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행동 프리미티브 기반 휴머노이드 로봇의 보행 및 행동 계획에 관한 연구

        노수희 韓京大學校 2011 국내박사

        RANK : 248639

        In this thesis, I propose a navigation method and a behavior planning for humanoid robots based on behavior primitives. First, I define behavior primitives which is that humanoid robots accomplish various tasks effectively. Behavior primitives are composed of locomotion and motion primitives. Also, locomotion primitives consist of basic motion primitives - Foot movement primitive, Central movement primitive and Bend primitive. It is possible for us to easily develop the variety of behavior primitives and to efficiently increase the stability of motion by using basic motion primitives. I suggest a humanoid navigation method in an indoor GPS environment using D* Lite and fuzzy motion planning for humanoid robots. For the localization, I estimate the location of the robot using an inner GPS(iGPS). A global path is searched considering the direction to the goal based on D* Lite planning method. A fuzzy motion planner finds feasible locomotion primitives to track the global path. It selects an optimal primitive depending on a distance between the path and the humanoid robot and an angle difference between a tangent angle of the path and a pointing angle of the robot. Fuzzy motion planner also decides that selected primitive can be applied to the walking motion of humanoid. If it is feasible, a humanoid robot executes locomotion primitives in order to navigate to the goal along the path. A humanoid robot obtains the information of the outside environment and its inner information from various sensors in complex workspace with various obstacles. Depending on this information, humanoid robots plans the behavior planning. I verify my approach through the navigation experiments by using a developed small humanoid robot. The experimental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humanoid robot can navigate fast and stably to the goal.

