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내 주요 일간지에 나타난 간호사 관련 기사의 프레임 분석

        나미수(Na, Mi Su),강정희(Kang, Jeong Hee) 한국간호교육학회 2018 한국간호교육학회지 Vol.24 No.4

        Purpose: This study analyzed how the four nurse-related news items ‘talent show,’ ‘neonatal death,’ ‘nurse`s death,’ and ‘sexual harassment’ were portrayed in Korean daily newspaper articles. Methods: A total of 392 newspaper articles published from November 2017 to May 2018 were retrieved through the internet homepages of three newspapers, the Chosun Ilbo, the Dong-a Ilbo, and the JoongAng Ilbo and through a database for 13 other newspapers. Articles were analyzed for their views on nurses and their structural and contextual frames. Results: Articles with the highest frequency of mentioning nurses’ death appeared in the JoongAng Ilbo; these were written as straight news articles. In the analyzed articles, nurses were portrayed mostly as victims, troublemakers, passive, or selfish. Articles were written mostly in episodic, incident notice, or attribution of responsibility frames. Conclusion: It was not uncommon to read articles with negative views on nurses; most of these articles focused only the four major incidents as straight news type stories. Future efforts are needed to study the implications of newspaper articles with negative views on nurses and the frames most commonly used.

      • KCI등재

        일상생활에서 인터넷의 문화적 이미

        나미수(Na Mi-Su) 한국방송학회 2002 한국방송학보 Vol.16 No.3

        본 연구는 인터넷의 생활화가 진전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일상생활의 관점으로부터 인터넷의 의미와 중요성을 탐구해 보고자 하였다. 특히 그동안 인터넷의 소외집단으로 주목받지 못했던 전업주부들을 대상으로 주부들의 일상적인 삶속에서 인터넷이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으며, 또한 주부의 일과 여가시간의 활용, 가족구조나 관계와 같은 주부들의 일상적 맥락이 인터넷 이용에 어떻게 관련되는지를 살펴보았다. 전반적으로 전업주부의 인터넷 수용과정은 우리사회와 가정의 남성중심성과 성역할 고정관념을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즉 주부들의 인터넷 이용이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은 가정내 주부의 전통적인 역할과 책임의 범위 안에서 이루어졌다. 이는 인터넷이 주부들을 사적활동으로 더욱 한정시키는데 기여한 것이라 할 수 있는데, 반면 그러한 사적영역의 한계로 인한 주부들의 단절감, 열등감을 극복하고 외부세계와 커뮤니케이션하는 수단으로도 인터넷이 사용됨으로써 주부의 일상생활에서 인터넷의 의미는 양면성을 갖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주부들의 인터넷 이용을 통해서 볼 때, 인터넷과 같은 새로운 정보통신기술이 일상생활에 새로운 변화를 가져오기 보다는 기존 생활의 패턴속으로 통합됨으로써 이미 확립된 사회구조와 가치들, 말하자면 기존의 가족구조나 젠더관계를 재생하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공적영역의 활동이 제한된 주부들의 경우 인터넷 수용의 동기나 이용경험이 부족할 뿐만 아니라, 주부의 인터넷 수용이 자녀교육이나 가사노동과 같은 사적활동과 연관되어 인식됨으로써 인터넷을 이용하는 주부들조차 인터넷의 현실적 유용성을 잘 느끼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주부를 정보통신기술의 적극적인 이용자로 참여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인터넷 보급확산이나 기술교육에 대한 강조에서 나아가 인터넷의 이용방식과 용도가 주부의 일상생활속에서 실체적인 욕구에 어떻게 부응할 수 있을 것인가에 보다 초점을 맞춰야 할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eaning and significance of the Internet from the perspective of everyday life. Focusing on full-tine housewives use of the internet, in particular, this study investigates what is the meaning of the internet in their daily lives and how their use of the internet is related to the structure and cultures of the domestic context, that is, work, leisure, family relations and so on. It has been found that the internet is an ambivalent technology for housewives; on the one hand, it contributes to confining them to a private domain, as their use and perception of the internet are constructed in the range of the traditional role and responsibility of women at home. On the other hand, the internet is not only a way to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world for housewives, but also a means to overcome their senses of isolation and inferiority. This study suggests that new communication technology such as the internet is incorporated into the existing patterns of everyday life rather than changing them. Accordingly, it plays a role in reproducing established social structure, cultural values and germ relations.

