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응노, 이배, 마츠타니 타케사다의 작품에서 반복과 무념무상(無念無想)

        김현숙 ( Kim¸ Hyeonsuk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2020 예술과 미디어 Vol.19 No.1

        이 논문은 파리에 기반을 둔 세 예술인: 두 명의 재불 한인 예술가인 이응노와 이배, 그리고 재불 일본 예술가인 마츠타니 타케사다에 초점을 맞추었다. 또한 그들의 작품에서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반복 행위’의 발생에 대하여 탐색했다. 그들은 전통적인 종이나 먹의 효과를 사용하여 다양한 주제에 대한 작품을 제작했다. 이응노는 서예에서 발견한 추상성을 이용하여, 단순화된 인간의 실루엣을 〈군상(Foule)〉 연작에서 표현했다. 실루엣들은 인간 본연의 모습을 상기시키며, 무수한 그 형상들은 반복적이다. ‘반복’은 마츠타니의 〈흐름 퐁피두(Stream Pompidou)〉와 퍼포먼스 〈흐름(Stream)〉에서도 볼 수 있다. 뎃상에서 선을 긋거나 서예에서 먹을 가는 행위는 시작을 상징한다. 마츠타니는 ‘시작’의 행위를 반복한다. ‘시작’의 행위는 우리에게 근본적인 것을 되돌아보게 해준다. 숯을 이용한 이배의 설치 작품 〈산책(Promenade〉이 타고 남은 사물의 본질을 상징적으로 표현한다면, 평면 작품 〈불의 근원(Issu du feu)〉는 숯으로 표현되는 다양한 빛을 연출한다. 동양화의 여백, 비움과 충만을 찾을 수 있는 〈무제〉 연작은 반복적인 과정을 통해 생성된다. 그의 ‘반복’은 가장 자연스러운 획을 찾아가는 방법이었다. 이 세 예술가의 작품에서 ‘반복’은 매너리즘에 빠지게 하는 행위가 아니었다. 그것은 마음을 비우는 과정인 무념무상(無念無想)이나 명상과 연관이 있다. 그들의 예술적 작업 과정은 노자의 무위(無爲)와 관련된, 본질적인 것이나 순수한 것을 추구하는 행위이다. 이 세 예술가들에게 무념무상이나 명상은 예술적 가치와 관련이 있으며, 그들의 근본적인 예술적 사상은 프랑스 문화와 이념과 만나 재정의되고, 그들의 작품을 창작하는 기초가 되었다. This paper focuses on three artists based in Paris: two Korean artists, Lee Ungno and Lee Bae, and a Japanese artist Takesada Matsutani. And it explored for the occurrence of ‘repetition act’ found in common in their works. They realize works on various themes, using effects of traditional paper and ink. Using the abstractness found in calligraphy, Lee Ungno expresses a simplified human silhouette in the series Foule. Silhouettes remind us of human beings nature, and these countless shapes are repetitive. “Repetition” can also be seen in Matsutani’s Stream Pompidou and Performance Stream. Drawing a line with a pencil or grind an ink stick symbolize the beginning. Matsutani repeats the act of ‘beginning’. The act of “beginning” takes us back to what is fundamental. If Lee Bae’s installation artwork Promenade using charcoal symbolically represented the essence of the objects left on fire, two-dimensional work Issu du feu creates a variety of light represented by charcoal. The Untitled series, where can be found blank space, which is emptiness and fullness of Oriental painting, is created through an iterative process. His “repetition” is a way to find the most natural line. In these three artists art works, “repetition” was not an act of falling into mannerism. It is connected to ‘non-thought (무념무상 無念無想)’ or meditation and the process of emptying the mind. Their artistic practice is an act of seeking for something essential and pure which is related to Lao-tzu’s ‘non-doing (무위 無爲)’. ‘Non-thought’ or meditation for these three artists has a deep meaning which is linked to their artistic values. Their fundamental artistic ideas are redefined in France with the encounter of this country culture and ideology and which become the basis for the creation of their works.

