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말벌침에 의한 안구 손상의 예후: 증례보고

        김혜지(Hye Jee Kim),신재호(Jae Ho Shin),문상웅(Sang Woong Moon) 대한안과학회 2016 대한안과학회지 Vol.57 No.12

        목적: 말벌침에 의한 안구 손상 후 전방세척을 시행한 증례 1과, 전방 세척과 함께 유리체절제술을 시행한 증례 2의 2가지 증례 경과 및 예후를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두 증례 모두 단안 손상이었으며 심한 안구 통증 및 시력저하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세극등현미경 검사에서 심한 각막 부종과 결막 충혈 그리고 전방의 염증 반응이 관찰되었으며 벌침은 각막을 관통하여 전방 내로 들어가 있었다. 증례 1에서는 벌침 제거 후 전방세척술을 시행한 후 약물치료를 시행하였고 각막부종은 회복되지 않았다. 6개월 후 안구위축 소견이 관찰되었다. 증례 2에서는 남은 벌침 제거 및 전방세척술과 함께 유리체절제술을 시행하였다. 수술 후 각막 부종이 감소하였고, 전방과 유리체의 염증이 호전되었으며, 각막상피도 회복되었다. 수상 4개월 후에도 안구 안정화되었으나 망막전위도 검사에서는 파형이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꿀벌에 의한 안구손상과는 다르게, 말벌에 의한 안구 손상은 심한 독성 반응을 유발하여 영구적인 시력 손상과 안구 황폐를 유발할 수 있다. 초기 검사에서 말벌에 의한 수상이 의심되는 경우는 유리체절제술을 포함한 적극적인 치료를 시행하는 것이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Purpose: In the present study, the prognosis of ocular injury caused by a wasp sting was evaluated in two cases: Case 1 was treated by anterior chamber irrigation and Case 2 was simultaneously treated by anterior chamber irrigation and vitrectomy. Case summary: Both patients had unilateral damage and complained of severe eye pain and blurred vision. Severe corneal edema, conjunctival injection, marked anterior chamber inflammatory reaction and the wasp sting through the cornea at the anterior chamber were observed in both cases. In Case 1, anterior chamber irrigation was performed, however, corneal edema was not recovered. Six months after the wasp sting, phthisis was observed. In Case 2, anterior chamber irrigation and vitrectomy were simultaneously performed, corneal edema decreased and epithelial healing occurred. Four months after the wasp sting, the eyeball was stable, but there was no wave on the electroretinogram. Conclusions: Unlike the ocular damage resulting from a bee sting, the ocular damage from a wasp sting causes severe toxic reactions and results in poor prognosis. Aggressive treatment including vitrectomy is necessary shortly after wasp sting injury to save both the vision and eyeball.

      • KCI등재
      • KCI등재

        다양한 단면 두께의 얼굴 전산화단층촬영 사진을 이용하여 측정한 안와용적 비교

        김혜지(Hye Jee Kim),한지상(Ji Sang Han),박인기(In Ki Park),최삼진(Sam Jin Choi),신재호(Jae Ho Shin) 대한안과학회 2016 대한안과학회지 Vol.57 No.11

