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압박 고 나사로 치료한 대퇴골 전자부 골절-고정 실패의 인자에 대한 분석-

        남준모,유찬훈,김홍태,변영수,조영호,문성건 대한골절학회 2002 대한골절학회지 Vol.15 No.3

        목 적 : 압박 고 나사로 치료한 대퇴골 전자부 골절의 고정 실패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 대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대상 및 방법 : 1995년 5월부터 2 0 0 0 년 7월까지 대퇴골 전자부 골절을 압박 고 나사를 이용하여 치료하고 1년 이상 추시가 가능했던 9 7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골절의 분류는 Jensen 분류법을, 골다공증의정도는 Singh 지수를 이용하였다. 술후 방사선 검사에서 경체각, 정복 상태, 지연 나사의 대퇴골 두 내위치, tip-apex distance(TAD) 및지연 나사의 활강 거리를 측정하였고 고정 실패에 미치는 영향을 통계학적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 : 97예 중 1 7예( 1 7 % ) 에서 고정 실패가 발생하였고 그 중 지연 나사의 과도한 활강으로인한 경우가 1 5예(15.4%), 골두천공 1예, 10도 이상의 외반 변형 1예였다. 고정 실패의 발생과 8 0세 이상의 고령, 불안정성 골절, telescoping 정복, 원위골편의 내측 혹은 전방 전위, 대퇴골 두 내 지연 나사의 전방위치와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 과 칼날 금속판을 이용한 불안정성 대퇴골 전자부 골절의 치료

        남준모,변영수,유찬훈,조영호,신동주 대한골절학회 2002 대한골절학회지 Vol.15 No.3

        목 적 : 불안정성 대퇴골 전자부 골절에 대하여 과 칼날 금속판을 이용한 내고정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대상 및 방법 : 과 칼날 금속판으로 내고정한 불안정성 대퇴골 전자부 골절 2 6예를 대상으로 하였다.AO 분류상 A 2형이 9예, A3형이 1 7예였으며, 골다공증이 1 4예에서 관찰되었다. 수술은 수상 후 평균 7일에 시행하였으며, 골절의 분쇄가 심한 3예는 골이식을 함께 시행하였다. 결과는 수술시간, 골유합 기간,합병증, 최종 추시 시의 고관절 기능 및 보행능력 등을 분석하여 평가하였다.결 과 : 수술시간은 평균 1 2 3 분이었으며, 전 예에서 평균 1 4 . 0 주에 골유합을 얻었다. 골절부위의 합병증으로 이소성 골화가 1예, 재골절이 1예에서 발생하였다. 최종 추시 시 고관절의 운동장애가 중등도로남은 경우가 1예, 경도로 남은 경우가 5예였으며, 보행 시 단장을 사용한 환자가 2예, 약간의 파행을보인 환자가 2예였다.