      • KCI등재

        부산지역 전통향토음식을 이용한 정식 및 별미식 식단 구성

        김현숙(Hyeonsuk Kim),우민지(Minji Woo),김현주(Hyunju Kim),송영옥(Yeong Ok So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2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1 No.10

        본 연구는 해산물 사용이 높아 고단백, 고섬유질 식품으로 알려진 부산지역 향토음식으로 가정에서 일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식단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부산향토음식에 관해 문헌 및 구두조사를 실시하였고, 이중 가장 많이 조사된 겨울철 부산 향토음식을 기준으로 3첩 반상형 정식 식단 5종 및 별미식 식단 5종을 구성하였다. 정식 식단 I형은 흰밥, 시래기 된장국, 배추김치, 굴깍두기, 시금치나물, 매운잡채, 돼지수육, 배추속쌈, 보리막장으로 구성하였다. 정식 식단 II형은 흰밥, 소고기무국, 배추김치, 멸치섞박지, 겨울초 겉절이, 매집찜, 생미역귀 초회로 구성하였다. 정식 식단 Ⅲ형은 오곡밥, 보름지짐이, 동치미, 9가지나물, 각색산적, 김구이로 구성하였고 정식 식단 Ⅳ형은 흰밥, 가자미 미역국, 배추김치, 소라김치, 몰한치 생채, 조개찜, 각색산적으로 구성하였다. 정식 식단 Ⅴ형은 흰밥, 까시리김치국, 대구아가미젓 무김치, 조기구이, 토란대 들깨나물, 계란찜, 버섯초회로 구성하였다. 별미식 식단Ⅰ형은 홍합죽, 배추김치, 동치미, 미역설치, 코다리 조림, 늙은 호박전으로, 별미식 식단 Ⅱ형은 굴떡국, 배추김치, 마른 가자미조림, 까막발이털털이 초회, 도토리묵, 오징어 젓갈로 구성하였다. 별미식 식단 Ⅲ형은 김치국밥, 연두부 계란탕, 갈치섞박지, 삼색나물, 대구찜, 다시마튀각으로 구성하였고 별미식 식단 Ⅳ형은 동지팥죽, 배추김치, 동치미, 톳나물두부무침, 각색산적, 늙은 호박전으로 구성하였다. 별미식 식단 Ⅴ형은 콩칼국수, 갓김치, 멸치섞박지, 몰설치, 해물전으로 구성하였다. 식단의 영양성분을 성인 남자 30~49세 한 끼 영양섭취기준과 비교하였을 때, 정식과 별미식 모두 저열량, 고단백식, 고 식이섬유식으로 나타났다. 비타민의 함량은 정식 식단별로 차이가 있었고, 별미식 식단은 적정 수준 이었다. 정식 I형은 Vt. A를 제외하고 모든 비타민 함량이 KDRI보다 낮았으며 정식 V형은 Vt. C 함량이 KDRI의 50% 수준이었다. 칼슘, 철분, 아연, 나트륨, 칼륨 등의 무기질 함량은 정식 및 별미식 식단모두에서 KDRI보다 높게 나타났다. 개발된 식단의 재료 사용 및 조리 방법은 중복도가 낮고, 주식과 부식의 어울림, 지역적 특성, 영양균형, 식단 구성의 다양성 등이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식단은 가정에서 전통 한식을 손쉽게 준비할 수 있는 활용성이 높은 식단으로 생각된다. 식단준비 시 해산물의 염분을 충분히 제거하는 점이 요청된다. The purpose of study was to introduce menus consisting of traditional local foods consumed in Busan, Korea. Five different types of formal meal menus with three side dishes and five different types of informal meal menus of which the main dish was not cooked rice were developed. Scores for the menu evaluations of formal and informal meals were higher than 7.9 (mean score of 6 category) on a 9.0 scale, suggesting that the menus were well constituted in terms of "repeated use of ingredients and cooking methods", "balance between main and side dishes", "frequency of usage of local products", "nutritional balance", "variety of dishes", and "popularization". Nutritional values of menu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the KDRI for men aged 30~49 years old. All ten menus reflected a low calorie, high protein, and high fiber diet. Mineral contents (Ca, Fe, Zn, K, and Na) of the above 10 menus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KDRI. On the other hand, vitamin contents slightly differed according to meal type due to limited fresh vegetable usage in the winter season. Vitamin A, B (B1, B2, niacin, B6), C, folic acid, and E contents in the five informal menus were found to be proper or greater than those of the KDRI. However, for the formal meal menus, all vitamin contents except that of vitamin A in menu typeⅠwas lower than that of the KDRI. Content of vitamin C in menu type V was approximately 50% of that of the KDRI. The most preferred formal menu was consisted of Ogokbap, Boreumjijimi, Dongchimi, Namul (nine varieties), Gaksaeksanjeok (Shark/Daegu/Gunso), and Gimgui. And that for informal menu was consisted of Honghapjuk, Baechu kimchi, Dongchimi, Miyeokseolchi, Kodari jorim, and Neulgeun hobakjeon. Suggestions for providing more fresh vegetables or fruits for certain types of meals (formal meal type Ⅴ) were offered. Additionally, pre-preparation of sea products were required to reduce Na contents.