        목적: 다양한 단면 두께로 촬영된 얼굴 전산화단층촬영 축영상과 관상영상 사진을 반자동화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안와 용적을 측정하여 차이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 mm, 2.5 mm, 3 mm의 두께로 얼굴 전산화단층촬영을 시행한 30대 성인 남성 50명에 대하여, 안와 용적의 측정이 가능한 반자동화 프로그램(MATLAB 2009aⓇ)을 이용하여 얼굴 전산화단층촬영 사진의 축영상과 관상영상 사진 모두 안와 단면적을 각각 측정하였고, 측정 단면적을 누적하여 안와 용적을 계산하여 이를 비교 분석하여 보았다. 결과: 2 mm로 측정한 축영상에서 우측 33.14 ± 2.37 cm3, 좌측 34.32 ± 2.60 cm3, 관상영상에서 우측 35.54 ± 3.58 cm3, 좌측34.96 ± 4.05 cm3로 측정되었고, 2.5 mm 간격으로 측정한 축영상에서 우측 33.28 ± 3.35 cm3, 좌측 33.73 ± 4.10 cm3, 관상영상에서 우측 35.24 ± 3.98 cm3, 좌측 35.10 ± 3.93 cm3로 측정되었다. 3.0 mm 간격으로 측정한 축영상에서 우측 33.23 ± 2.70 cm3,좌측 33.39 ± 2.69 cm3, 관상영상에서 우측 33.20 ± 3.64 cm3, 좌측 32.95 ± 3.45 cm3로 측정되었다. 2 mm 두께로 측정한 축영상을 제외하고 나머지 다섯 군에서 우측과 좌측의 안구 용적이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단면 두께에 따른 측정값의 평균은 2 mm 간격의 축영상에서 33.73 ± 2.51 cm3, 관상영상에서 35.25 ± 3.76 cm3, 2.5 mm 간격의 축영상에서 33.50 ±3.67 cm3, 관상영상에서 35.17 ± 3.88 cm3, 3 mm 간격의 축영상에서 33.31 ± 2.65 cm3, 관상영상에서 33.08 ± 3.48 cm3로 측정되어 촬영 간격이 3 mm인 축영상과 관상영상 사진으로부터 각각 측정한 안와 용적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3mm=0.62). 결론: 본 연구에서는 단면 두께와 관계 없이 축영상으로 측정한 안와 용적이 비슷하게 측정되어 축영상을 이용한 측정법이 안와 용적측정에 유용함을 증명하였다. 또한 넓은 단면(3 mm)으로 촬영한 전산화단층촬영의 사진이 좁은 단면(2 mm, 2.5 mm)으로 촬영한 전산화단층촬영의 사진보다 안구 용적 측정 시 높은 재현성을 보여 저자들이 고안한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안와 용적을 측정할 때는 3 mm 간격의 넓은 간격의 전산화단층촬영이 적절할 것이라 생각된다. 〈대한안과학회지 2016;57(11):1671-1677〉 Purpose: To compare the orbital volume calculated from various slice thickness facial computed tomography scans using a semi-automated computer program. Methods: Axial and coronal scans of 2, 2.5, 3 mm slice thickness facial computed tomography scans were used to measure the orbital volume. The cross-sectional area was determined from each slice using a semi-automated computer program (MATLAB 2009a??, MathWorks, Inc., Natick, MA, USA), and then the volume was calculated from serial reconstruction of the cross sections. Results: The measured value in the 2 mm images was 33.14 ± 2.37 cm3 in the right orbit and 34.32 ± 2.60 cm3 in the left orbit for the axial scans, and 35.54 ± 3.58 cm3 in the right orbit and 34.96 ± 4.05 cm3 in the left orbit for the coronal scans. In the 2.5 mm images, the values were 33.28 ± 3.35 cm3 in the right orbit and 33.73 ± 4.10 cm3 in the left orbit for the axial scans, and 35.24 ± 3.98 cm3 in the right orbit and 35.10 ± 3.93 cm3 in the left orbit for the coronal scans. In the 3 mm images, the values were 33.23 ± 2.70 cm3 in the right orbit and 33.39 ± 2.69 cm3 in the left orbit for the axial scans, and 33.20 ± 3.64 cm3 in the right orbit and 32.95 ± 3.45 cm3 in the left orbit for the coronal scans. In the 3 mm image, there was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alculated volume between the axial and coronal scans (p3m m = 0.62). Conclusions: Because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results of the orbital volumetric measurements between three other slice thicknesses in the axial scan, using axial scan images with a computer program that semi-automatically calculates orbital volume is useful. In addition, the volume measured by thick slice images has more reproducibility than the volume measured by thin slice images. J Korean Ophthalmol Soc 2016;57(11):1671-1677

      • KCI등재

        축외 역형성 뇌수막종의 직접 안와 침범 1예

        주진호(Jin Ho Joo),김혜지(Hye Jee Kim),박인기(In Ki Park),신재호(Jae Ho Shin) 대한안과학회 2016 대한안과학회지 Vol.57 No.11

        목적: 축외인 대뇌 뇌고랑에서 유래한 역형성 뇌수막종의 직접적인 안와 침범은 이전에 보고된 적이 없어 안와 종양의 감별진단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되어 1예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83세 여자 환자가 좌안 안구돌출과 이마 부위의 촉진되는 종괴로 진료를 보았다. 뇌컴퓨터단층촬영 검사에서 육종으로 의심되는 커다란 종괴가 보였고, 주변 조직을 직접적으로 침범하고 있었다. 머리뼈절개술을 통해 종괴를 제거하였다. 종괴는 경막외와 경막내 공간, 뇌실질, 피하조직, 좌측 관자근, 안와 천장과 중간선을 넘어 반대쪽 이마엽 침범 소견을 보였다. 인공 천장 뼈와 골 시멘트를 이용하여 안와 천장을 재건하고, 두개성형술을 시행하였다. 최종 조직학적 진단은 역형성 뇌수막종이었다. 수술 1개월 후, 좌측안구는 원위치로 복원되었고, 좌안의 시력과 안구운동도 회복되었다. 결론: 축외인 대뇌 뇌고랑에서 유래한 역형성 뇌수막종의 직접적인 안와 침범은 드물다. 하지만 빠른 속도로 자라는 안와 종괴의 감별진단에서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대한안과학회지 2016;57(11):1781-1785> Purpose: We report the first case of extra-axial anaplastic meningioma with direct orbital extension for differential diagnosis of orbital tumors. Case summary: An 83-year-old woman presented with a protruding left eye and a palpable mass on the forehead. A brain computed tomography scan revealed a huge sarcomatous mass that had directly invaded the surrounding tissues. We removed the tumor by craniotomy and found that it involved the extradural and intradural spaces, brain parenchyma, subcutaneous tissue, left temporalis, orbital roof, and the other frontal lobe across the midline. A cranioplasty was performed, and the orbital roof was reconstructed with artificial bone and bone cement. The final histological diagnosis was anaplastic meningioma. The left eyeball was restored to its normal position 1 month after the surgery. Also, visual acuity and eye movement of the left eye were preserved. Conclusions: Direct orbital extension of originated extra-axial cerebral convexity anaplastic meningioma is rare but should be considered in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a rapidly growing orbital mass. J Korean Ophthalmol Soc 2016;57(11):1781-1785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