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장균과 포유류 세포 내에서 parkin의 발현 양상에 관한 연구

        남민경,박혜민,최주연,박효진,정광철,강성만,임향숙,Nam Min-Kyung,Park Hye-Min,Choi Ju-Youn,Park Hyo-Jin,Chung Kwang Chul,Kang Seong man,Rhim Hyangshuk 한국생명과학회 2005 생명과학회지 Vol.15 No.6

        E3 ligase로 알려진 Parkin은 protein quality control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이런 quality control system의 이상으로 나타나는 퇴행성 뇌질환에도 밀접한 연관성이었다. 이와 같이 생체의 필수적인 업무를 담당하는 Parkin의 기능을 생화학적 측면에서 연구하기 위해서는 고 순도의 단백질을 다량 정제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나, 아직까지 Parkin의 발현 양상과 정제법에 관한 연구가 미흡한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pCEX system을 이용하여 Parkin을 대장균에서 overexpression시켜 단일 스텝으로 정제할 수 있는 방법을 정립하였다. 저온의 배양조건에서 0.01 mM의 IPTC로 발현을 유도한 결과 $90\%$ 이상의 순도를 가지는 완전한 크기의 Parkin을 정제할 수 있었다. 또한, 여러 tag을 갖는 Parkin plasmid를 제작하였을 뿐만 아니라, 이들을 HEK293 세포에 transfection하여 Parkin의 발현 양상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Parkin의 N-말단에 pretense에 민감한 절단 부위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정립한 Parkin 정제법과 포유류 세포에서 Parkin의 발현 양상에 대한 결과는 Parkin의 기질을 탐색하고,그들이 Parkin의 효소 활성 및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Parkin, known as an E3 ubiquitin ligase, has essential role in protein quality control, and its severe dysfunction leads to neurodegenerative disorders. Human Parkin was excessively degraded when expressed in Escherichia coli under the conventional induction condition ($37^{\circ}C$ culture condition with 0.5 mM IPTG). To optimize the induction and culture conditions for recombinant human Parkin and develop a rapid method for the Parkin purification, we expressed Parkin by using PCEX system at the different culture temperatures and IPTC concentrations. The intact Parkin protein was purified to approximately $90\%$ purity with suitable amounts of protein under the optimal culture condition ($25^{\circ}C$E with 0.01 mM IPTG). Additionally, we constructed various parkin plasmids with different tagging systems and investigated their expression patterns in HEK293 cells. We found that the proteolytically sensitive site is localized within a ubiquitin-like domain of Parkin. This study developes a method for generating useful reagents to investigate biochemical properties of Parkin.

      • KCI등재

        중소제조공장을 위한 제조데이터 분석 플랫폼의 모바일 HW 유저 인터페이스 연구 -현장 친화형 웨어러블 골전도 무선이어폰 디바이스의 개발을 중심으로-

        남민경(Nam, Min Kyung),정의태(Jung, Eui Tay)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0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6 No.3

