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권역외상센터 간호사의 외상사건경험과 회복탄력성이 전문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노보란 충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는 권역외상센터 간호사의 외상사건경험, 회복탄력성과 전문직 삶의 질을 파악하고 전문직 삶의 질, 즉 공감만족(Compassion Satisfaction), 소진 (Burnout), 이차외상성스트레스(Secondary Traumatic Stress) 각각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자료수집은 권역외상센터로 개소 된 전국 16개의 병원 권역외상센 터 간호사를 표적 모집단으로 하였고 권역외상센터로 개소 된 16개의 병원 중 3개의 병원에 있는 권역외상센터에서 근무하고 있는 외상응급실(소생실)과 외 상중환자실 간호사 157명을 대상으로 시행하였다. 외상사건경험은 박단비 (2015)의 척도를 박준영(2018)이 권역외상센터 간호사에 맞게 수정한 도구를 사용승인을 받은 후 사용하였고, 회복탄력성은 박미미와 박지원(2016)이 개발 한 간호사 극복력 측정도구를 원저자의 사용승인을 받아 사용하였으며, 전문 직 삶의 질은 Stamm (2010)이 개발하고 발전시킨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Scale-5 (ProQOL-5) 도구의 한국어판 공개버전을 김신 등(2010), 김미수 등(2021)이 간호사에 맞게 수정 보완한 도구들을 기반으로 권역외상센터 간호 사에 적합하게 문항을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업무 관련 특성에 따른 전문직 삶 의 질 정도의 차이는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를 사용하였고, 사 후분석은 Schefffe test를 적용하였다. 일부 비정규성 분포를 나타내는 변수의 차이는 Kruskal Wallis test로 분석하고, 사후 검정은 각 변수 간에 Mann-Whitney U test를 한 후 Bonferroni 보정을 적용하였다. 외상사건경험 과 회복탄력성, 전문직 삶의 질 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로 분석하였으며, 연구 대상자의 전문직 삶의 질에 대한 영향요인 을 파악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enter multiple regression)을 적용하였다. 권역외상센터 간호사의 외상사건경험은 76점 만점에 48.70±8.49점으로 나타 났다. 외상사건경험의 하위영역에서 외상환자를 직접 목격하는 경험의 점수는 25.60±4.69점이었고, 외상환자를 간호하는 중에 겪는 경험의 점수는 23.10±4.48 점이었다. 연구대상자의 외상사건경험은 낙상으로 인한 신체적 손상 환자 간 호(높은 곳에서 떨어짐, 미끄러짐, 충돌에 의한 둔상 포함)가 4점 만점에 3.55±0.67점으로 가장 높았다. 반면, 자연재해(태풍, 홍수, 지진 등)와 관련된 신체 손상 간호가 1.32±0.56점으로 가장 낮았다. 회복탄력성 정도는 5점 만점에 평균 평점 3.58±0.55점이었다. 전문직 삶의 질의 하위 영역별 평균점수는 공감만족 3.31±0.58, 소진 2.68±0.54, 이차외상성스트레스 2.63±0.55점이었다. 권역외상센터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외상사건경험의 차이는 30대 이 상인 경우(t = -2.14, p =. 034), 미혼인 경우(t = -2.31, p =. 022), 임상경력이 3년 이상 9년 이하와 10년 이상인 경우(F= 11.98, p <. 001), 외상센터 근무경 력이 3년 이상인 경우(t = -3.38, p <. 001) 외상사건경험이 많았다. 근무지에 따라 외상경험의 차이가 있었으며(χ² = 12.91, p =. 002), 1일 평균 담당 환자 수가 15명 이상인 경우(F = 8.74, p <. 001), 현재 근무지를 희망하지 않은 경 우(t = -2.40, p = .018), 외상센터 업무 관련 스트레스가 있는 경우(t = 2.47, p =. 015)가 외상사건경험이 많았다. 권역외상센터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회복탄력성의 차이는 신체적 건 강 상태가 좋은 경우(F = 11.89, p <. 001), 수면의 질이 좋은 경우(F = 5.32, p =. 006), 외상센터 업무에 만족하는 경우(χ² = 20.91, p <. 001), 외상센터 업무 관련 스트레스가 없는 경우(t = -2.08, p =. 039), 앞으로 외상센터 근무 를 희망하는 경우(t = 4.53, p <. 001)가 회복탄력성이 높았다. 권역외상센터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공감만족의 차이는 미혼인 경우 (t = -2.00, p =. 047), 종교가 있는 경우(t = 2.28, p =. 024), 신체적 건강 상 태가 좋은 경우(F = 11.73, p <. 001), 수면의 질이 좋은 경우(F = 6.62, p =. 002)가 공감만족이 높았다. 외상센터 근무경력이 3년 이상인 경우(t = -2.19, p =. 030), 외상센터 근무를 희망한 경우(t = 2.50, p =. 013), 외상센터 업무에 만족하는 경우(χ² = 38.06, p <. 001), 외상센터 업무 관련 스트레스가 없는 경우(t = -3.55, p <. 001), 앞으로 외상센터 근무를 계속 희망하는 경우(t = 4.55, p <. 001) 공감만족이 높게 나타났다. 권역외상센터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소진의 차이는 종교가 없는 경우 (t = -2.53, p =. 012), 신체적 건강 상태가 나쁜 경우(F = 16.90, p <. 001), 수면의 질이 나쁜 경우(F = 11.35, p <. 001)가 소진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 다. 외상센터 근무경력이 3년 미만인 경우(t = 2.01, p =. 046), 한 달 평균 밤 근무 수가 6일~7일인 경우(χ² = 11.69, p =. 003), 현재 근무지를 희망하지 않 았던 경우(t = -2.12, p =. 035), 외상센터 업무에 불만족인 경우(χ² = 42.83, p <. 001), 외상센터 업무 관련 스트레스가 있는 경우(t = 4.72, p <. 001), 앞으 로 외상센터 근무를 희망하지 않는 경우(t =-3.26, p <. 001)가 소진이 높게 나타났다. 권역외상센터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이차외상성스트레스의 차이는 여 자(t = -3.43, p <. 001)가 이차외상성스트레스가 높았고, 신체적 건강 상태가 나쁜 경우(F = 7.27, p <. 001), 수면의 질이 나쁜 경우(F = 6.61, p =. 002), 외상센터 업무에 불만족인 경우(χ² = 18.68, p <. 001), 외상센터 업무 관련 스트레스가 있는 경우(t = 3.43, p < .001)가 이차외상성스트레스가 높게 나 타났다. 권역외상센터 간호사의 외상사건경험, 회복탄력성, 전문직 삶의 질의 상관관 계를 분석한 결과 전문직 삶의 질의 하위영역인 공감만족은 회복탄력성(r = . 73, p <. 001)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소진(r = -. 71, p <. 001), 이차 외상성스트레스(r = -. 22, p =. 006)와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소진은 회복 탄력성(r = -. 63, p <. 001)과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이차외상성스트레스 (r =. 63, p = <. 001)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차외상성스트레스 는 외상환자간호 경험(r =. 20, p =. 014)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회복탄력성(r = -.18, p =. 023)과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외상환자목격 경 험은 외상환자간호 경험(r = . 71, p = <. 001)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 었으며, 외상환자간호 경험은 회복탄력성(r = .27, p = <. 001)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권역외상센터 간호사의 전문직 삶의 질의 하위영역인 공감만족에 영향력이 가장 큰 요인은 회복탄력성(β = 0.59, p <. 000)이었으며, 외상센터 업무 만족 여부(불만족)(β = - 0.24, ρ <. 001), 외상센터 업무 만족 여부(보통)(β = -0.14, ρ =. 023), 종교(무)(β = -0.10, ρ =. 049)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총 61.0%의 설명력이 있었다. 권역외상센터 간호사의 전문직 삶의 질의 하위영역인 소진에 영향력이 가장 큰 요인은 회복탄력성(β = -. 45, p <. 001)이었으며, 외상센터 업무 만족 여 부(불만족)(β =. 20, p =. 004), 외상센터 업무 관련 스트레스 여부(β = -. 17, p =. 014), 외상센터 업무 만족 여부(보통)(β =. 14, p =. 046), 종교(무)(β = . 12, p =. 037)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총 52.7%의 설명력이 있었다. 권역외상센터 간호사의 전문직 삶의 질의 하위영역인 이차외상성스트레스에 영향력이 가장 큰 요인은 성별(여자)(β =. 21, p =. 006)이었으며, 외상환자간 호 경험(β =. 0.17, p =. 030), 외상센터 업무 만족 여부(보통)(β =. 0.17, p =. 046)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총 21.1%의 설명력이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권역외상센터 간호사의 전문직 삶의 질의 하위영역 인 공감만족은 회복탄력성, 외상센터 업무 만족 여부(불만족), 외상센터 업무 만족 여부(보통), 종교(무)가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확인되었고, 소진은 회복탄 력성, 외상센터 업무 만족 여부(불만족), 외상센터 업무 관련 스트레스 여부, 외상센터 업무 만족 여부(보통), 종교(무)가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확인되었으 며, 이차외상성스트레스는 성별(여자), 외상환자간호 경험, 외상센터 업무 만족 여부(보통)가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권역외상센터 간호사의 전문직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권역외상센터 간호사가 직·간접적인 외상사건을 지속적으로 경험하고 있음을 인식하고 외상사건경험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자원과 중재가 필요하며, 회복탄력성을 통해 간호사라는 직업으로부 터 오는 만족감과 돕는 행위를 통한 공감만족을 높이고 이차외상성스트레스가 소진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미리 문제점을 찾아 개선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또 한 조직적인 차원에서 권역외상센터 간호사의 업무 만족도를 높이고, 업무 관 련 스트레스를 줄이도록 적극적인 중재를 개발해 시행할 것을 제안한다. 주요어 : 권역외상센터 간호사, 외상사건경험, 회복탄력성, 전문직 삶의 질

