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산전 진단된 수신증의 임상 경과 - 단일 기관의 경험 -

        김연희,김병주,박문성,양정인,김행수,김병길,배기수,Kim Yeun-Hee,Kim Byoung-Ju,Park Moon-Sung,Yang Jung-In,Kim Haeng-Soo,Kim Pyung-Kil,Pai Ki-Soo 대한소아신장학회 2002 Childhood kidney diseases Vol.6 No.2

        목적: 산전 초음파가 널리 이용되면서 태아기의 선천성 요로계의 이상이 발견되는 경우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수신증의 대부분은 출생 후 1년 내에 자연스럽게 없어지는 생리적 수신증이지만 수술적 교정을 요하는 병적 수신증과의 감별이 쉽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산전 수신증이 의심되는 환아에서 출생 후 수신증을 확진하여 산전 진단과의 연관성을 비교 분석하고, 산전 수신증의 원인과 자연경과를 이해하여 출생 후 수신증에 대한 대처에 도움을 주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1994년 9월부터 2001년 8월까지 아주대학교 병원 산과에 등록되어 산전 초음파 검사상 태아 수신증이 의심되었던 환아 119명 중 출생후 실시한 신 초음파 검사에서 수신증이 확진된 91명(121 신단위)을 대상으로 수신증의 원인과 자연경과를 신 초음파 검사와 배설성 신주사 검사로 추적 관찰하였다. 결과: 산전 초음파 검사에서 수신증이 의심되었던 119명의 신생아 중 출생 후 수신증이 확진 되었던 환아는 91명으로 76%였다. 수신증의 원인으로 요관 신우 이행부 협착이 57례(47%)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다낭성 이형성신이 12례(10%), 요관 방광 이행부 협착 5례(4%), 방광 요관 역류 5례(4%), 후부요도 판막 2례(2%)등의 눈이었으며 원인을 찾을 수 없었던 경우도 38례(31%)였다. 추적검사에서 47%가 수신증의 완전소식 혹은 호전소견을 보였으며 총 121개의 신 단위 중 10단위가 수술을 받았으며 진단에서 수술까지는 평균 7.2개원이 걸렸다. 결론: 산전 초음파로 발견된 수신증의 대부분은 출생후 수신증으로 확진되었으나 정상인 경우도 있었다. 산전 수신증의 원인으로 요관 신우 이행부 폐쇄가 가장 많았으며 대부분은 비폐색성 수신증이었고, 추적 검사에서 호전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아직까지 신생아 수신증은 정확한 감별진단이 어렵기 때문에 신장기능의 보전을 위해서는 수신증의 정도에 따라 적절한 간격으로 지속적인 관찰을 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 The detection of hydronephrosis(HN) with antenatal ultrasonography was first reported in the 1970s. Prenatal HN is diagnosed with an incidence of 1:100 to 1:500 on antenatal screening. Recently, the purpose of antenatal screening has changed from simple detection to selection for specific diagnosis-based management.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antenatal sonography for HN and to investigate the differential causes of HN and their clinical outcomes. Patients and methods : 11,783 live neonates with prenatal ultrasonographic examination at Ajou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from Sep. 1994 to Aug. 2001 were analyzed. Results and conclusion : Hydronephrosis (>10 mm) was detected in 119 (1.0%) cases antenatally and among these, 91 were proved to have HN postnatally Males were three times more affected than females. Additional imaging studies revealed that ureteropelvic junction obstruction was the most common postnatal diagnosis (47%), followed by multicystic dysplastic kidney, vesicoureteral junction obstruction and vesicoureteral reflux. During 20 months' follow-up(3 to 72 months), 58(48%) renal units showed spontaneous resolution and surgical interventions were necessary in 10 (7.4%) of postnatally confirmed hydronephrotic renal units.

