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후기 吏曹銓郎의 인사실태와 정치적 위상의 변화

        나영훈 동양고전학회 2022 東洋古典硏究 Vol.- No.86

        This paper was written to clarify the political nature and status of Ijo jeollang(吏曹銓郎) in the late Joseon Dynasty. Until now, Ijo jeollang(吏曹銓郎) has been understood as an axis of power compared to the minister. Based on the power and self-reliance of the lower government, Ijo jeollang(吏曹銓郎) became a power axis that gathered young officials, and established a structure that confronted older officials. Of course, Ijo jeollang(吏曹銓郎) was evaluated as a very important official position. Even so, it is not a correct understanding to explain that low-ranking government officials, Ijo jeollang(吏曹銓郎), functioned as representatives of young officials while confronting high-ranking government officials. I reviewed the actual status and status of Ijo jeollang(吏曹銓郎).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although there was a difference in status from Gwanghaegun(光海君) to Yeongjo(英祖), the role was generally an assistant position for Ministry of Personnel's chief official and politically an official who moved according to the interests of his party. It was when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two parties that Ijo jeollang(吏曹銓郎) and the minister were the same, there was no dispute. Ijo jeollang(吏曹銓郎) was an official who played a role in representing the position of the party until their privileges were abolished in 1741.

      • KCI등재

        고려전기 都監制의 연원과 성립

        나영훈 한국중세사학회 2016 한국중세사연구 Vol.0 No.47

        Dogam(都監) was offices that had the “Install If there is work, and abolition to When you have finished work” temporary nature. Understanding of the current Dogam(都監), with an emphasis on understanding the luck camp and the structure of the system, features and personality of the system itself, such as phase. Thus, the system is why was created, how study of the receptor has been one of the background of the system established and the process was not quite so. As a result, it was investigated the background of the formation and origin of Dogam(都監). Dogam(都監) such as this to Goryeo in the era central political institutions Dobyungmasa(都兵馬使) and Sikmokdogam(式目都監) as a Korea-specific own system, have been described and occupies a special position. I guess the origin of the Dogam(都監) intended to try to explain this fact more clearly. I was able to find the institutional progenitor of ‘Dogam(都監)’ in the Dogam(都監) of China Tangmal(唐末) era. However, this time, the Chinese Dogam(都監) had a system that has a different personality to clear the Dogam(都監) of Korea. The author Dogam(都監) of Goryeo and its management function, does not deny that from a structural aspect, it was the Dogam(都監) and other unique system of China. However, it can be said that this is about what was a unique system of Goryeo not any influence also received the external, such as the Tang(唐) and Song(宋), was not clear. Goryeo of the Dogam(都監) is not developed its own Korea, after the priority accommodate the Chinese Dogam(都監), would be reasonable to see that it has transformed.

      • KCI등재

        규장각 소장 ‘先生案’의 현황과 자료적 가치

        나영훈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9 한국문화 Vol.0 No.86

        This paper is written for the purpose of checking the status of The list of Government official(先生案). Accordingly, I will conduct a status review from Kyujanggak(奎章閣), which has the largest collection of The list of Government official, and review the data values. Chapter 2 presented 80 types of The list of Government official in Kyujanggak and identified the character of each data. As a result, Kyujanggak confirmed the character of the institution that owns the largest number of the only data and most of the organization that owns The list of Government official for central government officials. Chapter 3 describes the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list of Government official. The list of Government official contains personal information, family information, Chulsin(出身; its mean pass the state examination) information, and government office information. These information provided an urgent need to establish a database of government officials during the Joseon Dynasty. Chapter 4 presented the data value of the Kyujanggak collection. First, Kyujanggak has more the list of Government official than any other institution and was mostly the only data. Most of the list of Government official also had very high data credibility. Second, building the list of Government official at Kyujanggak as a database could bring the total number of new officials to 46,000. This, along with the already established database, will greatly contribute to the building of human networks in the Joseon era. It can also lead to expansion of social and person research during the Joseon Dynasty. Third, the list of Government official, housed in Kyujanggak, can, among other things, be used as a key source of research for the central government office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 list of Government official of Kyujanggak can establish a network of central government officials more than any data. Through this, it can be used as empirical data to understand the power relationship between the central political system and numerous officials during the Joseon Dynasty.

