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적장애학생의 수학 문제해결 교수를 위한 스캐폴딩 기반 코스웨어 설계

        남윤석,한성희,Nam, Yun-Sug,Han, Seong-Hee 한국정보처리학회 2007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Vol.14 No.1

        본 연구에서는 인지 능력이 부족한 지적장애학생들에게 수학 문제해결을 교수하기 위한 스캐폴딩 기반 코스웨어 설계 방안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코스웨어에서는 지적장애학생들이 수학 문제해결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도록 다양한 공학적 지원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그러한 지원을 체계적으로 철회한다. 기존의 관련 소프트웨어들과 비교해 볼 때에, 이 코스웨어는 지적장애학생 개개인의 필요에 알맞게 수학교수전략을 적합화하고, 학습자의 독립적인 학습 능력을 신장시키며, 성공 경험을 통해 학습 동기를 높일 수 있다는 의의를 갖는다. This study proposes design of courseware based on scaffolding for teaching math word problem solving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is courseware not only offer various technological supports to solving difficult problem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but also systematically withdraw that supports. Compared with previous related softwares, this courseware has potential that can adapt math strategies to meet different needs of individual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crease independent learning ability of learners and maintain high level of motive through successful problem solving experience.

      • KCI등재

        참관실습에서 나타나는 예비특수교사의 학습 과정 탐색

        남윤석 ( Yun Sug Nam ),권순우 ( Soon Woo Gwon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1 지적장애연구 Vol.13 No.1

        이 연구에서는 정규 교육실습을 보완해 줄 수 있는 참관실습에서 나타나는 l학년 예비특수교사들의 학습 과정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초등특수교육을 전공하는 1학년 예비특수교사 30명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이들의 실천적 경험을 질적 연구의 내러티브 탐구 방법을 적용하여 구성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특수교사들은 참관실습 과정에서 장애학생과의 상호작용, 지도교사와의 상호작용, 자기 자신과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많은 것을 학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예비특수교사들은 장애학생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올바른 장애인관을 형성할 수 있었다. 둘째, 예비특수교사들은 지도교사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구체적인 교수·학습 방법을 익히고 바람직한 특수교사상을 정립하는 발판을 마련하였다. 셋째, 예비특수교사들은 자기 자신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미래 특수교사로서의 자신에 대한 꿈과 희망을 키울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좀 더 나은 실습 프로그램이 진행되기 위해서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에 대하여 몇 가지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learning process of pre-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the field observation practice through narrative inquiry. For this purpose, 30 pre-special education teachers participated this study. They were first-grade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elementary special education at an university located in Gyeongbuk province. Data were collected by journals and interviews about experience of field observation practic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ed. First, pre-special education teachers learned a desirable concept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the interaction with students with disabilities. Second, pre-special education teachers learned specific teaching methods and desirable role of special education teacher in the interaction with coaching teachers. Third, pre-special education teachers have enlarged a clear dream and hope to be special education teacher in the interaction with themselves.

      • KCI등재
      • KCI등재

        수학 수업시연에서 나타나는 예비특수교사의 학습 경험 분석

        남윤석 ( Yun Sug Nam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1 지적장애연구 Vol.13 No.3

        이 연구에서는 예비특수교사들이 수학 수업을 진행하는데 필요한 실제적 수업능력을 익힐 수 있도록 수학 수업시연을 실시하고, 그 과정에서 나타나는 예비특수교사들의 학습경험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초등수학교육``이라는 교과를 수강하는 3학년 예비특수교사 43명이 연구에 참여하여 10차시의 수학 수업시연을 실시하였으며, 이들의 실천적 경험을 질적 연구의 실행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귀납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특수교사들은 수학 수업 설계, 활동 중심의 수학 수업, 수학 수업의 개별화 측면에서 많은 것을 학습한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예비특수교사들은 수학 수업을 설계할 때에 수학 수업 모형의 적용, 수학의 위계적 특성, 실생활과의 연결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을 학습하였다. 둘째, 예비특수교사들은 장애학생을 위한 활동 중심의 수학 수업을 하기 위해서는 장애학생의 수학 학습 수준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정하고, 능력 수준이 서로 다른 학생들 모드가 참여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하며, 학생 성취를 파악하기 위한 다양한 평가 방법을 황용해야 한다는 것을 학습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예비특수교사들의 수업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한 몇 가지 방안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learning experience of pre-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math simulated instruction through action research. For this purpose, 43 pre-special education teachers participated this study. They were third-grade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elementary special education at an university. And they executed 10 math simulated instructions in elementary math education class. Data were collected by participant observation, documents, and interviews about experience of math simulated instru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ed. First, pre-special education teachers learned that when they design the math instruction, they should consider math instruction model, hierarchy of math, and connection with real life Second, pre-special education teachers learned that for activity based math instructions,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eaching tools, learning activity through concrete manipulation, and questioning and waiting for leading learner` thinking are needed. Third, pre-special education teachers learned that for individualized math instruction, specific understanding about learners` learning level, universal methods for all learners, and different evaluation for finding learner` achievement are need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ways to improve the practical instruction competency of pre-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suggested.