        공장 설비에 센서를 설치하여 제조 공정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분석해서 제공하는 제조데이터 분석시스템은 스마트팩토리를 위한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의 주요 구성 요소 중 하나이다. 대기업은 이미 이러한 시스템의 도입에 박차를 가하여 제조업 혁신을 이루고 있지만, 중소제조공장에 그대로 도입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 중소기업 장비는 대기업처럼 대량 생산기록이 쌓이는 것이 아니고 다른 공장의 유사한 기기의 상태 데이터가 빅데이터로 축적되어야 분석이 가능하기 때문에, 내부망이 아닌 온라인을 통한 분석 플랫폼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분석 플랫폼은 PC화면을 통한 제공에만 집중되어 있고 모바일에 관한 연구는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제조데이터 분석 플랫폼에서 분석된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때, 중소기업의 상황을 고려한 모바일 디바이스와 그에 맞는 HW 인터페이스를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의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선행연구 등에 대해 데스크 리서치 후 제조데이터 분석시스템을 정의하였다. 두 번째는 필드 리서치로 중소제조공장의 플랫폼 제조사의 개발자들과 인터뷰를 통해 현재 개발되고 있는 플랫폼의 시스템 구성과 워크플로우에 대한 내용을 전달받았고, 이 플랫폼을 사용하게 될 유저를 유형화하고 각 대상자와 심층인터뷰를 통해 필요한 인터페이스의 방식과 이에 적합한 디바이스의 형태를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제안하고자 하는 디바이스에 대해 제이콥 닐슨의 평가원칙에 따른 관찰 분석으로 휴리스틱을 진행했다. 연구 결과, 공장 내부의 현장은 소음 및 진동, 안전, 보안 등의 이유로 스마트폰 사용이 어려운 경우가 많기에 스마트팩토리 환경을 조성할 때 기존보다 효율적인 송수신을 위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필요했다. 이에 따라 PLC 모니터, 컴퓨터 모니터와 병용으로 모바일 디바이스를 권장하고 웨어러블 형식의 스마트 골전도 무선이어폰을 고안하여 사용할 것을 제안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스마트 골전도 무선이어폰을 이용하면 보다 쉽고 직관적인 사용이 가능하고 인공지능에 적합한 대화형 인터페이스인 보이스 기반 챗봇을 허브로 사용하여 전문적인 지식 없이도 묻고 답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은 기존의 복잡하고 어려운 시각화 개념보다 정보 취약계층을 배려한 접근성 높은 사용환경이고, 사용자 유형에 따른 맞춤 정보제공이 가능하다. 본 연구는 제조데이터 분석 플랫폼의 사용성을 높이기 위한 모바일 HW 디바이스에 관한 연구로 향후 빅데이터를 이용한 제조데이터 분석 플랫폼의 사용성을 높이고자 함이다. 이를 통해 중소제조공장의 스마트팩토리 정착에 기여하는 것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 A Manufacturing Data Analysis Platform(MDAP), which collects, analyzes, and provides manufacturing process data by installing IoT (Internet of Things) on facilities and machines in factories, is also one of the components of digital transformation for smart factories. Large enterprise manufacturing plants are already accelerating the introduction of these platforms, but SMEs’ manufacturing plants are still less accessible. As the equipment in SMEs cannot accumulate mass production records like large corporations, it is possible to analyze only when the state data of the same equipment in other plants is accumulated as big data. Data should be accumulated through online, not the internal network. Therefore, various studies related to a common platform for analyzing manufacturing data of SMEs are being conducted. However, this analysis platform is focused only on the provision through the PC screen. There is not enough research on mobile.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propose a mobile device that considers the situation of SMEs and a hardware interface suitable for it when providing data analyzed by MDAP to users. The method of study is as follows. First, after researching prior studies, an MDAP was defined. The second is field research, which received information about the system configuration and workflow of the platform currently being developed through interviews with developers of the platform manufacturers in SMEs. And we classified users who use this platform. In addition, through the in-depth interviews with each user group, a method of an interface required and a device type suitable were derived. Lastly, heuristics were conducted with observational analysis based on Jacob Nielsen’s evaluation principle for the device to be proposed. As a result of the research, inside manufacturing plants often cannot use smartphones in the factory due to noise, vibration, security, etc., so a wearable device for efficient transmission and reception in addition to a smartphone is needed in a smart factory environment. Accordingly, a mobile device is recommended along with a PLC monitor and a computer monitor. And we devised a wearable smart bone conduction wireless earphone and proposed to use it. Wearable smart bone conduction wireless earphones make it easier and more intuitive to use, and a voice-based chatbot, an interactive interface suitable for artificial intelligence, can be used as a hub to ask and answer without specialized knowledge. This method is a more accessible environment that considers information vulnerable groups than existing complex and difficult visualization concepts, and it is possible to provide customized information according to user types. This study is a study on mobile hardware devices to increase the usability of the MDAP and intends to increase usability when commercializing the MDAP using big data in the future. Through this, it is meaningful to contribute to the successful establishment of a smart factory in SMEs.

      • KCI등재

        고령자를 배려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UI에 관한 연구

        남민경(Nam, Min kyung),최인영(Choi, In Young),정의태(Jung, Eui Tay)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8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4 No.1

