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전자상거래 데이터의 실시간 분석을 위한 데이터 스트림과 다수 릴레이션 간의 효율적인 연속 조인 처리 기법

        김해리(Haeri Kim),이기용(Ki Yong Lee) 한국전자거래학회 2013 한국전자거래학회지 Vol.18 No.3

        최근 들어 전자상거래 데이터의 실시간 공급이 가능해지면서, 전자상거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분석하고자 하는 요구가 급증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전자상거래 데이터 스트림과 디스크에 저장된 대규모 릴레이션 간의 연속 조인 질의를 효율적으로 처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전자상거래 데이터 스트림과 디스크에 저장된 다수 릴레이션 간의 효율적인 연속 조인 질의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 방법은 기존 방법에 비해 서비스율을 크게 향상시키는 한편, 메모리 사용량을 크게 줄인다. 분석과 다양한 실험을 통해, 제안 방법은 기존 방법에 비해 서비스율과 메모리 사용량에서 더 효율적임을 보인다. Recently, as real-time availability of e-commerce data becomes possible, the requirement of real-time analysis of e-commerce increases significantly. In the real-time analysis of e-commerce data, it is very important to efficiently process continuous join queries between an e-commerce data stream and disk-based large relations.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fficient method for processing a continuous join query between an e-commerce data stream and multiple disk-based relations. The proposed method improves the service rate significantly, while reducing the amount of required memory substantially. Through analysis and various experiments, we show the efficiency of the proposed method compared with the previous one in terms of service rate and memory usage.

      • KCI등재

        그림책 등장인물의 성별에 대한 유아들의 인식

        김해리(Haeri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2

        목적 본 연구는 유아들이 그림책 읽기 활동이 진행되는 동안 인간과 인간이 아닌 캐릭터의 성별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S시, Y유치원과 S유치원 만 5세 학급 2개의 유아 48명을 대상으로 1차 대그룹 동화 들려주기 활동, 2차 소그룹 동화 들려주기 활동에서 각각 2가지의 그림책을 들려주고 나서 동화에 대해 반복적이고 적극적인 언어적 상호작용을 통하여 유아들의 인식을 알아보았다. 결과 유아들은 사회적 구성물을 근거로 하여 그림책 속 인간 캐릭터의 성별을 인식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남아의 경우 사회적 규약과 사회적 구성물에, 여아의 경우 그림이나 색깔, 의류, 물리적 속성과 같은 시각적 특성에 주목하는 경향을 보였다. 인간이 아닌 캐릭터의 경우 그림과 사회적 구성이 같은 정도로 나타났으며 남아의 경우 사회적 규약을 근거로, 여아의 경우 그림이나 의류를 근거로 캐릭터의 성별을 인식하였다. 결론 그림책의 인간과 인간이 아닌 캐릭터 성별에 관한 유아들의 인식을 살펴본 결과 유아들은 자신들이 사전에 가지고 있던 사회적 지식을 바탕으로 성별에 대해 인식하였으며 그림과 같은 시각적 장치에 의존하여 판단하는 경우가 많았으나 그림책 읽기를 통해 기존의 성 고정관념을 벗어나 새로운 관점과 마주할 수 있었다.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how children perceive the gender of human and non-human characters while reading picture books. Methods Children’s perception was observed through reading out two different picture books for 48 children of Y kindergarten and S kindergarten in S city, in a primary large-group session and secondary small-group session, then a repetitive and active verbal interaction afterward. Results Children displayed a tendency to perceive the gender of the human characters in picture books based on social constructs. Male children largely focused on references to conventions and social constructs, whereas female children focused on visual features such as reference to illustrations, colors, clothes, and physical attributes. In the case of non-human characters, social constructs and references to illustrations had an equivalent degree of influence on the perception of gender. Male children used references to conventions as evidence to perceive the characters’ gender, while female children used references to illustrations and clothes. Conclusions By understanding children’s perception of the gender of human and non-human characters in picture books,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composing a children’s literary education curriculum that pursues diversity to diminish gender stereotypes, and deepening meaningful literary interactions with children from the perspective of gender sensitivity.

      • KCI등재

        동작관찰 과제지향훈련이 만성 뇌졸중환자의 균형 및 보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김해리 ( Kim Haeri ),이효정 ( Lee Hyojeong ) 대한통합의학회 2018 대한통합의학회지 Vol.6 No.2

        Purpose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an task oriented training program combined with action-observation on balance and gait ability of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Method :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0 patients with hemiplegia who agreed to participate and were picked up. Participan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equal groups; namely, an experimental group that underwent task oriented training combined with action- observation for at least 30 minutes/day for 6 weeks and a control group that underwent general task-oriented training. Patients’ balance was assessed using the Sway Length, Sway Area and Limit of Stability test. In addition, gait ability was assessed using the 10 Meter Walking Test to measure the taken to walk 10 meters. Gait time and speed taken to walk 10 meters were used to examine gait ability. Results : There were significant improvements in the subscales of the balance and gait ability test of those who participated in the action-observational training program, while the control group showed only significant changes in the evaluation items of the sway length in eyes opened condition and gait time. Conclusion : Therefore, Action-observational training program effectively improved the balance and gait ability in patients with stroke.

