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신라인의 동물관(動物觀)과 불살생계(不殺生戒)

        나희라 한국종교학회 2019 宗敎硏究 Vol.79 No.2

        Animals have been important human companions since the hunting and gathering age. Humans used to consider an animal an equal entity cohabiting the world. However, as agriculture and livestock breeding progressed, the humans’ perception of animals changed. It became acceptable to exploit and kill animals for the sake of human well-being and convenience. Animal life and suffering was not given any thought. Later, Buddhism, which taught to cherish all living things, entered Silla society and propagated that the life and suffering of animals should be treated on par with that of human beings. Buddhism explained that all living things have souls, feel desire and pain, and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reincarnation; hence, humans should not kill and eat animals. The stories of misfortune befalling on those who abused, killed, or ate animals clearly conveyed this teaching to the general public. The stories of the commandments of non-killing in Silla are about monks who took that path to repent their hunting activities. Silla people seemed to think that hunting was the most dramatic and violent way to kill animals. Wongwang[圓光] taught that, when it came to killing animals, it was important to carefully select the animal to be killed and decide on the time to do so. This teaching-promoting hunting as a play was worthy of criticism. The stories that criticize hunting as a play among the Silla people’s hunting stories seem to be related to this teachings. Buddhism affected the attitude of the Silla people toward animals and expanded their bioethics. So, some people chose to take up monkhood to repent their killings, while others, without leaving their home, tried not to kill animals or eat meat. Thus, non-killing and not eating meat was regarded as the first step to becoming an ideal human being. 수렵채집시대 이래 오랫동안 동물은 인간의 중요한 파트너였다. 인간은 동물이 인간과 함께 세계를 구성하는 동등한 존재라고 여겼다. 그러나 농경과 가축 사육이 진전되면서 동물에 대한 인식도 달라졌다. 동물은 인간의 이익과 편의를 위해 사육되고 착취되며 마음대로 살해되어도 무방한 존재 가 되었다. 그런데 모든 유정적 존재가 영혼을 가지고 있고 생명의 욕구와 고통을 느끼며 윤회를 통해 그 존재들이 서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동물을 죽이고 먹어서는 안 된다는 불교의 가르침이 전해졌다. 이 가르침은 동물을 학대하거나 죽이고 먹으면 벌을 받는다는 인과응보담으로 만들어져 생생하게 일반인에게 전달되었다. 신라에서 살생하지 말라는 가르침과 관련한 이야기는 주로 사냥에서 동물을 살해한 경험으로 참회하고 깨달음을 얻어 출가를 했다는 승려들에 관한 것이다. 신라인이 불살생계를 접했을 때 가장 극적이며 폭력적인 동물 살해의 행위인 사냥을 문제로 삼았기 때문이었던 것 같다. 원광은 세속오계 가운데 인간과 동물 사이에서 벌어지는 살생의 문제를 ‘살생유택’이라 하여, 동물 살해는 시기와 대상을 가려서 신중하게 하라고 가르쳤다. 놀이로 행한 사냥은 ‘살생유택’의 가르침에 의하면 비판받아 마땅한 것이었다. 신라인의 사냥 이야기 중 놀이삼아 사냥하는 것에 대한 비판적 이야기가 여럿 있는데 이러한 가르침과 무관하지 않다. 불교의 불살생계는 신라인에게 동물을 대하는 태도의 기준을 다시 마련 해주는 것이었다. 이는 신라인의 생명윤리를 확장시켰으며, 이를 실천하는 것은 어떤 사람들에게는 이상적인 인간이 되기 위한 첫 걸음으로 여겨지게 하였다.