        스마트폰 보급률이 높아지며 정보의 습득 방식이 모바일 서비스 중심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고령자를 비롯한 정보 취약 계층도 쉽게 모바일 서비스를 활용할 수 있도록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콘텐츠 접근성 지침 2.0’이 한국의 국가 표준으로 제정되었다. 본 연구는 한국을 대표하는 포털사이트인 ‘네이버’와 ‘다음’의 모바일 포털 애플리케이션을 비교/분석해서 그들이 제공하는 모바일 환경이 취약계층을 얼마나 배려하고 있는지 알아보고, 고령자들이 정보를 쉽게 습득할 수 있도록 접근성이 쉬운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UI의 특성과 이를 이용하는 고령자의 범위를 정하고 이들의 특성을 고찰했다. 두 번째, 고령자가 모바일 이용 시 느끼는 불편함을 최소화하는 환경에 관한 연구를 고찰하고, 고령자를 배려한 UI 디자인에 관련된 선행연구를 조사하였다. 세 번째, 한국의 대표적인 포털사이트인 ‘네이버’와 ‘다음’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환경을 국가 표준지침을 기준으로 비교/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대체로 국가 표준지침에 부합하는 서비스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포털사이트의 근본적인 특성인 링크를 통해 타사의 페이지를 보여주는 점과 소비자들이 콘텐츠를 직접 만들어서 업로드하는 서비스 등으로 인해 국가 지침을 완벽히 따르는 것에는 구조적인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모바일 환경의 제한된 크기와 디바이스의 버전에 따른 기술적 차이 때문에 나타나는 어려움도 나타났다. 따라서 외부유입 콘텐츠 UI의 통합 가이드라인이 필요하고, 기기별 최적화 작업이 요구된다. The penetration rate of smartphone is increasing and the way of acquiring information is changing toward mobile services. Accordingly, “Mobile Application Content Accessibility Guideline 2.0” has been established as Korea’s national standard so that information-vulnerable groups including elderly people could easily utilize mobile servi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mobile environment provided by Korea’s representative portal sites regards vulnerable classes, and to facilitate accessibility for elderly people to acquire information easily. The research method is as follows.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bile application UI and the range of the elderly using it were determined and their characteristics were researched. Second, we investigated the study on the environment that minimizes the inconvenience of the elderly using the mobile and reviewed the previous research related to the UI design considering elderly people. Third, we analyzed the mobile application environment of Korea’s representative portal sites ‘Naver’ and ‘Daum’ based on the guideline 2.0.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service satisfies the national standard guide in general. However, it has been confirmed that it is structurally difficult to completely follow the national guidelines due to the fact that a page showing third party contents through a link. Also, difficulties have been found due to the limited screen size of the mobile devices and technical differences due to the version of the device. Therefore, the integration guidelines of the external influx UI are needed, and optimization work is required for each device.

      • KCI등재

        지진대비 안전수칙 매뉴얼의 지속적인 노출 방안 연구

        남민경(Nam, Min Kyung),박수진(Park, Soo Jin),정의태(Jung, Eui Tay)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8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4 No.3

        지금까지 한반도에는 비교적 약한 규모의 지진이 발생했기 때문에 지진의 안전지대로 분류되어 왔으며, 시민들은 지진에 대한 대처 방안을 숙지하지 않았다. 하지만 2016년과 2017년 경북와 포항에서 발생한 규모 5.8과 5.4의 지진은 일본, 중국 일부에서도 감지될 정도로 강력했고, 사람들은 우리나라도 지진으로부터 안전한 곳이 아니라는 인식을 갖게 되었다. 하지만 어린이나 학생들은 학교안전교육을 통해 지속적으로 대처요령을 학습했던 것에 반해, 성인의 훈련 참여나 지진대비 대처요령의 숙지는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안전훈련 참여와 지진대비 매뉴얼에 대한 관심이 낮은 성인에게 지진 정보 접근성을 높여야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했고, 지진 발생 시 대처 요령에 관한 정보 도달률을 높이기 위한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 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에서 발생했던 지진의 추이, 규모, 진앙지 등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둘째, 지진 대비 매뉴얼에 대한 행정안전부의 간행물과 국내외 선행연구를 고찰하였다. 셋째, 최근 지진 발생 지역에 거주하거나 체류 중인 성인들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진행한 후 인사이트를 알아보는 것으로 성인층에서 지진대비 대처요령의 숙지가 미흡하다는 가설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성인들은 지진 대비 안전 매뉴얼 인지가 부족했고 실제 지진 시 대피 방법도 적절하지 않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강한 흔들림을 실제로 경험했음에도 안전매뉴얼에 대한 관심이 낮았다. 이를 통해 성인에게는 특정일에 실시하는 대피훈련보다는 평상시 지진 대피요령을 습득하기 위한 꾸준한 정보 노출이 필요하다는 결론이 도출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제공되는 매뉴얼을 보다 빠르게 인지할 수 있도록 단순화, 시각화하였다. 또한 매뉴얼의 접근성을 높일 수 있도록 다양한 채널을 통한 콘텐츠를 제시하여 성인층에서도 지진에 대한 대피요령을 의식, 무의식적으로 숙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지진에 대비하여 성인의 인사이트를 고려한 알맞은 콘텐츠를 제공하여 평상시 안전관리와 위험물을 점검하는 방법 등 대처요령을 숙지하도록 하고, 지진 발생 시 당황하지 않고 신속하게 대피하여 지진으로 인한 인명과 재산의 피해를 최소화하는 데에 기여하고자 한다. Relatively weak earthquakes have occurred on the Korean peninsula till 2016, so Korea have been classified as a safe zone for earthquakes. Citizens have not trained how to deal with earthquakes. However, earthquakes of magnitude 5.8 and 5.4, which occurred in 2016 and 2017 in Gyeongju and Pohang, were strong enough to be detected in some part of Japan and China, and people became aware that Korea is not a safe place from earthquakes either. Unlike the increased interest in earthquakes, adults were less likely to participate in seismic training or acquire earthquakes. In contrast, children and students were found to be constantly learning through school programm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method to increase the information reaching rate to adults in the event of earthquake. The research process is as follows. First, we analyzed the publications and related data issued by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including the earthquake trends and epicenters that occurred in Korea. Second, the publication of the Ministry of Interior and Safety(MOIS) on earthquake safety manuals and previous domestic and overseas studies were reviewed. Thir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adults living or staying in areas where recent earthquakes have occurred. The adults were not aware of the safety manual against earthquake, and the method of evacuation was not appropriate at the time of actual earthquake. Also, adults still had a low interest in the safety manual, even though they actually experienced the strong earthquakes. This led to the conclusion that it is necessary for adults to constantly disclose information in order to acquire evacuation precautions in case of earthquakes rather than evacuation drills on specific days. Based on the analysis, this study developed a simplified and visualized pictogram to make the manual more recognizable. In addition, contents were presented through various channels to enhance the accessibility of the manual. This allowed adults to become familiar with the evacuation procedures for earthquakes. In conclusion, this study aims at contributing to minimizing the damage of people and property due to earthquakes by providing contents considering the insights of adults in preparation for an earthquake and quickly evacuating without any confusion when an earthquake occurs.