      • 비장애 청소년의 또래 지적장애인의 성에 대한 태도 연구

        노수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39

        In the past, Korean people were very reluctant to talk about the topics related to ‘sex’ publicly due to the influence of Confucianism. And such an ideological effect had made people accept sexual abuse occurred in an individual as a wrongdoing committed by the individual directly involved in that unfortunate incident. As a result, the scars of sexual abuse had remained as a burden which had to be dealt with by a victim of the sexual abuse alone. Along with development of diverse media including mass media, however, the fact that sexual abuse is a prevalent problem in every society regardless of religion, race, culture, and so on has been known to the public, so that people have begun to recognize sexual abuse as a social issue that the entire society should assume the responsibility. But despite such changes of recognition in sexual abuse, the perception on the physically challenged, especially intellectually disabled persons among them still has not been changed. Those parents and teachers who raise and support the person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dmit their sexual rights, however, they frown on sexual education for intellectually disabled juveniles not knowing how to do it correctly, and parents and teachers hope that the intellectually disabled juveniles would not be sexually matured. Also, the police officers and prosecutors concerned who deal with sexual abuse cases do not have right understandings about the person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nd their sexual issue correctly, so then often times they find the accused of sexual abuse not guilty or some sexual abuse cases are not accepted nor reported as a criminal case. Furthermore, the non-disabled youths who live together with the intellectually disabled under school environments take the intellectually disabled persons as the subject to test their sexual curiosity that arises during the adolescent period. Likewise, due to the misunderstanding and ignorance about the sexual issues for intellectually disabled persons shown by the support systems around, more sexual abuse cases related to the intellectually disabled are concealed, rather than being revealed. Meanwhile, the researcher has closely reviewed the studies on the sexual issues for the intellectually disabled persons done up until now, and found that most of works were only related to the support system after occurrence of sexual abuse in the intellectually disabled persons, or were concerned about sexual education targeting the person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ccordingly the works had not intervened in the topic targeting the support system surrounding the intellectually disabled. That is to say, researches on the method for passive intervention in the topic targeting individual person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were conducted, but there was no active intervention in the topic targeting the support systems surrounding the intellectually disabled persons. In line with this, based on the facts that attitude is not formed for a moment of time, rather it is affected by the type of education a person has received during the period of his or her attitude formation; and that it is necessary that the young people about same age as the intellectually disabled persons who are living with them now, and will live together with them in the future should assume a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sexual issues for the person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the researcher was to investigate what attitude do the young people assume toward the sexual issue for the intellectually disabled persons of the same age, and what kind of factor would affect such attitude. As to the factors having influence on the attitude toward the sexual issues for the intellectually disabled persons, the researcher selected gender and the grade of school as demographic factors; social distance in relation to the person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s disability related factor; and general sexual attitude as sexual factor. And through these, the researcher tried to seek a positive intervention method to prevent sexual abuse for the intellectually disabled persons. To conduct a survey, 385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from six schools in Gyeonggi-do were asked to complete questionnaires, and total 353 questionnaires, excluding insincere responses, were used for analysis. The gathered data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by means of frequency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correlations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17.0.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from analysis revealed that respondents’ attitude toward the sexual issues for the intellectually disabled was more or less positive. As to the responses according to the sub items, general attitude toward sexual issues relating to the intellectually disabled persons was most positive, and the responses to the sexual desire of the intellectually disabled person were most negative. Most of all, the students responded against marriage and pregnancy of the intellectually disables persons in a fairly negative manner. Therefore, the researcher was able to learn that the young people agreed on sexual development of the person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however, they assumed negative attitudes toward exhibition of sexual behavior by the intellectually disabled persons, and revealing their sexual desires. Second, the results from independent sample t-test revealed that gender, the grade of school, and general attitude toward sex had no significant impacts on the attitude assumed by non-disabled youths toward sex issues of the intellectually disabled persons, and that only social distance had significant influence. And, the results from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there were no correlations in gender, the grade of school, and general attitude toward sex, and that there was weak correlation only in social distance. These results implied that the attitude assumed by the young people to 과거 우리나라는 유교의 영향을 받아 성(性)이라는 주제를 공개적으로 언급하는 것을 꺼려왔다. 그리고 이러한 사상적 영향은 어느 개인에게 발생한 성폭력을 그 개인의 잘못으로, 그렇기 때문에 개인이 감당해야 할 몫으로 받아들이게 만들었다. 하지만 대중매체 등 다양한 매체가 발달해감에 따라 성폭력은 종교, 인종, 문화 등에 상관없이 온 사회에 만연한 문제라는 사실이 알려짐에 따라, 성폭력을 사회적인 문제로, 그렇기 때문에 사회 전체가 책임져야 할 문제로 인식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이러한 성폭력에 대한 인식 변화에도 불구하고 성폭력에 취약한 장애인, 그 중에서도 지적장애인에 대한 인식은 여전히 변화하지 않고 있다. 지적장애인을 양육, 교육하는 부모, 교사는 지적장애인의 성(性)적인 권리는 인정 하지만, 이들에게 어떻게 성교육을 실시해야 할 지에 대해 난색을 표하며 이들이 성(性)적으로 성숙하지 않기를 바란다. 또 성폭력 사건을 다루는 경찰, 검찰 관계자들은 지적장애인에 대해, 이들의 성(性)에 대해 올바로 인식하지 못해 이들에게 발생한 성폭력 사건을 무죄 처리하거나, 제대로 사건 접수조차 이루어지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이들과 학교 환경에서 함께 생활하는 비장애인 청소년들은 청소년기에 생기는 성(性)적인 호기심을 실험하는 대상으로 지적장애인을 삼곤 한다. 이렇게 주변 지지체계들이 가지는 지적장애인의 성(性)에 대한 오해와 무지로 인해 지적장애인의 성폭력은 드러나지 않은 채 가려지는 경우가 더 많다. 하지만 현재까지 이루어진 지적장애인의 성(性)에 대한 연구를 살펴보면, 지적장애인의 성폭력 발생 후 지원 체계에 관한 연구와 지적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성교육에 관한 것이 대부분일 뿐, 이들을 둘러싼 지지체계를 대상으로 개입하고 있지는 못하다. 즉, 지적장애인 개인을 대상으로 하는 소극적 개입방법에 대한 연구는 진행되어 있지만, 지적장애인을 둘러싼 주변의 지지체계를 대상으로 하는 적극적인 개입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못하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태도는 한 순간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태도 형성 시기에 어떤 교육을 받는지에 영향을 받는다는 것, 그리고 지적장애인과 현재 그리고 미래에 함께 살아갈 또래가 지적장애인의 성(性)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갖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기초로 하여 청소년이 또래 지적장애인의 성(性)에 대해 어떤 태도를 가지는지, 그리고 그 태도에 어떤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 문헌 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인구사회학적 요인, 장애 관련 요인, 성(性)적 요인을 비장애인 청소년이 또래 지적장애인의 성(性)에 대한 태도를 형성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선정하였으며, 이들을 통해 지적장애인의 성폭력 예방을 위한 적극적 개입방법을 찾고자 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경기도 내 6개 중․고등학교 재학생 385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이 중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총 353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SPSS17.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독립표본 T검정(T-test),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 Analysis), 중다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적장애인의 성(性)에 대한 태도는 중앙치인 1.5보다 다소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문항별 응답으로는 지적장애인의 일반적인 성(性)에 대한 태도가 가장 긍정적이었으며, 지적장애인의 성(性)적 욕구에 대한 응답이 가장 부정적으로 나타났다. 그 중에서도 지적장애인이 결혼을 하고 임신을 한다는 것에 있어 상당히 부정적으로 응답해 청소년들은 지적장애인도 성(性)적인 발달을 하는 것에는 동의하지만, 지적장애인이 성(性) 행동을 나타내고, 성(性) 욕구를 드러내는 것에는 부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한 결과, 지적장애인의 성(性)에 대한 태도와 성별, 학교급, 일반적 성(性)태도는 유의미한 평균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지적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만 지적장애인의 성(性)에 대한 태도와 유의미한 평균차이가 나타났다. 또, 상관관계 분석 결과 역시 성별, 학교급, 일반적인 성태도와 지적장애인의 성(性)에 대한 태도는 상관관계를 거의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거리감만 지적장애인의 성(性)에 대한 태도와 약한 정적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지적장애인의 성(性)에 대한 태도는 성별, 학교급, 일반적인 성에 대한 태도와는 달리 어떤 새로운 변수로 작용함을 짐작케 하는 결과였다. 셋째, 중다회귀분석 결과 성별, 학교급, 일반적 성태도는 지적장애인의 성에 대한 태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거리감만이 지적장애인의 성(性)에 대한 태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청소년이 가지는 또래 지적장애인의 성(性)에 대한 태도는 성별, 학교급, 그리고 그들이 가지는 일반적인 성태도에는 영향을 받지 않으며, 그들이 가지는 지적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만이 영향을 받고 있었다.

