자궁경부 조직과 58개의 자궁경부암 조직을 대상으로 quantitative RT-PCR을 시행하여 FHIT 유전자의 mRNA 발현을 비교하고, 대상군의 의무기록을 통하여 임상병리학적 예후인자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genomic DNA PCr analysis 및 nonisotopic RT-PCR-SSCP, methylation-specific PCR을 시행하여 FHIT 발현이상의 원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결과 : FHIT mRNA 발현 정도는 정상조직에서 평균 0.82±0.07, 자궁경부암 조직에서는 0.58±0.22로 정상조직에 비해 침윤암 조직에서 유의하게 감소되어 있는 양상이 관찰되었고 (p<0.05), 그 중 25.9% (15/58)의 종양조직에서는 비정상적으로 감소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FHIT mRNA 발현수준과 예후와 관련이 있는 임상병리과 특성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발견하지 못하였다. 비정상적으로 mRNA 발현이 감소된 종양조직과 정상조직의 quantitative genomic DNA PCr 결과는 차이가 없었으며, RT-PCR-SSCP를 통해 20예의 종양조직에서 FHIT mutation 여부를 살펴본 결과 sequence의 변화를 발견할 수 없었다. 그러나, FHIT 발현의 비정상적인 감소를 보인 15예의 종양조직에서 GHIT promoter hypermethylation 여뷰를 조사한 결과 모두 양성으로 나타났고, 이에 반해 정상 자궁조직 7예와 정상발현을 보인 종양조직 43예 중 20예에서는 음성으로 관찰되었다. 결론 :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FHIT 발현 정도는 침윤성 자궁경부암에서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이는 FHIT 유전자의 aberrant promoter hypermethylation에 의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Objective : The fragile histidine triad (FHIT) gene is located at chromosome 3p14.2 and encompasses the common fragile site, FRA3B, which may contribute to chromosome breakage and rearrangement of cancer cells. In this study, we examined whether transcriptional alterations of FHIT gene play a role in the development of human cervical carcinomas and the possibility that hypermethylation of CpG islands serves for FHIT inactivation. We then analyzed FHIT expression status with clinical parameters to determine whether it has any prognostic significance. Methods : The study group included 50 squamous carcinoman, 4 adenocarcinomas 4 adenosquamous carcinomas, 7 noncancerous tissue and the clinical stage is composed of 4 Ia, 37 Ib and 17 II. Tissue specimens were snap-frozen in liquid N2 and stored at -70℃ until used. To examine for abnormal transcripts of the FHIT gene, quantitative RT-PCR, genomic DNA-PCR and nonisotopic RT-PCR-SSCP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the standard method. The methylation status was determined by methylation specific PCR. Results : The FHIT gene was down-regulated in 15 of (25.9%) cervical carcinomas. FHIT promoter hypermethylation was detected in 15 of 15 (100%) abnormally expression in cervical carcinomas. Conclusion : In this study, gene mutation is not a main mechanism for FHIT inactivation, but the aberrant promoter hypermethylation may be correlated with decreased expression of the FHIT gene. The significance of decreased expression of FHIT does not appear to be an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 in cervical cancers, although a still larger sample of patients will be required to asses this issue definitively.

      • KCI등재
      • KCI등재

        동시에 발견된 원발성 부인암에 대한 임상적 분석

        동서연 ( Seo Yun Tong ),이용석 ( Yong Sek Lee ),박종섭 ( Jong Sup Park ),이준모 ( Jun Mo Lee ),남궁성은 ( Seung Eun Namkoong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6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9 No.9

        목적: 부인과 영역에서 동시에 발생하는 원발암에 대한 임상적 분석을 통해 발생 빈도, 임상적 특징 및 예후를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 방법: 2000년 2월부터 2005년 1월까지 부인암을 진단 받은 환자 중 다발성 일차암으로 진단된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병리적 특징, 치료 및 치료 후 결과에 대해 후향적으로 고찰하였다. 결과: 같은 기간에 부인암을 진단 받은 환자는 모두 3164명으로 그 중 20명이 동시성 일차암으로 진단되어 0.63%의 빈도를 나타내었다. 이중 생식기에 다발성 종양은 13명이었고 가장 많은 동시성 일차암은 자궁내막암과 난소암으로 20명 중 8명이었다 (40%). 자궁내막암과 난소암이 동시에 발생한 경우는 평균연령이 45.2세로 각각 종양이 발생한 경우보다 비교적 빠른 나이에 발생하였고, 조직학적으로는 자궁내막선암과 난소의 자궁내막양 선암이 동반된 경우가 5예로 빈도가 높았다. 수술 후 추적관찰기간 동안 2명의 환자가 사망하였고, 평균 생존 기간은 57개월 (SE 10.0, 95% Confidence interval 37-77)이었다. 결론: 부인암과 동시에 발생하는 원발암은 비교적 드문 질환이다. 그 중 자궁내막암과 난소암의 빈도가 가장 높고 일반적으로 단일암보다 젊은 나이에 발생하며, 수술과 보조적 치료로 비교적 좋은 예후를 기대할 수 있다. Objective: A histopathologic review of synchronous primary neoplasms of the female reproductive tract was presented and the possible correlation among discrete tumor subsets, natural history, and survival was evaluated. Methods: Between 2000 and 2005, 20 patients with synchronous primary cancers of the gynecologic malignancy were identified. Clinical and pathologic informations were obtained from medical records. Kaplan-Meier survival analysis was performed. Results: The patients with Synchronous primary malignancies constituted 0.63% of all genital malignancies. The most frequently observed synchronous neoplasms were those of the ovary with the endometrium (40%). The mean age of patient with synchronous ovarian and endometrial cancer was 45.2 years. 8 patients underwent the hysterectomy with bilateral salpingo-oophorectomy and adjuvant therapy. The mean survival is 57 months (SE 10.0, 95% Confidence interval 37-77). Conclusion: Synchronous ovarian and endometrial cancers were detected in relatively early age and the prognosis was favorable.