      • KCI등재

        비비드 색상을 유희적 요소로 사용한 브랜드 색채 연구 -초콜릿 브랜드 엠엔엠즈(M&M’s)를 중심으로-

        남민경(Nam, Min Kyung),정의태(Jung, Eui Tay),최인규(Choi, In Kyu)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0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6 No.1

        동그란 버튼 모양 초콜릿으로 유명한 엠엔엠즈(M&M’s)의 성공은 제품에 비비드한 색상를 입히는 것으로 시작되었다. ‘컬러를 판매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엠엔엠즈는 제품의 맛과 향에 다양한 색상을 이용한 유희적 요소를 더해 글로벌 브랜드로 성장하였다. 이 연구는 제품에 비비드 색상을 적용한 브랜드의 마케팅 전략과 색상이 어떻게 제품에 긍정적으로 작용하도록 했는지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비비드 색상 제품의 대표 격인 엠엔엠즈 브랜드의 출시와 성장 과정, 마케팅 활동에 대한 사례를 조사하였고, 특히 컬러마케팅을 중점으로 분석하였다. 먼저 문헌연구를 통해 마케팅 측면에서의 제품 색채에 대해 정의하고, 가공식품의 색채 적용 및 비비드 색상의 유희적 특징에 대한 선행연구를 진행하였다. 두 번째, 엠엔엠즈가 초콜릿 고유의 색상은 짙은 갈색이라는 선입견을 깨고 여러 가지 비비드 색상을 제품에 적용한 것은 색상이 가진 어떤 특성을 활용한 것인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기본적으로 색상이 가진 고유의 특성과 이를 활용한 브랜드의 사례에 대해 조사하였다. 다음으로 비비드 색상에 대한 정의하였고, 같은 색상이라도 함께 제시되는 색의 종류나 함께 사용하는 색상의 수량에 따라 달라지는 색상의 의미와 특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세 번째, 비비드 색상을 사용하는 브랜드를 사용특성에 따라 [1] 인식의 구분, [2] 단점의 극복, [3] 친근감 향상, [4] 유희적 요소, 네 가지로 유형화하였다. 그중 유희적 요소로 사용한 대표 브랜드인 엠엔엠즈의 탄생 배경과 시대에 따른 색상 변천사, 마케팅 전략을 심층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엠엔엠즈의 색채관리와 색상구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결과적으로 엠엔엠즈가 초콜릿 캔디 제품에 컬러를 적용한 것은 컬러TV의 출시라는 시대적 배경에 따른 것이었고, 이후 제품 색채에 대한 철저한 관리를 해왔으며, 컬러를 유희적 요소로 활용한 다양한 마케팅 전략을 통해 고객에게 브랜드를 알려왔고 그 중심에는 소비자와의 지속적인 소통이 있었다는 것이 밝혀졌다. 제품 색상의 교체도 소비자조사를 통해 진행하였고, 성분에 문제가 발견되었을 때는 적절히 대응하였으며, 제품의 색상을 캐릭터화해서 소비자에게 친근하게 다가가며 고급화를 추구하고 글로벌 브랜드로 성장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이 연구는 엠엔엠즈가 비비드 색상을 유희적인 요소로 이용하기 위한 색채 관리, 마케팅 전략을 심층적으로 논하였고, 이를 통해 다양한 분야에서 신제품을 개발하거나 마케팅 전략을 수립할 때 컬러를 적극적으로 이용하는 데 이론적 도움이 되고자 한다. M&M’s success, known for its button-shaped chocolates in vivid colors, began with the application of colors to the product. Even M&M’s can be described as “selling color”, has grown into a global brand by adding a variety of color-based amusement elements to the taste and aroma of the produ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characteristics of brands that have successfully applied vivid color to their products, and how colors work positively to the products. The case study on the launch, growth process, and marketing activities of the M&M’s brand, which is a representative brand of vivid color products, was studied. Especially, the focus was on color marketing. First, through literature studies, we defined product colors in terms of marketing and reviewed studies on the color application on foods and the amusement characteristics of vivid colors. Second, M&M’s broke the preconception of dark brown, the color of chocolate, and applied a variety of vivid colors to the product. We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colors and the examples of brands that used these characteristics in their products. In addition, it can be seen from various examples that even the same color may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the type of color or the number of colors. Third, the types of brands that applied vivid colors were divided into the following four categories. 1] distinguishing perception, 2] overcome the weakness of the product, 3] enhancing friendliness, 4] amusement elements. Among them, we analyzed the background of the birth of M&M’s, a representative brand using vivid color as an amusement element, and the color change history and color marketing strategy. Finally, the color management and color combination of M&M‘s were examined. As a result, M&M’s application of color to chocolate products was based on the era of color TV. Since then, it has managed product color thoroughly. M&M’s let customers know its brand through various marketing strategies that use color as an amusement element. It always found that when it made a decision, M&M’s made it through constant communication with consumers. The color change of the product was also conducted through a consumer survey. When a problem was found in the product, M&M’s responded appropriately. By developing human-like character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product colors, the company has approached consumers intimately, pursuing high-quality and growing into a global brand. This study analyzed how M&M’s applies vivid color as an amusement element to its products and how it spreads them to marketing. This will help understand how colors will be used when developing new products in various fields and how colors will be positively used in marketing.

