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초등 사회과에서 글로벌 단원의 성립과 전개

        남호엽(Nam, Ho Yeop) 글로벌교육연구학회 2014 글로벌교육연구 Vol.6 No.1

        우리나라 글로벌교육 현황 파악을 초등학교 사회과 교과서 분석을 통해 시도하였다. 상호의존 개념을 중심으로 글로벌 단원의 성립과 전개 과정을 추적하였다. 분석 결과를 보건대, 글로벌 단원의 성립 전야와 태동기, 그리고 성장기로 시기 구분이 가능하였다. 성립 전야는 5차 교육과정 시기까지로 ‘국제화’의 시각에서 상호의존의 교육내용이 서술되었다. 태동기의 경우, 6차 교육과정 시기이며, 상호의존의 ‘지구촌 사회’를 다루고 있었다. 성장기는 7차 및 개정 7차 교육과정 시기이며, 글로벌 상호의존의 체계적인 인식을 도모하였다. 상호의존의 의미 세계가 정치, 경제, 환경, 문화와 일상생활 등 다양한 차원에서 다루어졌다. 요컨대, 초등학교 사회과교과서는 정치와 경제의 국제 협력을 파악하는 수준에서 글로벌리티의 복합성을 인식하는 문제설정으로 나아가는 변화의 궤적을 보이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units for global learning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textbooks and to understand the trend of global education in Korea. As a result of analysis, I discovered that there are the eve period of formation, the quickening period and the growth period of global education in Korean elementary social studies. First period is to the fifth curriculum age and its characteristic showed international viewpoint. The birth period is the sixth curriculum age and represent 'global society' of interdependence. Namely, in the second period, the idea of 'global village' initially appeared. The growth period is the 7th & the revised 7th curriculum age and propose systematic approach of global interdependence. The meaning of global interdependence is revealed by the multidimensional context such as politics, economy, environment, culture and everyday life. To sum up, in the elementary social studies textbooks, the historical trace of unit development for global learning showed the transition of paradigm from the international cooperation model in political and economical field to trials to understand the complexity of globality.

      • KCI등재

        지리적 관점에서 본 글로벌화의 의미

        남호엽(Nam, Ho Yeop) 글로벌교육연구학회 2012 글로벌교육연구 Vol.4 No.2

        이 연구는 지리적 관점에서 글로벌화의 의미와 사례 검토를 시도하였다. 지리적 관점에서 볼 때, 글로벌화 현상은 장소의 경관과 스케일 개념을 통해 잘 이해될 수 있다. 글로벌 현상의 외양들은 경관론의 측면에서, 글로벌 현상의 역학과 과정에 관한 이해는 공간스케일의 측면에서 논의가 가능하다. 특히, 글로벌화라는 복합적인 사회현실의 역동적 이해는 공간스케일의 관계 국면 이해가 중요하다. 지리적 관점에서 볼 때, 글로벌화는 특정한 세상을 향해 통일적이고 단일한 모습으로 나아가는 과정이 아니다. 글로벌 세상은 매우 중층적이고 복합적인 구조로 현실세계가 얽히는 상황이다. 따라서, 글로벌 현상을 이해할 수 있는 개념 장치는 구체적인 현실 이해를 통해 지속적으로 단련이 되어야 할 대상이다. 글로벌화가 향후 더욱 일상화됨에 따라, 이론적이고 실천적인 개입의 전략화가 요망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aning of globalization in the geographic perspective. In this perspective, we can understand the globalization by the concepts such as landscape and scale of place. Landscape concept can describe visible appearances of globalization and scale concept can explain the pattern and process of it. Specifically, we can utilize the concept of spatial scale for active understanding on multiple social reality as globaliztion. Geographers have a position that global world is dynamic situations of multi-level structures and traces of continual change. Therefore, we should have the process of refinement of concepts and an in-depth inquiry based on case studies.