      • 3, 4, 5세 유아의 생명현상 인지 및 추론

        노보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1823

        이 연구는 만 3, 4, 5세 유아의 연령 및 대상의 속성에 따라 유아의 생명현상 인지 및 추론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 유아의 생명현상 인지 기준이 생물 범주와 무생물 범주 간에 동일한지 여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도구로 생명현상이 모호하게 드러나는 경계선적 대상인 의인화된 캐릭터, 로봇 강아지를 선정하였고 비교 대상으로 동물에 대한 생명현상 인지를 살펴보았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동물에 대한 유아의 생명현상 인지 및 추론은 유아의 연령(3, 4, 5세)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2】 의인화된 캐릭터에 대한 유아의 생명현상 인지 및 추론은 유아의 연령(3, 4, 5세)과 대상의 속성(의인화, 실재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3】 로봇 강아지에 대한 유아의 생명현상 인지 및 추론은 유아의 연령(3, 4, 5세)과 대상의 속성(활동성, 반응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이상의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서울 및 경기도 지역 소재 어린이집 두 곳에서 만 3세 유아 31명, 만 4세 유아 31명, 만 5세 유아 33명, 총 95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고, 각 연령집단 유아의 생명현상 인지 및 추론 과제의 수행을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ASW Statistic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카이제곱 검정(χ2-test), 일원변량분석(ANOVA), 반복측정변량분석(repeated measures ANOVA)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생명현상 인지 및 추론은 연령별로 다르다. 3세 유아에 비하여 5세 유아가 의인화된 캐릭터의 실재성을 낮게 추론하였고, 3세 유아에 비하여 5세 유아가 로봇 강아지를 살아있다고 인지하는 비율이 낮았다. 또한 3세 유아에 비하여 5세 유아는 로봇 강아지에게서 생물현상, 심리현상을 낮게 추론하고 인공물현상을 높게 추론하였다. 이러한 사실은 유아의 생명현상 인지 및 추론에서 연령 간 차이가 나타남을 의미한다. 이를 통하여 학령기 이전인 3, 4, 5세 시기에 유아의 생명현상 인지가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유아의 생명현상 인지 및 추론은 대상의 속성별로 다르다. 유아는 의인화 정도가 낮아 동물로 인지되는 의인화된 캐릭터에게서 생물현상을 더 높게 추론하였다. 그리고 유아는 의인화와 실재성이 모두 낮은 의인화된 캐릭터를 다른 속성의 의인화된 캐릭터 보다 실제 존재하는 대상으로 여겼다. 또한 유아는 로봇 강아지의 활동성과 반응성이 높을 때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살아있다고 여겼으며, 생물현상과 심리현상을 높게 추론하고 인공물현상을 낮게 추론하였다. 로봇 강아지의 활동성과 반응성은 유아가 대상에게서 생명현상을 인지하는 데 중요한 속성임을 확인하였다. 이는 대상의 속성이 유아의 생명현상 인지에 영향을 미쳤음을 의미하고, 유아의 생명현상 인지에 영역 특정적 성격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유아가 동물과 경계선적 무생물에게서 생명현상을 인지하는 기준은 연령에 따라 다르다. 5세 유아는 동물속성에 근거하여 생명을 인지하였지만, 3세와 4세 유아의 생명현상 인지 기준은 불명확하다. 5세 유아는 동물과 무생물의 구분에서 독자적인 초보이론을 구성하고 있었고, 3세와 4세 유아의 초보생물이론은 아직 독자적이지 않았다. 이 연구는 유아의 생명현상 인지와 관련하여 생명현상이 모호하게 드러나는 경계선적 대상을 연구에 포함하여 생명현상 인지 및 추론을 밝혔다. 생명현상 인지와 관련하여 이론적으로 논쟁이 되고 있는 영역 일반성과 영역 특정성, 생명현상 인지의 발달 양상, 초보생물이론의 독자성에 관한 이론적 해석을 제공하였다.

