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nalysis of Perceived Restorativeness, Restoration Outcomes, and Plant Preference of Garden Visitors: Focusing on National Gardens, Local Gardens, and Private Gardens

        김희란,김재선,조준영,신원섭 인간식물환경학회 2023 인간식물환경학회지 Vol.26 No.4

        Background and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more active use of gardens by analyzingperceived restorativeness, restoration outcomes, and plant preference of garden visitors. Methods: The study was conducted from April 20 to June 25, 2022 on 6 research sites including national gardens, localgardens, and private gardens, and a survey was conducted on 360 adults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Perceivedrestorativeness, restoration outcomes, and plant preference of garden visitors were measured. Frequency analysis,one-way ANOVA, chi-square test,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sim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fordata analysis using the SPSS Statistics 19.0.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Perceived restorativeness (F = 4.507, p < .05) and restoration outcomes(F = 3.321, p < .05) of garden visitor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y group. Preference for plants with a lotof fragrance (F = 4.125, p < .05) and large-flowered plants (F = 3.155, p < .05)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by group, and the preference was high. Perceived restorativeness, restoration outcomes, and plant preference mostly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Perceived restorativeness had a positive effect on restoration outcomes and plantpreference, and restoration outcomes had a positive effect on plant preference. Conclusion: Gardens can serve as a restorative environment providing visitors with relaxation and psychological stability. It is necessary to reflect the design elements of a healing environment that lead to positive restorative effects on gardendesign and to plant preferred plants in the gardens.

      • KCI등재후보

        전라북도 지역사회에서 활용된 염료 및 섬유용 식물에 대한 전통지식 분석

        김희란,김현,송미장 한약정보연구회 2015 한약정보연구회지 Vol.3 No.3

        This study aims to analyse orally transmitted traditional knowledge of dye and fiber plants utilized in the local communities of Jeollabuk-do, Korea. Data was collected through the participatory rural appraisal (PRA) method involving interviews, informal meetings, open and group discussions, and overt observations with semi-structured questionnaires. Field investigations were conducted through 23 sites from July, 2008 to April, 2010. 49 key informants (17 men and 32 women) were interviewed who have lived over 50 years around the areas of investigation. The average age of the informants was 80 (from 61 to 96 years old). Dye plants were recorded six species, Acer tataricum subsp. ginnala (Maxim.) Wesm., Lithospermum erythrorhizon Siebold & Zucc., Diospyros kaki Thunb., Pueraria lobata (Willd.) Ohwi, Persica riatinctoria H.Gross and Gardenia jasminoides J.Ellis. Fiber plants were recorded three species, Cannabis sativa L., Gossypium ndicum Lam. and Boehmeria nivea (L.) Gaudich.

      • KCI등재

        장애전문어린이집 운영의 어려움과 지원 요구에 관한 원장의 인식

        김희란,김자경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21 교육혁신연구 Vol.31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directors’ perception on difficulties of managing the daycare center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demands for support for the centers. Method: In-depth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five directors of the daycare center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the U region. The researchers read the interview data repeatedly and open-coded according to semantic units.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code and concept, similar or related concepts were grouped together and categorized to derive significant topics. Results: Under the difficulties for management, 6 categories were derived from the interview: difficulties in teacher training and employment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difficulties in implementation of special child care services and reduction in the number of children, difficulties in improving parental awareness, difficulties in building and maintaining a physical environment,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difficulties, and difficulties in community relations. Under the demands for support, 5 categories were derived from the interviews: demand for system development at the national level, demand for substantial support on management, demand for improving the physical environment, demand for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and community living together. Conclusion: On the basis of findings, the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care of daycare center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were discussed.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전문어린이집 원장이 인식하는 운영상의 어려움과 지원에 대한 요구를 살펴보는 데 있다. 연구방법: U지역에 소재한 장애전문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다섯 명의 원장을 대상으로 개별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수집된 면담자료는 반복적으로 읽어가면서 의미 단위로 추출하여 코딩하였으며, 각 코드 및 개념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유사한 혹은 관련된 개념을 묶어 범주화하여 주제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장애전문어린이집 운영의 어려움은 ‘교사 재교육과 유아특수교사 배치의 어려움’, ‘특수보육서비스 실행의 어려움 및 원아 수 감소로 인한 어려움’, ‘부모 인식개선의 어려움’, ‘물리적 환경 구축 및 유지의 어려움’, ‘행정 및 재정적 어려움’, ‘지역사회 관계에서의 어려움’ 등 6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지원 요구는 ‘국가차원의 제도 마련 요구’, ‘내실 있는 운영에 대한 지원 요구’, ‘물리적 환경 개선에 대한 요구’, ‘행정 및 재정적 지원에 대한 요구’, ‘함께 살아가는 지역사회’ 등 5개의 범주로 관련 내용이 도출되었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전문어린이집의 질적 보육을 향상시키기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도시숲과 학교숲 체험 활동이 고등학생의 숲에 대한 태도, 심리적 안녕감,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김희란,구창덕 한국환경생태학회 2019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33 No.3