      • KCI등재

        제조 데이터 분석 플랫폼의 모바일 터미널 사용자 연구 -창원 스마트산단 사례를 중심으로-

        남민경(Nam, Min Kyung),정의태(Jung, Eui Tay)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0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6 No.1

        정부는 창원의 국가산업단지를 스마트산단으로 선정하고 스마트팩토리의 보급 확산을 위해 다양한 지원 정책을 확대 시행하고 있다. 하지만 단지 내 중소공장들은 비용 증가, 구축 방법에 대한 몰이해, 기술신뢰도 미흡, 사용상의 불편 등의 이유로 새로운 시스템 도입을 주저하고 있다. 그중 사용의 불편함은 이 서비스의 도입이 지연되는 큰 이유이다. 필수적인 시스템의 모바일화도 지연되고 있고, 스마트팩토리를 위한 모바일 인터페이스의 구조적인 연구도 빈약하다. 본 연구는 중소기업의 제조공장이 스마트팩토리 시스템을 도입할 때의 불안감과 기술 수준에 대한 낮은 신뢰도 그리고 사용상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서비스디자인 방법론을 적용하여 문제점과 해결방안을 모색하였다. 그리고 플랫폼의 모바일 버전을 위한 맞춤형 인터페이스의 구조에 대한 인사이트를 도출하기 위한 사용자 연구를 실시하였다. 먼저 스마트팩토리와 제조 데이터 분석 플랫폼 기술에 대해 알아보고 중소기업의 스마트팩토리 도입방안을 조사하였다. 스마트 산단에 대해 정의한 후 현장 방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현장조사에서는 창원 국가산업단지 내 중소 제조공장의 장비 관리 현황을 관찰하였고, 공장 근로자와 전문가를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조사를 통해 수집한 자료는 서비스디자인 방법론을 이용하여 분석되었고 이를 바탕으로 사용자를 유형화하고 퍼소나를 설정하였다. 전문가 인터뷰에서 제조 데이터는 기술적 방법을 이용하여 정보를 선별적으로 수집할 수 있고, 플랫폼의 보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공개 가능한 데이터로만 빅데이터를 구축할 수 있다는 답을 얻었다. 사용자 분석을 통해서는 근로자의 업무에 따라 제조 데이터를 모니터링하는 것에 대한 견해가 다르다는 인사이트를 발견하였다. 따라서 외부에서 접근하는 모바일 인터페이스의 경우 모든 이해관계자에게 같은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아닌 권한별로 획득 가능한 정보가 달라야 하고, 인터페이스 또한 사용자 유형에 따라 각각 맞춤형으로 구성되어야 한다는 결론을 얻었다. 본 연구는 제조 데이터 분석 플랫폼과 그 사용자와 사용자가 사용하게 될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기초 연구이다. 이 연구를 통해 전체 시스템의 사용성을 높여, 장비의 상시 관리와 생산품의 품질관리에 기여하여 창원 국가산업단지가 스마트산단으로 거듭나 단지 내 중소기업의 경쟁력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The government has selected Changwon National Industrial Complex as a smart industrial complex and has expanded various support policies to spread smart factories. However, SMEs are hesitant to introduce new systems due to increased costs, lack of understanding, poor technical reliability, and inconvenience in use. Among them, the inconvenience of use is a big reason why the introduction of this service is delayed. The mobility of the essential systems is being delayed, and structural studies of mobile interface research for smart factories are not enough yet. This study explored the problems and solutions by applying the service design methodology to solve the hesitation and low reliability of the technology level when the manufacturing plant of SMEs adopts the smart factory system. We also conducted a user study to derive insight into the structure of the customized interface for the mobile version of the platform. First, we studied smart factory and manufacturing data analysis platform technology, and researched the reality of smart factory adoption by SMEs. After defining the smart industrial complex, we conducted a face-to-face survey. In the field survey, the equipment management status of SMEs in Changwon National Industrial Complex was observed, and an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for factory workers and experts. The data collected through the survey were analyzed using the service design methodology, and the users were categorized and the personas set up.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expert interviewer found that manufacturing data can be selectively collected using technical methods, and big data can only be constructed with data that is open to the public due to security issues. In our analysis of users, we found that workers’ views on monitoring manufacturing data differed by their job. Therefore, in the case of the mobile interface, it is not necessary to provide the same information to all stakeholders, but the information shown by each authority should be different, and the interface design should be customized according to the user type. This study is a basic research on manufacturing data analysis platform and user application. Through this research, it is intended to help the SMEs’ competitiveness in the complex by increasing the usability of the system, contributing to the constant management of equipment and quality control of the products.