      • 메시앙(Olivier Messiaen)의 음악어법 분석연구 : 세상의 종말을 위한 4중주『Quatuor pour la fin du temps』중심으로

        노보 창원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1823

        Olivier Messiaen who is one of France's leading contemporary composers gave a big impact in the music of 20th century. In his work "Quartet for the end of the world (Quatuor pour la Fin du Temps)" beyond the limits of the work as a composer could be said. He was danger to the environment can not be a free creative activity was a POW camp life instrument that was passed to him the violin and the clarinet was also in poor condition and was only a piano. But the faith that is based on Messiaen in the music and find new hope through his unique compositional technique was trying to express it. His book, "My music, saying," Stop, as shown in the rhythm of the composition, and atonal techniques and triangulation and harmony between the castle intact, as is being expressed. In this paper, the life and works of Olivier Messiaen and the Music of the features and works especially his book "My music, saying," a composition language based on the Bible book of Revelation chapter 10 batangin consisting of eight movements, "Quartet for the End of the world. (Quatuor pour la Fin du Temps) "the type of rhythm, harmony, melody to analysis, were studied. To summarize, it follows as a whole. First, Messiaen wrote his own phraseology of the original musical material by several composers have used it properly. Mars and the flotation of Debussy, Stravinsky's rhythms, Indian music, Schoenberg's eumryeoleumak, Gregorian chant has an interest in singing, especially the new and different materials to accommodate a variety of techniques are represented. Second, the melodic progression of the increase comes to 4 degrees, 6 degrees increase distinctively western Indian Ocean has been used by the chromatic intervals and transposition, including a restricted triangulation was used. Third, the instrument configuration and the configuration of each movement is also unusual. For piano trio, each form of the movement added clarinet solo, 2 Quartet, trio and quartet is made up. But the movement between different configurations, each common elements gives unity to be implied. Fourth, each type of movement is almost a three-part movement, and an eight-part 7, 8 but the movement took a two-part format, the first movement can not distinguish the exact type. Fifth, the rhythm comes to the line by pasting broken the added value of the concept of a regular beat and rhythmic sodomy row, scaling rhythm, harmony with the rhythm of the column, scaling rhythm, the rhythm characteristics of retrograde and appears impossible, and in particular chaksangdoen rhythm of birds by each instrument is evident. 20th century to the 21st century, we gave about the music influenced his works Messiaen "Quartet for the end of the world (Quatuor pour la Fin du Temps)" deep faith in God through all of his compositional technique and harmony the destruction of humanity through the work and the crisis was expressed emphatically expresses reverence for God. For the end of the world, Messiaen has tried to convey a message through music to people, and the art world based on his own compositional technique, but not limited to the environment have unique re-creation of his work to a good role model to us through will be redundant.

      • 시 읽기 능력 신장을 위한 학습자 중심 교수·학습 프로그램 연구

        노보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1823

        This study starts from a critical viewpoint as saying that the current poetry education is being composed of contents and activities, which are not suitable for learners' level and interest, and that a poetry class is being performed with a method of unilaterally delivering a poetic meaning by which a teacher becomes the center while the effect of new criticism leads to approaching the poetry contents segmentally. To get over a problem of the existing poetry education, the aim is to show that the developed program can significantly strengthen a learner's poetry reading ability through applying this to the actual field after developing the learner-based poetry reading teaching·learning program targeting learners in the 1st grade of middle school who are lacking in the poetry reading experience and in the poetry reading ability. For this, its scope was limited by examining a concept of 'literary ability' in order to establish the objective of the poetry-reading teaching and learning prior to the education of stepping up the poetry reading ability. The poetry reading ability was redefined by considering a genre-based characteristic of poetry. The emphasis was completely on learners in designing and performing the teaching·learning program in this study. To implement the learner-centered poetry reading ability, ‘the response-based teaching·learning model’ and ‘the dialogue-centered teaching·learning model’ were utilized on the basis of the reception aesthetics and the reader response theory at the stage of designing the program. A stage of the program, which was designed in this study, comprised ‘the approach of poetry reading ability’-‘the intensification in the poetry reading ability’-‘the privatization of poetry reading ability.’ At the stage of approaching the poetry reading ability, the empirical poetry reading method is learnt that appreciates a poem based on own life through using 'adolescent poetry,' which is looking at the world with their language owing to having a close relationship with adolescent's life. This is the stage of learning a method that a learner forms and expresses a response to a poem based on the response-based teaching·learning method. As the stage of deepening the poetry reading ability is a form of discussion through making the poetry-appreciation presentation paper by group with having a material as the chosen poetry <Like the Beginning>, it boosts the poetry reading ability through utilizing the dialogue-centered poetry reading method. At the stage of internalizing the poetry reading ability, the intensification of poetry reading ability in the meantime is confirmed and evaluated through the activity of making the chosen poetry including a creative poem. As a result of the questionnaire survey that was conducted targeting learners following the end of applying the program, the learners gave a response as saying of having interestingly faced the teaching·learning materials and activities of this program, and of having come to increase self-efficacy on reading a poem and to have positive attitude. Accordingly,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teaching‧learning program, which was devised in this study, led to boosting the learners' poetry reading ability with the subjective poetry reading experience and diverse activities.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likely capable of contributing to encouraging the learners' literary interest and extending the literary ability in the school education field. In addition, a discussion about a literary teaching‧learning method, which does not exclude 'literature' and 'teacher,' is desired to be further vitalized, even with putting a discussion and a learner in the center for improving the literary ability of a learners as a future reader. Also, the school education is desired to be formed without being isolated from society surrounding literature and learner along with a learner's experience by which this discussion does not result in the research, but is positively reflected in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and textbook.

