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iO2-ZrO2 복합막을 이용하여 에폭시 합성 부산물에서 ECH/IPA 회수연구

        나혜련,이혜련,서봉국,김의정 한국공업화학회 2016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6 No.0

        에폭시 수지는 열경화성 수지로 기계적 물성, 내약품성, 치수안정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응용분야가 광범위하여 거의 모든 산업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에폭시 수지 합성 공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이 증가하게 되어 원료손실의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부산물 회수 및 정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부산물에서 원료물질 외의 기타물질이 물과 수용성 불순물이기에 이를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SiO2-ZrO2 복합막을 연구하였다. 다공성 α-Al2O3지지체에 α-Al2O3 입자가 분산된 SiO2-ZrO2 sol로 표면개질한 후 SiO2 sol을 이용하여 분리층을 코팅하여 SiO2-ZrO2 복합막을 제조하였다. 제조한 분리막은 에폭시 수지 합성 부산물(Epichlorohydrin(ECH) :IPA:H2O:etc=26:32:16:26)을 공급액으로 사용하여 투과증발 실험한 결과 총투과도 0.3~1.0 kg/㎡·h, 원료물질(ECH/IPA) 투과도 0.001~0.003 kg/㎡·h로 원료물질 손실량이 매우 적음을 나타내었다. 또한 H2O/etc 선택도는 79~3089를 나타내어 H2O/etc가 빠르게 투과됨을 나타내었다. 이를 통해 에폭시 수지 원료물질을 농축 및 회수할 수 있는 분리막 공정의 적용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우리나라 미기록 자생식물: 영암풀(꼭두선이과)

        나혜련,현진오 한국식물분류학회 2016 식물 분류학회지 Vol.46 No.4

        This is a report of an unrecorded species of Hedyotis from Korea, Hedyotis chrysotricha (Palib.) Merr., found in Yeongam-gun, Jeollanam-do. The species can be distinguished from other Hedyotis species by trichomes that cover the entire plant, ovate leaves, mauve or white corolla, and the corolla lobe of which the length measures more than twice its width. The species was named after its findspot and is hence called ‘Yeong-am-pul.’An illustration, description and key to the taxa related to Hedyotis are provided. 전라남도 영암군에서 발견된 Hedyotis chrysotricha (Palib.) Merr.를 우리나라 미기록 자생식물로 보고한다. 본 종은 근연 분류군과 비교하여 전체에 털이 있고, 잎이 난상 타원형이며, 화관은 흰색 또는 연한보라색이고, 화관 열편 길이가 너비보다 2배 이상 긴 특징으로 구분된다. 국명은 최초 발견지 지역명을 고려하여 ‘영암풀’로 명명하였으며, 주요 형질에 대한 도해와 기재, 검색표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한국산 나자스말속(Najas L.)의 수리분류학적 연구

        나혜련,최홍근 한국식물분류학회 2012 식물 분류학회지 Vol.42 No.2

        We conducted principal component analyses using the thirty two quantitative characteristics of Najas from South Korea to examine the morphological variation and diagnostic characteristics. As a result of our investigation and the morphometric analyses, each taxon could be identified using the leaf width, shape of the leaf sheath, number of teeth on the leaf margin, number of anther cells, number of areoles in each longitudinal row of seeds, and the ratio of the areole width to the length. Dioecious Najas marina was clearly distinguished from the other monoecious taxa (N. graminea, N. gracillima, N. minor, N. oguraensis, and N. orientalis) by the larger size of the stem, the leaf, the flower and the fruit. The monoecious taxa could be identified using vegetative characteristics except for N. minor and N. oguraensis, which were distinct from each other according to the locule number in the staminate flower. 국내에 분포하는 나자스말속(Najas L.) 분류군의 형태적 변이를 파악하고 각 분류군의 식별형질을 검토하기 위하여 32개 정량형질을 이용하여 주성분분석을 수행하였다. 나자스말속의 분류군에서 잎의 너비, 엽초의 모양, 엽연의 거치수, 약실의 수, 한 줄에 배열하는 종자의 그물눈 수와 길이의 비 등이 유용한 식별형질로 파악되었다. 자웅이주인 민나자스말(N. marina)은 잎과 줄기, 수꽃과 암꽃, 열매가 대형으로서 자웅동주인 다른 분류군들과 뚜렷하게 구분되었다. 자웅동주인 분류군들 중에서 나자스말(N. graminea), 실나자스말(N. gracillima), 동아나자스말(N. orientalis)은 영양 형질에 의하여 식별이 가능하지만, 톱니나자스말(N. minor)과 큰톱니나자스말(N. oguraensis)은 수꽃에 있는 약실의 수에 의해서만 구분되었다.