      • KCI등재

        조선 현종대 문과급제자의관직 경로와 배경

        나영훈 조선시대사학회 2020 朝鮮時代史學報 Vol.- No.94

        This study analyzed Bungwan(分館) and the route of government office of the Passers of the Munkwa-Examination(文科及第者), focusing on during the Reign of King Hyunjong in Joseon Dynasty. Based on th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route of government service and the promotion pattern was identified, and the cause of the difference was identified. The background of the Bungwan was then divided into the test results, test types, age and hometown, and background of the family. In Chapter 1, the Passers of the Munkwa-Examination was divided into different Bungwan and analyzed the official positions in which they were appointed. the Passers of the Munkwa-Examination has taken a strictly separate route to government posts since graduating from Bungwan. There were also differences in awarding key posts and promotions depending on Bungwan. Joseon had already discriminated against their promotion through the Bungwan system from the beginning of the official position called the Passers of the Munkwa-Examination. Chapter 2 looked at the background of the Bungwan. First of all, the first section identified the grades, types of tests, age and residence of successful applicants, which can be called a personal element of the Bungwan. Through this, it was understood that the personal factors assigned to good Bungwan should generally be moderately good in the test rankings, should be passed at irregular times, and should be young talents living in Seoul. The second verse examined the family background of the person concerned. And it can be seen that the family background has had a more important impact than other factors in Bungwan. A good family background ensured a good Bungwan. Of course, personal virtues, marital relationships, and the assessment of the time would have affected good Bungwan admissions, although they were not reviewed in the text. But the important thing is that Bungwan that have an absolute impact on future government service routes should not forget that the family background was the most important. This proves that the Passers of the Munkwa-Examination was not a capacity-oriented system for selecting government officials, but rather a system that relied on family and blood. 본 연구는 조선 현종대를 중심으로 문과급제자의 分館과 이들의 관직 경로를 분석하였다. 이는 그간 도당록과 예문관 등 청요직에 집중하거나 분관과 상관없이 문과급제자 전체를 대상으로 분석했던 선행 연구과 달리, 문과 급제 이후 분관을 중심으로 변화하였던 관직 경로를 분석한 것이다. 이를 토대로 분관에 따른 관직 경로와 승진 양상의 차이를 확인하고 그러한 차이가 발생하게 된 원인을 확인하였다. 여기에는 급제 성적과 시험 종류, 연령과 출신지역, 그리고 가문적 배경으로 나누어 검토함으로써 분관에 미친 복합적인 배경에 대해 검토하였다. 1장에서는 현종대 문과급제자를 분관별로 구분하고 이들이 참하관, 참상관, 당상관을 거치며 제수받는 관직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문과급제자는 분관된 이후부터 철저하게 분화된 관직 경로를 걷고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분관에 따라 핵심요직에 수여되는가의 여부나 승진에서도 차이가 생겼음을 확인하였다. 조선은 문과급제라는 관직의 시작 지점에서부터 이미 분관이란 제도를 통해, 급제자의 관로를 철저히 차별하고 있었던 것이다. 2장에서는 분관의 배경을 살폈다. 우선, 1절에서는 분관의 개인적인 요소라고 할 수 있는 급제자의 성적, 응시 시험의 종류, 급제자의 연령과 거주지를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좋은 분관에 배정되는 개인적 요소는 대체로 시험 순위가 적당히 좋아야하며 비정기시에 급제해야하고 서울에 거주하는 젊은 인재여야 했음을 파악하였다. 2절에서는 해당 인물의 가문적인 배경을 살폈다. 이를 통해 분관에 있어서 가문적인 배경은 다른 요인들보다 중요한 영향을 미쳤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좋은 가문적 배경이 좋은 분관을 담보했던 것이다. 이는 문과급제가 능력 위주의 관원 선발 제도라기보다, 가문과 혈통에 의지하고 있는 제도였음을 반증한다. 다만 문과급제와 분관, 그 이후의 관로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다양한 배경이 영향을 미쳤다. 예컨대 개인적인 덕망이나 혼인관계, 당대 사람들의 평가, 또한 분관의 선발 제도, 당대의 정치적인 지향 등 다양한 요소가 분관이나 관로에 영향을 미쳤던 것은 분명하다. 현종대는 남인과 서인이 공존하는 시기였고 그러한 정치적 배경에서 분관이 결정된 경우도 많았다. 또한 이후 관로에서도 숙종 초년의 정국 변동에 따라 승진이나 관직 수여에 지대한 영향을 받았던 것도 사실이다. 이러한 점을 고려한 총체적 분석은 추후 해명이 필요하다.