        본 연구는 숲체험 활동이 고등학생의 숲에 대한 태도, 심리적 안녕감,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행되었다. 연구대상은 화성시 B동에 위치한 고등학교의 학생 26명으로 도시숲 체험에 참가한 실험집단과 학교숲 체험에 참가한 통제집단으로 나누었고, 각 집단은 매주 1회 2시간씩 5회기의 숲체험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고등학생 들의 정신적 심리적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숲에 대한 환경태도 척도, 심리적 안녕감 척도, 학업스트레스 척도를 이용해 사전과 사후 설문조사를 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3.0 프로그램과 Wilcoxon 부호순위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숲체험 활동에 참여한 고등학생의 숲에 대한 태도에는 유의미한 증가가 있었다. 심리적 안녕감은 학교숲에 참가한 집단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도는 아니었으나 증가가 있었고, 도시숲 체험에 참가한 집단은 유의미한 증가가 있어서 숲체험 활동은 고등학생의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주었다. 학업스트레스에 있어서는 학교숲 체험에 참가한 집단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도는 아니었으나 감소가 있었고, 도시숲 체험에 참가한 집단은 유의미한 감소가 있어서 숲체험 활동은 고등학생의 학업스트레스에 영향을 주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urban forest and school forest experience programs on attitude toward the forest,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tress of high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6 students from a high school located in B-dong in Hwaseong, Gyeonggi Province. They were divided into the experimental groups participating in urban forest experience and the control groups participating in school forests experience. Each group participated in the five weekly two-hour long forest experience program. We conducted a pre- and post-experience questionnaire surveys using the scale of environmental attitude toward the forest, the scale of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he scale of academic stress to observe mental and psychological changes of the high school students. Data were analyzed by SPSS 23.0 program and a Wilcoxon sign rank test.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attitude toward forests of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forest experience programs. The groups participating in the school forest experience showed an increase i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although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he groups participating in the urban forest experience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dicating that the forest experience affected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high school students. The groups participating in the school forest experience showed a decrease in the academic stress although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he groups participating in the urban forest experience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indicating that the forest experience affected the academic stress of the high school students.

      • 인문학 연구와 연구도서관

        김희란,Kim, Hui-Ran 한국도서관협회 1996 圖協會報 Vol.37 No.2

        이 글은 1994년 6월 25일 "The Humanistic Research Perspective in a Technological Age"라는 주제로 열린 미국도서관협회 연차회의에서 Ross Atkinson이 발표한 논문 “Humanities Scholarship and the Research Library"를 번역한 것이다. 원문은 ”Library Resources & Technical Services" Vol.39(1) pp79-84에 게재된 것이다.

      • KCI등재

        R을 이용한 모형 기반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활용한 대학생 학습참여 유형과 학습성과 분석

