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행위주체별 자녀 돌봄시간의 배열과 계층간 차이

        노혜진 ( Hye Jin Noh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14 사회복지정책 Vol.4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탈가족화와 가족화 개념틀을 활용하여 영유아 자녀를 돌보는 가족의 일상에서 행위주체별 돌봄의 배열을 분석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배열에서 계층에 따른 차이가 존재하는 현실을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2012년도 보육실태조사 원자료를 활용하여 사건배열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 행위주체별 돌봄의 배열에서 친인척돌봄형, 퇴근후부모돌봄형, 친인척경유부모돌봄형, 4시부터부모돌봄형 등 4개의 유형이 발견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유형의 영향요인이 부모의 근로시간뿐만 아니라 가구, 여성의 소득수준이라는 것이 검증되었다. 저소득 여성의 경우 가족화에서 탈가족화, 그리고 다시 가족화로 이행하는 과정이 매우 엄격하여 삶에서의 선택과 통제의 범위가 제한적이었다. 반면, 고소득 여성의 경우 상대적으로 높은 소득으로 인하여 각각의 이행과정에서 발생하는 괴리를 친인척에 의한 가족화, 혹은 비혈연 양육서비스를 통한 탈가족화에 의해 채우고 있었지만, 이 과정에서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지속시켜야 하는 어려움이 예측되었다. 이러한 결과에 기초하여 본 연구에서는 운영시간에 기초한 무상보육의 지원, 미취학자녀를 둔 부모의 근로시간 축소전략, 동네단위 보육 네트워킹의 제도화 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arrangement of care to preschool children in daily life through de-familialization and familialism framework. And this study considers the arrangement by class. In this end, this study used optimal matching of sequence analysis, cluster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arrangement of care was found in four cluster, these cluster are significant by the income of households and mother. Second, in the case of low-income women, the transition from familialism to de-familialization, and again to familialism was very limited and rigid. So the scope of control and choice of them was little. Third, relatively high income women could fill the gap in the transition process with familialism by kinship and de-familialization by caregiver. But they should try to build and maintain the network endlessly. Based on the analysis, this study suggest realistic operating hours of child care center to support working mother and the improvement of long working hours.

      • KCI등재

        채무조정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과중채무자가 인식하는 사회적 배제의 의미

        노혜진 ( Noh Hye Jin ),백아름 ( Baek Ahreum ),권하늬 ( Kwon Hanui ),박정민 ( Park Jung Min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22 사회복지연구 Vol.53 No.2

        본 연구는 채무조정제도 이용자와의 심층인터뷰를 토대로 과중채무와 채무조정 경험의 의미와 본질을 파악하는 것을 목표로 한 질적 연구이다. 연구참여자는 채무조정―개인워크아웃을 이용한 성인 총 9명으로 채무상환을 완료하였거나 완료 예정자들이다. 이들은 채무 발생부터 과중채무, 채무조정 신청, 변제, 그리고 완제에 이르기까지 겪은 다양한 경험, 감정, 의견을 제시하기에 적합하다. 자료의 분석은 Giorgi가 제안한 기술적 현상학적 연구의 절차를 따랐다. 연구참여자들의 개별적이고 상황적인 경험에 대한 기술인 상황적 구조 기술에서 드러난 23개의 주제들을 유사성, 공통성 차원에서 유목하여 결집했고, 이를 토대로 7개의 본질적 주제를 구성하였다: 불가항력으로 시작된 채무; 가족에게서 멀어짐; 주변에서 멀어짐; 잃어버림의 연속에서 나에게서 멀어짐; 안정적인 삶의 구조에서 멀어짐; 채무조정제도의 양가성; 제자리는 아니지만 현재의 자리를 인정. 이 연구는 과중채무와 채무조정을 이용한 당사자의 목소리를 통해 중첩적으로 배제를 경험하는 것으로 알려진 과중채무자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나아가 그들을 지원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한다. This qualitative study aims to explore the ways in which indebted individuals understand the meanings and implications of debt relief in their own live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semi-structured interviews with nine people who have completed or were in the final stage of the process of debt relief. Data were analyzed by the Giorgi’s descriptive phenomenological method. Analyzes of the data have yielded seven themes: uncontrollable indebtedness; being alienated from family; being alienated from friends; being alienated from themselves; uncertainty of lives; ambivalence in the process of debt relief; and acknowledging current situation. The findings enhance our understanding of the lives of individuals who are over-indebted and rely on debt relief. Implications for more effective debt relief programs are suggested.