      • KCI등재

        Escherichia coli에서 효소활성을 지닌 Human HtrA3 단백질 제조와 HtrA Serine Protease 1, 2와의 효소활성 비교

        김지환,김구영,남민경,김상수,임향숙,Kim, Ji-Hwan,Kim, Goo-Young,Nam, Min-Kyung,Kim, Sang-Soo,Rhim, Hyang-Shuk 한국미생물학회 2009 미생물학회지 Vol.45 No.4

        본 연구에서는 Human HtrA3 (HtrA3)의 효소활성을 분자수준에서 연구하기 위해 HtrA간의 상동성과 기존에 알려진 maturation site들을 비교 분석하여 예상 mature HtrA3인 M1-HtrA3와 M2-HtrA3를 발현하는 construct를 제작하였다. pGEX system을 통해 Top10 균주에서 발현, 정제한 M1-HtrA3 단백질은 $10{\mu}g$/L를 정제할 수 있었으며 발현량 대비 1%를 회수할 수 있었다. M2-HtrA3는 M1보다 5배 가량 많은 양을 정제할 수 있었으며 발현량 대비 회수율은 3배 정도 더 높았다. $\beta$-Casein을 이용한 in vitro cleavage test를 통해 M1, M2 form 모두 protease 활성을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beta$-casein cleavage를 통해 HtrA serein protease들 간의 상대적인 활성을 비교한 결과, HtrA3와 HtrA2는 HtrA1보다 약 2배 더 높은 proteolytic cleavage 활성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 정립한 protease 활성을 지닌 HtrA3의 제작과 정제 조건은 HtrA3의 substrate를 탐색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을 것이며, HtrA3 연관된 질환의 발병기전과 세포 신호전달을 이해하는 연구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o elucidate HtrA3's functional roles in the HtrA3 mediated cellular processes,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its biochemical characteristics. In the present study, we constructed the plasmids encoding putative mature HtrA3 proteins (M1-HtrA3 and M2-HtrA3) based on the putative maturation sites of highly homologous HtrA1 and mouse HtrA3. We used the pGEX bacterial expression system to develop a simple and rapid purification for the recombinant HtrA3 protein. Although yields of the mature HtrA3 proteins were slightly low as 10~50 ${\mu}g$/L, the amounts and purity of M1- and M2-HtrA3 were enough to investigate their proteolytic activities. The putative mature HtrA3 proteins have proteolytic activity which could cleave $\beta$-casein as an exogenous substrate. We compared the proteolytic activity between the HtrA family, HtrA1, HtrA2, and HtrA3. The cleavage activity of HtrA3 and HtrA2 were 2 folds higher than that of HtrA1, respectively. Our study provides a method for generating useful reagents to identify natural substrates of HtrA3 in the further studies.