      • 과 칼날 금속판을 이용한 불안정성 대퇴골 전자부 골절의 치료

        변영수,유찬훈,남준모,조영호,신동주 대한골절학회 2002 대한골절학회지 Vol.15 No.3

        목 적 : 불안정성 대퇴골 전자부 골절에 대하여 과 칼날 금속판을 이용한 내고정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과 칼날 금속판으로 내고정한 불안정성 대퇴골 전자부 골절 26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AO 분류상 A2형이 9예, A3형이 17예였으며, 골다공증이 14예에서 관찰되었다. 수술은 수상 후 평균 7일에 시행하였으며, 골절의 분쇄가 심한 3예는 골이식을 함께 시행하였다. 결과는 수술시간, 골유합 기간, 합병증, 최종 추시 시의 고관절 기능 및 보행능력 등을 분석하여 평가하였다. 결 과 : 수술시간은 평균 123분이었으며, 전 예에서 평균 140주에 골유합을 얻었다. 골절부위의 합병증으로 이소성 골화가 1예, 재골절이 1예에서 발생하였다. 최종 추시 시 고관절의 운동장애가 중등도로 남은 경우가 1예, 경도로 남은 경우가 5예였으며, 보행 시 단장을 사용한 환자가 2예, 약간의 파행을 보인 환자가 2예였다. 결 론 : 과 칼날 금속판은 비록 내고정의 수술기법이 어렵기는 하나 안정성 고정을 제공하므로 불안정성 대퇴골 전자부 골절에 대하여 이를 적절히 잘 내고정하면 골다공증이 있는 경우까지도 합병증을 감소시키고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Purpose : This study evaluates the effectiveness of the condylar blade plate for internal fixation of unstable trochanteric fractures of the femur. Materials and Methods : Twenty six unstable trochanteric fractures of the femur (AO classification, 9 type A2 and 17 type A3) were treated by condylar blade plate fixation. Osteoporosis was found in 14 cases. Fractures were operated on the average 7th day after trauma and cancellous bone graft was performed in 3 fractures with severe comminution. Results were evaluated by operating time, time of fracture healing, complications, and function of the hip and walking ability at the final followup assessment. Results : Operating time was 123 minutes on average. All fractures were united in an average of 14.0 weeks. Complications at the fracture site were a heterotopic ossification and a refracture. Motion of the hip was limited moderately in a case with heterotopic ossification and mildly in 5 cases. Two patients used a cane and 2 patients revealed a mild limp. Conclusion : Although the condylar blade plate is technically difficult to apply, it provides stable fixation to obtain good results with less complications for unstable trochanteric fractures of the femur, especially even in the presence of osteoporosis.

      • HLA antigens in patients with osmidrosis in Japan

        Inaba, Masumi,Chung, Tai Ho,Nam, Jun Mo 慶北大學校 醫科大學 1985 慶北醫大誌 Vol.26 No.2

        34명의 일본인 액취증환자와 91명의 정상인의 조직적합성항원형(HLA-Antigen)을 Terasaki방법으로 조사하여 환자와 정상인 간에 HLA-항원들의 유전자빈도들간의 차이유무를 Gart와 Nam의 방법으로 비교한 결과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는 HLA-항원을 발견하지 못하였다.

      • KCI등재

        압박 고 나사로 치료한 대퇴골 전자부 골절 : 고정 실패의 인자에 대한 분석 Analysis of Factors associated with Failure of Fixation

        유찬훈,김홍태,변영수,남준모,조영호,문성건 대한골절학회 2002 대한골절학회지 Vol.15 No.4

        목 적 : 압박 고 나사로 치료한 대퇴골 전자부 골절의 고정 실패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 대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5년 5월부터 2000년 7월까지 대퇴골 전자부 골절을 압박 고 나사를 이용하여 치료하고 1년 이상 추시가 가능했던 97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골절의 분류는 Jensen 분류법을, 골다공증의 정도는 Singh 지수를 이용하였다. 술후 방사선 검사에서 경체각, 정복 상태, 지연 나사의 대퇴골 두 내 위치, tip-apex distance(TAD) 및 지연 나사의 활강 거리를 측정하였고 고정 실패에 미치는 영향을 통계학적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 : 97예 중 17예(17%)에서 고정 실패가 발생하였고 그 중 지연 나사의 과도한 활강으로인한 경우가 15례(15.4%), 골두 천공 1얘, 10도 이상의 외반 변형 1예였다. 고정 실패의 발생과 80세 이상의 고령, 불안정성 골절, telescoping 정복, 원위 골편의 내측 혹은 전방 전위, 대퇴골 두 내 지연 나사의 위치와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결 론 : 압박 고 나사를 이용한 대퇴골 전자부 골절의 치료에서 고정 실패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정복이 필요하고 대퇴골 두 내에서 지연 나사의 전방 위치를 피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significant factors that may affect failure of fixation in trochanteric fractures of the femur treated with the compression hip screw. Materials and Methods : From May 1995 to July 2000, the authors analyzed 97 cases of trochanteric fracture of the femur treated with the compression hip screw and followed more than one year. We classified the fracture type by Jensen's method. We used Singh index for the degree of osteroporosis. In the post-operative radiograph, we checked neck-shaft angle, state of reduction, position of the lag screw within the femoral head, tip-apex distance, and sliding distance of the lag screw.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factors and failure of fixation was statistically analyzed. Results : There were 17 cases(17.5%) of failure of fixation ; 15 cases(15.4%) of excessive sliding of the lag screw, 1 case (1%) of cutting out of the lag screw, and 1 case (1%) of valgus malunion.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failure of fixation and old age over 80 , unstable fracture, telescoping reduction, anterior or medial displacement of the distal fragment, and anterior placement of the lag screw within the femoral head. Conclusion : Accurate reduction and avoidance of the placement of the lag screw in the anterior part of the femoral head were important factors to prevent failure of fixation in trochanteric fractures of the femur treated with the compression hip screw.

