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비만 남성의 감초추출물 섭취가 지구성 운동 시 지방 산화율과 인슐린 저항성에 미치는 영향

        남경모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목적 : 본 연구는 비만 남성의 감초추출물 섭취가 지구성 운동 시 지방 산화율과 인슐린 저항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방법 : 연구대상은 체지방율 25%이상인 비만 남자 대학생 (n=8)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실험처치는 10일간 하루 3회 (3)캡슐씩 감초추출물을 처치하였고, 섭취전과 10일 후에는 지구성 운동 (트레드밀, 6km/h, 60min)을 실시하였다. 혈액은 2회 (섭취전, 10일후) 채취하였고, 운동전, 운동 후 30분, 60분, 회복기 30분, 60분에 혈액 채취하였다. 섭취 5일 후에는 경구당부하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채취한 혈액은 혈당, 인슐린, 항산화 효소를 분석하였고, 에너지 산화율은 호흡가스분석기 (MAX-2)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 : 호흡교환율은 두처지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과 탄수화물 산화율은 처치 간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처처 내에서는 운동전과 비교하여 운동 후 지방은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으며 (p<.05), 탄수화물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p<.05). 공복시 혈당과 인슐린은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구당부하검사시 혈당과 인슐린은 10일 섭취 후 두처치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항산화 효소는 감초 섭취 후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감초 추출물 (glabridin) 섭취는 지구성 운동 시 지방 산화율과 인슐린 저항성, 항산화 효소 활성에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5일간 감초추출물 섭취 후 경구당부하검사에서는 혈당과 인슐린이 감소하는 경향을 볼 수 있었다. 그러므로, 추후 감초성분, 함량, 투여기간 등을 고려한 연구과제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glabridin intake of obesity upon fat oxidation rate and insulin resistance in endurance exercises. METHODS: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obesity male university students with over 25% of body fat (n=8). They were treated to take glabridin for 10 days with 3 capsules for 3 times per day. Before the intake and after 10 days, endurance exercise (treadmill walking, 6km/h, 60min) was performed. Blood was taken twice (before intake and after 10 days) with before exercise, 30 min and 60 min after exercise and 30 min and 60 min at the period of recovery. After 5 days of intake, oral glucose tolerance test (OGTT) was taken. The collected blood was analyzed for its plasma glucose, insulin and superoxide dismutase (SOD). The energy oxidation rate was measured by using respiratory gas analyzer (MAX-2 Fitio Co., U.S.A). RESULTS: Respiratory exchange ratio (RER)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s to two treatments. There was no difference in fat and carbohydrate oxidation rate, but fat was significantly low after the exercise (p<.05) and carbohydrate was significantly high after endurance exercise (p<.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fasting plasma glucose and insuli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t in plasma glucose and insulin in OGTT for 5 days intake. SOD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 after the intake of glabridin. CONCLUSIONS: The intake of glabridin showed no significant effect on fat oxidation rate, insulin resistance and SOD in endurance exercise. However, there was a tendency of plasma and insulin reduction in OGTT 5 days after the intake of glabridin.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o take a further study to consider ingredients of glabridin, contents and intake duration.

      • Full Vehicle Model을 이용한 CTIS 장착 차량의 진동 특성 연구

        남경모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rime function of CTIS mounted on a vehicle is to control the tire pressure to maintain the suitable surface contact according to road conditions and velocity of a vehicle. CTIS is recently adopted to improve off-road maneuverability of a domestic military vehicle and bulletproof vehicles. However, in various road conditions, the difficulty in determining the suitable tire pressure considering weight and structure of the vehicle has been existed. In this paper, Full Vehicle Model (FVM) having 11 degrees of freedom with Central Tire Inflation System(CTIS) has been developed for a large vehicle which has 8×8 wheels×driving wheels to solve these problems. Appropriateness of the developed FVM is validated via road tests through a single bump, washboard and impulse test. New method to determine the suitable tire pressure considering vibration response characteristic for various operating modes(i.e. highway, country, and mud/sand/snow modes) and criterion to limit the velocity for each modes based on road test results are proposed. Moreover, five case studies had been performed using developed FVM. The first, simulated results of natural frequency and vibration responses caused by design modification are presented. The second, resonance effects due to varying velocities of the vehicle driven on a single bump have been simulated. The third, the vibration responses for different tire pressures can be easily shown using the generated road profile on the same velocity. The forth, the vibration response for uneven lateral inputs has been simulated and compared with that for even inputs on a single bump. The fifth, parameter sensitivity analyses for acceleration of the vehicle body and wheel travel had been performed. Through these simulations usefulness of developed FVM has been proved.