      • KCI등재

        일본 사회과 지역학습의 실천 동향 - 도쿄지역 사례연구 -

        남호엽 ( Nam Ho Yeop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6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4 No.4

        이 연구는 일본의 사회과 지역학습 실천 동향을 도쿄지역을 사례로 하여 검토하였다. 최근 일본에서 지역학습의 시각은 지역의 사회기능에 대한 이해와 지역의 문제해결에 초점을 두는 경우, 그리고 향토학습 등이 대표적이다. 사례 연구 학교에서 실천된 지역학습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초등학교 지역학습 사례는 지형적 요소와 역사 경관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지역의 고유성 이해에 초점이 있었다. 중학교 사례 수업은 향토지리 콘텐츠를 기반으로 하여 국토 생활사의 이해로 나아가고 있었다. 양 자의 공통점은 지역학습의 추구 과정에서 경관을 중심으로 한 지리적 요소의 활용이었다. 이것은 지역학습에서 해당 지역의 대표경관을 주요 학습대상으로 포섭하고 있는 양상이며, 향토학습의 효과를 낳고 있다. 요컨대, 일본의 지역학습 사례에서 학습자의 생활세계에 위치한 가시적인 경관의 교재화 방식을 확인하고 그 의의를 추론할 수 있었다. The focus of this paper is to analyse cases of regional learning in Japan and to discuss meanings in the view of geography teaching. There are three positions about regional learning in Japanese social studies as follows; to understand social functions of region, to focus on problem solving of region and Heimatkunde. In the case study of Tokyo area, I discovered that the goal of elementary school regional learning was to pursue understanding of regional characteristics. The focus of middle school case was to understand national life history based on local and regional narratives. Two cases have one thing in common with the utilizing process of regional landscape as teaching contents and the pedagogical approach as Heimatkunde.

      • 『부생육기(浮生六記)』에 나타난 나하(那覇) 지역의 장소와 경관

        남호엽(Nam Ho Yeop) 仁川敎育大學校 畿甸文化硏究所 2017 기전문화연구 Vol.38 No.1

        이 연구는 중국 청나라 시대 지식인 심복(沈復)의 저술 『부생육기』 중 ‘유구국 기행’을 분석하였다. 심복은 책봉사 일행과 함께 유구국을 방문하여 체험한 바를 기록으로 남겼다. 심복의 저술 내용은 유구국에서 저자가 체험한 장소와 경관에 관한 것이었다. 본 연구는 주로 나하 지역에 초점을 두고서 이 지역의 대표 경관과 장소가 무엇인지 검토하였다. 심복은 책봉사 일행과 동행하였기에 구미촌(久米村)과 슈리성(首里城) 일대에 대한 묘사를 많이 남겼다. 구미촌은 책봉 체제 하 유구왕국의 핵심 지역이었고, 슈리성은 왕성으로서의 위상을 가진 곳이었다. 구미촌에서는 천사관, 공자묘, 파상궁 등의 경관체험이 확인되었다. 슈리성과 그 주변의 경관은 책봉사 행렬의 이동 경로와 의식을 행하는 장소 등을 통해서 서술되었다. 한편, 심복은 유구 팔경 등 나하 지역의 심미적인 경관 체험에 관해서도 주목하고 있다. 이와 같이 심복의 기행문은 1800년경 유구왕국 및 나하 지역의 경관 묘사를 치밀하게 전개하고 있다. 따라서, 전쟁을 통해 파괴된 오키나와 지역의 역사경관을 복원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대한 실마리를 제공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This study is to analyze Fu-Sheng-Liu-Ji (浮生六記) by Shen Fu (沈復, 1763-1825) who lived in Suzhou during the Qing Dynasty. Shen Fu wrote a story about place and landscape of Ryukyu Kingdom. In this study, I focused on representations of Kume village and Shuri castle by Shen Fu. Kume village was a core district of Ryukyu Kingdom under tributary system with China and Shuri castle had a status as a royal palace. I discovered that he experienced historical landscapes such as Tenshikan, Confucian Temples, Naminoue Shrine at the Kume village and Chuzanmon, Shureimon, Kankaimon at the Shuri castle. Also, Shen Fu was interested in Eight views of Ryukyu (琉球八景) as aesthetic landscapes. Namely, he elaborated the description of the regional landscape of Naha city in the Ryukyu Kingdom. Therefore, I have a conclusion that Shen Fu’s writings can provide guidelines for recovery of historical landscapes which were destroyed by Okinawa War.