      • Synthesis of Self-doped Conjugated Polyelectrolytes Bearing Cyclopentadithiophene for Use in Organic Photovoltaic Cells

        노수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PEDOT:PSS is extensively used as a hole extracting layer (HEL) material in the normal-structured organic photovoltaic cells (OPCs). However PEDOT:PSS has acidic and hygroscopic properties which can erode adjacent layers. In addition, its anisotropic conductivity give a negative effect when it is used as a HEL material. There are many researches studying new materials which can overcome these drawbacks. One strategy is replace PEDOT:PSS with conjugated polyelectrolyte (CPE). We have attempted to synthesize better performance materials superior to PEDOT:PSS. Our new HEL materials are based on cyclopentadithiophene and benzene (or thiophene) moieties. They show self-doping property, implying that our materials have good conductivity. They have similar work function values and surface roughnesses to those of PEDOT:PSS when they are coated on substrate. OPC devices incorporating our new HEL materials display similar performance (around 7%) compared with the PEDOT:PSS based device. 본 논문에서는 벌크이종접합의 광활성층을 가지는 유기태양전지의 성능향상을 위한 정공수송층 연구를 진행하였다. 노말 구조의 유기태양전지의 정공수송층으로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는 PEDOT:PSS는 산성이고, 흡습성이 있기 때문에 인접한 층을 부식시키며, 비등방성인 전도도를 가진다는 단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PEDOT:PSS의 단점을 극복할 대체 물질에 대한 연구 영역 중 공액고분자 (CPEs)에 집중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싸이클로펜타다이싸이오펜과 벤젠, 싸이오펜을 백본으로 하며 썰포네이트 그룹이 결합된 알킬체인을 가진 고분자 (CPDT polymer)를 개발하였다. 합성된 고분자는 자기도핑되는 성질을 가지며, 이 과정에서 전도도가 증가한다. 새로운 고분자들은 PEDOT:PSS와 유사한 HOMO level 을 가지며, 스핀 코팅 시 표면을 매끄럽게 덮는 특성을 보였다. CPDT polymer들을 소자에 적용하였을 때, PEDOT:PSS를 적용한 소자와 유사한 성능(7% 내외)을 보이며 PEDOT:PSS를 대체할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 비전 시스템을 이용한 이족보행로봇의 자율보행에 관한 연구

