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본 글로벌교육정책의 논리와 실천 동향

        차보은(Cha Bo Eun) 글로벌교육연구학회 2016 글로벌교육연구 Vol.8 No.1

        본 연구는 일본의 글로벌교육정책을 살펴보고 글로벌시민교육과의 연관 관계를 찾아 일본에서의 글로벌시민교육의 동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일본의 정부 정책 중 교육 정책 및 문부과학성의 구체적인 교육 시책들에 관한 문헌을 고찰하고 학교 현장에서 글로벌시민교육 실현과 상관관계가 높은 정책들을 집중적으로 분석하였다. 1974년 유네스코 권고에 따라 일본문부과학성은 국제이해교육 및 지속가능교육에 꾸준히 관심 및 지원을 해왔으며 1998년에는 교육과정 속에 국제이해교육이 선택적 종학학습으로 신설되었다. 또한 ESD(지속가능교육)을 중심으로 지난 10년간 NGO, 대학기관, 연구 기관들과 연계를 통하여 교육의 심화를 위한 정부지원이 이루어져 왔다. 최근에는 ‘수퍼 글로벌’이라는 이름으로 정부주도하에 다양한 글로벌교육정책들을 밀도 있게 전개하고 있으며 이러한 정부 시책들이 학교 현장에서 기존의 국제이해교육, 지속가능교육 등과 다면적 관계를 맺으며 확산되어가고 있다. 그 중 학교 현장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수퍼 글로벌 하이스쿨, 수퍼 글로벌 유니버시티, IB 학교 확대, 영어 교육들은 일본 정부의 글로벌교육의 방향을 목표하고 있으면서도 학교장의 경영관, 교사의 역량, 학교와 지역사회와의 관계 등 다양한 요인으로 글로벌시민교육 요소를 내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the trend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Japan by examine the global educational policy in Japan. Analyze the specific educational initiatives in the education policies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Japanese government's policies to find the correlation between policies and school practice. According to the 1974 UNESCO Recommendation, Ministry of Education was been a steady concern and support education for international understanding and sustainable education. In 1998, Education for International Understanding(EIU) was into regular school curriculum as an optional learning subject. In addition, government has completely supported for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links with ESD NGOs and academic institutions over the last decade. In recent years, variety of government-led global education policies are reinforced under the name of ‘Super Global’, establishing relationship with existing global educations, such as EIU and ESD. Even Super Global High School, Super Global University, IB schools, and expanding English education are closely related with neo-liberal policies of government, we could see the implicit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there. Since, how teachers practic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connection with community, etc are significant element for implementation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 KCI등재후보

        상호문화교류학습을 통한 글로벌 장소감 형성

        차보은(Cha, Bo Eun) 글로벌교육연구학회 2014 글로벌교육연구 Vol.6 No.1

        지구화로 인한 시ㆍ공간의 압축은 다양한 수준의 국가 간, 사람 간 연결을 초래하였으며 이러한 연결은 ‘상호성’에 중심을 둔 글로벌 교육, 글로벌 장소감을 조명한다. 유의미한 ‘상호성’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타 지역에 대한 편견 없는 지역이해가 우선 되어야 한다. 한국 다문화 사회 진입의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동남아시아 지역의 올바른 이해를 바탕으로 형성 되어져가는 동남아시아에 대한 이미지의 변화와 글로벌 장소감의 관계 분석을 통하여 상호성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우선 지역 이미지를 바라보는 방식, 장소감, 지오멘탈리티 세 가지로 개념화하고 학생들의 동남아시아에 대한 지역이미지를 살펴보았다. 상호문화교육 단계에 따른 ‘상호문화교류학습’을 개발하여 실행연구를 통하여 수업을 분석-반성-수정하며 학생들의 동남아시아 지역이미지의 변화 과정과 글로벌 장소감의 형성 및 발전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상호문화교류 학습을 통하여 학생들은 더 친근하게 지역에 대한 이해를 도모할 수 있었고 상호성을 발견하고 긍정적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었다. 또한 학생들의 변화된 지역이미지는 세계의 상호 연결성을 확인하고 유대감을 가지는 글로벌 장소감으로 확장되었다. We are living in an era of ‘Globalization’ arising from a phenomenon which has been called ‘time-space compression’. More countries and people are linked by a wide range so that we need to rethink our sense of place. The extended notion of sense of place could be called ‘Global sense of place’ We also need a new paradigm for education in this global society, that is an education which figures out the interdependence and inter-relationship. Having a well-balanced regional image and a perception without prejudice, is very important in this global world. Therefore, this study explores how intercultural exchange programs can play a role in students’ development of a global sense of place and intercultural competence by action research method. So it is concluded that students developed an increased interest in South East Asia. Also, the negative image of South East Asia changed to a positive perception through intercultural exchange. Secondly, the unfavorable perception towards South East Asia was due to students’ lack of background knowledge and unfamiliarity. Thirdly, the intercultural exchange program could have built and developed inter-dependence and inter-connection between the students so that they could have a mutual sense of solidarity. Such solidarity is deeply related with a global sense of place, and a global sense of place can be constructed by an understanding of linking place to place. In summary, students’ intercultural understanding about South East Asia could have changed the image of the region and that leads to an extended sense of place that is global sense of place.