        김희란(金喜蘭)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아시아교육연구 Vol.2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을 대상으로 R을 이용하여 모형 기반 잠재프로파일 분석방법(model-based latent profile analysis)을 적용하여 대학생들의 학습참여(student engagement)를 유형화함으로써 대학생 학습활동을 이해하는 것이다. 전국 4년제 일반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을 대상으로 K-NSSE(Korea-National Survey of Student Engagement) 측정도구를 이용하여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1,178명의 표본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3개의 학습참여 유형이 추출되었으며, 잠재집단들은 표본 수에서는 차이가 나지만 유사한 축을 가지는 타원형 분포를 띄는 모형(VEE, Ellipsoidal, Variable volume, Equal shape, and Equal orientation)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참여 유형은 특징에 따라 ‘적극형’, ‘보통형’, ‘소극형’으로 명명되었다. ‘교수와 상호작용’ 변인이 유형 분류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뿐만 아니라, ‘적극형’ , ‘보통형’, ‘소극형’ 순으로 대학생활을 통한 역량 함양 정도, 교육만족도, 대학몰입도를 높게 보고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대학생들이 학습참여에 적극적일수록 학습성과가 높다는 선행연구결과를 지지하였으며 인지적 학습성과뿐만 아니라 정의적 학습성과 또한 학습참여의 적극성 정도와 관련되어 있음을 입증하였다. 대학생의 학습지원과 관련하여 본 연구결과의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learning activities of undergraduate students by applying the model-based latent profile analysis and classifying the typology of student engagement in learning. 1,178 data were collected from 4-year undergraduate students who had responded to the K-NSSE assessment via online survey. Results showed that three types of learning engagement were developed. The fittest model of latent groups was the ellipsoidal model with variable volume, equal shape and orientation among groups. The learning engagement was classified into active, ordinary, and passive types. The participants of active type showed higher scores on GPA, perceived competencies,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immersed level in college activities than other types. The results supported previous study outcomes that the more undergraduate students are active in their learning engagement, the higher their achievements are, and that the level of active engagement is associated with emotional learning outcomes as well as cognitive outcomes. Implications of study results were discussed regarding supports for learning of undergraduate students.

      • KCI등재

        남자 청소년 대상 포괄적 성교육 프로그램 효과

        김희란 한국청소년학회 2022 청소년학연구 Vol.29 No.4

        This study aims to effectiveness of a comprehensive sexuality education program focused on gender equality for male adolescents developed in a reality where studies on the effectiveness of sexuality education programs for male adolescents are rare in Korea(ROK). The comprehensive sexuality education program developed by Aha! Sexuality Education & Counseling Center for Youth. The program was implemented in two male middle schools from September to October in 2021. As a pre and post quasi experimental design method with a control group, data were collected from 251 participants. As the main statistical analysis methods, covariate analysis, nonparametric covariate analysis, correlation coefficient analysis, and multivariate analysis were used. The program prove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male adolescents in 3 out of 4 sub-variables of the dependent variable (perception of‘gender stereotype’,‘sexuality subjectivity’, and ‘gender equality’). The program also brought about a chang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ub-variables. In the pre of the experimental group,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exual subjectivity and gender equality, but the negative correlation disappear in the post. In addition, there was no difference in program effectiveness in the gender and age of the facilitator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suggested with further studies. 이 연구의 목적은 남자 청소년을 대상으로 실시한 유네스코의 성교육 지침을 기반으로 개발된 성평등 중심의 포괄적 성교육 프로그램이 교육 참여자들의 성인지·성평등 인식에 효과가 있는지를 밝히는 것이다. 청소년 성교육·성상담 전문기관인 아하! 서울시립청소년성문화센터에서 개발한 포괄적 성교육 프로그램을 2021년 9월부터 10월까지 남자 중학교 2곳에서 1학년을 대상으로 4차시로 구성된 교육을 실행하였다. 통제군이 있는 사전-사후 유사실험설계 방법으로 4개 영역(성 고정관념인식, 성적 주체성인식, 관계에서의 동의인식, 성평등(페미니즘)인식)의 16개 문항으로 구성된 측정도구가 사용되었다. 교육에 참여한 실험군과 참여하지 않은 통제군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공변량분석(ANCOVA)을 통해 검증하였고 교육으로 인하여 실험군에 어떤 변화들이 있는지 상관분석을 통해 탐색하였다. 또한 교육에 참여한 강사의 성별과 연령에 따라 효과 차이가 있는지 다변량분석(MANOVA)을 통해 검증하였다. 프로그램은 남자 청소년에게 종속변인의 하위변인 4개 중 3개(성 고정관념인식, 성적 주체성인식, 성평등(페미니즘)인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입증되었다. 관계에서의 동의인식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프로그램은 하위변인 간의 관련성에도 변화를 가져왔는데, 실험군 청소년의 사전조사에서는 성적 주체성과 성평등 인식 간에 부적 상관이었는데, 사후조사에서는 부적 상관이 사라진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프로그램을 진행한 강사의 성별과 연령에 따라 프로그램 효과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 KCI등재