      • 2차 에너지산업의 기술적 효율성 국제비교 및 결정요인 분석에 관한 연구

        남경모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지식기반기술에너지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31

        Amid unfavorable external conditions such as the prolonged trend of high oil prices exceeding USD 100 per barrel and the international community's tightening of regulations on climate change, it has become an important agenda for the energy industry to enhance productivity and technical efficiency to reduce both energy input and greenhouse gas emission. Since Korea is a country that depends heavily on imported energy, enhancing energy efficiency has become an imperative to reduce the cost of energy and more effectively respond to the growing global pressure to reduce greenhouse gas. Therefore, in this study, the technical efficiency of Korea's energy industry was analyzed and compared with that of other countries including the U.S. and Europe. Also, an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factors that influence technical efficiency. Through such efforts, this study seeks to identify the technical efficiency of Korea's energy industry and suggest a solution to enhance technical efficiency, and thereby contribute to strengthening the competitiveness of Korean companies, industries, and the nation as a whole. For this purpose, among the data on the productivity of 72 industries in 25 countries released annually by EU KLEMS, secondary energy industry related data from 1985 to 2005 were collected. Based on the collected data, the technical efficiency of the countries were analyzed, in addition to the factors that influence technical efficiency.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secondary energy industry of the countries, and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secondary energy industry was redefined as the coke, redefined petroleum and nuclear fuel industries and the electricity, gas and water supply industries. A stochastic frontier production model using panel data, which is a parametric analysis method, was used as the model to estimate technical efficiency. In estimating technical efficiency, the focus of analysis was placed on the inefficiency of input. Input included labor (total labor input hours), capital (compensation for capital) and energy (energy input), and total output was used for output. Also, for the analysis model, a phase 1 model that estimates technical efficiency and efficiency-determining factors through a single model was used. According to the technical efficiency estimation results, the average technical efficiency of 16 countries changed from 0.9676 in 1985 to 0.9490 in 2005, and the average technical efficiency during the same period was 0.9636, which was close to the perfect efficiency level of 1. When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at of Korea, Korea's average technical efficiency was 0.9820 in 1995, which was 0.0206 higher than the average technical efficiency of all countries. However, Korea's technical efficiency decreased to 0.9060, which was lower than the average technical efficiency of all