      • KCI등재

        Fibroblasts 세포주의 세포골격에서 아르곤 플라즈마의 효과

        한지혜(Ji-Hye Han),남민경(Min-Kyung Nam),김용희(Yong-Hee Kim),박대욱(Dae-Wook Park),최은하(Eun Ha Choi),임향숙(Hyangshuk Rhim) 한국생물공학회 2012 KSBB Journal Vol.27 No.5

        Argon-plasma jet (Ar-PJ) is generated by ionizing Ar gas, and the resulting Ar-PJ consists of a mixture of neutral particles, positive ions, negative electrons, and various reactive species. Although Ar-PJ has been used in various biomedical applications, little is known about the biological effects on cells located near the plasma-exposed region. Here,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he Ar-PJ on actin cytoskeleton of mouse embryonic fibroblasts (MEFs) in response to indirect as well as direct exposure to Ar-PJ. This Ar-PJ was generated at 500 mL/min of flow rate and 100 V electric power by our device mainly consisting of electrodes, dielectrics, and a high-voltage power supply. Because actin cytoskeleton is the key cellular machinery involved in cellular movement and is implicated in regulation of cancer metastasis and thus resulting in a highly desirable cancer therapeutic target, we examined the actin filament architectures in Ar-PJ-treated MEFs by staining with an actin-specific phalloidin labeled with fluorescent dye. Interestingly, the Ar-PJ treatment causes destabilization of actin filament architectures in the regions indirectly exposed to Ar-PJ, but no differences in MEFs treated with Ar gas alone and in untreated cell control, indicating that this phenomenon is a specific cellular response against Ar-PJ in the live cells, which are indirectly exposed to Ar-PJ. Collectively, our study raises the possibility that Ar-PJ may have potential as anti-cancer drug effect through direct destabilization of the actin cytoskeleton.

      • KCI등재

        HtrA2 유전자가 결손된 mouse embryonic fibroblast 세포주의 형태학적 특징 및 세포사멸 자극에 대한 감수성 조사

        이상규(Sang-Kyu Lee),남민경(Min-Kyung Nam),김구영(Goo-Young Kim),임향숙(Hyangshuk Rhim) 한국생명과학회 2008 생명과학회지 Vol.18 No.4

        High-temperature requirement protein A2 (HtrA2)는 대장균에서 42도 노출 시 세포 보호 기능을 하는 단백질인 HtrA의 human homologue로 동정되었다. 현재까지 human HtrA2는 미토콘드리아에 존재하는 serine protaese로 세포사멸 기능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그 생리적 기능 및 mammalian 세포 내에서 heat shock에 대한 보호기능에 대해서 명확히 알려진 바가 없다. 최근 HtrA2 유전자가 결실된 mouse embryonic fibroblast (MEF)가 보고되어 세포 내 HtrA2의 기능 연구가 가능해 졌으나, 이 세포에 대한 정보가 많은 부분 밝혀져 있지 않다. 생리기능연구를 위해서는 자체의 특성들에 대한 조사가 선행되어야 차후 기능연구가 가능할 것이다. 본 연구는 HtrA2<SUP>+/+</SUP>, HtrA2<SUP>-/-</SUP> MEF 세포주를 확보하고, 두 세포주의 성장속도, 세포 형태 및, heat shock에 의한 세포사멸 정도를 측정하였다. 우선 HtrA2<SUP>+/+</SUP>, HtrA2<SUP>-/-</SUP> MEF 세포주에서 HtrA2의 발현 유무를 PCR과 IB로 확인하였고, fractionation을 통해 HtrA2<SUP>+/+</SUP> 세포주에서만 HtrA2가 미토콘드리아에 위치함을 확인하였다. 두 세포에서 형태학적인 차이가 있음을 Coomassie staining으로 확인하였고, 성장속도 또한 HtrA2<SUP>-/-</SUP> 세포주가 1.4배 빠름을 확인하였다. 현재까지 보고되지 않은 HtrA2의 고온에 대한 반응연구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heat shock 자극에서 세포사멸을 측정하여, 기존에 알려진 세포사멸자극에서와 동일하게 heat shock에 의해서도 세포사멸이 야기됨을 확인하였다. HtrA2<SUP>+/+</SUP>와 HtrA2<SUP>-/-</SUP> MEF 세포주를 이용한 연구에 있어, HtrA2 유무에 따른 세포의 생리학적 특징을 제공하였고, 향후 heat shock에 의한 세포사멸에서의 HtrA2 기능연구를 위한 중요한 기본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HtrA2의 기능을 심도있게 연구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좋은 자료가 될 것이다. High-temperature requirement A2 (HtrA2) has been known as a human homologue of bacterial HtrA that has a molecular chaperone function. HtrA2 is mitochondrial serine protease that plays a significant role in regulating the apoptosis; however, the physiological function of HtrA2 still remains elusive. To establish experimental system for the investigation of new insights into the function of HtrA2 in mammalian cells, we first obtained HtrA2<SUP>+/+</SUP> and HtrA2<SUP>-/-</SUP> MEF cells lines and identified those cells based on the expression pattern and subcellular localization of HtrA2, using immunoblot and biochemical assays. Additionally, we observed that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HtrA2<SUP>-/-</SUP> MEF cells are different form those of HtrA<SUP>2+/+</SUP> MEF cells, showing a rounded shape instead of a typical fibroblast-like shape. Growth rate of HtrA2<SUP>-/-</SUP> MEF cells was also 1.4-fold higher than that of HtrA2<SUP>+/+</SUP> MEF cells at 36 hours. Furthermore, we verified both MEF cell lines induced caspsase-dependent cell death in response to apoptotic stimuli such as heat shock, staurosporine, and rotenone. The relationship between HtrA2 and heat shock-induced cell death is the first demonstration of the research field of HtrA2. Our study suggests that those MEF cell lines are suitable reagents to further investigate the molecular mechanism by which HtrA2 regulates the balance between cell death and survival.