      • KCI등재

        요추부 유합 후 인접분절에 속발한 퇴행성 병변의 치료

        김홍태,장병두,현경훈,남준모 대한척추외과학회 2000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7 No.3

        연구계획 : 임상자료와 영상자료의 후향성 분석. 연구목적 : 요추 유합 후 인접분절에 속발한 퇴행성 병변으로 인하여 증상이 재발한 환자에 대한 치료경험을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요추의 일부분이 유합된 후 인접분절에 퇴행성 병변이 속발하여 다시 증상이 재발한 환자 중에 보존적 치료를 시행하면서 추시하고 있거나 수술을 시행하였던 환자 19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치료에 대하여 후향성 분석을 하였다. 이들에 나타난 인접분절의 이상소견은 불안정 분절, 추간간격의 협소, 척추관 협착, 추체의 전위등이었다. 재발한 초기의 증상은 모든 예에서 요통이 주증상이었고, 5례에서는 하지에 신경성 통증도 있었다. 그 후 시일이 경과함에 따라 다른 9례에서도 하지통이 나타났으며, 결국 7례에서는 신경성 파행으로 진행하여 이것이 주증상이 되었다. 결과 : 초기에는 약물치료, 물리치료, 보조기 착용, 강화운동, 요통학교 등의 보존적 치료로서 모든 예에 상당한 효과가 있었으나 시일이 경과함에 따라, 또 신경성 파행이 나타남에 따라 보존적 치료의 효과가 감소되었으며, 이러한 예가 있었으나 시일이 경과함에 따라, 또 신경성 파행이 나타남에 따라 보존적 치료의효과가 감소되었으며, 이러한 예들에서는 각막외주사치료가 일시적으로 효과가 있기도 하였다. 이러한 보존적 치료로서 효과가 없고 통증으로 인하여 상당한 활동장애가 있는 환자 중에 합당한 병변이 확인되면 수술을 권하였는데, 6명은 수술을 받았고, 1명은 간기능이 나빠서 수술을 시행하지 못하였으며, 1명은 수술을 응하지 않았다. 수술방법은 후방감압과 추경나사를 이용한 내고정 및 측방유합이 4명, 추경나사를 이용한 내고정 및 측방유합이1명, 후방감압만 시행한 것이 1명이었다. 수술후 8개월 내지 2년 2개월간 추시한 결과 모든 예에서 증상이 거의 소실하였고, 유합을 시행한 5명에서 모두 유합이 잘 이루어졌다. 결론 : 유합 인접분절에 퇴행성 병변이 속발하여 증상이 재발하면 초기에는 보존적 치료로서 효과가 있으나 시일이 경과함에 따라 효과가 적었으며, 결국 수술이 필요하게 되는 예가 많았다. 수술방법이나 수술결과는 일차적인 병변과 별 차이가 없었다. Study Design : A retrospective clinical and radiographic review. Objectives : To assess the treatment for the recurred symptoms caused by various sequential degenerative changes at the adjacent segments to previous lumbar fusion. Sumary of Literature Review : Accelerated degeneration of lumbar segments adjacent to a previous fusion has been established, but the treatment for this condition has rarely been demonstrated. Materials and Methods : 19 consecutive patients who had treatments for the recurred symptoms caused by a sequential degenerative change at the adjacent segments were reviewed. The sequential changes at the adjacent segments were instability, discspace narrowing, spinal stenosis, and/or vertebral slip, and the symptoms of these changes were back pain in all patients and leg pain in many patients, particularly in later years. Results : Initially all symptomatic patients were tried with conservative regimens of medication, physiotherapy, execise, and education. A back brace was also appled for the patients who have considerable back pain, and the epidural injections for those who have leg pain. The symptoms of these patients, particularly the back pain were responded well to the conservative therapy during the earlier years, but surgery was neede eventually at the later years in 8 patients, paricularly for the leg pain. For these patients, an adequate decompression and extension of the fusion usin instrumentation resulted in good fusion with satisfactory clinical outcomes. Conclusion : The initial symptoms of the sequential degenerative changes at the adjacent segment after lumbar fusion were well responded to the conservative treatments, but a surgical treatment was needed eventually in many patients. The methods and results of the surgical treatment were similar to those of primary conditions.