      • KCI등재

        빈곤가구 자녀의 노동시장 진입과정 유형화

        노혜진 ( Hye Jin Noh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12 사회복지정책 Vol.39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노동시장 진입과정 유형화를 통하여 빈곤의 세대간 이전이 진행되는 과정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사건배열분석을 통하여 빈곤가구에서 성장한 자녀를 대상으로 청년기 노동시장 진입과정을 유형화하였고, 이러한 결과를 고소득가구 자녀와 비교하였다. 종사상지위와 직업을 중심으로 이행과정을 분석한 결과, 우선 종사상 지위 측면에서 빈곤가구 자녀는 정규직 중심형, 정규직으로의 이동형, 미취업형, 진입과 이탈 반복형 등 4개 유형이 도출되었다. 그에 비해 고소득 가구의 자녀는 정규직 중심형, 정규직으로의 이동형, 미취업형 등 3개 유형이 도출되었다. 한편, 직업을 중심으로 살펴본 결과, 빈곤가구는 기능장치형, 빈번한 이직형, 다양한 직종형, 미취업형 등 4개의 유형이 도출되었다. 그리고 고소득가구는 전문 사무직형, 전문 사무직으로의 이동형, 미취업형 등3개의 유형이 도출되었다. 고소득가구 자녀의 경우 청년기에 이미 전문직이나 사무직 정규근로자로의 이행이 고정되고 있는 반면, 빈곤가구 자녀는 노동시장의 진입과 이탈뿐만 아니라 직업의 이동도 빈번한 특성을 보이고 있었다. 이를 통해 서로 다른 청소년기를 보낸 두 개의 집단이 청년기에 노동시장 진입과정에서도 상이한 경험을 하고, 이것이 결과적으로 생애소득에 영향을 미칠 것임을 유추할수 있었다.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process of poverty through classification of entry process in labour market. In order to find out an answer to this question, this study classifies entry process in labour market of youth among poverty and compares the result with 5th quintile. To analyze entry process, this study used optimal matching of sequence analysis, cluster analysis, and multinomial analysis from Korea Labour Panel data(1-11waves).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oor youth were divided into 4 clusters (regular worker, change to regular worker, unemployment, and repeat of entry and exit) from employment status. And rich youth were classified 3 clusters (regular worker, change to regular worker, and unemployment). Second, in terms of job, poor youth were divided to 4 clusters (manual worker, frequent change job, various jobs, and unemployment). And rich youth were classified 3 clusters (professional, change to professional, and unemployment). These finding means that poor youth already experience unstable labour from entry process in labour market. And it is able to affect to the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of poverty.

      • SCOPUSKCI등재

        위장관 ; 조기 위암 및 위선종 환자에서 내시경점막하박리술 후 시행한 근치적 부가적 위절제술의 임상, 병리학적 고찰

        노혜진 ( Hye Jin Noh ),박종재 ( Jong Jae Park ),윤재원 ( Jae Won Yun ),권민정 ( Min Jung Kwon ),윤대웅 ( Dae Woong Yoon ),장원진 ( Won Jin Chang ),오하영 ( Ha Yong Oh ),주문경 ( Moon Kyung Joo ),이범재 ( Beom Jae Lee ),김지훈 ( Ji 대한소화기학회 2012 대한소화기학회지 Vol.59 No.4