      • KCI등재

        나자스말속(자라풀과)의 미기록 식물 2종: 동아나자스말, 큰톱니나자스말

        나혜련,최홍근 한국식물분류학회 2009 식물 분류학회지 Vol.39 No.2

        We report Najas orientalis Triest & P. Uotila and N. oguraensis Miki as unrecorded species from the Korean flora. N. orientalis is distinct from other Najas species in having rounded leaf sheaths and raised testa in the cell walls, and in that this species occurs in the southern region of Korea (Gimhae, Gangjin). N. oguraensis is close to N. minor, but is distinct from this species by having larger male flowers and 4-celled anthers. This species is distributed in the southern region of Korea (Changwon, Jangheung). We also give a new Korean common name for N. gracillima (A. Braun ex Engelm.) Magnus, which is widely distributed in South Korea. A taxonomic key to the six species of Najas is given. 국내에서 채집된 나자스말속(Najas L.) 식물에 대한 형태학적 식별형질을 검토한 결과, 동아나자스말 (N. orientalis)과 큰톱니나자스말(N. oguraensis)이 확인되어 국내 미기록종으로 보고한다. 동아나자스말은 원형의 엽초와 뚜렷하게 튀어나온 외종피세포벽으로서 식별할 수 있으며, 남부지역(김해, 강진)에 분포한다. 큰톱니나자스말은 톱니나자스말(N. minor)과 유사하지만 수꽃이 크고 약실이 4개인 점에서 구별되며, 남부지역(창원, 장흥)에서 확인되었다. 한편, 전국적으로 분포가 확인된 N. gracillima의 국명이 설정되어 있지 않아 실나자스말로 명명하였다. 기존에 보고된 종을 포함한 한국산 나자스말속의 여섯 종에 대한 검색표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열매 특성에 의한 한국산 마름과 큰마름에 대한 분류학적 검토

        나혜련,김창균,정종덕,최홍근 한국식물분류학회 2010 식물 분류학회지 Vol.40 No.2

        We examined the sixteen quantitative characters of Trapa and conducted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for T. japonica Flerow and T. bispinosa Roxb. in South Korea. Trapa bispinosa has been recorded as ‘Ma-reum (T. japonica Flerow)’ in the Korean flora, but this taxon is distinct from T. japonica in terms of width,thickness and upper horns of its nuts.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confirms the morphologically distinct status for the two species. We suggest the common name ‘Keun-ma-reum’ for Trapa bispinosa to the Korean flora. 국내에서 채집된 마름속 식물들을 동정한 결과, 열매가 대형인 Trapa bispinosa Roxb.가 확인되었다. Trapa bispinosa는 국내에서 마름(T. japonica Flerow)으로 동정되어 보고된 바 있으나, 마름속 식물의 중요 식별형질인 열매 형태와 크기에 대한 검토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두 분류군의 열매에 대한 16개 정량형질을 조사하고, 이에 대한 주성분분석을 수행하였다. 열매 형질의 분석 결과, T. bispinosa는 마름에 비하여 열매의 너비와두께가 크고, 열매의 뿔이 길고 비후된 특징을 가진다. 또한 전체 변이의 42.3%를 설명하는 주성분1에 의해서마름과 뚜렷하게 구별되었다. 이번에 조사된 T. bispinosa는 마름과 구별되는 독립된 분류군으로 취급하는 것이타당한 것으로 파악되며 일반명으로 ‘큰마름’을 부여하였다.

      • KCI등재

        한국산 미기록 식물: 낙동나사말(자라풀과)

        나혜련,신현철,최홍근 한국식물분류학회 2008 식물 분류학회지 Vol.38 No.1

        낙동강 수계인 경남의 창녕, 창원, 김해 일대의 저수지, 하천, 수로에서 채집한 자라풀과 (Hydrocharitaceae)의 낙동나사말 (Vallisneria spinulosa S. Z. Yan)을 국내 미기록 식물로 보고한다. 본 분류군은 기존에 보고되어 있는 나사말 [Vallisneria natans (Lour.) Hara]과 동아의 유무, 수술의 수, 웅예 기부의 털의 유무, 암술과 가웅예의 부착상태, 열매와 종자의 모양으로 구별되며, 일본과 중국 남부에 분포하는 V. denseserrulata Makino와 유사하지만 종자에 3 - 5 개의 막질 날개가 있다는 점에서 구분된다. We report Vallisneria spinulosa S. Z. Yan (Hydrocharitaceae) as an unrecorded species from the flora of Korea. This aquatic vascular plant occurs in reservoirs, streams, and ditches at Changnyeong, Changwon, and Gimhae which belong to Nakdong river basin. Vallisneria spinulosa is distinguishable from V. natans (Lour.) Hara already known to Korean flora by the presence of turion and hairs at base of stamen, adnation between pistil and staminodia, the number of stamen, and shape of fruit and seed. V. spinulosa is similar to V. desnseserrulata Makino in the viewpoint of distribution (Japan and southern China), but V. spinulosa has three to five epidermal wings on the surface of seed.