      • KCI등재

        약물치료를 받는 우울증 환자에서 자살성 예측인자

        나미수(Mi-Su Na),김주완(Ju-Wan Kim),강희주(Hee-Ju Kang),이주연(Ju-Yeon Lee),김성완(Sung-Wan Kim),신일선(Il-Seon Shin),전병조(Byung-Jo Chun),김재민(Jae-Min Kim) 대한생물치료정신의학회 2021 생물치료정신의학 Vol.27 No.3

        Objectives:This study investigated factors related to increased suicidal severity and fatal/nonfatal suicide attempt in depressive patients receiving pharmacotherapy. Methods:This study included 1246 participants who received one year pharmacological treatment for depressive disorders. Socio-demographic and clinical variables were collected. The following scales were used : Brief Psychiatric Rating Scale (BPRS), Hospital Anxiety and Depression Scale (HADS), EuroQol-5D (EQ-5D), Social and Occupational Functional Assessment Scale (SOFAS), Life Experiences Survey (LES), Perceived Stress Scale (PSS), Korean version of Connor-Davidson Resilience Scale (K-CD-RISC),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MSPSS) and Alcohol Use Disorder Identification Test (AUDIT). Up to one year follow-up period, suicidality which are increased suicidal severity and fatal/nonfatal suicide attempt were followed.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were used to identify predictors for increased suicidal severity and fatal/nonfatal suicide attempt. Results:Of the 1,246 participants, 222(18%) reported increased suicidal severity and 45(3.6%) showed fatal/non-fatal suicide attempt. Increased suicidal severity were more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unemployment (OR=1.49, p=0.01), increased treatment step (OR=1.26, p<0.01), and fatal/non-fatal suicide attempt were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number of depressive episodes (OR=1.24, p=0.01), HADS-D (OR=1.11, p=0.02), AUDIT-K (OR=1.03, p= 0.03), increased treatment step (OR=1.24, p=0.02). Conclusions:Not only social and economic support system but also depression treatment might aid suicide preven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ful in considering risk factors related to suicide prevention in outpatient care in the future.

      • KCI우수등재
      • KCI등재후보

        TV시사다큐멘터리의 서사 비교연구: "트랜스젠더" 주제 <추적60분> <그것이 알고 싶다>를 중심으로

        나미수 ( Mi Su Na ),전오열 ( O Yeol Jeon ) 한국지역언론학연합회 2006 언론과학연구 Vol.6 No.4

        이 논문은 동일한 소재를 다룬 한국 텔레비전 시사다큐멘터리 프로그램 2편의 서사구조를 비교·분석하고, 그에 따른 현실재현 방식을 논의하고 있다. 비슷한 시기에 ``트랜스젠더``라는 소재를 방송한 KBS <추적 60분>과 SBS <그것이 알고 싶다>의 서사구조를 이야기 분석과 담론분석을 통해 비교·분석하고 현실재현 방식을 살펴본 결과, 트랜스젠더 문제를 다룬 두 프로그램의 서사구조와 현실재현 방식에 차이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추적 60분>은 연예인 등 다양한 트랜스젠더들이 개인적 또는 사회적으로 겪는 문제를 자세하게 나열하면서 객관주의와 사실주의에 충실했는데, 구체적인 해결책은 제시되지 않았다. 그리고 일부 트랜스젠더와 주변 인물들 간의 갈등과 여성성이 강조된 선정적인 내용을 부각하면서, 트랜스젠더의 현실을 부정적인 면에 초점을 맞추어 재현하였다. 10대 트랜스젠더 문제에 집중한 <그것이 알고 싶다>는, 트랜스젠더의 원인을 규명하고 학교와 사회에서 이들을 돕는 실례를 보여주며 갈등보다는 화해를 강조하면서, 트랜스젠더의 현실을 긍정적인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재현하였다. <그것이 알고 싶다>의 서사와 현실재현 방식은 트랜스젠더를 비롯한 소외집단을 다루는 기존 시사다큐멘터리와는 차별화된 시도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그것이 알고 싶다>에서도 사회 제도적인 해결책은 제시되지 않은 채 트랜스젠더 문제가 주변 사람들의 보호와 사랑만 있다면 모두 해결할 수 있다는 신화를 보여주고 있다. This article tries to investigate the narrative structure and the representing reality convention of two TV current-affairs documentaries on the trans-gender in order to reveal the way in which a same issue is differently framed in same genre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mpared the narrative structure of KBS`s <In-Depth 60Minutes> with that of SBS`s <We Want to Know That!> on the trans-gender. As a result, the narrative structure of two TV programs and, the realities of the trans-gender represented in two TV programs were different. <In-Depth 60Minutes> enumerated many case of the trans-gender and embossed the troubles of the trans-gender, with a sensational perspective. On the other hand, <We Want to Know That!>, focusing on the teenage trans-gender, placed great weight on a positive attitude of family and neighbourhood toward trans-gender which highlighted reconciliation between them. However, it is problematic that both programs fails to do deal with social, institutional solution of trans-gender issue.