      • KCI등재

        한국 여성의 정상 단태 임신에 있어서 임신중기 양수 내 alpha-fetoprotein의 정상범위

        김준형 ( Jun Hyung Kim ),변영지 ( Young Ji Byun ),박재선 ( Jai Sun Park ),박진영 ( Jin Young Park ),양정인 ( Jeong In Yang ),김행수 ( Haeng Soo Kim ),유희석 ( Hee Suk Ryu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0 No.12

        목적: 본원에서 정상적인 임신경과를 보이며 정상아를 분만한 임신 중기 여성의 양수 내 Alpha-fetoprotein의 정상치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1995년 5월부터 2006년 9월까지 본원에서 양수검사를 시행 받은 임신 중기 임신부에서 양수 내 Alpha-fetoprotein (AFAFP)의 수치를 측정한 후 정상 임신 경과 및 신생아를 분만한 954명의 단태 임신에서 정상 범위를 산출했다. 결과: 임신 중기 임산부에서 양수 내 AFP의 정상 범위의 중앙값은 임신 16주, 17주, 18주, 19주, 20주, 21주, 22주, 23주, 24주 각각에서 15,800.0 ng/mL, 13,903.9 ng/mL, 11,408.7 ng/mL, 9,690.1 ng/mL, 6,923.4 ng/mL, 6,330.0 ng/mL, 5,295.3 ng/mL, 4,421.2 ng/mL, 3,162.5 ng/mL였다. 결론: 한국여성에서 각각의 임신 주수에 따른 AFAFP의 정상범위는 다양한 질환의 산전진단에 중요한 참고치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 To determine normal range of amniotic fluid alpha-fetoprotein (AFAFP) in midtrimester singleton Korean pregnant women whose pregnancy and neonatal outcomes were uneventful. Methods: AFAFP levels were measured in midtrimester pregnancy during amniocentesis from May 1995 to September 2006 at tertiary referral center. Normal ranges were obtained from 954 singleton pregnancies in which pregnancy and neonatal outcomes were normal. Results: Median values of AFAFP in midtrimester pregnancy were 15,800 ng/mL, 13,903.9 ng/mL, 11,408.7 ng/mL, 9,690.1 ng/mL, 6,923.4 ng/mL, 6,330.0 ng/mL, 5,295.3 ng/mL, 4,421.2 ng/mL, 3,162.5 ng/mL at 16 week, 17 week, 18 week, 19 week, 20 week, 21 week, 22 week, 23 week, and 24 week. Conclusion: The normal range of AFAFP level in each gestational week in Korean women could be a good reference for prenatal diagnosis of various disorder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임신성 당뇨 진단 기준의 고찰

        양성천 ( Seong Cheon Yang ),김행수 ( Haeng Soo Kim ),양정인 ( Jeong In Yang ),이희종 ( Hee Jong Lee ),안상태 ( Sang Tae Ahn ),서성석 ( Seong Sug Seo ),유희석 ( Hee Sug Ryu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5 No.11

        목적: 임신성 당뇨의 진단기준을 낮추는 것이 미치는 효과를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임신 24-28주에 시행한 50 gm 경구 당부하검사상 혈장 혈당치가 130 mg/dl 이상인 산모에게 임신 28-32주에 100 gm 경구 당부하검사를 시행하였다. Carpenter-Coustan과 NDDG의 임신성 당뇨에 대한 진단기준을 적용하여, 대조군: 50 gm 경구 당부하검사상 정상군 (n=268), Borderline 군: Carpenter-Cousta Objective: To determine the effect of lowering the cutoff values of 3-hour oral glucose tolerance test (OGTT) for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GDM). Methods: Patients with an abnormal 50 gm glucose challenge test (GCT) of more than 130 mg/dL at 24-28 we

      • KCI등재

        쌍태 임신의 예후; 체외수정술과 자연 임신

        임재현 ( Jae Hyun Lim ),김행수 ( Haeng Soo Kim ),황경주 ( Kyung Joo Hwang ),양정인 ( Jeong In Yang ),김미란 ( Mee Ran Kim ),이희종 ( Hee Jong Lee ),임종찬 ( Jong Chan Lim ),오기석 ( Kie Suk Oh ),유희석 ( Hee Sug Ryu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5 No.12

        목적 : 체외수정시술에 의한 쌍태 임신과 자연 임신된 쌍태 임신의 산과적 합병증 및 주산기 예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 1994년 3월부터 2002년 2월까지 체외수정시술에 의한 쌍태 임신된 산모 206명 (체외수정군)과 자연 임신된 쌍태 임신 산모 229명 (자연군) 등 총 435명을 대상으로 임상적 특징 및 산과적 합병증과 주산기 사망률 등을 비교 조사하였다. 통계처리는 Student`s t-test, χ2 검정 또는 Fisher`s e Objective : To compare the obstetrical and perinatal outcomes of twin pregnancies after IVF-ET with those of twin pregnancies conceived spontaneously. Methods : Two hundred and six cases of IVF-ET twin pregnancies (IVF group) were compared with 229 sponta