      • KCI등재

        농촌관광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김현숙(Hyeonsuk Kim),김소윤(Soyun Kim),이종상(Jongsang Lee) 한국농촌지도학회 2016 농촌지도와 개발 Vol.23 No.3

        The increase in demand for leisure time by the public and the vitalization of agricultural tourism resulting from the expansion of the five-day work week are expected to greatly contribute to the rural economy, but actual studies analyzing the ripple effect of the agricultural tourism industry are lacking. In order to analyze the economic ripple effect, tourism or agricultural tourism must become an independent sector in the inter-industry relations table’s sector classification, but because it is not, the study uses a method of analysis which involves creating a satellite account. However, because agricultural tourism has a clear main agent in farms unlike general tourism which does not, there is one method in which provisions are made by farms or farm villages and another method in which outside products are used. The purpose of the present is to measure the economic ripple effect of agricultural tourism with a focus on 162 subclasses by applying positive data from the education sector input into agricultural tourism. Satellite accounts which considered intermediate input were created and applied to positive data, the analysis of which revealed agricultural tourism to account for 462 billion won, which is 0.01% of the total production amount of 3,503,480 billion won, while the production inducement coefficient was 3.2895 units when the final demand of agricultural tourism occurs. When the production inducement coefficient is at 3.2895 units, highest sector was agricultural tourism at 0.9968 units followed by restaurants and bars at 0.3325 units, roadt transportation services at 0.3183 units, lodging services at 0.1520 units, and petroleum products at 0.1290 units.

      • 확률론적 분석방법을 이용한 공동주택의 개략물량산출 방법에 관한 연구

        김현숙(Kim, Hyeonsuk),태성호(Tae, Sungho),임효진(Lim, Hyojin),조강희(Jo, Kanghee),이광수(Lee, Kwangsoo),노승준(Roh, Seungjun) 대한건축학회 2021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41 No.2

        The purpose of the whole process evaluation of a building is to reduce environmental impact emissions by evaluating the environmental impact of the building during its previous life. As part of the carbon emission reduction strategy in the building sector, this study aims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building process evaluation by presenting standards for input per unit area of building materials in apartment buildings using probabilistic analysis methods. To this end, this study collected the input quantity per unit area of building materials by sampling 21 multi-family houses that conducted the entire building process evaluation. This was derived and analyzed using Monte Carlo simulations. Through this, efficiency was ensured by simplifying the whole process evaluation method of the building.

      • KCI등재

        오니시 야수아키의 설치 작품 속에서 빈 공간과 보이지 않는 공기의 숨결을 통한 비움의 의미

        김현숙 ( Kim Hyeonsuk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2017 예술과 미디어 Vol.16 No.2