        노수희 韓京大學校 生物·情報通信專門大學院 2006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논문에서는 계단, 경사지형, 다양한 형태의 장애물에 대처가 가능하고 축구를 수행하는 이족보행로봇의 기구설계 및 원격제어 가능한 제어시스템 구현에 대하여 설명하고, 이러한 비평탄지형에서 발에 부착된 적외선센서 및 FSR센서, 머리에 장착된 카메라를 사용한 안정된 자율보행과 원격제어 알고리즘, 축구를 위한 비전기반 경로 및 행동계획 방법을 제안하였다. 또한 발바닥에 장착된 FSR센서를 사용하여 외부에서 들어오는 외력에 대처하는 자세안정화 알고리즘과 기울기 센서를 사용하여 지면의 기울기 변화에 대처하는 균형유지 알고리즘도 제안하였다. 제안된 자율보행 및 자세안정화, 축구, 균형유지 알고리즘들은 이족보행로봇을 제작하여 다양한 환경에서 실험으로 검증하였다. In the paper, an intelligent biped walking robot that can overcome the obstacle is developed and is implemented to play soccer, Keep the balance and walk on the plate. Walking algorithms are designed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human's manner of walking. An intelligent biped walking robot system which has total 23 degrees of freedom (DOF) is designed. Infrared sensors are used to detect the obstacles in the working environment and the remote controller of the biped robot uses a Bluetooth. The experiment results show that the developed biped walking robot can perform the stable static walking, attention walking, rotation and side stepping to avoid the obstacle, and hurdling the obstacle using the distance correction algorithm that is designed based on the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the biped robot and the obstacle.

      • 사회복지전공대학생의 자원봉사만족도가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공통체의식 매개효과

        노수희 신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study was aimed at examining the impact of volunteer satisfaction, which is one of the 7 motivations-desires of social welfare majors, on their satisfaction with the major, and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community consciousness. Data were collected by an anonymous self-written questionnaire survey with 332 students in the 1st ~ 4th year who had volunteer experiences as social welfare majors at a university located in Busan Metropolitan City, and a total of 319 questionnaires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excluding 13 that were inadequately answered. To verify the research hypothesis,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with gender, year, credits, and economic level under control using SPSS 22.0.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volunteer satisfaction had a positive impact on community consciousness and the satisfaction with the major, and community consciousness also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satisfaction with the major. Second, the analysis of the mediating effect of community consciousness showed that community consciousness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volunteer satisfaction and their major satisfaction. Based on the discussion of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practical implications for social welfare. 본 연구는 사회복지전공대학생의 7가지 동기-욕구인 자원봉사만족도가 전공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와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부산광역시에 소재하는 대학교에 재학 중인 사회복지전공대학생으로 자원봉사 경험이 있는 1~4학년 학생 332명을 대상으로 익명식 자기 기입 설문조사 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조사 응답이 불성실한 설문지 13부를 제외한 319부가 최종 분석에 활용되었다. 연구가설 검증을 위해 성별, 학년, 학점, 경제수준을 통제한 상태에서 SPSS 22.0을 사용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결과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원봉사만족도는 공동체의식과 전공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공동체의식 또한 전공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둘째,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 검증 결과, 공동체의식은 자원봉사만족도와 전공만족도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대한 논의를 바탕으로 사회복지 실천적인 함의를 제시하였다.

      • 베이비붐세대의 노화태도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생성감의 매개효과와 사회활동참여의 조절효과