      • KCI등재

        사회과 교육목표에 나타난 교과의 성격

        남호엽(Ho Yeop Nam),류현종(Heon Jong Ryu)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09 사회과교육 Vol.48 No.1

        이 연구는 사회과 교육목표에 나타난 교과의 성격을 검토하였다. 검토 자료는 교수요목기부터 7차 교육과정 시기까지의 교육과정 문서이다. 사회과의 세 가지 전통과 사회과 목표론의 체계화 범주인 지식 목표, 기능목표, 가치·태도 목표의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교육과정 시기별로 목표 진술의 양상은 차별적이다. 4차 교육과정 시기에 와서 지식, 기능 그리고 가치ㆍ태도 목표의 분화가 나타났다. 목표론의 체계화 관점에서 볼 때, 교육과정이 바뀜에 따라 점점 진화해 왔다는 평가를 내릴 수 있다. 교수요목기와 1차 교육과정 시기 그리고 6차 교육과정 시기의 경우는 진보주의 계열의 입장에서 사회과의 지향을 목표로 제시하고 있다. 나머지 시기의 경우, 여러 입장들이 혼재하는 양상을 나타내고 있다. 각 시기별로 교육과정 개발자들은 사회과의 지향에 대하여 가장 이상적인 방향을 제시할 것이며, 이것은 교육 목표의 진술을 통하여 가시화되었다고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examine the nature of social studies in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objective. We analysed national curriculum documents from the period of ‘course of study’ to 7th curriculum. In the 4th curriculum, educational objectives is divided into knowledge, skill and attitude. In a view of the systematization of objective, we think that there is an advance of social studies curriculum. We find that curriculum developer in the period of ‘course of study’, the first curriculum and 6th curriculum presented educational objectives in the aspect of progressivism. In the period of the rest, the philosophy of educational objectives is the mixture of progressivism and essentialism. We conclude that the spirit of social studies come into view in the statement of social studies objectives.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사회과 수업예술론의 의미와 특성

        남호엽(Nam, Ho Yeop) 한국사회과수업학회 2021 사회과수업연구 Vol.9 No.2

        이 연구는 초등학교 사회과수업의 예술성 규명에 초점을 두고 있다. 연구 대상은 자전적 수업비평의 형태로 제출된 ‘파이데이아 수업보고’이며, 수업의 실천가들은 수업을 예술로서 인식하고 있었다. 사회과 수업예술론의 시각은 공학적 패러다임에서 벗어나면서 수업이해를 풍요롭게 한다. 연구자는 사례수업의 기록을 메타비평하면서 수업의 예술성을 탐색하였는데, 해당 수업의 주제는 개천절의 의미를 다루었다. 개천절 수업은 건국 신화를 통해 민족 정체성의 내러티브를 학습자가 인식하도록 한다. 사례 수업의 과정 속에 나타난 예술성은 ‘정서체험의 사건화’로 나타났다. 즉, 유머와 상실감과 같은 심리적인 정서 상태가 수업의 흐름 속에서 우발적으로 나타나면서 수업의 예술성을 야기하였다. 수업의 결과 측면에서 발견한 예술성은 ‘심성함양의 실체화와 의미 실현’ 양상이었다. 즉, 수업을 통해 선조들의 훌륭하고 아름다운 마음을 이해하고 현재화하도록 하면서 교과의 지향을 추구하였다. 사회과 수업예술론은 교사로 하여금 수업현상을 다각적인 관점에서 이해하도록 하면서 수업의 내실화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cas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rtistry of elementary school social studies instruction. The case of this study is The Paideia Instruction Report submitted in the form of autobiographical instructional criticism. I studied the teaching cases practiced by teachers, who judged instruction as art. The view of instruction as art enriches the understanding of social studies instruction as it deviates from the engineering paradigm. I explored the artistry of social studies instruction by the meta-criticism of the records of case instruction which dealt with the meaning of National Foundation Day. The instruction of National Foundation Day allows learners to recognize the narrative of national identity through the founding myth. The artistry that appeared in the course of the case instruction was found to be incidentization of emotional experience . In other words, psychological emotional states such as humor and sense of loss accidentally appear in the flow of teaching and learning, causing the artistry of the instruction. In terms of the outcomes of the instruction, the artistry of the instruction was reification of mental cultivation and realization of the meaning . Namely, the practitioner of the case instruction pursued the purpose of the subject while allowing learners to understand and present the good and beautiful minds of their ancestors. When a social studies teacher sees instruction as art, he can understand the instruction richly and pursue faithfulness of the instruction.