      • KCI등재

        Zebrafish 동물모델에서 human HtrA2의 expression system 정립에 관한 연구

        조성원,박효진,김구영,남민경,김호영,고인호,김철희,임향숙,Cho, Sung-Won,Park, Hyo-Jin,Kim, Goo-Young,Nam, Min-Kyung,Kim, Ho-Young,Ko, In-Ho,Kim, Cheol-Hee,Rhim, Hyang-Shuk 한국생명과학회 2006 생명과학회지 Vol.16 No.4

        Mitochondrial serine protease로 알려진 human HtrA2 (hHtrA2)는 apoptosis 유도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hHtrA2가 motor neuron degeneration과 관련이 있다는 최근 연구 결과가 있으나, hHtrA2의 생리적 기능은 아직 명확하게 밝혀져 있지 않다. 이와 같이 생체내에서 필수적인 업무를 담당하는 hHtrA2의 기능을 심도 있게 연구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동물모델 시스템이 필요하나 이에 대한 연구도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hHtrA2의 기능 분석을 위한 기본적인 실험으로 zebrafish라는 동물모델을 선택하여 hHtrA2의 발현 시스템을 정립하였다. 먼저 zebrafish에 hHtrA2를 발현시키기 위하여 zebrafish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발현 시스템인 pCS2+ vector에 hHtrA2와 GFP를 cloning하고 plasmid를 HEK293 cell에 transfection한 후, hHtrA2-GFP fusion 단백질의 발현을 immunoblot과 immunofluorescence staining assay로 확인한 바 약 64 kDa의 hHtrA2 단백질의 발현을 확인할 수 있었다. Zebrafish에서 hHtrA2-GFP fusion 단백질의 발현양상은 immunofluorescence microscope으로 확인하였다. hHtrA2-GFP DNA와 mRNA를 zebrafish embyro에 microinjection하여 두 가지 component의 발현을 비교 분석한 결과, DNA는 dot 형태로 mRNA는 몸 전체에 퍼져보이는 형태로 발현 양상의 차이는 있었으나 둘 다 zebrafish embryo에서 잘 발현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음 DNA를 주 component로 microinjection하여 zebrafish embryo에서 발현을 확인한 결과 hHtrA2는 72 hpf 까지 발현이 지속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정립한 hHtrA2의 zebrafish 발현 조건은 앞으로 zebrafish에서 hHtrA2의 생리적 기능을 심도있고 정확하게 연구하는 데 있어 기본적인 자료로 활용 할 수 있을 것이다. HtrA2/Omi, a mitochondrial trypsin-like serine protease, is pivotal in regulating apoptotic cell death. Several lines of recent evidence suggest that HtrA2 is associated with the pathogenesis of neurodegenerative disorders; however, the physiological function of HtrA2 still remains elusive. For studying physiological function of HtrA2 in depth,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uitable expression system in the model animal. We therefore utilized the zebrafish as a model animal to establish expression of human HtrA2 (hHtrA2) in vivo. For expression of mature HtrA2 as GFP fusion in zebrafish embryos, the HtrA2 (WT) or (S306A) cDNAs with the C-terminal GFP tag were inserted into the pCS2+ plasmid. Expression patterns of HtrA2 in HEK293 cells were first monitored by immunofluorescence staining and immunoblot assays, showing approximately 64 kDa of the HtrA2-GFP fusion proteins. Subsequently, the hHtrA2 plasmid DNA or in vitro transcribed mRNA was microinjected into zebrafish embryos. The expression patterns of HtrA2 in Zebrafish embryos were monitored by GFP fluorescence in 24 hours-post-fertilization (hpf). Although expression patterns of HtrA2-GFP in developing embryos were different between the injected DNA and mRNA, both nucleic acids revealed good expression levels to further study the physiological role of HtrA2 in vivo. This study provides a suitable condition for expressing hHtrA2 in the zebrafish embryos as well as a method for generating useful system to investigate physiological properties of the specific human gen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