      • 취학 직전 유아의 쓰기 발달 : 쓰기 운동조절 및 쓰기 표현 유형을 중심으로

        노보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1823

        This study investigated how graphomotor control and written expression are exhibited in writing development during early childhood. While prior studies on writing development mainly analyzed written expression, the role of graphomotor control during the writing process was rarely addressed. In this study, characteristics of graphomotor control were examined by analyzing letter size, writing velocity, pen pressure, and writing duration. The study also presumed that the writing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could be divided into meaningful groups with similar graphomotor control and written expression. Latent class analysis (LCA) was conducted to uncover unobserved heterogeneity in young children’s writing development. Finally, the following predictors of the latent classes of writing development were confirmed: children’s fine-motor development, preference for writing activity, drawing expression, and mothers’ beliefs and guidance styles on writing. Participants were 101 children and their mothers who were enrolled in kindergartens and child-care centers located in Gyeonggi Province. As the academic year of Korean schools commence in March, the study was executed in January and February, just prior to participants entering primary school. A pre-test was conducted to measure the child’s word recognition and fine-motor development. The alphabet copying task and writing picture card task were subsequently carried out. An interview regarding the child’s preference for conventional literacy activities was also conducted. Mothers were asked to complete a questionnaire about their beliefs and guidance styles on writing and their children’s preferences for emergent literacy activities. Graphomotor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Eye and Pen program to analyze the spatial and temporal features of writing and pen pressur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program to compute percentiles, means, standard deviations, and to conduct Pearson's correlation, one-way ANOVA, an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 latent class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M-plus program.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individual differences among young children in graphomotor control and written expression, suggesting that such individual differences in writing could be empirically identified among children before entering primary school. Furthermore, there was a low correlation between young children’s graphomotor control and written expression.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graphomotor control and written expression in writing development are exclusive characteristics that develop independently from one another. Second, three distinct latent classes of writing development among young children were identified: rapid/expressive writers, slow/expressive writers, and developmental writers. Both rapid/expressive writers and slow/expressive writers had high levels of written expression and showed reciprocal traits of graphomotor control. Compared to the other two latent class groups, developmental writers exhibited similar or moderate levels of graphomotor control characteristics with low levels of written expression. This result revealed the existence of various sub-types in the writing development of children prior to entering primary school and raised the need for pedagogic implications suitable for each type to be devised. Third, results indicated that mother’s belief and guidance styles on emergent writing practices, children’s fine-motor development, preference for literacy activities, and drawing expression jointly predicted latent classes of writing development. Additionally, mothers' beliefs and guidance styles on emergent writing practices indicated the strongest predictive power among these variables. Specifically, when mothers exhibited high levels of belief and guidance styles on emergent writing practices, it was more likely for their children to be categorized as the rapid/expressive writers or slow/expressive writers rather than developmental writers. This implies that mother's belief and guidance styles on emergent writing practices contributes to the improvement of written expression. The study evaluated both cognitive and sensorimotor traits of early writing, taking into account not only writing expression, but also the graphomotor control of children just prior to entering primary school. This evaluation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d