      • KCI등재

        조선전기 都監의 조직과 기능

        나영훈 조선시대사학회 2014 朝鮮時代史學報 Vol.70 No.-

        Central political system of the Chosun era, are understood to bureaucratic system centralized permanent. Therefore, it has been common Most studies, it has been studied mainly in permanent government office that is mentioned in the “Gyoungguk-daejeon(經國大典)”. However, can not affairs of the country are operated by only permanent government office it is reality of course. Exceptional, is ready to occur, the management of temporary government office to deal with the sudden affairs of these were essential in any country. In particular, in the pre-modern nation, because there have been cases where you have an important political role temporary mechanism of these, discussion of this is essential. In spite of that, government office Research Chosun is concentrated in permanent government office, studies of transient government office hardly been made. Therefore, in this paper, for an understanding of the nature higher phase in the most unique in the government office of “Dogam(都監)”, I am trying to consider the institutional basic. Research in the government office region, it is determined grasp of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organization and must precede, I learned about the organization and structure of the Chosun era. As a result “Dogam(都監)” in early Chosun Dynasty is possible to know the fact that through the late Goryeo(高麗), 15th century, the 16th century, was in the process to be developed in the function and organization. This indicates that it is through the institutional development of the 15 century, typified by “Gyoungguk-daejeon(經國大典)”,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osun Dynasty was the time to go laid clearly in terms of function and organization. 조선시대 중앙정치체제는 “의정부-6조체제”에 근간한 상설관서 중심의 중앙 집권적 관료체제로 이해되고 있다. 따라서 대부분의 연구가 『經國大典』에 기재된 상설관서를 중심으로 연구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국가의 사무가 상설관서만으로 운영될 수 없는 것은 당연한 현실이다. 어떠한 국가에서든 예외적인 사무는 발생하기 마련이었고, 이러한 돌발 사무를 대처하기 위한 임시적 관서의 운영은 필수적이었다. 특히 전근대 국가에서는 이러한 임시기구가 중요한 정치적 역할을 하는 경우도 있었기 때문에 이에 대한 검토는 필수적일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조선시대 관서 연구는 상설관서에 집중되어 있고 임시관서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임시관서 중에도 가장 독특하고 위상이 높은 ‘都監’의 성격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기본적인 제도적 검토를 하고자 한다. 특히 관서의 연구는 조직구조와 기능의 파악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판단하여 조선시대 도감의 조직과 구조에 관해 살펴보았다. 도감의 조직은 ‘使-副使-判官-綠事’로 이어지는 고려적 관직체계를 계승하여 조직되었다. 이러한 조직체계는 15세기를 거치며 당상관과 참상관, 참하관의 순차로 정비되어 태종대 무렵 당상관은 ‘제조’로 통칭되었으며, 세조대 무렵 참상관은 ‘낭청’으로 일원화되었다. 이 과정에서 도감의 실무를 책임질 首郎廳으로 ‘都廳’이 신설되었으며, 성종대 이후 참하관 역시 ‘감조관’으로 새롭게 신설되어 운영되었다. 한편, 조선전기의 도감은 주로 ‘전문성’을 담보한 인원을 차출하려는 노력을 보였는데, 일부에서는 도감의 인사혜택을 이용하기 위한 ‘정치적 人選’이라든지, 일이 없는 한가한 자들 즉, 전직자나 봉작자가 도감에 임용되기도 하였다. 도감의 기능은 그 조직의 설치 배경 자체가 상설관서가 처리할 수 없는 사안을 처리하기 위한 제도였으므로 상설관서가 처리하지 못하는 다양한 사무를 처리하는 기능을 하였다. 특히 국가적 역량이 집중되어야 처리할 수 있는 중요한 사안을 도맡아 처리하였다. 이러한 사무로는 대략 ①의례 관련 사무, ②토목 관련 사무, ③기타 사무(신분, 외교, 정책, 음악, 공신, 출판 등)로 구분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도감의 기능은 시기에 따라 변화되는 양상을 보이기도 하였는데, 고려후기 다양한 분야에서 설치되었던 도감이 조선이 건국되며 그 수효가 급격히 줄어든 것이 첫 번째 변화였다. 이어 15세기의 국가 건립을 위해 부득이 설치되었던 사무가 필요 없어지고, 세조대의 관제개혁으로 대부분의 사무가 상설관서로 집중되는 이른바 『경국대전』체제 이후인 16세기에 들어서면, 의례나 토목과 같이 부득이 설치할 수밖에 없는 경우에만 설치되어 수효가 줄어든 것이 두 번째 변화였다. 즉, 조선전기의 도감은 고려후기, 15세기, 16세기를 거치며 조직과 기능에 있어서 정비되는 과정에 있었던 사실을 알 수 있다. 이는 『경국대전』으로 대표되는 15세기 말의 제도 정비를 통하여 조선적인 도감제의 특성이 조직과 기능상의 측면에서 명확히 자리 잡아 가는 시기였음을 보여준다.

