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30년대 後半 <詩學>誌와新世代 시인의 詩的 理想

        나민애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5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1930년대 후반 詩 專門 同人誌 <詩學>이 지닌 성격과 의의를 살피는 것이다. <詩學>誌는 1930년대 후반 新世代 詩人들이 보여준 活躍 중의 하나로서, 본고는 이 잡지가 지닌 성격과 시대적 의의를 규명함으로써 1930년대 후반기 詩文學의 樣相과 의미를 확보할 수 있다고 파악한다. 이러한 巨視的 연구 목적의 一環으로서 이 연구는 1930년대 후반 爆發的인 同人誌의 활약을 ‘제2 同人誌期’로 규정하고 그 원인과 양상이 당대 우리 문학의 성장과 志向性을 보여 줌을 論究하고자 한다. 본론에서는 <詩學>誌가 탄생한 共時的․通時的인 關係網을 통해 雜誌의 의의를 고찰한다. 다음으로는 <詩學>誌 終刊 이후 詩的 摸索의 延長線上에 있었던 『新撰詩人集』의 面貌와 史的 意味에 주목한다. 나아가 본고는 <詩學>誌가 지닌 理想鄕, 즉 ‘綜合’에의 추구와 성취를 확인하면서 文學史的 位相을 再考하고 1930년대 후반이 詩文學의 摸索과 可能性의 時期였음을 논구하고자 한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review and to revalue magazine <Poetics>. Magazine <Poetics> is the literary coterie magazine which was publishes by young poets in late 1930’s. This unique magazine clearly represented the ideal aim of young poets to creative poem better than the older generation’s. Some young poets of new generation made an effort to overcome a period of literature stagnation. Magazine <Poetics> was born as one of results they had shown and made. Magazine <Poetics> had pursued a synthesis of a form and a content, a combination of extrinsic part and internal part. This was a poetical ideal, and it was based on accumulation and digestion of romantic literature and modernism literature in the past. It mean there was dynamic movement to seek of change with new generation as its center in literature of late 1930’s. Based on the achievement of Magazine <Poetics> this study examine to identify they are a representative sample of replacement of literary generations in late 1930’s.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서평 쓰기 교육에서의 학습자 분석과 ‘공동-추론’ 교안 연구-2020년 1학기 운영 강좌 및 대학 신입생 설문을 중심으로

        나민애 한국교양교육학회 2020 교양교육연구 Vol.14 No.5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level of writing for university freshmen, and to propose a book review writing class model based on learner identification in order to strengthen university culture education. We have long understood that writing education can also be developed in depth, based on both the curriculum and the connection of the learners. In particular,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writing experience and the level of college freshmen, who just graduated from secondary education institutions and entered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The field of writing noted in this paper was “book review” writing. Book review writing is a genre that is widely regarded as valid for developing critical thinking skills in universities, and furthermore, it has proven to be advantageous in ensuring the connectivity between writing and education. In order to understand the students' experience and level of awareness, this paper analyzed the S University Writing class cases and survey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is paper emphasized the need for ‘Co-Duction’ to expand the efficiency of book review education and to strengthen the weaker areas among the learners. ‘Co-Duction’ is a kind of debate that enables critical reading and makes self-reliant opinions sound. Through this course, students will be able to compare their personal experiences and views with other readers, thus allowing them to form and sharpen their critical attitudes. Therefore, we are going to introduce available book review teaching methods to increase the efficiency in actual book review classes. 이 논문의 목적은 대학 교양 교육 강화를 위해 대학교 신입생 글쓰기 수준을 점검하고 학습자 파악을바탕으로 한 서평 쓰기 수업 모형을 제안하는 데에 있다. 본고에서는 글쓰기 교육 역시 교육 과정및 학습자의 연계성을 바탕으로 심화 발전할 수 있다고 보고, 특히 중등교육기관을 졸업하고 막 고등교육기관으로 진입한 대학 신입생들의 글쓰기 경험과 수준을 파악하는데 주력하였다. 이 논문에서 주목한글쓰기 분야는 서평 쓰기로서 이는 대학에서의 비판적 사고력을 기르는데 유효한 장르 중심 글쓰기의하나이며 나아가 글쓰기 교육의 연계성을 담보하기 유리한 점에서 논의의 가치가 있다. 독서 교육및 작문 교육이라는 공통 분모를 가진 독후감상문과 서평 경험 및 인식 수준을 파악하기 위해서 본고에서는 S대학 글쓰기 수업 사례 및 설문 조사를 바탕으로 삼았다. 분석 결과 본고에서는 서평 교육의효율성을 확대하고 학습자의 취약한 부분을 강화하기 위해서 ‘공동-추론’ 과정을 강조하였다. 이는비판적 독서 및 주체적 의견 발화를 강조한 토론의 하나로서 이 과정을 통해 학생들은 자신의 개인적인경험과 견해를 다른 독자들과 공유하거나 비교해봄으로써 비판적인 태도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방안을 중심으로 활용가능한 교안을 소개함으로써 실제 서평 수업에서의 효율성을 제고하는 것이본 논문의 목표이다.