countries by 0.0463. It is estimated that there are two factors attributable to this result. First, Korea's capital intensity declined at a similar rate to technical efficiency. The energy industry is an industry that is more capital intensive than labor intensive, and in this regard, a decrease in capital intensity means that technical efficiency may decrease as well. The second is currency effects. Since the Asian financial crisis of 1997, won-dollar currency rates have remained higher than the past, and currency rates were considered when labor and capital input were calculated into dollar currency for international comparison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refore, labor and capital input may have been underestimated, resulting in a decrease in technical efficiency figures. A comparison between the technical efficiency of Korea and that of five countries - Japan, the U.S., France, Germany and the U.K. - showed a decrease in technical efficiency in all six countries from 1991 to 2005. In particular, since 2003, all six countries showed a steep decline. The cause is estimated as the decrease in capital ratio, increase in low quality labor and reduction in R&D investment. To study the change in technical efficiency by period, the analysis period from 1991 to 2005 - the period for which comparable data was available - was divided into before and after the Asian financial crisis of 1997. The first half was from 1991 to 1997 and the second half was from 1997 to 2005. Among the 16 countries, 14 countries excluding Korea and Australia had an average technical efficiency of 0.9644 and the increase rate was 0.06%. The average technical efficiency in the second half was 0.9633, which was similar to that of the first half. However, the increase rate in the second half was -0.16%. Korea's average technical efficiency in the first half was 0.9824, outperforming the average of the 14 countries by 0.018, but in the second half, average technical efficiency steeply declined to 0.9505, which was 0.128 lower than the average of 14 countries. Korea posted a decrease of 0.0786 in the first half but in the second half, the decrease rate further declined to almost 1%. To analyze the difference in technical efficiency by region, the 16 countrie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regional groups - Europe, Anglo-America and Asia. In Europe and Anglo-America, technical efficiency remained stable near 0.96. In Anglo-America, technical efficiency also remained stable, fluctuating by a small margin every year and declining slightly since 1999. However, Asia - Korea and Japan - posted a high technical efficiency close to 1 in 1985 but showed a decline every year after 1985. Since 1995, the decrease in technical efficiency became steeper. During this period, Japan's technical efficiency decreased but the minimum remained at the 0.95 range up to 2005. However, because Korea's technical efficiency decreased significantly, the average technical efficiency of the Asia region also decreased. Lastly, to analyze the factors determining technical efficiency, the following