        Background/Aims: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ESD) has been widely performed. However, procedure related-complications and the risk of tumor recurrence are limitations. We analyzed the clinicopathologic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ho underwent curative additional gastrectomy (gastrectomy) after ESD. Methods: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cases underwent gastrectomy after ESD were retrospectively analyzed. Results: Between January 2002 and August 2010, 1,512 cases underwent ESD for early gastric cancer (n=511) or adenoma (n=1,001). Thirty-two cases (2.1%) underwent gastrectomy after ESD. Thirty cases (2.0%) were EGC and 2 cases (0.1%) were adenoma. Extended indication, larger tumor size and piecemeal resection were risk factors for gastrectomy after ESD. According to the causes of gastrectomy, 13 cases underwent gastrectomy due to complications (40.6%; bleeding in 9, perforation in 4), and 19 cases based on pathological results (incomplete resection in 13, lymphatic invasion in 6). In cases with incomplete resection, the rate of residual tumor and lymph node metastasis after gastrectomy was 69.2% (75% lateral margin, 60% deep and 75% both) and 7.7%, respectively. Three (50%) of the 6 cases with lymphatic invasion had lymph node metatstasis. Conclusions: The causes of gastrectomy after ESD were the procedure-related complications, the incomplete resection and lymphatic invasion. For complete and curative ESD, endoscopists should try to minimize complications and determine the depth of invasion accurately before ESD. (Korean J Gastroenterol 2012;59:289-295)

      • KCI등재

        여성의 사회적 지위와 빈곤

        노혜진(Noh, Hye-Jin) 한국여성연구소 2013 페미니즘 연구 Vol.13 No.2

        본 연구는 빈곤의 여성화의 개념이 등장하게 된 맥락이 되었던 여성의 고용률 증가가 한국사회에서는 왜 발생하지 않는가라는 질문에서 출발하였다. 여성에게 노동자라는 지위가 주는 이점이 제한적일 것이라는 가정 하에, 본 연구는 아내, 어머니, 노동자중에서 어떤 지위에 있는 여성의 빈곤위험이 높은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노동패널 1차자료부터 13차자료까지 13개년도의 자료를 활용하였고, 서구 국가와 비교하는 과정에서 룩셈부르크 소득조사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각 집단별 빈곤율 실태를 살펴보면 아내, 노동자, 어머니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는 여성, 성인기 자녀를 둔 취업여성, 고등학생 이하의 자녀를 둔 전업주부 순으로 빈곤율이 낮게 나타났다. 특히 전업주부의 빈곤율이 서구에서는 전체 여성의 빈곤율보다 평균 2-3배 높은 반면, 우리나라의 경우 반대의 결과가 발견되었다. 둘째, 우리나라에서는 자녀가 있는 여성의 빈곤율이 자녀가 없는 여성보다 높은 어머니 패널티(mother penalty)가 발견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여성빈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생애주기에 입각하여 자녀 양육시기가 지난 여성에게는 노동자로서의 지위가 빈곤위험을 낮추는 요인이 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무엇보다 본 연구의 결과들은 여성의 세 가지 지위 중에서 빈곤위험을 가장 효과적으로 낮추는 것이 아내 지위라는 결과를 반복적으로 제시하며, 노동시장 내에서 여성에게 주어지는 일자리가 이들의 빈곤을 해결해주지 못하는 현실을 보여주었다. This study examines women’s social roles and women’s poverty for last 12 years in Korea. The formation of the women’s social roles is based on the three different positions of women as wives, mothers, and workers. To analyze the relation, this study used Korea Labour Panel data(1-13waves) and Luxembourg Income Study.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overty rate of housewife (married ? mother - homemaker), working wife (married ? childless - worker), and working mom (married ? mother - worker) is low. Second, mother’s poverty rate is lower than non-mother, so mother penalty related with poverty is not found. Finally, limited to women with higher education, the poverty rate of housewife has decreased extremely. This result implies the social rights and protection of women as a housewife in this group have increased.