      • KCI등재

        기억의 장소와 평화교육의 쟁점 -오키나와 지역을 사례로-

        남호엽 ( Ho Yeop Nam ) 역사교육학회 2015 역사교육논집 Vol.54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messages of landscapes that are located in Okinawa Peace Memorial Park. Landscapes at a case place perform memorial practices and speak social meanings. For example, there are visions of transcendentalism at the National Peace Memorial Hall. Namely, this site has not representations of Okinawa War and shows only a universal idea for the peace of all mankind. By the way, another landscape at this park, the Okinawa Prefectural Peace Memorial Museum has representation systems based on historical-geographical realities of Okinawa War. And this Prefectural Museum has a viewpoint that is a geomentality of Ryukyuan peoples as victims of Okinawa War. I discovered that different ways of seeing about Okinawa War provide implications about the establishment of strategy for peace education. All sites at the park have landscapes as discursive formation and textualities of landscapes have points of view about peace building through teaching children and young peoples. These points of view are as follows. First, the direction of peace education is not a moral education as idealist approach but a historical-geographical education as realist approach. I insist that the logic of peace education has the relevance in the practice of a historical-geographical education. That``s because this approach has intentions that peace education needs truthfull understanding and equitable thinking on past history and public memory as educational content and method. Also peace education is required glocal studies approach. In this approach, students can understand peace issues in the context of linkage of global-local scales. The strategy of glocal thinking enables multidimensional understanding about peace issues and it is transferred to reasonable solutions of various conflicts.

      • KCI등재

        글로벌 시대 지정학 비전과 영토교육의 재개념화

        남호엽 ( Ho Yeop Nam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1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19 No.3

        이 연구는 글로벌화 맥락을 배경으로 하면서 영토교육의 재개념화와 교수전략의 모색을 추구하고 있다. 영토의 문제는 지정학의 전형적인 탐구대상이다. 글로벌 시대에 와서 국가 중심의 고전 지정학 비전은 초국가적인 접근 방식에 의해 상대화되고 있다. 영토는 영역화의 운동 양상을 반영하며, 지정학 비전의 재현물로서 개별 주체들에게 각인된다. 영토교육은 정교하게 조직화된 지정학 비전의 상황이며, 일종의 공간 전략 혹은 지리적인 실행의 과정이다. 글로벌 세상에서, 영토교육은 일정한 관계 설정과 의미 추구의 전략으로 사고할 수 있다. 즉, 글로벌시대 영토교육은 배타적인 민족주의 교육에서 벗어나 비판 문식성의 발달 관점에서 고려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탈근대 지평에서 영토교육을 모색할 수 있으며, 이는 영토교육의 다차원적인 스케일을 고려하면서 초국가적인 주체 형성의 논리를 추구한다. This paper is focused on the reconceptualization of territorial education and planning of teaching strategy in the global context. The problems of territorial conflict are typical tasks of geopolitical inquiry. In a globalized world, the strength of classical geopolitical visions are weakened by geographies of transnational network. Territory is a social construction which reflects on movement of territorialization and product of geopolitical representation. Territorial education is a case of this representation and the process of geographical practices. Approach of territorial education is changed into a new perspective and teaching method. Namely, it escapes from exclusive nationhood education and pursues development of critical literacy and cultivation of transnational citizenship based on multidimensional scale.