      • KCI등재

        HPV E6 발암단백과 결합하는 CDC7 단백의 기능분석

        동서연 ( Seo Yun Tong ),김정진 ( Jung Jin Kim ),조양숙 ( Yang Sook Cho ),박종섭 ( Jong Sup Park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0 No.3

        목적: 인유두종 바이러스의 발암기전과 관련된 물질을 찾기 위해 Yeast two hybrid assay를 통해 HPV E6와 결합하는 것으로 선별된 cell division cycle 7-related protein kinases (CDC7)의 기능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E6와 결합하는 단백을 선별하기 위해 human HeLa cDNA library를 prey로 하고 HPV E6를 bait로 하여 yeast two hybrid를 시행한 후, 여기서 E6와 결합한다고 선별된 CDC7과의 반응을 확인하기 위해 immunoprecipitation assay를 시행하였다. CDC7과 E6가 세포에 미치는 영향을 보기 위해 세포주기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yeast two hybrid와 immunoprecipitation assay를 이용하여 E6와 결합하는 신규단백으로서 CDC7을 확인할 수 있었고, E6의 발현을 감소시켰을 때와 마찬가지로 CDC7에 siRNA를 처리하였을 때 역시 세포사멸이 증가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그러나, CDC7과 E6를 동시에 억제하였을 때 세포사멸에 대한 상승작용을 관찰할 수는 없었고, CDC7과 E6의 발현을 증가시켰을 때도 세포주기에 특이한 변화는 없었다. 결론: 이번 실험을 통해 HPV E6와 결합하는 신규 단백을 발굴하였고, CDC7이 세포사멸에 영향을 주는 것은 확인할 수 있었으나 향후 부가적인 기능을 탐구하기 위한 연구가 더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Human papillomaviruses are associated with the majority of cervical cancers. There is a wide effort focused on searching for the target of the involvement of p53-independent HPV-16E6 interacting proteins. We identified Cdc7 (cell division cycle 7-related protein kinases) as a binding partner of E6 and investigated its biological function in cervical cancer cells. Methods: The baits, E6, fused to the LexA-BD subunit using pBTM116 vector were used to screen an oligoneucleotide primed human HeLa cDNA library cloned in pGAD10 vector. Yeast two-hybrid screens were performed. Immunoprecipitation assay was performed to determine whether E6-Cdc7 interaction occurred. Cells treated with siRNA were analysed by flow cytometry. Results: We have delinated the interactions of E6 with five proteins, namely the IRF-3 (interferon regulatory factor-3), PRKCL 1 (protein kinase C-like 1), PIST (PDZ/coiled-coil domain binding gene), BARD1 (BRCA1 assocated ring domain 1), and Cdc7. The in vitro result of the interaction between E6 and Cdc7 was confirmed by immunoprecipitation experiments. Down-regulation of Cdc7 by small interfering RNA in HeLa cell lines causes an abortive S phase, leading to cell death. Conclusion: We have identified the new protein of interaction with HPV E6, Cdc7 kinase. It has been implicated in S phase signaling of cell cycle and the inhibition of Cdc7 induced cell death. But, further investigation is needed to know the biologic function of Cdc7 kinase in cervical carcinogenesis.

      • KCI등재

        자궁 경부에 발생한 Adenoma Malignum

        동서연 ( Seo Yun Tong ),임명철 ( Mung Chul Lim ),이주희 ( Ju Hee Lee ),허주엽 ( Chu Yeop Huh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5 No.12

        1870년 Gusserow에 의해서 처음으로 보고된 adenoma malignum은 자궁경부 선암의 1~3%를 차지하는 드문 형태로 minimal deviation adenocarcinoma라고도 하며 조직학적으로 잘 분화되어 양성에 가까운 모양을 보인다. 내경관 (endocervical canal)의 원주상피에서 유래하여 자궁경부 기질 깊숙이 자라 들어가는 경우가 많아 임상적으로 진단이 어려울 뿐 아니라 종양표지자 검사에서도 정상소견을 보이고 초음파나 Adenoma malignum (minimal deviation adenocarcinoma) is a rare, extremely well-differentiated form of invasive cervical adenocarcinoma. The name derives from the deceptively benign epithelial cells that line the glands of this neoplasm. The presence of ar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