      • KCI등재

        시간과 소득의 이중빈곤

        노혜진 ( Hye Jin Noh ),김교성 ( Kyo Seong Kim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0 사회복지연구 Vol.4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보다 실효성있는 탈빈곤정책의 대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소득뿐만 아니라 시간을 고려한 대안적 빈곤측정과 분석을 시도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한국복지패널 1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생계부양자의 연령이 60세 이하인 가구를 대상으로 소득빈곤과 시간빈곤, 그리고 소득과 시간의 이중빈곤을 산출하였다. 더불어 시간빈곤으로 인하여 돌봄서 비스를 시장에서 구매하는 과정에서 추가 지출이 발생함에 따라 소득빈곤이 새롭게 발생하는 상황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소득빈곤율의 평균수치는 9.5%이고, 시간빈곤율은 15.7%이며, 시간조정 소득빈곤율은 10.8%로 나타났다. 또한 교육수준이 낮으면서 미취학자녀가 있는 한부모가구의 경우, 소득빈곤뿐만 아니라 시간빈곤을 경험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가구의 상황을 고려하지 않은 채 일을 통한 빈곤탈출만을 강조하는 복지정책의 실효성에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음을 입증하였다. 더불어 사회복지정책이 궁극적으로, 임금노동과 돌봄노동, 그리고 여가 간 상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제공됨으로서, 전반적인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해야 함을 제언하였다.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ttempt an alternative measurement and analysis of poverty considering income as well as time in order to present an effective antipoverty policy. Based on Korea Welfare Panel Study (2005), the income poverty, time poverty, and double poverty of household in which householders were under 60 years were measured. Moreover this paper found that households experiencing the time poverty might be faced with additional income poverty because of the necessity to purchase care services in the market to compensate for the tim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ncome poverty rate is 9.5%, time poverty rate is 15.7%, and time-adjusted income poverty rate is 10.8%. And low-educated single parents with young children are more likely to experienced income as well as time poverty. Therefore, this paper proved that the `welfare to work` policy without considering situations in household could be faced with the limit. Furthermore, this paper suggests that social welfare policy should aim at minimizing the tradeoffs among different works and activities, and then support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 KCI등재

        니트상태를 경험한 청년들의 생애사

        노혜진 ( Noh Hye-jin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1 保健社會硏究 Vol.4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사회에서 청년들이 어떤 생애를 살아왔고, 삶의 맥락에서 어떤 과정을 거쳐 니트를 경험했으며, 그들의 경험과 삶이 한국사회의 제도 및 체계와 어떻게 연결되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6명의 청년들과 17회의 인터뷰를 진행하였고, 만델바움의 생애사방법론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청년들이 니트상태를 경험하는 과정에서 충분하지 않은 가족의 지원, 적응하기 힘든 학교생활, 신중하지 않은 진로결정으로 인한 대가, 모두를 피해자로 만드는 한국사회 등 4가지 범주의 삶의 영역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삶의 영역에서 청년들은 예상하지 못한 사건, 부정적 노동시장의 경험, 누구나 될 수 있는 니트상태 등 3개의 전환점을 경험하는데, 이 과정에서 항상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끝이 보이지 않는 투자, 적극적으로 제도를 이용, 불안정 노동시장으로의 회귀, 온전히 내 삶을 살기 위한 노력 등 4개의 적응전략을 활용하고 있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청년니트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취업성공패키지의 개선방안으로써 직업훈련 내용이나 수준, 교강사의 자질 개선과 교육비 바우처 방식으로의 전환을 제안하였고, 청년의 경로를 지원해줄 지지집단의 현실화를 위하여 상시적으로 운영되는 청년통합지원체계의 구축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young people lived in Korean society, experienced being NEET through what process and in what life context, and how they were connected with the institutions and systems of Korean society in this process. To this end, 17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six young adults who had experienced being NEET, and analyzed using Mandelbaum’s life history methodology. This study found four life situations that young people went through when they experienced being NEET: ‘insufficient family support’, ‘difficult school life’, ‘the price of inadequate career decisions’, and ‘Korean society that makes everyone a victim. In these life situations, young people experience three turning points: unexpected events, negative labor market experiences, and NEET that anyone can become. In this process, as an adaptation strategy to maintain homeostasis, four adaptation strategies were used: endless investment, active use of the system, return to the unstable labor market, and efforts to fully live my life.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ed the improvement of the content and level of vocational training and the qualifications of instructors and the conversion to the voucher method in order to improve the youth NEET problem. In addition, this study proposed establishing a permanent integrated system of youth support groups that can actually help young people in their life paths.