        우리는 설치 작품에서 빈 공간과 공기를 다르게 고려해야 할까? 조각가이자 설치작가인 오니시 야수야키(Onishi Yasuaki)에게 빈 공간은 영감을 주는 공간이며, 설치 작업에 중요한 요소이다. 우리가 비어 있다고 생각하는 빈 공간은 보이지 않는 물질들로 가득 차 있으며, 우리 삶에 필요한 공기도 그 안에 있다. 보이지 않는 공간과 보이지 않는 물질들이 우리가까이에 있지만, 우리는 일반적으로 그것을 잊고 산다. 잡을 수도 없는 공기가 보이지도 않는다고 해서, 그것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말할 수 없다는 것을 우리는 알고 있다. 오니시 야수야키(Onishi Yasuaki)는 보이지 않는 것, 공간, 공기, 음의 공간(negative space) 등에 관심을 갖는다. 그는 얇은 비닐(폴리에틸렌, polyethylene)이나 검은 액체 접착제(핫 글루, hot glue)와 같은 가벼운 소재를 사용하여 빛, 공기와 같은 비 물질, 혹은 무형물질의 도움으로 보이지 않는 것을 드러나게 한다. 그의 작품들 중에서, 특히 < 수직 볼륨(벌티컬 볼륨, Vertical Volume) > 시리즈, < 일상의 간격(데일리 디스텐스, Daily distance) >, < 원(가와, Gawa) >, < 공기 모양 만들기(쉐이핑 에어, Shaping air: 유동적 숨결(어 브레스오브 머빌리티, A breath of mobility) >, 그리고 < 수직 공간(벌티컬 스페이스, Vertical Space) > 작품들을 분석하면서, 보이지 않는 공기, 숨, 기(氣, 원초적인 숨)의 의미와, 순야타(Sunyata, 비움)의 어원인 스비(Svi)와 원 “○”으로 표현되는 불교의 원상(圓相)에서 비움의 의미를 알아본다. 또한 전형적인 조각의 일반적인 과정을 따르지 않는 그의 작품에서, 조각에서의 “음의 공간(negative space)”과, 시공간의 의미를 지닌 “사이 간(間)”, 그리고 미학개념으로 일본에서 사용되는 “마(ma, 間)”와의 연관성을 찾아본다. 오니시 야수야키(Onishi Yasuaki)의 작품을 통해, 우리는 빈 공간과 가득 찬 공간, 보이는 공간과 보이지 않는 공간, 물질성과 비 물질성에 대해서도 생각한다. 사람과 사람 사이에 -간(間)- 보이지 않는 그 공간을 통해 우리는 서로 대화하고 바라본다. 우리의 울림을 전해주는 그 공기와 공간은 비어 있는 듯 보이기 때문에 시각적인 비움이 있지만, 사실상 그것은 비어있지 않기에, 마음을 비웠을 때 찾아오는 가득한 충만처럼, 정신적인 비움과 관련이 있다. 비어 있어 보이지만, 비어있지 않은(공기와 무형 물질로 가득한) 공간을 통해, 비움과 바람에 비유해 표현된 불교의 진공(眞空)의 의미를 상기해본다. 우리 가까이에 늘 존재하는 공기와 빈 공간을 사용한 오니시 야수야키(Onishi Yasuaki)의 설치 작품은 보이지 않는 그 공기와 빈 공간의 가치를 일깨워 준다. Should we consider differently the empty space and air in the installation work? For Onishi Yasuaki, the empty space is an essential place for in-stallation work and inspiration. The empty space that we think is empty is fil-led with substances that are invisible. The air that is necessary for our life is also in it. The invisible space and invisible materials are near us, but we gen-erally forget about it. The empty space is filled with air, but it can not be seen or captured. We know that it can not be said that it does not exist be-cause it is not visible. Onishi Yasuaki (1979-), Japanese sculptor and installator, is interested in the invisible, space, air, negative space, etc. He reveals what is not seen, using a light material such as a black liquid adhesive (hot glue), with the support of non-material materials such as light, air or other intangible materials. Among his works, in particular, in analyzing the works of the serie Vertical Volume, Daily distance, Gawa (circle), Shaping air: A breath of mobility and Vertical Space, we look for the meaning of invisible air, breath, ki (氣, primitive breath), Svi, the etymology of Sunyata, the circle of Buddhism expressed as an empty circle, “○” wonsang원상(圓相), and the meaning of emptiness. In his work, which does not follow the general process of typical sculpture, we can find the connection with the meaning of “negative space” and the term korean gan “간(間)” has the meaning of ‘between’ or ‘interspace’, space-time, as the japanese word kan or “ma(間)” that use as a concept of aesthetics in Japan. Through the work of Onishi Yasuaki, we think about empty space, full space, visible space and invisible space, materialism and nonmateriality. Between man - gan 간(間) - through the unseen space - we talk and look at each other. The air and space that conveys our echoing seem to be empty, so there is a physical emptiness, but in fact it is not empty, so it has to do with spiritual emptiness, like a fullness that comes when you are emptied. Through the space that seems empty, but not empty (filled with air and intangibles), we recall the meaning of the Buddhist emptiness jingong진공(眞空) expressed in analogy with the wind. Onishi Yasuaki evokes us of the value the invisible air and empty space through his installation work, using air and empty space which always exist near us.