      • KCI등재

        문화 간 대화를 통한 세계시민교육의 실천과 가능성

        차보은(Cha, Bo Eun) 글로벌교육연구학회 2021 글로벌교육연구 Vol.13 No.3

        이 연구는 문화 간 대화를 통해 타자를 진정으로 이해할 수 있는 세계시민교육의 실천과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기존의 다문화교육, 세계시민교육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문화적 타자에 대한 배제와 차별은 사라지지 않는다는 비판적인 성찰에서 출발한다. 이를 위해서한국, 중국 일본의 연구자와 교육자가 상호이해를 목표로 협력적 그리고 순환적으로 실시한문화 간 대화 프로그램을 질적 사례연구의 방법으로 교육적 의미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크게 세 가지 의미가 발견되었다. 첫째, 문화 간 대화는 타자를 사유하는 경험이 되었다. 타자의 존재를 알고 있으나 이해로 이어지지 못한 것은 타자를 충분히 사유할 기회가 없었기때문이었다. 둘째, 개인을 사유하는 기회가 되었다. 국가나 집단에 가려져 보이지 않았던개인을 발견하고 사유하는 것은 타자에 대한 진정한 이해로 이어질 수 있었다. 셋째, 자신을사유하는 기회가 되었다. 문화가 무엇인지, 자신을 구성하는 것이 무엇인지 성찰하면서 자신을 재발견하는 교육적 경험이 이루어졌다. This study sought to explore the practice and possibility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o understand ‘Others’ through intercultural dialogue. Despite the effor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he exclusion and discrimination against cultural hitters do not disappear. To this end, researchers and educators in Korea, China, and Japan planed intercultural dialogue programs and analyzed their educational meaning as a method of qualitative case studies.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ntercultural dialogue became an experience to reflect on others. The reason why we knew about the existence of the others but failed to lead to understanding was that we did not have a chance to fully think about the other. Second, it was an opportunity to think about an individual. Discovering and reflecting on an individual who was hidden by a nation or group could lead to a genuine understanding of the other. Third, it was an opportunity to reflect on oneself. Students had a chance to rediscover themselves by reflecting on the culture and their identity.