      • KCI등재

        17세기 在京 嶺南 官僚의 同道會와 결속 배경 - 1601년 『영남동도회첩』을 중심으로 -

        나영훈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2023 장서각 Vol.- No.49

        This study is the result of reviewing the “Yeongnam Dongdo Society,” a group of people from Gyeongsang-do who served in government offices in Seoul in 1601. Through this, the purpose and meaning of the meeting of public officials from Gyeongsang-do at the time in Seoul were found. This study analyzed members of the “Yeongnam-dong Society” of 1601. They were specifically based on the region of Sangju (尙州) in Gyeongsang-do. Academically, they were influenced by Toegye Yi Hwang. Those members were only in a small number of 27, but they accounted for the majority of Gyeongsang-do people who went to Seoul and served in government offices at the time. There were far more from Gyeongsang-do who held government posts at the time, but most of them were not in Seoul for various reasons. This shows that most people from Gyeongsang-do in Seoul participated in the meeting. In addition, they were joined by people of various localities and academic characteristics from the same province. The reason why people from Gyeongsang-do had to rally at the time was that they shared their difficulties with each other at a time when their position was reduced. For the officials from Gyeongsang-do, the ties made based on the same region served as an important device for solidarity in their lives in Seoul. As people from the same hometown generally made blood ties and academic ties with each other, it can be assumed that they could also easily form political solidarity as well. 본 연구는 1601년 당대 서울에서 관직 생활을 했던 영남 출신 인사들의 모임인 ‘영남동도회’를 검토한 결과이다. 이를 통해 당대 영남인들이 서울에서 회합한 목적과 의미를 추출하였다. 1601년 ‘영남동도회’에 참여한 구성원을 분석하는 과정에서 이들이 영남 내에서도 ‘상주권’을 기반으로 하며 학문적으로는 퇴계 이황의 영향을 받은 이들로서 지역적, 학문적 인연이 닿아있는 이들 사이의 결속임을 확인하였다. 이들 구성원은 27명의 소수에 불과했지만 당시 서울에 올라가서 관직 생활을 하고 있던 영남사람의 대부분을 포함하고 있었다. 당시 관직을 할 수 있는 영남인들은 이보다 훨씬 많았지만 다양한 사유로 인해 서울에 없었던 경우가 있었고, 서울에 있던 영남인들은 대부분 이 모임에 참여했던 것으로 보인다. 이들은 상주라는 지역성과 퇴계의 학문적 영향을 받은 이들이 많았던 것도 사실이지만 정인홍과 가까운 사람들을 제외하고는 영남 내의 다양한 지역성과 학문성을 지닌 이들도 함께 모여 있었다. 당시 영남인들이 규합해야 했던 이유는 영남인들의 입지가 줄어든 상황에서 상호 간의 어려운 처지를 공유하기 위한 모임이었을 가능성 역시 포함되어 있었다. 영남인들은 서울에서 ‘영남’이라는 지역성을 공유하였고, 그 인연은 서울에서의 생활에 중요한 결속의 장치로 기능했다. 더욱이 동향은 대체로 혈연과 학연을 공유한다는 점에서 정치적 연대를 함께 하기에도 쉬운 집단이었음을 이 모임을 통해 알 수 있다.