the basic data of graphomotor control that has not been previously studied due to limitations of tools, ultimately expanding the theoretical viewpoint of the overall research in writing development. In particular, definitive classes of writing development for young children was confirmed by considering graphomotor control and written expression comprehensively. Moreover, by substantiating the predicting factors of young children’s latent classes of writing development, the present study enables researchers and educators to understand various characteristics of developmental writing in more detail, offering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educational practices of writing. 이 연구는 유아기 쓰기 발달에 주목하여, 유아의 쓰기 운동조절과 쓰기 표현이 어떠한 양상으로 나타나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쓰기 발달에 관한 선행연구들은 주로 유아가 쓴 글에 나타나는 표현을 분석한 반면, 유아가 쓰는 과정에 나타나는 운동조절은 거의 다루지 않았다는 한계점이 있었다. 이 연구에서는 쓰기 운동조절의 하위 요인인 글자 크기와 쓰기의 속도, 압력, 시간을 분석함으로써 유아의 쓰기 운동조절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 연구는 유아의 쓰기 발달에서 개인차에 주목하여, 취학 직전 유아의 쓰기 운동조절과 쓰기 표현 발달이 몇몇의 유형으로 구분될 것이라 가정하고 잠재유형을 찾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쓰기 발달 유형의 구분에 이 연구에서 설정한 개인차 요인인 유아의 소근육운동 발달, 쓰기활동 선호, 그림 표현, 그리고 어머니의 쓰기지도의 예측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에 따라 초등학교 입학 직전 시기인 1월과 2월 동안 경기 지역 4개 도시 소재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재원중인 취학 직전 유아 101명과 유아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유아를 대상으로 사전검사인 단어 재인 검사를 실시하고, 연구 목적에 따라 구성한 쓰기 운동조절 과제와 쓰기 표현과제, 소근육운동 발달 검사, 그리고 관습적 쓰기활동 선호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어머니를 대상으로는 쓰기지도 및 유아의 발현적 쓰기활동 선호 등에 관한 질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 중 쓰기 운동조절 자료는 펜의 시공간 정보와 압력을 분석하는 Eye and Pen 소프트웨어를 통하여 정보를 추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프로그램에서 기술통계, Pearson 상관관계분석, 일원변량분석,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 등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M-plus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쓰기 발달에 관한 잠재계층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쓰기 운동조절과 쓰기 표현에서 유아 간 개인차가 크게 나타났다. 쓰기 운동조절의 하위요인인 글자 크기, 쓰기 속도, 쓰기 압력, 쓰기 시간에서 범위가 넓었고, 쓰기 표현의 하위요인인 쓰기 유창성, 어휘, 문장, 구두법, 띄어쓰기, 방향성에서도 유아 간 점수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이는 취학 직전 유아의 쓰기에서 개인차를 실증적으로 확인했다는 의미를 지닌다. 또한, 유아의 쓰기 운동조절과 쓰기 표현 간 관련성이 낮았다. 이러한 결과는 쓰기 운동조절과 쓰기 표현이 별개로 발달하는 독립된 차원의 쓰기 발달 특성임을 시사한다. 둘째, 쓰기 운동조절과 쓰기 표현 차원에 대한 유아의 쓰기 발달을 유형화하기 위해 잠재계층 분석을 실시한 결과, 서로 다른 세 가지 유형이 도출되었다. 세 유형은 각각 ‘빠르고 풍부한 쓰기형’, ‘신중하고 풍부한 쓰기형’, 그리고 ‘발달적 쓰기형’으로 명명되었다. 빠르고 풍부한 쓰기형과 신중하고 풍부한 쓰기형은 모두 쓰기 표현 수준이 높았으며, 쓰기 운동조절에서 서로 반대의 양상을 보였다. 반면 발달적 쓰기형의 경우 쓰기 운동조절 특성은 다른 두 유형과 유사하거나 중간 수준이었고, 쓰기 표현 수준이 낮은 양상을 보였다. 이 결과는 취학 직전 유아의 쓰기 발달에 다양한 유형이 존재함을 보여주며, 각 유형에 적합한 쓰기지도 방법이 고안되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셋째, 유아의 쓰기 발달 유형 분류가 어떤 요인에 의해 예측되는지 살펴본 결과, 어머니 쓰기지도 중 발현적 쓰기지도, 소근육운동 발달 중 소근육운동 통합과 손의 기민성, 쓰기활동 선호, 그리고 그림 표현이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요인 중 어머니 발현적 쓰기지도의 예측력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어머니 발현적 쓰기지도 수준이 높을수록 발달적 쓰기형보다 빠르고 풍부한 쓰기형과 신중하고 풍부한 쓰기형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다. 이는 어머니가 발현적 방식으로 자녀의 쓰기를 지도하는 것이 유아의 쓰기 표현을 풍부하게 하는데 기여함을 의미한다. 소근육운동 통합이 높은 유아일수록 빠르고 풍부한 쓰기형보다 신중하고 풍부한 쓰기형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고, 손의 기민성 수준이 높을수록 발달적 쓰기형보다 빠르고 풍부한 쓰기형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가 시각적 정보를 손 움직임으로 표현하는 것에 능숙할수록 글자를 작고 천천히 쓰는 경향이 있음을 의미하며, 손으로 하는 조작의 민첩성이 높을수록 쓰기 속도가 빠르고 쓰기 시간이 짧아지며 이는 쓰기 표현을 풍부하게 하는 데에도 기여한 것으로 보인다. 다음으로 유아가 발현적 쓰기활동을 선호할수록 빠르고 풍부한 쓰기형보다 발달적 쓰기형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고, 관습적 쓰기활동을 선호할수록 발달적 쓰기형보다 신중하고 풍부한 쓰기형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다. 유아가 글자놀이를 좋아하는 것은 쓰기 표현이 풍부한 것보다는 발달중인 상태에 있을 가능성을 높이며, 유아가 직접적으로 글 쓰는 활동을 좋아하는 것은 쓰기 표현이 발달중인 상태보다는 풍부할 가능성을 높이는 것으로 보인다. 이와 유사한 맥락에서 그림 표현 수준이 높은 유아는 신중하고 풍부한 쓰기형보다 발달적 쓰기형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는데, 그림을 구체적으로 표현하는 것은 쓰기를 보완하여 유아의 표현 의도를 전달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 연구는 취학 직전 유아의 쓰기 발달을 쓰기 표현뿐만 아니라 쓰기 운동조절을 함께 고려하여, 초기 쓰기의 인지적 측면과 운동감각 측면을 모두 평가하였다. 이는 그동안 도구의 한계로 인해 연구되지 못하였던 쓰기 운동조절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쓰기 연구의 이론적 시각을 확장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특히, 쓰기 운동조절과 표현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유아의 쓰기를 유형화함으로써, 취학 직전 유아의 쓰기 발달에 다양한 유형이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나아가 이 연구는 유아의 쓰기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지 요인들을 확인함으로써 쓰기 발달 유형의 특성을 보다 상세히 이해하고, 유아의 쓰기 교육에 관한 구체적인 함의를 얻을 수 있었다.