      • KCI등재

        저체중태아를 동반한 만기임신의 주산기 예후예측을 위한 제대동맥 도플러혈류속도 파형의 유용성

        김호연 ( Ho Yeon Kim ),김행수 ( Haeng Soo Kim ),양정인 ( Jeong In Yang ),공태욱 ( Tae Wook Kong ),이경미 ( Kyoung Mi Lee ),장석준 ( Suk Jun Chang ),김용미 ( Yong Mi Kim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2 No.5

        목적: 제대동맥 도플러혈류속도파형이 저체중태아를 동반한 만기임신의 주산기 예후예측에 유용한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 방법: 임신 37주부터 41주 사이에 단태의 저체중태아를 분만한 산모와 신생아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검토하였다. 총 381명의 단태임신 환자의 최고 수축기혈류속도 (S)에 대한 이완기 말 혈류속도 (D)의 비를 측정하여 S/D치 3.0 이하인 정상군(n=307)과 3.0 초과인 비정상군(n=74)으로 구분하여 산모의 임상적 특징 및 신생아 예후를 비교하였다. 결과: 두 군 모두에서 산모 연령, 분만 시 재태연령, 태아곤란증에 의한 제왕절개분만 빈도 등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제대동맥 도플러지수가 비정상인군에서 산모의 고혈압성 질환의 빈도(12.3% vs. 25.0%, P=0.005)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신생아 출생체중(2,415.2±258.9 g vs. 2,296.7±325.0 g, P=0.003), 신생아의 중환자실 입원 빈도(27.0 vs. 51.3%, P<0.001) 및 중환자실 입원기간(2.7±5.9 vs. 5.7±8.8 days, P=0.005) 등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7 미만의 낮은 5분 Apgar치, 기계적 호흡빈도, 주산기사망 및 신생아 합병증 등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선형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고혈압성 질환의 빈도를 보정한 후에도 비정상 제대동맥 도플러지수와 작은 출생 시 신생아체중은 유의한 관계가 있었다(P<0.001). 결론: 제대동맥 도플러 혈류 파형이 만삭 임신에 동반된 저체중태아의 신생아 체중, 신생아 중환자실 입원빈도 및 입원기간 등을 예측하는데 유용한 독립인자로 작용하지만 그 외의 신생아 예후 예측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자궁동맥혈류파형이나 정맥관, 중뇌혈관 등과 같은 다른 혈관의 도플러혈류파형 측정이나 생물리학적계수 등을 종합하여 주산기 합병증을 낮추도록 해야 할 것이다. Objective: To investigate whether umbilical artery Doppler blood flow velocity waveform is effective in predicting perinatal outcome of term pregnancies with small for gestational age (SGA). Methods: A total of 381 patients at 37~41 weeks of gestational age (GA) who received antenatal umbilical artery Doppler blood flow test and delivered singleton SGA infants. The ratio of peak-systolic to end-diastolic (S/D) blood flow velocities in the umbilical artery was measured in each patient.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a normal group (n=307) with a S/D ratio equal to or less than 3.0, and an abnormal group with a S/D ratio of greater than 3.0 (n=74). These groups were comparatively analysed with respect to maternal characteristics and neonatal outcomes. Resul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mean maternal age, gestational age at the time of delivery, and cesarean section rate due to fetal distress. Ther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cidence of hypertensive disorders in pregnancy in the abnormal S/D ratio group. And the abnormal S/D ratio group showed lower neonatal birthweight, higher incidence of admission to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NICU), and longer stay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According to linear regression, in pregnancies complicated by SGA, abnormal S/D ratio was still a risk factor for low birthweight even after controlling for the incidence of hypertension. Conclusion: In term pregnancies accompanied by SGA, abnormal umbilical artery S/D ratio is an independent predictor of neonatal birth weight, incidence of admission to NICU, and NICU stay.