      • KCI등재

        부모의 교육적 동질혼에 따른 자녀 돌봄시간의 불평등

        노혜진 ( Hye Jin Noh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14 사회복지정책 Vol.41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의 동질혼이 자녀를 돌보는 시간의 양적 측면에서 차이를 유발하는지를 검증함으로써, 부모가 소유한 자원이 시간적 측면에서 자녀돌봄의 불평등을 야기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자녀 돌봄시간의 불평등을 발생시키는 요인으로서 동질혼에 주목하였다. 이를 위하여 생활시간조사 자료를 통해 60세 이하 유자녀 부부의 돌봄시간을 분석하였다. 분석의 결과, 고학력 동질혼 부부가 저학력 동질혼 부부보다 하루 평균 100분 정도 긴 시간동안 자녀를 돌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회귀분석 결과, 고학력 동질혼은 자녀에 대한 돌봄시간을 증가시키는 요인인 반면, 저학력 동질혼은 취학연령의 자녀를 대상으로 한 돌봄시간을 감소시키는 요인이었다. 그리고 이러한 격차는 전체 돌봄시간보다 자녀의 발달과 관련된 시간에서 더욱 뚜렷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에 기초하여 본 연구는 저소득층 중심의 돌봄시간 보장정책, 부부 의사소통 및 부모교육의 활성화 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at the resources owned by the parent result inequality in the caring time focusing homogamy. To this ends, this study analyzes caring time of a couple of less than 60 years olds with children through Korean Time Use Survey 2009.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ouple with high educated homogamy takes care of their children than low educated homogamy 100 minutes a day more. Second, high educated homogamy is the cause of increasing the caring time. Conversely low educated homogamy reduces the caring time. And this inequality of caring time is more pronounced in the time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of the child.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e time maintenance policy such as care time guarantee policy, the activation of the program such as couples communication and parent education.

      • KCI등재

        재량시간discretionary time을 중심으로 본 빈곤여성의 삶의 질

        노혜진 ( Hye Jin Noh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3 사회복지연구 Vol.44 No.1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quality of life of poor women. This study utilized data combined KLIPS with Time Use Survey for an analysis and analyzed time at the intersection of the class and gender. With discretionary time as center, this study investigated poverty status from the quality of life. And in order to make comparison more clearly, object was classified into 4 groups; non-poor male, poor male, non-poor female and poor femal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poor women had the shortest discretionary time among all the groups and also had highest poverty rate of living quality. And this study found that deprivation of non-poor female headed householder is serious. Second, analysis of inequality level between and within groups through Theil index indicated that gender influence in poor strata was 3times higher than that of non-poor strata. This study found that poor women experienced mixed exclusion at the point where gender and class crossed. And this study also a meaning that an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above matters on secondary poverty and hidden poverty of poor women which existing researches were unable to discover. 본 연구에서는 생활시간조사와 한국노동패널의 두 자료를 결합함으로써 계급과 성별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나타나는 사간사용의 실태를 분석하였다. 재량시간(discretionary time)으로 지수화하여 개인의 삶의 질을 측정하였고, 이 과정에서 발견되는 빈곤 여성의 삶의 질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더불어 타일지수(Theil-index) 분해를 통해 빈곤여성이 경험하는 삶의 질을 비빈곤여성, 빈곤남성, 그리고 비빈곤 남성과 비교함으로써 재량시간 불평등의 양상을 파악하였다.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삶의 질 측면에서 여성이 경험하는 빈곤수준은 남성보다 높고, 이러한 결과는 빈곤 여성에게서 가장 명확했다. 또한 재량권을 통한 삶의 질을 분석하는 과정에서 빈곤여성보다 오히려 빈곤하지 않은 여성가구주의 박탈 문제가 부각되었다. 둘째, 타일지수 분해를 통해 재량시간의 불평등을 분석한 결과, 빈곤층에게서 재량시간 불평등을 설명하는 성별 불평등의 영향력이 비빈곤층보다 3배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수 있었다. 이를 통해 빈곤여성이 소득이 빈곤뿐만 아니라, 성별 불평등으로 인해 삶의 질적인 측면에서도 빈곤을 경험하는, 즉 2차 빈곤(secondary poverty)을 경험하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소득빈곤에 시간을 통합함으로써 본 연구는 빈곤층 내부의 성별 격차, 여성 내부의 계급간 격차를 실증적으로 입증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지금까지 여성빈곤 연구에서 담론의 수준에 그쳤던 여성의 2차 빈곤과 숨겨진 빈곤의 객관적인 결과들이 실증적으로 제시되었다.