      • KCI등재

        울주 천전리 각석과 신라인의 바위신앙

        나희라 동국대학교 WISE(와이즈)캠퍼스 신라문화연구소 2017 新羅文化 Vol.50 No.-

        울주 천전리 각석은 선사시대부터 역사시대에 걸쳐 사람들이 남긴 많은 흔적을 간직한 바위이다. 사람들은 각석이 있는 이곳을 왜 찾았으며 여기서 무엇을 했을까. 특히 하단부의 명문과 세선 각화와 세선 흔적을 남긴 신라인들에게 각석의 의미는 무엇이었을까. 이를 설명하기 위해 특정한 문양을 이루지 않는 쪼기흔이나 세선흔, 명문 가운데서는 單句나 單字에 주목하여 각석에서 이루어진 사람들의 행위를 추적해 보았다. 각석의 단자와 단구들을 살펴보면 새김 빈도가 높은 글자들이 있고, 서로 연관이 되는 것으로 보이는 것들이 있다. 이들을 통해 각석에서 신라인의 ‘맹세’, ‘기자’, ‘기우’에 대한 태도를 읽을 수 있다고 보았다. 바위를 때리거나 선을 긋는 행위는 바위의 생명력을 끌어내고 그 힘을 얻기 위한 것이기도 했음을 여러 민족지를 통해 살펴보았다. 각석의 쪼기흔과 세선흔도 이런 측면에서 볼 수 있다면, 이들은 신라인들이 바위에 맹세나 기자와 같은 기원을 하면서 그것을 보장받기 위한 주술적 행위로써 남긴 흔적의 일부가 아니었을까. 신라인들도 바위로부터 생명이 탄생하고 풍요로운 생산이 가능하다는 생각을 가졌었다. 바위의 문양이나 균열과 같은 흔적은 신성한 존재가 드나드는, 현실세계와 타계를 연결하는 문이라는 생각도 가졌던 듯하다. 신라인들이 바위에서 신성한 힘을 끌어내거나 그것을 옮겨 받기 위해 바위를 대상으로 쪼기나 선긋기와 같은 주술적 행위를 했을 가능성을 충분히 생각해볼 수 있다.

      • KCI등재후보

        고대 한국의 타계관

        나희라 한국고대사학회 2003 韓國古代史硏究 Vol.30 No.-

        The outlook on another world has appeared and developed diversely in human history. Another world was created by human beings in order to overcome or deny the fact of life, so it involved the world of gods, the world of ideal, the world of the dead, and the world of eternal life. Consequently, the outlook on these worlds happened to be confused or repeated with each other in many ancient cultures. The outlook on another world in ancient Korea varied passing through some phases. The concept on the soul of the dead and another world was not concrete at the phase of immature social hierarchy. However, social complexity and specialization led the thought on the fate of humankind and the world after death to be complicated. Additionally, another world was set up in different forms according to social role or status. For example, only the highest class like king and the nobility was thought to be able to go to the heaven, the supreme another world. The outlook on another world changed again greatly in the process of reorganizing social order as a result of expansion of productivity after 4th century. Increasing self-consciousness about human individualization and grope for new social relationship helped universal outlook on another world which emphasized individual's autonomous will and practice show up. Buddhism and Taoism also influenced on this situation.