      • KCI등재

        한국 사회과에서 국민정체성과 글로벌리즘의 관계, 2009-2014

        남호엽(Nam Ho Yeop),차보은(Cha Bo Eun) 글로벌교육연구학회 2017 글로벌교육연구 Vol.9 No.1

        근대국민국가의 주체 형성에 기여 해온 사회과는 소위 글로벌 시대를 맞이하여 외부세계와의 상호작용 속 인간형성의 논리를 고민해야 할 처지이다. 이에 본 연구는 초등학교 사회과교육과정에 나타난 국민정체성과 글로벌리즘 사이 관계 양상을 분석하여, 그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우선 사회과 교과 목표상의 의도는 한국인으로서의 정체성 형성과 세계시민으로서의 소양을 병행하여 기를 수 있도록 의도하고 있었다. 즉 국민정체성 및 글로벌리즘의 텍스트성이 모두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국민정체성과글로벌리즘 사이 관계성을 분석한 결과, 배타적 영역화와 개방적 영역화의 추세가 나타났다. 전자의 사례는 국민정체성과 글로벌리즘이 충돌하는 상황인데, 단일민족신화와 다문화사회론의 대립, 배타적 민족감정과 글로벌시민론의 대립이 그 사례이다. 후자의경우 양자 사이 긍정적인 관계설정이 가능한 경우인데, 지속가능론의 측면에서 행해진 국토지리인식, 비교문화학습을 통한 주체성의 횡단, 교류와 전파의 역사지리에 기초한트랜스내셔널 주체의 형성이 바로 그것이다. 글로벌 시대 한국 사회과는 국민정체성과 글로벌리즘의 긍정적 관계 설정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좌표 설정을 도모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 between national identity and globalism in the curriculum of social studies and examined the current status of globalism in social studies curriculum. As a result, the goal of the social studies literally shows that social studies was to build up the identity as a Korean and also as a Global citizen. That is, national identity and Globalism are both appear in the context of national curriculum. Second, in the history section, a typical discourse of national identity that emphasize a homogeneous and a single-race nation was captured. Third, the global awareness education could be found in the world geography unit and generate globalism somewhat. Finally, closed territorialization could causes tensions between national identity and globalism, and constant effort should be made to extend open territorialization examples, alternatively. Social studies should play a important role to establish a positive relation between national identity and globalism.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pursue open territorialization and develop the contents, methods and cases of various citizenship education that extend to the world starting from East Asia.

      • KCI등재

        초등학교 교과서 연구의 특성과 과제

        홍미화 ( Hong Mi-hwa ),변자정 ( Byun Ja-jung ),윤요순 ( Yun Yo-sun ),차보은 ( Cha Bo-eun ) 한국초등교육학회 2021 초등교육연구 Vol.34 No.2

        본 연구는 지금까지의 초등학교 교과서 관련 연구의 경향과 그 특성을 파악하여 초등 교과서 연구의 방향과 과제를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초등 교과서 관련 주요 논문과 보고서, 그리고 실제 교과서로 개발ㆍ적용되는 국어교과서 관련 연구들을 분석하여 다음의 과제가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첫째, 초등 교과서 연구는 교과서 개발자나 교수자 중심의 당위적 활용과 인식 연구에서 벗어나 실수요자인 초등학생의 경험과 활용에 초점을 둔 교과서로의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초등 교과서 연구에서 다수를 차지하는 교과서 내용 연구에서는 교과의 내용 선정과 비중에 대한 분석에서 벗어나 초등 교과서로서의 성격과 가치를 내용과 결합하는 연구, 초등 교과서 간의 내용 통합 가능성 연구 등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셋째, 초등 교과서 구성 관련 연구에서는 초등교과서로서의 공통적 특성을 확인하고, 이를 반영한 교과별 교과서 구성 요소와 구성 체제 연구를 시도해야 한다. 넷째, 교과서 개발과 제도 관련 연구에서는 학교 현장의 적용과 효과에 기반한 장기적이고 실질적인 연구로 진행될 필요가 있다. 다섯째, 국어교과서 내용 관련 연구는 교육과정과의 연계성과 학교 적용과의 관계 속에서 통합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이를 위하여 교사와 학생의 국어교과서 인식과 활용 측면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는 질적 연구가 확대되어야 한다. 여섯째, 디지털교과서나 매체 문식성 연구 등 미래의 교육 환경을 반영한 새로운 교과서 연구로의 확장이 필요하다.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direction of future elementary textbook research by analyzing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existing textbook research by looking into elementary textbook research and Korean textbook research.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elementary school textbook research requires textbook research focusing on the experience and utiliza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are actual users. Second, research on content of textbooks needs to be carried out to combine character and value as elementary textbooks, and to study the possibility of integrating content among elementary textbooks. Third, the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chool textbooks should be identified and specifically tried to reflect the textbook components and composition system. Fourth, textbook development and institutional research require long-term and practical research based on the application and effectiveness of school sites. Fourth, research on the contents of Korean textbooks should be conducted in an integrated manner in connection with the curriculum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application, and qualitative studies need to be expanded to examine the perception and use of Korean textbooks. Sixth, it is necessary to expand to various textbook studies that reflect future educational changes, such as digital textbooks and media literacy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