      • 식용꽃 데커레이션의 기호도와 이용현황

        노보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1823

        A dietary culture rooted in the perception through five senses emerged in pursuit of quality, rather than quantity, to resolve the health problems in contemporary society amid the changing dietary life style. Such dietary culture has come into limelight because the flowers, which have unique color, fragrance, texture, taste and flavor, as well as nutrients and pharmaceutical ingredients, are perceived as food materials that satisfy the five senses of human. This study was intended to compile literature materials related to edible flowers, look into current utilization based on the investigation into the recognition and preference for edible flowers and food made of such edible flowers, derive more effective decorations through the survey on the preference for the food decorated with edible flowers, and facilitate the design-based approach to the food, thus providing basic data for edible flower decoration plans. A total of 160 persons, men or women aged between 10s and 70s and residing in Seoul, were surveyed on the recognition, preference, utilization of edible flowers, food made of edible flowers, edible flower decoration, and developmental plan. The respondents were found to have high recognition of edible flowers and extensive experience with the ingestion of food decorated with edible flowers. In relation to the motivation of ingestion, those who ingested such food at the recommendation of acquaintances comprised the highest proportion. Regarding the place of ingesting such food decorated with edible flowers, the respondents who said that they ingested such food at home accounted for the highest percentage. In connection with the type of food which they ingested, flower tea constituted the highest portion, followed by the 'pan-fried sweet rice cake with flower petals' and 'flower bibimbap(rice mixed with edible flowers)'. Although the respondents were found to have positive perception towards the edible flower decoration, they had high preference for ordinary food with respect to the preference based on the availability of decoration. Furthermore, they neither acted positively to ingest edible flowers nor ingested them very often. In addition, those who gave negative answer that the edible flower food was rather expensive accounted for a large proportion. Although there was a low level of recognition towards the nutrition of edible flowers and their pharmacological effects, many respondents indicated that they were willing to try such food in the period ahead and would recommend them to others if they were healthful. Regarding the reason behind the ingestion of edible flower food, those who said that they ingested such edible flower food for health comprised the largest proportion, followed by those who said that they ingested such food because they were special food. Concerning the considerations for the ingestion, the health consideration was cited most frequently, followed by the shape and decoration. The preference for the color was in the order of red, orange, yellow and green among the edible flower food decorated with different colors such as red, orange, yellow, green, blue, violet, pink, and white colors. In addition, the respondents were found to have greater preference for the food decorated based on complementary color harmony, compared to the food decorated based on monochromatic color harmony. As for the reason, many respondents indicated that the complementary color harmony gave an impression of liveliness and vividness. For the decoration based on visual texture of rose, cockscomb, dahlia, lily, and chive, the respondents had the highest preference for the texture similar to that of rose and silk. The preference for the coarse texture of chive was the lowest. Moreover, the respondents were found to have the highest preference for the food decoration using the whole petals among the decorations based on flower bud, whole petals, individual petal piece. Although many respondents indicated that they did not have much opportunity to com across edible flower food and considered such food not tasty very much, most respondents were found to have positive idea with respect to the outlook of edible flower food in the period ahead. In relation for the reason, the respondents said that edible flower food increased the taste and fragrance, highlighted the color of food, and at the same time, was environment-friendly and had the pharmacological effects. In addition, many respondents indicated that it was necessary to increase the opportunity to experience the edible flower food, develop various food and raise the awareness towards edible flower food in order to promote the commercialization of edible flower food. Considering those results from a comprehensive perspective, the edible flower food is expected to have strong competitiveness, higher value-added, have soaring demand and consumption, and promote the sales and advancement of related industries if the degree of perception towards such edible flowers and their utilization is fully understood, along with the application of effective decoration based on the analysis of preference for each type of edible flower. 식생활 변화에 따른 현대인의 건강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양보다 질적인 것을 추구하여 오감으로 느끼는 식문화가 등장하였고 이에 영양성분과 약리성분을 지님과 동시에 색깔과 향기, 질감, 식감 및 독특한 맛을 가진 꽃이 인간의 오감을 만족시키는 식재료로 인식되어 주목받게 되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식용꽃에 대한 문헌적 자료를 정리하고, 식용꽃과 식용꽃 음식에 대한 인지도 및 기호도 조사를 통하여 현재 이용현황을 파악함과 동시에 식용꽃으로 데커레이션한 음식에 대한 기호도 조사를 바탕으로 보다 효과적인 데커레이션을 유도하고, 식품에 있어서 디자인적 접근에 도움을 주어 식용꽃 데커레이션 계획을 위한 기초 자료 제공을 위해 실시되었다. 서울에 거주하고 있는 10대-70대 이상 남녀 총 160명을 대상으로 식용꽃 및 식용꽃을 이용한 음식과 식용꽃 데커레이션의 인지도 및 기호도, 이용현황 그리고 발전방안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던 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식용꽃의 인지도 및 식용꽃 데커레이션 음식 섭취경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섭취계기는 주위사람의 권유가 가장 높았고, 섭취장소는 가정이 가장 많았으며, 섭취한 음식의 종류로는 꽃차, 화전, 꽃비빔밥의 순으로 나타났다. 식용꽃 데커레이션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데커레이션 유무에 따른 기호도에서 일반음식의 기호도가 높게 나타났고 식용꽃 음식을 먹기 위해 적극적으로 행동하지는 않으며 자주 먹지도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용꽃 음식의 가격이 비싼 편이라는 부정적인 응답이 많았고 식용꽃의 영양 및 약리효과의 인지도가 낮았으나, 건강에 도움이 된다면 추후 먹어 볼 의향이 높게 나타났으며 타인에게 추천 할 의향도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식용꽃 음식의 주요 섭취이유는 건강과 특별해서의 순으로 응답이 많았고, 섭취 고려요인으로는 건강과 모양 및 데커레이션의 순으로 응답이 높게 나타났다. 빨간색, 주황색, 노란색, 초록색, 파란색, 보라색, 분홍색 그리고 흰색의 식용꽃의 색깔에 따라 데커레이션한 음식에서 빨강, 주황, 노랑 그리고 초록의 순으로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파랑의 기호도는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동일배색보다 보색배색으로 데커레이션한 음식의 기호도가 높게 나타났는데 그 이유로는 생기 있고 생동감이 느껴지기 때문이라는 응답이 많았다. 장미, 맨드라미, 달리아, 나리 그리고 차이브의 시각적 질감에 따라 데커레이션한 경우 장미의 실크와 같은 질감 기호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차이브의 거친 질감의 기호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그리고 꽃봉오리, 꽃잎전체, 꽃잎낱장의 꽃의 부위별로 데커레이션 했을 때 꽃잎전체를 이용한 경우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용꽃 음식은 접할 기회가 적고 가격이 비싸며 맛이 떨어진다는 의견이 높았으나, 응답자 대부분이 식용꽃 음식의 향후전망에 긍정적인 의견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이유로는 음식의 맛과 향기, 색깔을 돋우며 친환경 식품임과 동시에 약리효과가 있기 때문이라고 응답하였다. 또한 식용꽃 음식의 상업화를 위해서 접할 기회의 증대, 다양한 음식개발 및 인식의 보편화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많았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보아 식용꽃의 인식정도와 이용현황을 파악하고, 대상별 기호도 분석을 바탕으로 효과적인 데커레이션의 적용이 가능해진다면, 식용꽃 식품의 경쟁력과 부가가치를 높이고 소비를 촉진함은 물론 관련 산업의 매출증대 및 발전까지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높은 균일도의 사각빔 설계를 위한 레이저 빔 성형 최적화