      • KCI등재

        지적장애학생의 수학교수전략 개별화를 위한 스캐폴딩 기반 코스웨어의 개발

        남윤석 ( Yun Sug Nam ),한성희 ( Seong Hee Han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7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8 No.3

        이 연구는 수학 문장제 문제해결에 어려움을 나타내는 지적장애학생 개개인의 능력에 알맞게 수학교수전략을 개별화하여 적용할 수 있는 코스웨어를 개발하고, 개발된 코스웨어의 타당성을 검증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체계적인 개발 절차에 따라 학습자가 문제해결 과정에서 부딪치는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도록 다양한 공학적 지원을 제공하고, 이를 전반적인 지원, 부분적인 지원, 독립적인 수행의3단계 수준으로 거둬들임으로써 지적장애학생 개개인의 능력 수준에 맞게 개별화가 가능한스캐폴딩 기반 코스웨어를 개발하였다. 또한, 이렇게 개발된 코스웨어는 특수학급 교사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타당성 검증에서 코스웨어의 개발 원리, 적용의 효과성, 실제 적용 가능성 측면에서 매우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s of the study were to develop scaffolding based courseware for individualizing math teaching strategy to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to confirm verification of the coureseware. The scaffolding based courseware was developed by systematical procedures. This courseware was comprised seven technological supports(reading, highlighting, visualizing, hypothesizing, computing, checking and using strategies). The supports were decreased by three steps as the learners became to have skills to solve their mathematical word problems independently. 10 special education teachers participated to verify of the scaffolding based courseware. The results of verification implied high application possibility of the scaffolding based courseware. This courseware, focused on interactions among learners, teachers, and technology in reflection of a social constructivism theory, showed a new hybrid model of using technology in math teaching. To generalize of this courseware, different experimental studies including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re needed in the futur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특수학급 학생 교육을 위한 공학 실태와 지원 방안

        육주혜 ( Ju-hye Yook ),남윤석 ( Yun-sug Nam ),정동일 ( Dong-il Jeong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4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5 No.3

        최근 정부는 공학을 활용한 교육 여건 구축을 위해 적극적인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정책이 특수교육 대상 학생을 충분히 고려하고 있는지는 이론의 여지가 많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특수교육분야에서도 공학 관련 현황 파악이나 지원이 특히 미흡하다고 판단되는 전국 특수학급의 공학 여건과 활용 실태를 조사하고 국가적인 지원 방안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내용은 특수학급에 일반교육공학 기기의 여건과 활용, 교사·학생용 컴퓨터의 여건과 활용, 보조공학 장치의 여건과 활용, 교육용 소프트웨어와 인터넷 활용, 공학 관련 교사 연수의 여건을 조사하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특수학급 교사들은 공학에 대한 필요성을 충분히 인식하고 있지만 이에 대한 정보나 재정적 지원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국가의 특수학급에 대한 공학 지원 방안이 논의되었다. The Department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actively initiates an educational structure using technology. However, the policy and governmental actions on educational technology do not always conside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refore, the purposes of the study are; (a) to survey special education classes in general schools on technology environment and utilizing status; and (b) to provide suggestions related to governmental support for educational technology in special education classes. The study contents are conditions and utilization of general education technology, teacher/student computers,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educational software and Internet, and teacher training in special education classes. Overall, teachers in special education classes are aware of the importance of using technology in their lessons but expressed that the technology-related information and financial support from the government are insufficient. Finally, technology support necessary for special education classes is suggested.