      • KCI등재

        한국 사회과에서 국민정체성과 글로벌리즘의 관계, 2009-2014

        남호엽(Nam Ho Yeop),차보은(Cha Bo Eun) 글로벌교육연구학회 2017 글로벌교육연구 Vol.9 No.1

        근대국민국가의 주체 형성에 기여 해온 사회과는 소위 글로벌 시대를 맞이하여 외부세계와의 상호작용 속 인간형성의 논리를 고민해야 할 처지이다. 이에 본 연구는 초등학교 사회과교육과정에 나타난 국민정체성과 글로벌리즘 사이 관계 양상을 분석하여, 그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우선 사회과 교과 목표상의 의도는 한국인으로서의 정체성 형성과 세계시민으로서의 소양을 병행하여 기를 수 있도록 의도하고 있었다. 즉 국민정체성 및 글로벌리즘의 텍스트성이 모두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국민정체성과글로벌리즘 사이 관계성을 분석한 결과, 배타적 영역화와 개방적 영역화의 추세가 나타났다. 전자의 사례는 국민정체성과 글로벌리즘이 충돌하는 상황인데, 단일민족신화와 다문화사회론의 대립, 배타적 민족감정과 글로벌시민론의 대립이 그 사례이다. 후자의경우 양자 사이 긍정적인 관계설정이 가능한 경우인데, 지속가능론의 측면에서 행해진 국토지리인식, 비교문화학습을 통한 주체성의 횡단, 교류와 전파의 역사지리에 기초한트랜스내셔널 주체의 형성이 바로 그것이다. 글로벌 시대 한국 사회과는 국민정체성과 글로벌리즘의 긍정적 관계 설정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좌표 설정을 도모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 between national identity and globalism in the curriculum of social studies and examined the current status of globalism in social studies curriculum. As a result, the goal of the social studies literally shows that social studies was to build up the identity as a Korean and also as a Global citizen. That is, national identity and Globalism are both appear in the context of national curriculum. Second, in the history section, a typical discourse of national identity that emphasize a homogeneous and a single-race nation was captured. Third, the global awareness education could be found in the world geography unit and generate globalism somewhat. Finally, closed territorialization could causes tensions between national identity and globalism, and constant effort should be made to extend open territorialization examples, alternatively. Social studies should play a important role to establish a positive relation between national identity and globalism.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pursue open territorialization and develop the contents, methods and cases of various citizenship education that extend to the world starting from East Asia.

      • KCI등재

        〈조선교육〉지를 통해 본 성립기 사회과의 성격과 구조

        남호엽(Ho Yeop, Nam)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1 사회과교육 Vol.50 No.4

        이 연구는 〈조선교육〉지에 나타난 사회생활과의 성격과 구조에 초점을 두고 논의를 전개하였다. 〈조선교육〉지는 1946년에서 1949년까지 활동한 조선교육연구회의 간행물이다. 사회생활과라는 제목으로 논의한 글은 모두 9편이고, 성립기 사회과의 실체를 파악하는데 의미있는 자료라고 여겨진다. 〈조선교육〉지의 투고자들에게 사회생활과는 ‘환경인식’교과, ‘사회적 효율성을 추구’하는 교과, ‘종합’교과로서의 성격을 가졌다. 환경인식교과라는 발상은 사회생활과가‘인간과 환경의 관계’를 학습자에게 인식시키려고 했다는 점에서 그러하다. 사회생활과는 학습자의 능동적인 사회화를 시도하고 이들이 사회구성원으로 유능함을 발휘하도록 의도하면서 사회적 효율성을 도모하였다. 아울러, 사회생활과는 각분과의 단순 종합이 아니라, 교육의 논리를 추구하는 과정에서 지리, 역사 그리고 공민적인 요소들을 종합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양상이었다. 한편, 사회생활과의 목표를 보자면, 유능함을 발휘하는 ‘국민’의 형성, 즉, 사회에 대한 적응성을 강조하였다. 사회생활과 내용으로는 지리, 역사, 공민 영역 상호간의 관련성을 고려한 상태에서 종합화를 추구하였다. 사회생활과 교육방법으로 학습자 중심의 교수 원리를 강조하였고, 수업의 실제 과정은 문제해결의 외양을 가졌다.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nature and structure of early social studies in “Joseon Kyoyook”, publications of “Joseon Kyoyook Yeonguhoe”. The nature of the early social studies is as follows; ‘environmental awareness’ subject, the subject for the sake of enhancement of social efficiency, and integrated subject. The social studies as ‘environmental awareness’ subject indicated that children should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environment. Secondly, the social studies of this period was pursuit of social efficiency, namely, proactive socialization of learners. Also, the early social studies has a character as a integrated subject, wherein educational contents are organized in order to fulfill educational objectives. Meanwhile, in the view of educational objectives, the early social studies emphasized on nation building for new society during the period of U. S. military government. Social studies contents have an attribute that was considered on interrelation of content areas such as geography, history and civics. Also, principles of teaching method were child-centered approach and problem solving as the process of teaching and lear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