        노보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1823

        As the demand for an optical system that uses a laser with high efficiency and accuracy in the current semiconductor industry increases, Beam Shaping technology, which transforms the shape of the laser and energy distribution into any desired shape, has come into the spotlight. In the case of the vertical LED, it is essential to remove the board with poor heat transfer. However, as it is difficult to maintain the process yield and reproducibility with the current CLO(Chemical Lift-Off) technology, the LLO(Laser Lift-Off) process, which removes the sapphire board using the eximer laser, has been on the spotlight. In this paper, a homogenized beam using a micro-lens array integrator approach was designed using a beam homogenizer. Using Zemax and LightTools, the beam homogenizer analyzed the size, uniformity and transmittance of the square-shaped beam used for the lens design and the performance indicator, and also examined its processability through the actual production. Via the LightTools modeling of a micro-lens array with an excimer laser to interpret the results, a size of 6x6 mm2, and more than 95% uniformity were obtained. The processability was confirmed through the prototype production, and the final size of the square beam, 6.008ⅹ6.008 mm2 was also confirmed. Typically, an excimer laser and a short axis of the beam shape given the length are not proportional to the major axis. To reduce the proportion of a cylindrical lens focused on the substrate, a projection system serves to demagnify the focus. Through this study, ensured the design and fabrication technology to achieve a size of 6x6 mm2, and more than 95% uniformity. This study designs and manufactures the diffractive optical element which uses a green laser with a comparatively lower output as a source of light before we perform the study which breaks the topologic with a diffractive optical element in an optical system with a high output excimer laser as a source of light and has equal energy distribution. As part of the design process a sensitivity analysis was performed. To conduct the design, VirtualLab, a design program for diffractive optical elements, which uses an Interactive Fourier Transform Algorithm(IFTA) that measures light distribution on the plan of incidence to approximate the repetitive numerical value of the algorism in order to express the diffractive image for observation. Sensitivity analyses on the performance change due to the phase level change of the diffractive optical element in order to produce a 5 x 5 mm2 of flat-top beam and the performance change of the diffractive optical element due to beam waist change of the green laser were performed through the outcome of simulations such as Efficiency, Uniformity Error, Signal to noise ratio (SNR) and Maximum Relative Intensity of Stray Light.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as phase level is increased, the efficiency is improved and it is confirmed that the beam waist doesn’t have much of an effect on the performance of the diffractive optical element. It would be helpful for the final planning and designing of the diffractive optical element by an operating performance sensitivity analysis due to several important design variables of the green laser before planning and designing the diffractive optical element to achieve the flat-top beam along with required performance. 최근 반도체 산업에서 높은 효율과 정밀도를 요구하는 분야에 레이저를 이용한 광학계의 수요가 늘어나면서 레이저 빔의 형태 또는 에너지 분포를 원하는 형태로 바꿔주는 Beam Shaping 기술이 각광받고 있다. 그 중에서도 수직형 LED의 경우 열전달이 좋지 않은 기판을 제거하는 것이 필수적인데, 기존의 Chemical Lift-Off(CLO)은 공정수율 및 재현성 확보가 어려워 최근에는 엑시머 레이저를 이용하여 Sapphire 기판을 제거하는 레이저 리프트 오프(Laser Lift-Off: LLO) 공정이 각광을 받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엑시머 레이저(Excimer laser)를 광원으로 사용하여 일정한 영역 내에서 균일한 에너지 분포를 갖게 하는 연구를 빔 인테그레이터 방법과 랜덤 위상판 방법 두 가지를 사용하여 연구하였다. 빔 인테그레이터 방법을 이용한 연구에서는 미세 렌즈를 배열(Microlens Array)하여 Zemax와 LightTools를 이용하여 렌즈 설계 및 성능 지표로 사용되는 정사각형 빔의 크기, 균일도, 투과율 등의 해석을 진행하였으며 실제 제작을 통해 가공성을 확인하였다. 성능 분석 결과 사각형 빔의 크기 6ⅹ6 mm2, 95 % 이상의 균일도(Uniformity)를 만족하는 결과를 얻었다. 가공성 확인을 통한 시제품 제작 후 Beam profiler를 통하여 최종 사각형 빔의 크기 6.008ⅹ6.008 mm2를 확인하였다. 일반적으로 엑시머 레이저를 사용한 LLO 시스템 설계에서는 빔 형태가 장축과 단축의 길이가 비례하지 않기 때문에 실린드리컬 렌즈(Cylindrical lens)로 장축과 단축의 비율을 맞추고 마이크로 렌즈를 배열하여 빔을 섞어준 다음 투사광학계(Projection system)를 사용하여 기판(Substrate)으로 정사각빔을 축소 결상한다. 본 연구에서는 빔 인테그레이터 방법을 사용하여 빔의 크기 6ⅹ6 mm2, 95 % 이상의 균일도를 얻는 설계, 제작 기술을 확보하였다. 랜덤 위상판 방법을 이용한 연구에서는 최종적으로 출력이 높은 엑시머 레이저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광학계에서 회절광학소자를 이용하여 위상을 흩트리고 균일한 에너지 분포를 갖게 하는 연구를 실시할 예정이다. 그 이전에 출력이 상대적으로 낮은 그린 레이저(Green laser)를 광원으로 사용하여 회절광학소자를 설계, 제작하여 실험하기 이전에 설계 시 주요 설계변수에 대한 민감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설계 시에는 관측면에 원하는 회절이미지를 나타내기 위해 입사면의 빛의 위상 분포를 근사적으로 구하는 반복적 수치 알고리즘인 Iterative Fourier Transform algorism(IFTA)를 이용하는 회절광학소자 설계프로그램인 VirtualLab 을 사용하였고 사각형 빔의 크기 5x5 mm2을 만들기 위한 회절광학소자의 Phase level 변화에 따른 성능변화와 그린 레이저의 Beam waist 변화에 따른 회절광학소자의 성능변화에 대한 민감도 분석을 회절광학소자의 성능지표인 Efficiency, Uniformity Error, Signal to noise ratio(SNR), Maximum Relative Intensity of Stray Light 등의 시뮬레이션 결과 값을 통해 실시하였다. 그 결과 Phase level 이 높아질수록 Efficiency가 향상됨을 확인하였고 Beam waist는 회절광학소자의 성능에 큰 영향을 주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요구한 성능의 사각빔을 얻기 위한 회절광학소자를 설계하기 이전에 회절광학소자와 그린 레이저의 몇 가지 중요한 설계 변수에 따른 성능 민감도 분석을 실시함으로 최종적인 회절광학소자 설계의 도움이 될 것이다.

      • Effective Control of Neuropathic Pain by Hepatocyte Growth Factor Transiently Expressed from Naked Plasmid DNA