      • 에폭시 수지 제조 공정 부산물 회수를 위한 탈수 복합막 연구

        나혜련,이혜련,서봉국,김의정 한국막학회 2015 한국막학회 총회 및 학술발표회 Vol.2015 No.11

        에폭시 수지는 기계적 물성, 내약품성, 치수 안정성 등이 우수하기 때문에 고기능 소재로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에폭시 수지 제조공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의 양도 증가하여 부산물 내의 원료 물질 회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원료물질을 회수하는 증류/분리막 복합 공정에 적용할 수 있는 탈수용 복합막을 연구하였다. 실리카-지르코니아 졸에 α-알루미나를 분산시킨 코팅용액과 실리카 졸을 이용하여 Dip-coating법으로 실리카 복합막을 제조하였다. 에폭시 공정 부산물인 Epichlorohydrin/IPA/H2O을 이용하여 투과증발 실험한 결과 복합막은 총투과도 0.1∼0.7 kg/m²⋅h, 물의 선택도 50∼110를 나타내었다.

      • KCI등재

        New records of two alien plants, Juncus torreyi (Juncaceae) and Egeria densa (Hydrocharitaceae) in Korea

        정종덕,나혜련,이규송,최영민,조웅래,현진오 한국식물분류학회 2023 식물 분류학회지 Vol.53 No.1

        Naturalized populations of two alien plants were newly found, and we describe their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habitats with photographs. One is a member of Juncaceae, Juncus torreyi Coville, and was newly found at a pool of a beach in Gangwon-do. This rush is native to North America and belongs to the sect. Ozophyllum (subgen. Juncus) according to certai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such as its racemose inflorescence, the absence of floral bracteole, and unitubular leaves with perfect septa. J. torreyi is easily distinguishable from Korean rushes by its long rhizomes with swollen nodes and globular head with 25–100 flowers. Its introduction into Japan and Europe was reported, but the ecological risk associated with its over-dispersal is not known. The other alien plant is a submerged plant, Egeria densa Planch. (Hydrocharitaceae), which was found in streams in Gyeongsangbuk-do and ditches in the Busan-si area, both of which being in the watershed of the Nakdong River. Egeria densa is similar to Hydrilla verticillata (L.f.) Royle, which is native to Korea. However, it is distinguished from H. verticillata by its larger flowers and lack of overwintering organs. This alien plant is native to South America and was introduced for aquarium gardening and naturalized around the world. Egeria densa is treated as a malignant weed due to its asexual reproduction and rapid growth. Size changes and the number of populations of E. densa must be investigated.

      • KCI등재

        영흥도의 식물상

        임용석,나혜련,한병우,서원복,현진오 한국자원식물학회 2015 한국자원식물학회지 Vol.28 No.4

        We have investigated the flora of Yeongheungdo Island in Ongjin-gun, Incheon. A total of 13 separate field trips were carried out from March 2012 to October 2013. As a result, 302 taxa including 80 families, 211 genera, 261 species, 6 subspecies, 31 varieties and 4 forms were identified. These include the following: 1 taxon protected under the Act on the Protection and Management of Wildlife, 3 Korean endemic taxa, 8 floristic indicator species including 2 taxa of grade V, 3 of grade II and 3 of grade I, 33 naturalized taxa with the naturalization rate of 10.9% and 1 northern taxon vulnerable to climate change.

      • KCI등재

        진도(전라남도 진도군)의 관속식물상

        한병우,나혜련,한국식물파라택소노미스트회,현진오 한국자원식물학회 2018 한국자원식물학회지 Vol.31 No.2

        We investigated vascular plants of Jindo Island in Jindo-gun, Jeollanam-do, Korea. A total of 22 field trips were carried out over the course of 48 days from May 2012 to October 2014. As a result, 782 taxa belong to 134 families, 437 genera, 704 species, 11 subspecies, 60 varieties and 7 forms were identified. These include the following: 2 taxa (Drosera peltata var. nipponica, Cleisostoma scolopendrifolium) of Endangered Wildlife Class II under the Act on Wildlife Protection and Management Law. 14 taxa of Korean endemic plants, 53 taxa of floristic regional indicator plants in the third to fifth degrees. In all, 73 taxa of naturalized plants were recorded with the naturalization rate of 9.3%. 진도군 진도의 식물상을 밝히고 주요 식물들의 분포를 파악하기 위해 2012년 5월부터 2014년 10월까지 총 48일, 22회의 현지조사를 수행하였다. 현지조사 결과 조사지역의 관속식물은 134과 437속에 속하는 704종 11아종 60변종 7품종 등 782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이 중에는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 야생생물 II급 끈끈이귀개, 지네발란 2분류군, 한반도 특산식물 14분류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중 III등급 이상 53분류군이 포함된다. 귀화식물은 73분류군으로서 귀화율은 9.3%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