      • KCI등재

        의미 연결망 분석을 통한 초등학교 교육과정과 기본 교육과정의 평가 내용 비교 분석

        김지수(Ji-su Kim),남윤석(Yun-Sug Nam)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23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16 No.1

        이 연구는 의미 연결망 분석을 활용하여 2015 개정 초등학교 교육과정 국어, 수학과 및 2015 개정 기본 교육과정 국어, 수학과 평가 관련 핵심어를 비교 분석하여 기본 교육과정 평가 방안의 개선 방향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자료 수집 및 핵심어 사전 정제 단계, 핵심어 추출 단계, 의미 연결망 분석 및 시각화 단계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핵심어 빈도 추출과 의미 연결망 및 중심성 분석을 위해 R프로그램과 Textom, UCINET을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로 첫째, 두 교육과정 국어, 수학과 평가 관련 핵심어 빈도 분석과 의미 연결망 분석에서 ‘학생’, ‘활용’과 같은 공통된 핵심어가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교 교육과정 국어, 수학과에서는 ‘작품’, ‘다루지 않음’, ‘분수’ 등 구체적인 성취기준과 평가기준에 대한 핵심어가 나타났다. 셋째, 기본 교육과정 국어, 수학과에서는 ‘강점’, ‘일반화 평가’ 등의 특수교육대상학생의 교육적 요구에 적합한 핵심어가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향후 개정되는 기본 교육과정의 평가 방안에 대해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compare and analyze keywords related to assessment in the Korean and Math subjects under the 2015 Revised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and the 2015 Revised Basic Curriculum and explore the directions of improving basic curriculum assessment plans. For these purposes, the study conducted an analysis at the stage of collecting data and refining keywords in the dictionary, the stage of extracting keywords, and the stage of analyzing and visualizing semantic networks. The R program, Textom, and UCINET were used to extract keyword frequency and analyze semantic networks and centrality.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student” and “utilization” were common keywords related to assessment in the Korean and Math subjects under the two curriculum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frequency and semantic network analyses; secondly, the Korean and Math subjects under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contained keywords related to the specific achievement and assessment criteria such as “work” “not covered,” and “fraction”; and finally, the Korean and Math subjects under the Basic Curriculum contained keywords fit for the individual educational needs of special education students such as “strength” and “generalization assessment.”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made proposals for the evaluation plans of the Basic Curriculum to be revised in the future.

      • KCI등재

        초등 특수교사 임용시험 출제 문제 분석 연구

        곽승철 ( Seung-chul Kwak ),남윤석 ( Yun-sug Nam ),홍재영 ( Jae-young Hong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8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9 No.2

        이 연구는 2001년부터 2008년까지 출제된 초등 특수교사 임용시험 문제를 분석하여 2009년부터 개편되어 시행되어야 할 임용시험의 방향을 설정하는데 도움이 되는 다양한 논의를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에 따라 초등 특수교사 임용시험 출제 문제의 특수교육 관련성 여부 및 문제 형태의 분석, 특수학교 교사자격 취득을 위한 기본이수과목들과의 비교 분석, 교사의 전문성 기준으로 활용되는 교육학적 내용 지식(PCK)의 개념에 따른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지금까지의 임용시험 출제 문제가 단순 제시 형태의 단순지식 또는 기억을 묻는 문제에 치중하였으며, 교사자격 취득을 위한 기본이수과목들에서 편중되거나 불일치되는 문제점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단순 암기 위주의 시험에서 탈피하고자 하는 향후 임용시험에서는 교과를 가르치는 교사의 전문성 기준으로 활용되는 PCK의 개념에 부합하는 출제 방향 설정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items in the special teacher recruitment examination for elementary school. To achieve the purpose, the special teacher recruitment examinations, which were carried out for eight times through the year 2001 to 2008, were compared and analyzed. A tool of analysis consisted of form of items, curriculum for pre-service education and concept of pedagogical contents knowledge. The result of this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It is analyzed that the percentage of question items of simple and low level is relatively high and they could not select highly qualified and better teacher candidates. And the special teacher recruitment examinations could not reflect the entire contents of the curriculum for pre-service education. Therefore, a better testing system by the government should be developed for screening better special teacher candidates and reflected concept of pedagogical contents knowled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