      • KCI등재후보

        핵폐기장 유치에 대한 텔레비전 뉴스 프레임 분석

        나미수(Mi-Su Na) 한국언론정보학회 2004 한국언론정보학보 Vol.26 No.-

        본 연구는 2003년도 중요한 국책사업의 하나로서 첨예한 사회적 갈등이 나타났던 핵폐기장 유치 이슈를 텔레비전 뉴스보도가 어떠한 시각에서 다루고 해석, 평가함으로써 이슈에 대한 성격을 어떻게 규정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핵폐기장 유치선언이 있던 2003년 7월 11일부터 유치 재검토가 발표된 12월 10일가지 5개월 동안 보도된 핵폐기장 유치이슈에 대한 KBS, MBC 저녁종합뉴스의 전국 및 지역(전북지역) 뉴스에 대한 프레임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중요한 국책사업으로서 사회적 논란이 많았던 핵폐기장 유치 이슈는 갈등의 원인과 해결보다는 주민들의 시위와 사회적 혼란만 부각시키는 양상을 보였다. 따라서 갈등의 근본원인이자 이슈의 보다 본질적인 사안이라 할 수 있는 선정 절차상의 정당성 문제라든가 위도지역의 지질 적합성, 안전성 문제, 에너지 정책 등의 문제는 제대로 다루어지지 않았다. 결국 텔레비전 뉴스보도에서 핵폐기장 유치이슈는 국가정책적 이슈라기보다는 지역 내 집단간 분쟁으로 그 성격이 규정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explored how television news constructed an issue of the building of a nuclear waste facility on Wido, an issue which displayed a social conflict in the latter half of the year 2003. To do this, this study conducted frame analysis on KBS and MBC main news including national and local ones, broadcasted from 11 July, 2003 to 10 December, 2003. It was found that television news tended to stress violent protests against site designation and social disorder rather than the causes of a conflict and its solutions. Therefore, news reporting excluded fundamental reasons of conflict such as the governmental decision-making process of site designation, geological suitability, safety issue and nuclear energy policy, emphasizing the confrontation and clash between pro and con groups of site designation. This indicates that television news defines an issue of the building of a nuclear waste facility as the local conflict between groups, the police and demonstrators, or neighbors who approve and protest the site designation, not as the national issue of nuclear policy.

      • KCI등재후보

        텔레비전 드라마의 생산자 연구

        나미수(Mi-Su Na) 강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1 사회과학연구 Vol.50 No.1

        이 연구는 드라마 생산과정에 작동하는 생산자들의 여성인식이나 생산방식을 살펴봄으로써 우리 사회에 나타나는 드라마와 여성 혹은 드라마와 성의 문제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텔레비전 드라마의 핵심적인 생산자라 할 수 있는 PD와 작가를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 번째는 성별의 차이에 따라서 여성 생산자들의 경우 기본적으로 여성의식을 잠재하고 있는 반면에 남성 생산자의 경우에는 여성 의식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거나 관심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는, 생산자의 드라마관이나 여성관이 드라마에 표상되는 이야기나 인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는데, 드라마가 ‘여성장르로써 여성판타지를 만족시키는 역할’을 하다는 전제하에 여성판타지를 멋진 남성, 재취업, 일상 탈출 등, 기존의 공식에 대입시키는 방식이 반복되는 경향이 있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는 드라마 제작의 구조적 요인이 생산자의 인물묘사나 메시지 전달에 제약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작현장에서 나타나는 드라마의 장르구분이 세대별 여성이미지를 고착화하고, 제작관행이 조직 내 사회화를 통해서 반복 재생산되고 있었으며, 이에 더해서 시청률이 드라마의 변화를 막는 작용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plores the issue of television drama and gender by investigating producers’ recognition of gender and the way of producing television dramas. To do this, this study carried out in-depth interviews with PDs and writers of television dramas, who can be said as essential producers. As a result, male producers had little interest in a gender issue while female producers basically recognized the issue. Secondly, their view of drama and gender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tory and characters represented on dramas. That is, they have considered that the television drama is a female genre and contributes to satisfy women’s fantasy, and this has been an important base of storytelling of dramas. Finally, the structural factors of drama production influenced on the description of characters and the construction of story. For example, productional custom was repeatedly reproduced through socialization and gender-differentiated images tended to be fixed in the process of production. Also, the audience rating had a role in preventing the change of television dramas.