      • KCI등재

        숙종 초 근기남인의 정치적 논쟁과 대립

        나영훈 조선시대사학회 2023 朝鮮時代史學報 Vol.- No.105

        The Sukjong period in the late Joseon Dynasty is described in the political confrontation between Seoin(西人) and Namin(南人). In particular, the characteristics of the Namin(南人) who were in power at the time were not properly examined in the evaluation and perspective of taking the division of the Namin. In this paper, it was questioned whether the political conflict between the ruling Namin of the time actually existed,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ir political confrontation was far from historical facts. Of course, it is true that political disputes and confrontations within the Namin of the time took place on their own, but I don’t think the two political forces led the political situation in a strong confrontation frame. It is a process of its own "controversy" that emerged in the process of drafting and implementing various policies in the operation of state affairs during this period, and it is excessive to evaluate it as a factional division to seize power. At that time, the ruling Namin was establishing various economic theories, reality awareness, and policies. The political direction and their identity that the ruling Namin were aiming for will be revealed in future studies.

      • KCI등재
      • KCI등재

        조선초기 繕工監의 운영과 관원의 성격

        나영훈 조선시대사학회 2012 朝鮮時代史學報 Vol.62 No.-

        토목영선이 국가의 주도로 이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그간 국가의 역할, 즉 행정관서에 대한 연구가 결여되어 있었기 때문에, 이 분야 연구에 한계가 있었다고 생각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토목영선을 전담하였던 행정관서인 선공감의 검토를 통해 조선시대 토목영선 이해의 기반을 조성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선공감의 유래와 구성, 기능을 검토하여 선공감의 운영에 관해 살펴보고, 조선 초기 선공감에 실제 재직했던 참상관원의 출신과 관력을 검토함으로써 선공감의 성격을 보다 분명히 드러내고자 하였다. 선공감의 성립은 매우 오랜 연원을 갖고 있다. 기록상 최초로 확인되는 선공감의 연원은 중국 秦의 ‘將作少部’로 추정된다. 장작소부는 漢이 들어서며 將作大將으로 변모하였고, 이 관서가 隋ㆍ唐 시기의 ‘將作監’으로 성립된 것이었다. 唐의 3성 6부제와 9시 5감의 중앙정치제도는 율령과 함께 주변 국가에 전파되었는데, 고려 역시 당의 3성 6부제를 수용하였다. 이때 장작감 제도 역시 함께 도입된 것으로 보인다. 고려의 장작감은 이어 조선시대에도 그대로 계승되어 고려말 변경된 명칭인 繕工監으로 수용되었다. 선공감의 인적 구성은 정3품 당하관인 正 이하 副正(종3품), 僉正(종4품), 判官(종5품), 主簿(종6품), 直長(종7품), 奉事(정8품), 副奉事(종8품), 參奉(정9품) 등 총 9명의 조관으로 구성되었다. 또한 『경국대전』에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조선후기까지 존속하며 대표적인 門蔭 초입사직으로 정착되었던 종9품직 ‘監役’이 설치되어 운영되었다. 2장에서는 선공감의 기능을 확인하였다. 선공감은 크게 두 가지의 핵심적인 기능을 가지고 있었는데 첫째는 토목영선이 없는 일상기간 동안 토목영선을 위한 각종 재원을 마련하고 이를 보관ㆍ관리하는 기능이었다. 선공감에서 주로 취급한 물적 재원은 재목ㆍ압도ㆍ철물ㆍ시탄ㆍ석재 등이었으며, 인적 재원은 21종의 장인이었다. 둘째는 실제 토목영선의 수행이었다. 선공감의 토목영선 수행은 몇 가지 특징적인 점이 있다. 이는 선공감이 수행한 토목영선의 대부분이 현대적 개념으로서 ‘건축’ 분야에 한정되어 있다는 점이다. 특히 선공감이 수행한 토목영선은 이러한 건축에서도 ‘소규모’의 것이었고, ‘대규모’의 토목영선은 도감을 설치하여 처리하였다. 또한 선공감은 지방의 토목보다 주로 한성 내의 토목을 전담하여 도맡아 수행하였다. 3장에서는 선공감의 참상관을 분석하였다. 15세기 선공감 참상관은 16세기에 비해 문과출신이 적었는데 이는 15세기말부터 증가한 문과급제자가 중앙 행정관서를 장악하며 유교적 소양을 지닌 지식 관료가 행정실무까지 전담한 현실을 보여준다. 이러한 시대적 추이에 편승하여 선공감 참상관 역시 15세기에 비해 16세기에는 전문성이 상실되어 가는 모습을 보인다. 특히 15세기에 등장했던 이른바 ‘전문토목감역관’이 16세기 이후에는 더 이상 찾아지지 않는데서 16세기 선공감은 15세기에 비해 효율적인 업무처리가 어려웠을 개연성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논문에서는 선공감의 유래와 구성, 기능에 대한 검토와 선공감에 재직한 관원의 분석을 통해 토목영선을 관장하였던 營繕組織에 대해 이해할 수 있었다. 