variables 최근 들어 배럴당 100달러가 넘는 고유가 상황 장기화, 기후변화에 대한 국제적인 규제 등의 외부환경 하에서 생산성과 기술적 효율성을 높여 에너지 투입을 줄임과 동시에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는 것이 에너지 산업의 중요한 의제 중 하나가 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처럼 전형적인 에너지 해외 의존국은 점점 높아져 가는 에너지 비용을 조금이라도 줄이고, 온실가스에 대한 국제적 압력을 피해가기 위해서는 에너지 생산의 효율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제조업 중심의 우리나라 2차 에너지 산업의 기술적 효율성을 분석하고, 유럽, 미주 등 세계 여러 나라들과 기술적 효율성의 수준을 국제 비교한 후 어떠한 요인들에 의해 기술적 효율성이 영향을 받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 2차 에너지산업 효율성의 현 위치와 기술적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 기업, 산업, 나아가 국가 차원의 경쟁력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EU KLEMS에서 매년 발표하는 전 세계 25개 국가, 72개 산업의 생산성 관련 자료를 바탕으로 1985년부터 2005년까지 21년간의 2차 에너지 산업 관련 자료를 선별하여 기술적 효율성을 국제 비교한 후, 기술적 효율성이 어떤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은 국가 단위의 2차 에너지 산업이며, 이 때 2차 에너지 산업은 72개 산업 중 석탄, 석유정제, 핵연료(coke, refined petroleum and nuclear fuel)와 전기, 가스, 물 공급(electricity, gas and water supply) 산업의 합으로 재정의하였다. 기술적 효율성 추정을 위한 모형으로는 모수적 분석방법인 패널자료를 활용한 확률적 프론티어 생산함수 모형(stochastic frontier production model)을 이용하였다. 기술적 효율성은 투입물 기준의 비효율성에 초점을 맞추고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이때 투입물은 노동(노동에 대한 보상), 자본(자본에 대한 보상)이며, 산출물은 부가가치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분석모형은 기술적 효율성과 효율성 결정요인 분석을 하나의 모형에서 추정하는 ‘한 단계 모형’을 사용하였다. 기술적 효율성을 추정한 결과, 전체 16개 국가의 기술적 효율성의 평균은 1985년에 0.9676에서 2005년에 0.9490이었고, 같은 기간 동안의 평균은 0.9636으로 완전효율적인 수준인 1에 근접했다. 이 결과를 우리나라와 비교해 보면, 우리나라는 1995년에 0.9820으로 전체 기술적 효율성 평균에 비해 0.0206만큼 높았다. 그러나 2005년에는 우리나라의 기술적 효율성이 0.9060까지 하락하면서 전체 평균에 비해 오히려 0.0463만큼 효율성이 더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에는 두 가지 원인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하나는 우리나라의 자본집약도가 기술적 효율성과 비슷한 추세로 같이 하락해 왔다. 에너지 산업의 특성상 노동보다는 자본집약도가 높은 산업인데, 자본집약도가 낮아졌다면 그만큼 기술적 효율성도 함께 하락할 가능성이 높다. 두 번째는 환율 효과이다. 1997년 IMF 금융위기 이후 환율이 그 이전에 비해 높은 수준으로 유지되었는데, 본 연구에서 국제비교를 위해 노동과 자본 투입을 달러화 가치로 환산하는 과정에서 환율이 고려되었기 때문에 노동과 자본 투입량이 실제보다 과소평가되면서 기술적 효율성이 하락하는 것처럼 보이도록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 일본, 미국, 프랑스, 독일, 영국 등 주요 5개국과 우리나라의 기술적 효율성을 비교한 결과, 전체적으로 6개 국가 모두 1991년부터 2005년까지 기술적 효율성이 하락하였고, 특히 2003년부터는 6개 국가 모두 기울기가 급하게 하락하였다. 그 이유는 국가별로 자본비율 감소, 저급노동의 증가, 연구개발투자 감소 등에 원인이 있는 것으로 추측된다. 기간별로 기술적 효율성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비교 데이터가 가용한 1991년부터 2005년까지 분석기간을 우리나라 IMF 금융위기가 있었던 1997년을 기준으로 전후로 나누어 1991년부터 1997년까지를 전반기, 1997년부터 2005년까지를 후반기로 구분하여 분석해 보았다. 우리나라와 호주를 제외한 14개 국가의 전반기 기술적 효율성 평균은 0.9644, 증가율은 0.06%였는데 반해, 후반기의 기술적 효율성은 전반기와 큰 차이 없는 0.9633이었으나, 증가율은 –0.16%로 마이너스를 기록하였다. 한편, 우리나라는 전반기의 기술적 효율성 평균은 0.9824로서 전체 14개 국가의 평균보다 0.018만큼 상회하였으나, 하반기에는 크게 감소한 0.9505로 전체 평균보다 0.128만큼 낮아졌다. 증감률로 보더라도 한국은 전반기에도 증가율이 –0.0786으로서 마이너스를 기록하였는데, 하반기에는 증가율이 거의 1%에 가깝게 하락한 점이 특징적이었다. 지역별로 효율성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16개 국가를 유럽(Europe), 영미(Anglo-America), 아시아(Asia) 등 세 그룹으로 나누어 비교해 보았다. 유럽과 영미권은 기술적 효율성이 0.96 근처에서 아래위로 변동하면서 안정적인 추세를 보였다. 영미권도 유럽과 큰 차이 없이 연도별로 등락하면서 안정세를 보이다가 1999년부터 소폭의 하락세를 기록하였다. 그러나 일본과 우리나라로 구성된 아시아는 1985년에 거의 1에 가까울 정도로 높은 기술적 효율성을 보여