        노보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1823

        인간 간세포 성장인자 (hepatocyte growth factor, HGF)는 혈관 신생, 세포 분열 및 형태 형성 등 다(多)기능을 가지는 단백질이다. 또한 간세포 성장인자는 신경계의 생존과 발달에 기여하는 신경인자 (neurotrophic factor)로도 잘 알려져 있다. 이러한 특성은 이 성장인자가 신경계와 관련된 질병들을 이해하고, 나아가 이를 극복하는 데도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이 연구에 앞서 인간 간세포 성장인자를 발현하는 플라스미드 DNA 벡터 (pCK-HGF-X7 혹은 VM202)를 이용하여 통증성 당뇨병성 신경병증(painful diabetic peripheral neuropathy, PDPN)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 1상과 2상이 진행된 바 있었는데, 이때 pCK-HGF-X7이 장기간 동안 매우 효과적으로 진통효과를 나타내었고 약물 관련 부작용도 발견되지 않았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pCK-HGF-X7가 어떠한 메커니즘을 통하여 진통 효과를 나타내는지 동물 모델을 이용하여 명확하게 조사하고자 하였다. pCK-HGF-X7이 어떻게 신경병성 통증 완화에 기여하는지를 조사하기 위하여 만성 수축 상해(chronic constriction injury; CCI) 모델을 이용하였다. CCI 수술을 가한 뒤, 200ug의 pCK-HGF-X7을 근육 투여한 후, 적정 시간에 기계적 이질통 (von Frey filament assay)과 열 통각 과민반응 (thermal hyperalgesia)을 측정하는 행동 실험을 수행하였다. CCI 수술을 유도한 군에서는 대조군에 비해서 von Frey hair을 통한 자극에 아주 민감한 반응을 보인 반면, pCK-HGF-X7을 투여한 군에서는 자극에 의한 양성반응이 감소하는 현상을 관찰하였다. 흥미롭게도 pCK-HGF-X7을 3주 또는 4주 이후에 한번 더 투여한 경우에는 신경병성 통증이 더욱 더 높은 수준으로 감소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streptozotocin을 투여하여 당뇨 증상을 유발한 쥐에서도 신경병성 통증이 억제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는 pCK-HGF-X7이 다양한 통증모델에서 통증 완화 효과를 보인다는 것을 의미한다. 위에서 관찰된 진통 효과를 분자적 수준에서 이해하기 위해 microarray 분석을 실시하였다. 총 4만여개의 유전자를 분석한 결과 신경 손상과 pCK-HGF-X7으로 인하여 변화된 유전자가 45개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 중에서 통증 연구에서 가장 중요한 지표로 사용되고 있는 3가지 유전자, ATF3 (Activating transcription factor 3, ATF3), 전위 의존성 칼슘채널의 소단위 알파-2-델타-1(α2δ1), 세로토닌 재흡수 운반체 (5-HTT)를 선별하여 집중 분석하였다. CCI 모델에서 이 3가지의 유전자의 발현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것이 pCK-HGF-X7 주사군에서 현저하게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pCK-HGF-X7가 신경 손상 시 통증 유발 인자들의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진통 효과에 크게 기여한다고 유추할 수 있었다. 위의 microarray 분석 결과 nociceptor의 민감도를 증진시키는 염증성 사이토카인과 케모카인들의 유전자 발현도 변화함을 관찰 할 수 있었다. 이를 CCI 생쥐 모델에서 확인한 결과, pCK-HGF-X7은 신경 손상으로 인해 유도된 CSF1과 IL-6의 발현을 시켰고 척수의 소교세포와 성상세포들의 활성화도 억제하였다. 이는 pCK-HGF-X7이 CCI 모델에서 염증성 지표들의 발현을 변화시키고, 척수의 특성을 변화시켜 신경병성 통증 완화에 기여함을 의미한다. 이러한 간세포 성장인자의 항염증 효과는 in vitro 실험에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 감각신경 및 슈반세포에 LPS (lipopolysaccharide)를 처리하여 염증성 사이토카인 (IL-1β, IL-6, and TNF-α)의 유전자 발현을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시키고, 이때 간세포 성장인자를 가하면 이러한 인자들의 발현이 억제됨을 관찰하였다. 이는 c-Met의 하위 신호 전달 매개자인 ERK의 인산화를 증가시킴으로써 HGF가 항염증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HGF가 감각신경 및 슈반세포에 작용하여 항염증 효과를 나타내고 이것이 통증완화 효과에 기여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를 통해 pCK-HGF-X7가 CCI를 통해 증가한 통증 유발 인자들, 특히 염증인자들의 발현을 억제하여 진통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밝혔다. 이 결과는 그간 임상 1상 및 2상 실험에서 관찰된 pCK-HGF-X7의 강력하고 장기적인 통증 완화 효과와도 일치하는 것으로서 HGF가 각종 신경계 질환에 사용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강력하게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Abstract Neuropathic pain is caused by pathological insults within the somatosensory nervous system, including peripheral fibers and central neurons. Neuropathic pain is associated with abnormal perception of pain including allodynia and hyperalgesia. Many people worldwide suffer from this devastating diseases, yet it still remains to be a great burden to the society and patients for its pathologic mechanisms are poorly understood. There are few current treatment options for neuropathic pain with limited efficacy and significant adverse effects. Therefore, there is a great need in the development of new investigational drug for the treatment of neuropathic pain. In an effort to develop an effective treatment method for painful neuropathy, I have explored the possibility of using plasmid expression human hepatocyte growth factor (HGF). HGF is a multifunctional protein containing angiogenic and neurotrophic properties. In this study, I investigated the analgesic effects of HGF using a plasmid vector engineered to co-express two isoforms of human HGF, pCK-HGF-X7 (or VM202), in a chronic constriction nerve injury (CCI)-induced mouse neuropathic pain model. Intramuscular injection (i.m.) of pCK-HGF-X7 into proximal thigh muscle induced expression of HGF in the muscle, and sciatic nerve. This gene transfer procedure significantly attenuated mechanical allodynia and thermal hyperalgesia in mouse CCI model. A single i.m. injection of pCK-HGF-X7 was able to reduce neuropathic pain for up to 8 weeks. Furthermore, the injury-induced expression of activating transcription factor (ATF3), calcium channel subunit α2δ1, and serotonin reuptake transporter (5-HTT) was significantly suppress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pCK-HGF-X7 effectively attenuates CCI-induced neuropathic pain, and inhibits the expression of pain-related genes such as ATF3, α2δ1, and 5-HTT. Complex neuroinflammatory responses within the peripheral and central nervous system is another key mechanism that are involved in the development and maintenance of neuropathic pain. Inflammatory mediators including cytokines and chemokines are released to promote undesirable sensitization of nociceptors generating pain symptoms. Here, the role of HGF in the regulation of inflammatory responses were investigated. It was shown that pCK-HGF-X7 successfully reduces the expression of CCI-induced IL-6 and CSF1 in the ipsilateral DRG neurons. In addition, the decreased CSF1 expression in the ipsilateral DRG neurons by pCK-HGF-X7 treatment was accompanied with a noticeable suppression of the nerve injury-induced glial cell activation in the spinal cord dorsal horn. Further investigation using primary sensory neurons and schwann cells revealed that HGF suppresses LPS-induced product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including IL-1β, IL-6, and TNF-α.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HGF downregulates the expression of pain-causing inflammatory cytokines, and thereby effectively ameliorating neuropathic pain. In this thesis work, I have identified the anti-nociceptive effect of pCK-HGF-X7 in CCI-induced neuropathic pain model, and that it downregulates injury/pain-causing factors within the peripheral and central nervous system. This is the first study to clearly prove the possibility of using pCK-HGF-X7 as a therapeutic agent for neuropathic pain in animal models. The findings from this thesis may provide insights into the development of innovative therapeutic agent for neuropathic pain, and also the potential use of gene therapy as tool for treating certain disea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