      • KCI등재

        급여전략과 근로전략을 중심으로 한 여성빈곤의 국가비교

        노혜진 ( Hye Jin Noh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13 사회복지정책 Vol.40 No.4

        본 연구는 1996년부터 2011년까지 16년 동안 유럽 16개 국가를 대상으로 여성빈곤의 실태를 파악하고, 급여 전략(benefit strategy)과 근로 전략(work strategy)을 중심으로 여성빈곤의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여성빈곤은 빈곤율(poverty rate)과 빈곤격차(poverty ratio)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분석의 결과, 첫째, 분석대상 16개 국가의 여성빈곤율의 평균은 14.2%로 나타났다. 빈곤율 실태를 통해 높은 여성빈곤율이 반드시 높은 성별 빈곤격차와 일치하는 것이 아님을 확인하였다. 둘째, 급여전략과 근로전략, 여성빈곤을 중심으로 군집분석을 한 결과, 3개의 유형이 도출되었다. 군집1은 두 개의 전략 수준이 모두 낮으면서 여성빈곤 수준이 높은 반면, 군집2는 군집1과 반대의 특성을 보이고 있었다. 군집3은 급여전략을 중심으로 전개되고 있었는데, 이들 국가에서는 여성 빈곤율의 수치 자체는 낮지만, 성별 빈곤격차가 큰 특성을 보이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결합회귀분석을 통하여 여성빈곤의 영향요인을 실증 분석한 결과, 근로전략과 급여전략의 상호작용항이 증가할수록 공통적으로 여성빈곤율과 성별빈곤격차가 감소하였다. 그러나 두 개의 전략이 개별적으로 전개될 경우, 급여전략의 증가 자체는 오히려 성별 빈곤격차를 심화시킬 위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한국사회의 여성 빈곤을 개선시키기 위한 전략으로서 반드시 사회복지 급여제공과 노동시장 조건의 개선이 병행되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였다. 더불어 빈곤의 여성화를 개선하기 위한 정책이 여성빈곤율을 감소시키는 전략뿐만 아니라 성별 빈곤격차를 완화시키는 전략과 병행되어야 함을 지적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factors relating to the feminization of poverty focusing on benefit strategy and work strategy in 16 European countries from 1996 to 2011. In this paper, feminization of poverty means female poverty rate and gender poverty gap(the ratio of women`s to men`s poverty). This study found some issues. First, the mean of female poverty rate is 14.2%, but female poverty does not mean the gender poverty gap. Second, K-means cluster analysis produces 3 clusters(Olower benefit and work strategies and higher female poverty rate □higher benefit and work strategies and lower female poverty rate □benefit strategy oriented, higher gender poverty gap). The results of regressive analysis show that benefit strategy (family allowance, income maintenance) not in parallel with work strategy is likely to make worse gender poverty gap.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effective redistribution policies and improvement of condition in labor market need to be used together in order to decrease feminization of pover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