      • KCI등재

        김규동 시인의 공동체 회복과 시적 방법론 연구ㅡ‘전쟁 은유’와 ‘기억의 시학’을 중심으로

        나민애 한국시학회 2019 한국시학연구 Vol.- No.60

        This study discusses the whole poetry of poet Kim Gyu - dong as a subject of discussion. Kim Gyu-dong is a poet who has been prominent in the Korean literature for a long time until his death in 2011. It is necessary to actively produce research that encompasses the entire poetic world of Kim Gyu - dong poet at the present time. In this discussion, we divide the poetry of the whole works into the preceding and the following period, and then identify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poets that are not limited to the period. Based on the evaluation of literary history, Kim Gyu - dong was known as a modernist poet in the early stage and a poet transformed into a national literature in the late period. In addition to analyzing the causes of modernism and nationalism, Kim Gyu - dong saw a common denominator that includes the exhibition period. Especially, in this discussion, we tried to identify it as a direction toward 'community' and to identify this specific aspect through criticism of negative reality and the poetry of memory. Kim Gyu - dong poetically expressed the critical perception of war in the preceding period and the critical perception of division in the following period, Both of these perceptions aim to restore community in common. Especially for the restoration of this community, the poet has developed a unique poetic world by developing the poetry of memory. In this paper, we try to identify these characteristics through analysis of works. 김규동은 등단 이후 작고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이고 주목할만한 활동을 해 온 시인이다. 그의 문단사적 역할과 위상을 고려했을 때, 시세계가 완료된 상황에서 시인의 전체 작품세계를 아우르는 연구가 활발하게 생산될 필요가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김규동 시인의 전체 시세계를 전기와 후기로 나누어 살펴보고 각 시기의 주요한 특징과 시학을 고찰하고자 한다. 문학사적인 평가를 바탕으로 할 때 김규동 시인은 초반에 모더니스트 시인이었다가 후기에 민족 문학가로 변모했다고 알려져 있다. 본고에서는 모더니즘과 민족주의라는 사조를 넘어서 시인의 전시기를 아우르는 공통분모로서 공동체에 대한 지향성이 있다고 파악했다. 월북 시인이자 분단을 경험했던 민족의 일원으로서 공동체에 대한 지향은 보편적인 문제의식일 수도 있지만 김규동에게 있어 그것은 처음부터 끝까지, 사조와 이념을 넘어 지속되었다는 점이 더욱 문제적이다. 그리하여 본고는 김규동이 공동체 회복을 지향했다는 평면적인 사실 진술을 넘어 그것의 양상과 특이성에 주목하고자 한다. 이에 논자는 작품 분석을 통해서 그것은 전기의 ‘전쟁 은유’와 후기의 ‘기억의 시학’을 통해 드러나고 있음을 면밀히 논구하였다.

      • KCI등재

        학습자 수준 분석을 통한 서평 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 대학 이공계열 신입생에 대한 분석 독서 교육을 중심으로

        나민애 한국교양교육학회 2019 교양교육연구 Vol.13 No.6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heck the writing level of science and engineering college students and propose a book review writing class model in order to strengthen college liberal arts education. Based on this work, this study tries to present the problems that appear in the actual operation of the class and the map measures for it. In particular, this study limits the subject of research to new students who have entered the science and engineering fields. Therefore, we want to explore more detailed ways to teach students how to write a book review. The class model is based on surveys and classes actually conducted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in the second semester of 2017 and the second semester of 2018. In this paper, we asked our students to check their lack of background knowledge about book reviews and later asked college freshmen who were not yet familiar with critical reading. It raised the need to focus on teaching 'analytical reading'. As a concrete measure,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improve efficiency in the actual book review class by presenting the 'Analysis Item Table' and introducing the actual text. 이 논문의 목적은 대학 교양 교육 강화를 위해 이공계열 대학생의 글쓰기 수준을 점검하고 서평 쓰기 수업 모형을 제안하는 데에 있다. 이 작업을 토대로 본 논문은 실제 수업 운용 시 나타나는 문제점과 그에 대한 지도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연구의 대상을 이공계열에 입학한 대학 신입생으로 특정함으로써 이공계 대학생에게 적합한 서평 교육 방안을 보다 자세히 모색해 보고자 한다. 이 수업 모형은 2017년 2학기 및 2018년 2학기 서울대학교에서 실제 실시한 설문 조사와 수업을 토대로 삼고 있다. 본고에서는 설문을 통해 학생들에게 서평에 대한 배경지식이 부족함을 확인하고 이후 아직 비판적 독서에 익숙하지 않은 대학 신입생들에게‘분석 독서’를 집중적으로 가르쳐야 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그 구체적인 방안으로서 ‘분석 항목표’를 제시하고 실제 교안을 소개함으로써 실제 서평 수업에서의 효율성을 제고하는 것이 본 논문의 목표이다.