      • KCI등재

        태아의 이형성 신질환을 동반한 임신의 임상 양상 및 주산기 예후

        오기석(Kie Suk Oh),김행수(Haeng Soo Kim),양정인(Jeong In Yang),오준환(Joon Hwan Oh),금승섭(Seung Seop Keum) 대한산부인과학회 200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3 No.1

        목적: 태아의 이형성 신질환을 동반한 임신의 산전 진단과 적절한 산과적 처치 및 산전 상담에 도움이 되는 임상적 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1994년 6월부터 1999년 7월까지 아주대학교병원 산부인과에서 산전 초음파검사를 시행하여 태아의 이형성 신질환으로 진단되고 본원에서 분만한 13예를 대상으로 산전 초음파검사 소견, 주산기 결과, 모성 합병증, 동반된 기형의 유무, 부검 소견 등에 대해 후향적 조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다발낭성 신 이형성증은 총 분만 9,591예 중 9예로 1,066분만 당 1예의 빈도를 보였으며, 다낭종신은 4예로 2,398분만 당 1예의 빈도를 보였다. 주산기 결과로는 다발낭성 신 이형성증 9예중 임신 24주에 진단된 1예에서 심한 구개순 및 구개열을 동반하여 임신 25주경 유도 분만에 의해 임신종결이 이루어졌고, 6예는 자연진통 혹은 유도분만에 의해 질식 분만되었으며, 이중 자궁내 태아사망으로 임신 36주에 분만이 유도된 1예를 제외한 5예는 정상 분만되었다. 또한 2예에서 제왕절개수술로 분만되었다. 생존한 신생아 7명은 현재까지 생존하여 6개월 간격으로 외래 추적 관찰 중이다. 다낭종신 4예 중 3예는 인위적으로 임신 종결을 하였으며, 1예는 임신 36주에 반복 제왕절개수술에 의해 분만되었는데 비후성 심근증이 동반되었으며, 생후 24시간 이내에 사망하였다. 산과적 합병증으로는 양수과소증 4예, 양수 과다증 2예, 전치 태반 2예, 태반 조기 박리 1예, 조기 양수파막 1예, 자궁경부 열창 1예, 빈혈 1예 등이 있었다. 주산기 합병증으로는 자궁내 발육지연 2예, 요로 감염 1예, 수신증 1예, 급성 호흡부전 1예, 급성 신부전 1예, 뇌실 주위출혈 1예, 후두 연화증 1예 등이 있었다. 결론: 태아의 이형성 신질환이 동반된 임신의 경우, 정밀 산전 초음파검사 및 염색체 검사 등을 시행하여 정확한 진단을 하고 다른 동반된 기형의 유무를 확인하는 것이 산과적 처치 결정 및 주산기 예후에 중요하다고 사료된다. Objective: To obtain clinically useful data regarding prenatal diagnosis, proper antepartum counseling and obstetric management in pregnancies with fetal dysplastic kidney disease.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13 cases of MCDK(Multicystic dysplastic kidney) and PCDK(Polycystic dysplastic kidney), diagnosed by antenatal ultrasound and delivered from June 1994 through July 1999 at Ajou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with regard to prenatal ultrasonographic findings, perinatal outcomes, maternal complications and associated fetal anomalies. Results: The incidence of MCDK and PCDK was one in 1,066 and one in 2,398 births, respectively. Of the 9 cases of MCDK, one case was terminated due to severely associated anomaly, and 6 cases were delivered by spontaneous labor or pitocin induction at term, of which 1 case was delivered by pitocin induction at 36 weeks gestation due to intrauterine fetal death. Two cases were delivered by cesarean section. There were no neonatal deaths in 7 cases of MCDK and they have been followed up to date, and alive. Of the 4 cases of PCDK, 3 cases were terminated by induced abortion or induced vaginal delivery, and 1 case was delivered by cesarean section, which was combined with hypertrophic cardiomyopathy, and the baby died within 24 hours after birth. Perinatal complications consisted of small for gestational age, urinary tract infection, hydronephrosis, acute respiratory failure, acute renal failure, periventricular hemorrhage and laryngomalacia in the neonatal period. Conclusion: It is suggested that antenatal ultrasonography and genetic analysis to evaluate accurate diagnosis and associated anomalies should be performed to manage and councel properly the pregnancies with fetal dysplastic kidney disea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