      • KCI등재

        여성 방송인의 시대별 위상 변화에 대한 질적 연구

        김태희(Tae-Hee Kim),나미수(Mi-Su Na)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012 미디어, 젠더 & 문화 Vol.22 No.-

        본 연구는 국내 방송환경의 변화에 따라 지역방송의 여성 아나운서의 위상이 어떻게 달라져 왔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전북지역 방송사에서 1960년대 이후부터 현재까지 아나운서로 종사하거나, 종사했던 사람들과의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각 시대에 아나운서로 활동했던 사람들의 생생한 경험을 당시의 맥락 속에서 해석함으로써 이들이 인식하고 있는 여성 아나운서의 위상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여성 아나운서의 위상은 우리사회의 변화와 더불어 방송제도와 방송산업의 성장, 아나운서직의 사회경제적 지위변화, 그리고 여성인력 수요와 고용형태의 변화 등에 따라 시기적으로 차별화되어 나타나고 있었다. 즉 여성 아나운서의 위상은 80년대가 가장 높았던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80년대 민주화운동과 서울올림픽 등은 여성 아나운서의 진입과 역할을 확대시킨 계기가 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90년대 민영방송의 등장과 방송 독과점시대가 지나면서 여성 아나운서의 계약직화 등으로 설자리가 점점 축소되어 갔다. 2000년대 이후에는 다매체, 다채널로 방송의 상업화가 심화되고 무한경쟁시대를 맞이하면서, 지역방송의 여성 아나운서는 계약직 혹은 프리랜서가 주를 이루면서 고용불안정이 높아지고 그 위상도 더욱 취약해진 상태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여성 아나운서의 수요와 신분의 안정성과는 별도로 방송사 조직 내에서 젠더관계에 따른 위치와 역할변화도 나타나고 있었다. 60, 70년대에는 남녀 공사영역 분리라는 성 고정관념으로 결혼과 동시에 일을 그만두게 되는 여성 아나운서의 ‘결혼퇴직제’가 관행이 되었다. 또한 시대를 막론하고 여성 아나운서의 업무는 남성 아나운서의 보조적ㆍ장식적 역할에 불과하거나, 진행과는 무관한 주변적인 일을 수행하였다는 점에서 방송사 내 차별적인 성별분업이 존재하고 있었다. 즉 방송환경의 변화에 따라 여성 아나운서의 양적 확산이 있었다 하더라도, 남성중심의 언론계, 방송계 문화에 따른 성차별적 고정관념과 관행에는 본질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resent study has intended to explore the change of status of female announcers with the changes of the Korean broadcasting history. In order to sketch the change of status of female announcers in each period, this research has limited the time span to cover from 1960 to post-2000 present time. The approach adopted in this study was in-depth interview method with male and female announcers who worked during the period to map out the perception of status in accordance with changes in each period. The findings show that the status of female announcers has been changed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broadcasting industry, socio-economic status of announcers and the demand and employment policy of female workforce. First, in the period of 1960∼70, when radio broadcasting had its heyday and the TV broadcasting industry started to grow, an increased number of women made their way into broadcasting sectors. The early 1980s, so called ‘the media privilege era’, strengthened the mindset of privilege on the part of journalists. Moreover, the 87 pro-democracy movement overthrew ‘marriage retirement system’, and opened up the way for married female announcers to continue to work. In the 1990s, the entrance of a new private broadcasting company became the basis for the shift of permanent employment of female announcer position to contract-based one. And this was strengthened even more after ‘IMF’ when the Korean finance was in crisis. The broadcasting sectors have met an era of multimedia and multichannel after 2000. The commercialization of broadcasting stirred up boundless competition and led to accelerate the instability of employment of female announcers in regional broadcasting companies. In conclusion, the most important reasons for low perception of the status of female announcers in regional broadcasting companies were the culture of man-centered media and broadcast sectors with prevalent paternalism, the prejudices derived from them, management crises of regional broadcast companies, and the commercialization of broadcast that focuses too much on audience rating.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