차후 선공감과 유사한 기능을 지닌 공조나 영건도감과 선공감의 유관관계를 검토하고, 토목영선에 대한 조선시대 治者의 인식을 확인함으로써 선공감에 대한 이해를 더... Even though Public Works was run by the state, reseach about the state's role and the related government offices is lacking, and as such, this field of study is currently limited. This study will look at the Seongonggam (繕工監) which was the government office responsible for Public Works, and through this will set the foundation for understanding the Public Works of the Joseon (朝鮮) Dynasty. In order to do this, Seongonggam's origins, personnel structure, responsibilities will be examined. In addition, this article will attempt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ongonggam through examination of Chamsanggwan (參上官)'s chulshin (出身) and gwanryeok (官歷) of Early Joseon's Seongonggam. The origins of Seongonggam are very old. The first confirmed mention of Seongonggam in the sources is thought to be the Qin (秦) dynasty's Jiangzuoshaobu (將作少部). The Jiangzuoshaobu was changed to the Jiangzuodajiang (將作大將) in the Han (漢) dynasty, and was changed to the Jiangzuojian (將作監) in the Sui/Tang (隋/唐) period. The Tang Dynasty's three departments and six ministries central government system spread to neighboring countries and Goryeo (高麗) adopted this system as well. It seems that the Jiangzuojian was imported at the same time. This system was inherited by Joseon from Goryeo, which had changed the name to Seongonggam late in the dynasty. Seongonggam's personnel structure consisted of nine people; Chief Officer Jeong (正), Bujeong (副正), Cheomjeong (僉正), Pangwan (判官), Jubu (注簿), Jikjang (直長), Bongsa (奉事), Bubongsa (副奉事), and Chambong (參奉). Also, although it does not appear in the Gyeonggukdaejeon (經國大典), like the above individuals, until the late Joseon dynasty the Gamyeok (監役) was included in the Seongonggam. The second part of the article looks at the responsibilities of the Seongonggam. The Seongonggam had two primary responsibilities. One was the preparation, storage, and maintenance of the materials and workers register for public works. The materials usually kept by the Seongonggam were lumber, thatch, iron, charcoal, stone ect., and the human resources maintained in the workers register came to twenty-one artisans. The second main responsibility was the implementation of public works. This implementation of public works has several characteristics. One is that the public works implemented by the Seongonggam most often fall under what from a modern perspective would be 'architecture'. The second is within this field of 'architecture', it was primarily small scale. Large scale architecture was dealt with by the creation of a Dogam (都監). The third is that the Seongonggam's sphere of operations was primarily the capital. The third section analyzes the Seongonggam's Chamsanggwan. The 15th century's Chamsanggwan had fewer members who had passed the civil exam than the 16th century Chamsanggwan. This reflects the fact that from the end of the 15th century, the officials who had passed the civil exam monopolized the central government offices as holders of confucian knowledge, and following this the old officials, who had pracitical knowledge, slowly left. This historical situation Seongonggam's Chamsanggwan also show a drop in the level of practical knowledge. Especially the 'Skilled Office of Public Works' which appeared in the 15th century, is not found in 16th century records. As such, the 16th century Seongonggam might not have been able to implement it's projects as effectively as it's 15th century counterpart.