      • KCI등재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대인관계능력의 관계에서 자아분화수준의 매개효과

        김명연(Kim, Myungyeon),김현숙(Kim, Hyeonsuk),김장회(Kim, Janghoi) 한국열린교육학회 2020 열린교육연구 Vol.28 No.4

        본 연구는 대학생 시절에 필수적으로 발달시켜야 하는 대인관계능력의 중요성에 주목하고 부모양육태도와 대인관계능력 간의 관계에서 자아분화수준의 매개효과가 어떠한 지를 검증하였다. 연구를 위해 경남지역 소재 3개의 대학에 재학 중인 남녀학생 47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고, 그 중 456명의 자료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자료는 SPSS 21.0과 AMOS 21.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분석되었다. 분석결과,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자아분화수준 및 대인관계능력 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고, 부모양육태도와 대인관계능력의 관계에서 자아분화수준이 부분 매개를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대학생의 대인관계능력은 부모의 양육태도를 긍정적으로 지각할수록 높으며, 자아분화수준이 높을 경우에도 대인관계능력은 높아지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따라서 부모양육태도를 개선하는 방식의 부모교육이 확대되고, 자아분화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한 차별적 개입 등이 제안되었다. 결과를 토대로 교육 및 상담에 대한 함의를 제시하였고, 연구의 제한점과 향후 방향 등이 논의되었다. This study confirmed the mediated effect of self-differentiation level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rearing attitudes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For the study, 470 male and female students attending colleges located in Gyeongnam Province were surveyed, and the data from 456 of them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The data were analyzed as structural equation models using the SPSS 21.0 and AMOS 21.0 programs.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hree variables showed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 and the level of self-differentiation had a partial mediated effect i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In other words, college students interpersonal competence appears higher as they are positively aware of their parents-rearing attitude, and the higher the level of self-differentiation, the higher their interpersonal competence. Therefore, it was discussed that parents education should be expanded to improve their parent-rearing attitude, and that discriminatory interventions were proposed to improve the level of self-differentiation. Based on the results, parents-rearing attitudes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and self-differentiation for improving their interpersonal competence, implications for education and counseling, and limitations of research and future direc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결혼이주여성의 배우자지지와 가족지지가 자녀양육에 미치는 영향

        김순옥(Soon-Ok Kim),김현숙(HyeonSuk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6

        본 연구의 목적은 결혼이주여성의 배우자 및 가족지지가 자녀양육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이주여성들이 안정적으로 자녀양육 행동을 할 수 있도록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 11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자료분석은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양육부담감, 양육효능감은 t-test, ANOVA, 가족지지에 따른 양육부담감, 양육효능감과의 상관관계는 피어슨 상관관계, 양육부담감과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은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배우자 및 가족지지, 결혼이주여성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양육부담감에 대한 차이는 연령, 학력, 가구소득, 배우자 직업, 배우자의 자녀돌봄 시간에 따라, 양육효능감은 연령, 출신국가, 결혼경로, 사용하는 언어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 양육부담감은 배우자지지, 가구소득, 연령과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양육효능감은 배우자지지, 배우자의 자녀돌봄 시간, 연령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주여성의 자녀양육에 있어 양육부담감은 가족지지, 연령, 배우자의 자녀 돌봄 시간, 양육효능감은 배우자지지, 가족지지, 연령이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근거로 이주여성들의 바람직한 자녀양육행동을 지원하기 위해 배우자 및 가족지지 향상 중재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할 것을 제안한다. This study was proposed in obtaining basic data for an intervention programs of the stable child care by identifying the effects of support from the spouse and family on the child rearing among marriage immigrant women. Subjects consisted of 110 marriage immigrant women in Gyeonggi-do in December, 2014. SPSS/WIN 22.0 program was used for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figure out burden and efficacy of child rearing through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he increased burden of child rearing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young age, lower level of education, low income and less spending time to raise their children by husband. Additionally, the increased efficacy of child rearing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young age and using two languages. The pressure of the child rearing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spouse support, income, and old age. The efficacy of child rearing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pouse support, spending time to take care of their children by family, and ages. In the regression analysis, the burden of child rearing among immigrant women increased by old age (ß=-2.097, p<.05) and less time to raise their children by husband (ß=-2.165, p<.05). It is important to provide spouse and family support to encourage desirable child rearing behavior. These results may provide to improve intervention programs for child rearing among marriage immigrant wom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