      • KCI등재

        압박 고 나사로 치료한 대퇴골 전자부 골절 : 고정 실패의 인자에 대한 분석 Comparison between Internal Fixation with a Plate and screws and External Fixation with Ilizarov Device

        유찬훈,김홍태,변영수,남준모,조영호,문성건 대한골절학회 2002 대한골절학회지 Vol.15 No.3

        목 적 : 압박 고 나사로 치료한 대퇴골 전자부 골절의 고정 실패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 대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5년 5월부터 2000년 7월까지 대퇴골 전자부 골절을 압박 고 나사를 이용하여 치료하고 1년 이상 추시가 가능했던 97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골절의 분류는 Jensen 분류법을, 골다공증의 정도는 Singh 지수를 이용하였다. 술후 방사선 검사에서 경체각, 정복 상태, 지연 나사의 대퇴골 두 내위치, tip-apex distance(TAD) 및 지연 나사의 활강 거리를 측정하였고 고정 실패에 미치는 영향을 통계학적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 : 97예 중 17예(17%)에서 고정 실패가 발생하였고 그 중 지연 나사의 과도한 활강으로인한 경우가 15예(15.4%), 골두 천공 1예, 10도 이상의 외반 변형 1예였다. 고정 실패의 발생과 80세 이상의 고령, 불안정성 골절, telescoping 정복, 원위 골편의 내측 혹은 전방 전위, 대퇴골 두 내 지연 나사의 전방 위치와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결 론 : 압박 고 나사를 이용한 대퇴골 전자부 골절의 치료에서 고정 실패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정복이 필요하고 대퇴골 두 내에서 지연 나사의 전방 위치를 피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results between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with plate and screws and closed reduction and external fixation with Ilizarov device for the fracture of disatal metaphyseal fracture of tibia. Materials and Methods : In this study, the results in treatment of the 19 distal metaphyseal fractures of tibia with closed reduction and external fixation with Ilizarov device were compared with those in treatment of the 23 fractures with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with a plate and screws. The cases were the patients who had been treated for the fractures at the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Dankook University Hospital from May 1997 to December 2000. The results of treatment were analysed using functional evaluation by Mast and Teipner and radiological evaluation by Ovadia and Beals. Results :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major causes of injury were motor vehecle accidents, fall-downs, and falls from a height in order. 2. Treatment of the fractures with closed reduction and external fixation with Ilizarov device showed comparable results to that with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with a plate and screws. 3. Complications in treatment were a little more frequent in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with a plate and screws than in closed reduction and external fixation with Ilizarov device. Conclusion : Considering the results, closed reduction and external fixation with Ilizarov device is thought to be one of recommendable options in treatment of the distal metaphyseal fractures of tibia with the advantages in wound management, prevention of stiffness of ankle joint, and convenience in removal of the device.

      • KCI등재

        원위 요골의 Salter - Harris 분류 제 4 형 골단판 골절 - 1 예 보고 -

        김홍태,조영호,변영수,현경훈,남준모 대한골절학회 2001 대한골절학회지 Vol.14 No.4

        Physeal fractures in children are the most common in the distal radius. In the distal radius Salter-Harris type 2 physeal fractures occur predominantly, while type 4 physeal fractures are quite rare. For type 4 physeal fractures,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are usually indicated to align both the physis and the articular surface. Growth arrest can be developed by premature physeal closure depending on multiple factors, particularly the severity of trauma. We treated a type 4 physeal fracture of the distal radius with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in an 11-year-old boy, but growth arrest with gross deformity and painful motion limitation of the wrist occurred. The deformity in external appearance was nearly corrected and symptoms were improved by surgical shortening of the ulna 3 years after injury, and the final result was satisfacto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