      • KCI등재

        순조대 明溫公主 婚禮의 재원과 前例ㆍ定例의 준수

        나영훈 조선시대사학회 2017 朝鮮時代史學報 Vol.- No.83

        Garye(嘉禮) is the royal wedding, which is called ‘Gukhon(國婚 : marriage of nation)’ and is one of the national rites. This is the situation where related research is cumulative. Most of these studies focus attention on the ceremonies of Garye(嘉禮), and analysis on political character is the main.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no studies that approached the scale of the royal wedding funds to which the national finances were introduced. Then, in fact, how much was the cost used for the wedding of the royal family of Chosun(朝鮮) Dynasty? Did this cost threaten the national finances? Korea was always wary of proceeding with the royal events extravagant. In particular, for the “King Youngjo(英祖)”, he published “Takjijungrye(度支定例)” and “Gukhonjungrye(國婚定例)” and tried to save the royal expenses. This paper explored what “Gukhonjungrye(國婚定例)” published in the latter half of the 18 th century had on the scale of the royal wedding revenue later. For this reason, the wedding ceremony of “princess of Myoungon(明溫公主)”, where the scale of the royal wedding in the middle of the 19th century remains relatively large, was targeted. As a result, Chosun(朝鮮) Dynasty confirmed that the expenses required for the wedding did not require more than the amount stipulated in the Code such as “Gukhonjungrye(國婚定例)”. Through this, we can carefully think that in the royal family we tried to suppress the waste of expenses through rituals. 嘉禮는 왕실의 혼례 행사로서 특별히 ‘國婚’이라 칭해질 정도로 국가 전례의 하나로 여겨졌다. 이에 따라 관련 연구가 누적되어 있는 상황이지만 대부분 가례의 의주에 주목하거나 가례 대상자의 정치적 성격에 대한 분석이 주를 이루고 있다. 반면, 국가 재정이 투입되는 왕실 혼례의 재원 규모에 대해 접근한 연구는 없었다. 다만 막연히 혼례 비용이 막대하여 국가재정에 악영향을 끼쳤을 것이라는 추상적인 견해만 존재했다. 그렇다면 실제 조선의 국혼에 소요되는 비용은 얼마인가? 이 비용이 국가재정을 위협하였는가? 조선에서는 늘 왕실의 행사를 사치스럽게 진행하는 것을 경계하고 있었고, 특히 영조대에는 『度支定例』와 『國婚定例』를 간행하며 왕실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이 논문은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18세기후반 간행된 『국혼정례』가 이후 왕실 혼례의 재원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탐구하였다. 이를 위해 19세기 중반 왕실 혼례의 비용 규모가 비교적 자세히 남아 있는 明溫公主의 혼례를 그 대상으로 하였다. 2장에서는 조선시대 가례에 대한 일반적 인식을 살피고, 신료들이 지속적으로 혼례의 사치를 금단하기 위한 노력을 해왔음을 확인하였다. 결국 1749년 『국혼정례』가 간행됨으로써, 국혼과 관련한 주요한 비용이 정식으로 규정되었음을 살폈다. 그리고 2절에서 『度支五禮考』에 적시된 조선후기 왕실의 혼례 비용을 통해, 『국혼정례』가 간행된 이후 그 비용이 절감되거나, 최소한 규정을 벗어난 비용은 없었음을 확인하였다. 3장에서는 공주 혼례에 소요되는 재원을 명온공주의 혼례를 통해 구체적으로 검토하였다. 1절에서는 혼례 직전의 재택마련과 생활비 지급 문제를 검토하고, 2절에서 혼례 의식에 사용된 재원을 검토하였다. 명온공주의 재택을 마련하기 위한 비용은 전 4,590냥으로 이전까지 내려주던 공주의 제택 비용에 근거해 이보다 감소해 내려주었다. 공주에게 주어진 田畓 역시도 『續大典』의 규정을 준수해 내려주었고, 그 비용 역시 정례를 준수하였다. 명온공주의 혼례를 위한 재택마련과 생활비는 적어도 법규를 준수하였고, 오히려 이보다 감소해 마련하려는 노력을 하였음을 확인하였다. 2절에서는 혼례에 소요되는 직접적인 비용을 『국혼정례』와 비교해 확인하였다. 그 결과, 대부분의 비용이 정례와 일치하는 내역과 수량을 보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정례에 포함되지 않는 잡물의 경우에도 대부분 호조나 병조 등 중앙관서가 아닌 內需司를 통해 마련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여기서 필자는 국가의 의례에 소요된 국가재정이 과람했는지 아니면 적절했는지의 판단을 내리기는 조심스럽다. 이는 보다 다양한 의례에 대한 후속 연구와 국가재정에 관한 연구가 진행된 이후에 판단이 가능할 것이다. 다만, 공주의 혼례에 소요된 비용이, 영조대 정례로 규정해놓은 금액 이상을 소요하지 않으려 노력하였고, 법제를 준수하여 진행되었다는 사실만으로도 왕실에서는 의례를 통한 비용 낭비를 억제하려는 노력을 했다는 점을 조심스럽게 생각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