      • KCI등재
      • KCI등재

        ‘善律還生’ 이야기에 나타난 죄와 구원

        나희라 진단학회 2018 진단학보 Vol.- No.131

        The Buddhist teachings that when they do good works they go to paradise and when they do evil acts they go to hell have provided people with the principles of life. These teachings were delivered to ordinary people mainly through stories and images. The narrative ‘Sŏnyul comes back to life’(Sŏnyul Hwansaeng 善律還生) in Memorabilia of the Three Kingdoms(Samgukyusa 三國遺事) is the story of that kind. Through this story, we can see how the teachings of Hell have been communicated to the public and how they have affected. In the Story “Sŏnyul comes back to life” teaches the following. To produce, carry, or memorize scriptures is good, but to steal property of temple is bad. Bad deeds bring the pain of hell. In order to get relief from this, they should return the stolen property and contribute their possessions to the works at the temple. The Story “Sŏnyul comes back to life” seems to have been written by monks and been circulated as a karma tale of a Buddhist ceremony for the production of sutras and for appreciating the teachings of the sutras. In a story performed in a lifelike manner, sympathetic people willingly contributed their hearts and possessions to the temple for the sake of their own futures. The monk Iryŏn, who was at the center of the Buddhist world at the end of the thirteenth century, took notice of the Buddhist ceremony that was performed in Kyŏngju and its karma tale, recorded it in prose, and put it as an item in Memorabilia of the Three Kingdoms. He said that it is important to protect the property of the temple and to offer to the Three Jewels—the Buddha, Dharma, and Saṃgha—. This can be seen as a projection of the position of the Buddhist world to want to maintain the power by maintaining and expanding the temple economy, in particular Iryŏn’s position, which was intended to lead the Buddhist world. 선한 행위를 하면 극락에 가고, 악한 행위를 하면 지옥에 간다는 불교의 가르침은 불교를 받아들인 사람들에게 삶의 원리를 제공해주는 것이었다. 일반인들에게 이러한 가르침은 주로 이야기나 이미지를 통해 전달되었다. 『삼국유사』의 ‘선율환생’ 이야기는 바로 이러한 이야기이다. 지옥 이야기의 중요한 구성 요소를 잘 갖추고 있는 이 이야기를 통해, 불교가 성행했던 시기에 지옥의 가르침이 어떻게 일반인들에게 전달되었고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살펴볼 수 있다. ‘선율환생’ 이야기에서는 경전을 제작하거나 持誦하는 것은 선행이고 사찰 재산을 도용하는 것은 악행으로, 악행은 지옥고라는 악과를 가져오는데, 이로부터 벗어나는 구원을 얻기 위해서는 도용한 사찰 재산을 돌려주고 佛事에 재물을 시주해야 한다고 가르치고 있다. ‘선율환생’ 이야기는 사원에서 주도하는 경전의 제작과 그 경전의 가르침을 이해하는 불교의례의 인연담으로 승려들에 의해 만들어져 전승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노래와 춤까지 곁들여서 연행되던 이러한 생생한 이야기에 공감한 사람들은 미래의 구원을 위해 기꺼이 불사에 재물을 내어놓았다. 13세기 말 당시 불교 교단의 중심적 위치에 있었던 승려 일연은 옛 신라의 수도 경주에서 거행되던 불교의례와 그 인연담을 주목하고 이를 문자로 기록하여 자신이 편찬하던 『삼국유사』의 한 항목으로 넣었다. 일연은 과거 신라 시대를 배경으로 한 지옥 이야기를 통해 사찰 재산의 보호와 삼보에 대한 공양과 보시의 중요성을 말하였다. 이는 당시 사원 경제를 유지하고 확대함으로써 불교 교단의 정치사회적 권력을 유지하고자 했던 불교계의 입장, 특히 교단을 주도하고자 했던 일연 자신의 입장이 투영된 것이라 볼 수 있다.

      • KCI등재

        A COMMENTARY ON A BUDDHIST TALE: “SŎNYUL COMES BACK TO LIFE” (SŎNYUL HWANSAENG 善律還生) IN MEMORABILIA OF THE THREE KINGDOMS (SAMGUK YUSA 三國遺事)

        나희라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2016 Acta Koreana Vol.19 No.2

        Buddhism introduced the concept of hell to East Asia, and many tales of hell were circulated. The narrative “Sŏnyul comes back to life” accompanied the dissemination of the concept of hell in the Unified Silla period. This story describes suffering in hell as retribution for the unwholesome act of stealing monastery possessions. However, the punishment in hell is not eternal in this story, and one can be saved through performing a memorial service for the dead. Memorial services for the dead are done by making offerings to the Three Jewels—the Buddha, Dharma, and Saṃgha—by giving one’s possessions to monasteries. The story “Sŏnyul comes back to life” seems to have been written by monks and been circulated as a karma tale of a Buddhist ceremony for the production of sutras and for appreciating the teachings of the sutras. Buddhist ceremonies were constructed and performed for the purpose of amassing meritorious virtues and expelling calamities through such things as reading sutras and understanding their content. Among these, dramatic preaching of the dharma was performed to communicate to ordinary people in a more lively and interesting manner than the teaching of the sutras. Animated stories of hell about actual people who could have been the listeners’ own neighbors were performed, and the story of “Sŏnyul comes back to life” seems to have been told at such a ceremony. In a story performed in a lifelike manner, sympathetic people willingly contributed their hearts and possessions to the Buddha, monks, and monasteries for the sake of their own futures.

      • KCI등재
      • KCI등재

        고대의 상장례와 생사관

        나희라 한국역사연구회 2004 역사와 현실 Vol.- No.54

        There was a strange practice in Goguryeo. Goguryeo people prepared cerements for death ritual as soon as they got married. The present people don't understand this practice. So we have not accounted for that. But I attempt to explain that this practice should be related to the ancient world-view. A wedding ceremony had connection with a death ritual in ancient. So they sang a lament song in a wedding ceremony, on the contrary they played a sexual action and sang a song of wedding and danced in funeral rites. Ancient man considered a close connection between death and life. So they regared that true life was premised on death and death was completed by life. These thought is produced from a view on the solidarity of life. According to this world-view, they practiced a wedding ceremony with preparing things for death and a funeral rite with playing a sexual a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