        청소년 대상 성인지교육 프로그램 및 교사 특성별 효과 분석: 서울시 남자 중학생을 중심으로

        김희란 한국청소년학회 2023 청소년학연구 Vol.30 No.9

        이 연구는 성인지 성교육 프로그램을 서울시 소재 남자 중학교에 다니는 1학년에게 적용하고 프로그램의 성인지감수성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또한 성교육 교사 특성에 따라 남자 청소년의 성인지감수성 효과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8개 중학교 536명이었으며 이들의 교육 전·후 설문조사를 통하여 얻은 자료를 활용하였다. 측정도구는 청소년의 성인지감수성과 관련한 탈성고정관념, 성적 주체성, 관계에서의 동의 인식, 성평등 인식 4개 변인이었다. 대응표본 t-검증 분석 결과, 성인지 성교육 프로그램은 남자 청소년의 성인지감수성 관련 변인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시켰다. K-평균 군집분석 결과, 사후에 모든 변인 값이 균형적으로 높은 집단이 사전보다 더 높게 분포하였다. 성교육 교사의 특성에 따른 효과는 관계에서의 동의 인식과 성평등 인식에서 나타났는데, 남자보다 여자교사, 50대 이상 교사, 10년 이상 성교육 경력을 가진 교사, 성인지 성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참여한 교사가 그렇지 않은 교사보다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남자 청소년 대상 성인지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ly a gender-sensitivity sexuality education program to first graders attending a male middle school in Seoul, Korea and to verify its effectiveness. The data obtained through the pre- and post- survey of 536 students from 8 middle schools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The paired t-test, correlation analysis, K-means cluster analysis, and analysis of variance(ANOVA) were used. As a result of, the program significantly improved adolescents' gender sensitivity related variables after education than before. The effect of educators' characteristics was found in recognition of consent and gender equality. Women were more effective than men, and the over 50 years old, with more than 10 years of experience, and those who participated in the development of the programs were more effective.

      • KCI등재

        청소년 대상 디지털 성폭력 예방교육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김희란 한국청소년학회 2022 청소년학연구 Vol.29 No.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est the effectiveness of one of the programs, “Digital Sexual Violence Prevention program” developed by Aha! Sexuality Education & Counseling Center for Youth. Data were collected from total of 2,290 adolescent in 2020. Based on the pre-post single-sample quasi experiment design, the study investigated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effect according to gender, grade and school level, and prior learning level of participants. As a result of the pre-post paired sample t-test analysis, the program was effective regardless of the adolescent's gender and grade and school level. In addition, as a result of covariate analysis that controlled for prior test score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effect according to gender except for the ‘respect and consideration' variable and according to grade and school level. As a result of one-way ANOVA after dividing the prior scores into tertiles, the program effect was lower in the lower 1st quartile than in the 2nd and 3rd quartile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in order for school-based digital sexual violence prevention education to become more effective education, and to ensure more effectiveness in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the developed manual, customized education for each level was suggested as an educational methodological implication. 이 연구의 목적은 아하! 서울시립청소년성문화센터에서 개발한‘디지털 성폭력 예방교육’프로그램의 효과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청소년을 대상으로 실시한 총 2,290명의 자료를 t-검증, 공변량분석, 분산분석 등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얻었다. 첫째, 사전-사후 자료분석 결과, 청소년의 성별과 학년 및 학교급에 상관없이 프로그램은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집단에 따라 프로그램 효과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 결과, 성별 집단에 따른 효과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학년 및 학교급에 따른 효과 차이는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고학년 초등학생이 중학생보다 프로그램 효과가 더 높게 나타났다. 셋째, 사전 점수가 하위 1분위 집단은 2분위와 3분위 집단에 비해 프로그램 효과가 더 낮게 나타났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 기반 디지털 성폭력 예방교육의 방법론적 시사점으로 수준별 맞춤형 교육에 대해 제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