      • KCI등재

        1930년대 후반의 최북단 동인지 『시건설』 연구: 신진 시인들의 기획과 지향성을 중심으로

        나민애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7 한국문화 Vol.80 No.-

        The aim of this study is to review and to revalue magazine ‘Si-geon-seol’. This magazine was published in the northernmost part of Joseon, eight times in four years. It is very important poetry magazine, but has not been studied much yet. Among the various literary magazines of the 1930s, ‘Si-geon-seol’ has a very unique and exceptional position. So this study analyzes all of ‘Si-geon-seol’, and try to find out the unique character of this magazine. The magazine has three outliers: the best north, the longest period, and the largest magazine in the late 1930s. The characteristics of this magazine are evident when compared to other poetry magazine of literary coterie of the time. The magazine was definitely a magazine of literary coterie, but did not claim a particular literary ecology. The people who created this magazine were the new generation poets. At that time, the new generation poets recognized that literature of Joseon was becoming poor. The problem of poverty in poetry was a problem to be solved by the new generation of poets. The magazine was published in a remote area of capital, new generation poets from various places actively participated. The characteristics as coterie magazine were not very clear, because poets of various tendencies have published their works and the leader of this magazine did not make a clear claim either. However, this feature is characteristic of magazines of this period. More important than literary ecole was solving urgent problems. More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is magazine in the future to understand the activities of new generation poets of the 1930s.

      • KCI등재

        시인 박남수의 出發點과 이미지즘적 ‘종합’의 理想 - 1930년대 後半 詩壇의 지형도를 중심으로 -

        나민애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6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4 No.1

        The aim of this study is to revalue a poetic significance of imagist poet, Park Nam-soo. Even though he has been one of famous poets, study results about him and his literature have been not much. This situation is not cased by level of the work but external situation. Park Nam-soo was displaced person in 1950’s, and he emigrated to USA in 1970’s. Although the failure of settlement he leave a lot of important works. Especially poetic works in period of early stage were connected to activity of new generation in late 1930’s. He was not a member in special ecole, but recognized well a roll of new generation. So he claimed a fresh start of Joseon-poet. Park Nam-soo is a poet of ‘Joseon style Imagism’. The subjective development of the ‘Joseon style Imagism’ which contributed to the foundation of the ‘Joseon poem’ was based on the change of reality and the poetic need. The image of Park Nam-soo was stretched to the direction securing imaginative space with deep and original mind in which community (nation) might take rests beyond a private and internal sensory world. 본 논문은 詩人 박남수의 초기 활동과 작품을 대상으로 이미지스트 朴南秀를 재조명하고자 작성되었다. 초기 활동에 注目하는 이유는 이 시기 활동이 1930년대 후반 시단의 신세대론과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박남수의 문학 활동은 1930년대 후반 文壇의 시대적 특징이자 以前 시기의 성과물을 바탕으로 한 결과물로서의 의미가 있다. ‘조선시의 완성’이라는 목표의식은 1930년대 후반 신세대 시인들의 공통된 理想鄕이었기에, 草創期 박남수의 작품세계와 이미지스트로서의 의미 역시 이러한 시대 理想과 함께 고찰할 때 綿密히 論究될 수 있다. 시집 『초롱불』(1940)은 조선의 실제 마을을 文學的으로 변용하고 재창조한 결과물이며, 이를 요약하면 이미지와 정조의 결합을 통해 탄생된 유정한 조선적 공동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즉, 1930년대 후반의 박남수는 조선의 共同體를 언어로 된 그림으로 그리는 활동을 넘어서, 조선적 情操와 현실이 결합된 복합물을 창조하면서 조선시의 完成이라는 신세대의 이상향을 추구했다는 意義를 지니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