      • 리튬이차전지용 삼성분계 양극의 친환경적 합성 및 계면안정화를 통한 고전압 특성 향상

        남경모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re has been an increasing demand for the development of high-voltage and high-capacity cathode materials for higher energy density lithium-ion batteries than current ones, which are being adapted in electric vehicles and energy storage systems. The Ni-rich materials of LiNi1-x-yCoxMnyO2 (0 ≤ x ≤ 1, 0 ≤ y ≤ 1) (NCM) have been extensively studied as attractive cathode materials due to lower cost, less toxicity, higher thermal stability and higher operation voltage than the single-component materials. Its performance is however often difficult to be realized, in particular, at high voltage operation (> 4.3 V vs. Li/Li+), due to severe oxidative decomposition of conventional electrolyte. For the synthesis of NCM active materials, the use of coprecipitate precursor, which possesses homogenous elemental distribution and specific particle morphology for high tap density, is one of the most efficient routes. Although ammonia water is widely used as a coprecipitating agent, it is ill-smelling and produces environmentally unfriendly nitrogen-containing chemical wastes. Coprecipitation without the use of ammonia water is highly desirable. We studied the replacement of ammonia with citric acid as a chelating agent for eco-friendly and cost-effective process. The pH of coprecipitation was determined from solubility and complex formation diagrams calculated using solubility products and formation constants. By varying the relative ratio of citric acid to metals, the optimized particle morphology, size and robustness of the precursor were obtained. The cathode material LiNi0.5Co0.2Mn0.3O2, prepared using the hydroxide coprecipitate precursor, showed a good charge–discharge cycling performance in lithium cells, delivering high capacity and cycling stability (≥94% retention) at 3.0–4.3 V as well as upon high-voltage operation at 4.6 V. Furthermore, the interfacial origin of performance improvement and fade of high-voltage cathodes of LiNi0.5Co0.2Mn0.3O2 for high-energy lithium-ion batteries has been investigated. Performance improvement was achieved through interfacial stabilization using 5 wt % methyl (2,2,2-trifluoroethyl) carbonate (FEMC) of fluorinated linear carbonate as a new electrolyte additive. Cycling with the FEMC additive at 3.0−4.6 V versus Li/Li+ results in the formation of a stable solid electrolyte interface (SEI) layer and effective passivation of cathode surface, leading to improved cycling performance delivering enhanced discharge capacities to 205−182 mAhg−1 and capacity retention of 84% over 50 cycles. The SEI layer notably includes plenty of metal fluorides and −CF-containing species formed by additive decomposition. On the contrary, the origin of performance fade in electrolyte only was ineffective surface passivation and dissolution of metal elements, which leads to oxygen loss, surface structural degradation and crack formation at the LiNi0.5Co0.2Mn0.3O2 particles. The data provide a basic understanding of the interfacial stabilization mechanism on high-voltage layered oxide cathodes.

      • 실내 측위 시스템을 위한 합성곱 신경망 기반의 거리 추정

        남경모 한밭大學校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실내 측위 시스템을 위한 합성곱 신경망 기반의 거리 추정 기법을 제안한다. 삼변 측량을 기반으로 하는 측위 시스템을 고려하였으며 초광대역 신호를 사용하여 모의실험과 현장 실험을 수행하였다. 제안하는 합성곱 신경망 모델을 통해 수신 신호로부터 송신기와 수신기의 거리를 추정한다. 합성곱 신경망 모델의 학습 데이터와 검증 데이터는 IEEE 802.15.4a 표준의 초광대역 채널 모델을 통해 생성한 수신 신호를 사용한다. 그리고 실내 환경과 실외 환경에서의 실험을 통해 수집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거리 추정 성능을 확인한다. 또한, 기존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문턱값 기반의 거리 추정 기법과의 비교를 수행함으로써 제안하는 기법의 성능을 검증한다. 검증 데이터를 사용한 모의실험 결과에 따르면 제안하는 기법은 기존 기법보다 SNR과 송수신기 거리에 대해 거리 추정 성능이 우수하다. 실험 데이터를 사용하여 성능을 검증한 결과, 제안하는 기법은 송신기와 수신기 사이의 거리와 다양한 SNR 환경에서 우수한 성능을 보인다. 또한, 제안하는 기법은 송수신기 거리가 먼 경우 기존 기법보다 상대적으로 우수한 거리 추정이 가능하다.

      • 일원배치법을 이용한 범주 Grouping

        남경모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금융, 제조, 의료 등 다양한 산업에서 통계적 모형을 수립함에 있어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변수를 찾아내는 것에 큰 관심을 가져왔다. 이 때, 독립변수의 범주가 많다면 변수를 선택, 해석, 적용하기에는 큰 어려움이 따른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방법으로 모형의 정보손실을 최소화하며 범주를 그룹화 하도록 일원배치법을 이용한 범주 grouping을 연구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그룹 수, 관측 수, 분산에 따른 grouping의 정확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독일 신용자료를 이용하여 일원배치법을 이용한 범주 grouping의 성능을 비교한 결과, 기존모형에 비해 개선된 점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