        노수희 신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639

        Recently,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and happiness of the elderly has become an important social concern. Therefore, this study was planned to find a way to improve the happiness of the baby boom gener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aging attitudes and generativity of the baby boom generation on happiness, to verify the effects of aging attitudes to generativity an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generativity. In addi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sub-elements of social activity participation, participation frequency, participation attitude, and participation satisfaction, affect happiness, and to examine whether each sub-element has a regulatory fun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ging attitude and happiness. To this end, in order to secure validity and reliability, a pretest was conducted on 30 baby boomers, and significance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he first baby boomers residing across the country. Of the 689 questionnaires recovered from the empirical survey, 325 copies of the Google questionnaire and 322 copies of the written questionnaire were used for analysis, excluding 42 that were judged to be inappropriate such as age, fixed response, and errors in centralization tendency. To verify the research hypothesis,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t-test, and one-way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22.0 program.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Baron and Kenny(1986), a 3-step regression analysis and Sobel test were performed. In order to confirm the moderating effect, the hypothesis was verified by performing a moderat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an interaction term.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difference in gender, age, or living with a spouse in the average difference in happiness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but the higher the education level, the average monthly income, and the better the health, the higher the happiness.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f aging attitude and generativity on happiness, aging attitude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generativity as a parameter had a positive effect on happiness, and aging attitude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generativity. Also,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f the generativity was verified. Third, in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verify that the factors of participation frequency, participation attitude, and participation satisfaction during social activity participation had an important positive effect on the happiness of baby boomers. However, in the verification of the moderating effect, the frequency of participation did not have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ging attitude and happiness of the baby boom generation. Nevertheless, participation attitude and satisfaction level were verified as negative moderating effect, that is, conflic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ging attitude and happiness. These results can be inferred as a phenomenon in which aging attitudes, participation attitudes, and participation satisfaction appear in the same psychological state. However, as a result of the verification, it was proved that the participation attitude and satisfaction were more important than the degree or frequency of participation. In other words, it has significant implications as it can be seen that the quality of participating in social activities is more important than the frequency, which is the degree of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Based on these results, policies and practical measures to improve the happiness of baby boomers and points to be considered in future research are presented. Although the majority of previous studies conducted studies that used dichotomous questions and averaged social activity participat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and different in that social activity participation is subdivided into participation frequency, participation attitude, and participation satisfaction. 최근 노년층에 대한 삶의 질과 행복수준을 높이는 것이 중요한 사회적 관심이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베이비붐세대의 행복감 향상을 위해 그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계획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베이비붐세대의 노화태도와 생성감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분석과 노화태도가 생성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생성감의 매개효과를 규명하기 위함이다. 더불어 사회활동참여의 하위요소, 즉 참여빈도, 참여태도, 참여만족이 행복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검증과 노화태도와 행복감의 관계에서 각각의 하위요소가 조절기능을 갖는지를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타당성 및 신뢰성 확보하기 위해 베이비붐세대 30명을 대상으로 사전조사(pretest)를 시행하였고, 전국에 거주하는 1차 베이비붐세대를 대상으로 유의표집을 하였다. 실증조사에서 회수한 설문지 689부 중 연령과 고정반응, 중앙집중 경향의 오류 등 부적합으로 판단된 42부를 제외한 구글 설문지 325부와 서면 설문지 322부로 총 647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SPSS 22.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t-검증과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고,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Baron과 Kenny(1986)의 3단계 회귀분석과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조절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상호작용항을 활용한 조절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행복감의 평균차이에서 성별, 연령, 배우자 동거 여부의 차이는 없는 반면, 교육수준과 월평균 소득이 높을수록,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행복감이 높게 측정되었다. 둘째, 노화태도 및 생성감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독립변수인 노화태도와 매개변수인 생성감은 행복감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노화태도는 생성감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또한 생성감은 부분매개효과가 검증이 되었다. 셋째, 사회활동참여 중 참여빈도, 참여태도, 참여만족의 요인들이 베이비붐세대의 행복감에 중요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본 연구에서 검증할 수 있었다. 그러나 조절효과 검증에서 참여빈도는 베이비붐세대의 노화태도와 행복감의 관계에서 조절적 영향은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참여태도 및 참여만족은 노화태도와 행복감의 관계에서 부적인 조절효과, 즉 대립효과로 검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노화태도와 참여태도 및 참여만족은 같은 심리적인 상태로 나타난 현상으로 추론할 수 있다. 그러나 검증 결과 참여정도나 횟수 보다는 참여태도나 만족이 더 중요함이 입증이 되었다. 즉, 사회활동을 참여하는 정도인 양(frequency)보다는 사회활동을 참여하는 질(quality)이 더 중요함을 알 수 있어 시사하는 바가 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베이비붐세대의 행복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정책 및 실천적 방안과 향후 연구에 고려해야 할 점을 제시하였다. 선행연구에서 사회활동참여를 이분형질문과 전체를 평균으로 한 연구가 주류를 이루어 있지만 본 연구에서는 사회활동참여를 참여빈도, 참여태도, 참여만족으로 세분화하여 검증한 점에서 의의가 크고 차별점이라 하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