      • KCI등재

        살아 있는 것과 살아 있지 않은 것에 대한 만 3-5세 유아들의 인식

        김해리(Haeri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1

        목적 본 연구에서는 살아 있는 것과 살아 있지 않은 것에 대한 유아들의 묘사를 통해 유아들의 생물 개념이 어떠한지 알아보고 유아들이 그러한 생각을 가지게 된 단서가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이를 위하여 충청북도 2개 교육기관에서 연령별로 35명씩 무선 표집한 총 105명의 유아들을 대상으로 두 단계의 활동을 포함한 면접을 실시하였다. 첫 번째 단계에서는 유아들에게 개별적으로 충분한 시간을 주어 동물, 식물, 자동차, 집 그림 중 한 가지 이상의 그림을 그리도록 한 뒤 동물/식물/무생물이 살아 있는 것인지, 그렇지 않은지, 각 개체에게 물이 필요한지, 음식이 필요한지, 성장하는지, 숨을 쉬는지에 대한 개별 면담을 하였으며 두 번째 단계에서는 동물, 식물, 움직이는 무생물, 움직이지 않는 무생물 각각 3장씩 총 12장의 그림카드를 사용하여 각각에게 물이 필요한지, 성장하는지, 숨을 쉬는지, 살아있는지 여부와 그렇게 생각한 이유에 대하여 추가적인 응답을 요청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살아있음’에 대한 만 3-5세 개념 유형은 ‘살아 있음을 증명하는 움직임’, ‘동물과 식물에서 발견한 생기: 살아 있다는 것’, ‘집과 자동차가 살아 있어요: 아이들이 무생물에서 발견한 생명의 징후로서의 숨의 흐름’, ‘자연 생성 혹은 만들어진 것: 인공의 개념’, ‘내가 쓸 때 움직이니까요: 자기중심적 생물 개념’, ‘그냥 느껴지는 것: 생명을 감지하는 ‘직관’의 힘’으로 범주화되었다. 살아 있는 것과 살아 있지 않은 것에 대한 만 3-5세 유아의 이해 경향성을 살펴보면 대부분 동물은 살아 있는 것이라고 인식(만 3세 96.2%, 만 4세 98.1%, 만 5세 99.0%)하는 반면 식물에 대해서는 이보다 낮은 비율(만 3세 83.8%, 만 4세 68.6%, 만 5세 82.9%)을 보였다. 결론 연구 결과를 통하여 볼 때 살아 있는 것과 살아 있지 않은 것에 대한 유아의 개념은 움직임이라는 특징, 생기, 호흡과 같은 생명 현상, 자연 혹은 만들어진 인공의 개념, 자기중심적 개념과의 혼재, 직관과 같은 단서를 통하여 형성되는 경향성을 보였다. 이는 유아들이 가진 개념은 유아기의 발달 특성과 분리될 수 없으며 유아기의 고유한 특징을 배제할 수 없음을 나타낸다. 즉 유아들이 생득적으로 가진 생물학적 직관이 생물학적 판단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가정과 기관에서의 선행 경험을 토대로 그러한 판단이 일부 달라지기도 한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사회적 지식의 질적 수준이 유아의 생물학적 판단에 영향을 준다는 점을 시사한다.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children’s conception of aliveness through their descriptions of biotic and abiotic objects and the cues that led them to think this way. Methods To this end, 35 children each at 2 different Choongchung province educational institutions were randomly sampled by age for a total of 105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wo rounds of interviews including activities. In the first round, the children were given sufficient individual time to draw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categories: animals, plants, cars, and houses. Afterwards, each child went through an individual discussion about whether each of their drawings of animals/plants/abiotic objects show an object that is living or not, whether it needs water, whether it needs food, whether it matures and grows, and whether it breathes. In the second stage, 3 picture cards for each category — animals, plants, animate abiotic objects, and inanimate abiotic objects — 12 cards total, were used to ask each child whether they thought the objects drawn on the cards need water, mature and grow, breathe, and are alive, and additionally were requested to share why they believed so.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for children between the ages 3-5, types of conceptualization of aliveness can be categorized into: “movement that proves the object is living,” “vitality that can be discovered in animals and plants: living,” “houses and cars are alive: the flow of breath from the symptoms of life that children discover in abiotic objects,” “naturally created or produced: concepts of synthetic production,” “because it moves when I use it: self-centered concept of life,” “I just feel it: the power of “intuition” in detecting life.” Upon taking a closer look at the comprehension tendencies of children ages 3~5 regarding whether an object is alive or not, most recognize animals are living (age 3 96.2%, age 4 98.1%, age 5 99.0%); however, subjects showed a lower rate of recognition for plants (age 3 83.8%, age 4 68.6%, age 5 82.9%). Conclusions According to the findings, there is a tendency for children’s conception of whether something is living or not to be formed based on cues from the characteristic of mobility, signs of life such as vitality and respiration, the concept of nature versus synthetic production, mixing with self-centered conception, and intuition. This shows that the conceptual understanding children have cannot be separated from characteristics of their developmental stage and that unique features of infancy cannot be excluded from consideration. Thus, the innate biological intuition children have has a non-negligible influence on their biological judgment. However, it was evident that preceding experiences at home or at educational institutions cant alter those judgments to an extent. This suggests that the quality of social knowledge impacts children’s biological judgment.

      • KCI등재

        중국 예비유아교사가 생각하는 가르침의 의미

        정예흠(RuiXin Ding),김해리(Haeri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1

        목적 본 연구는 중국의 예비유아교사가 가진 가르침의 의미가 무엇인지를 드러내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중국 길림성 S지역 4년제 사범대학 유아교육과의 3학기 유아교사론을 수강하고 있는 예비교사 102명 중에서 지속적으로 수업에 참여한 90명의 학생을 연구 참여자로 하여 주제토의, 이미지분석, 유치원 수업 동영상 분석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결과 중국 예비유아교사가 생각하는 가르침의 의미는 단지 목적을 위한 수단이 아니라 그 자체로서의 선을 추구하는 관계적 실천이며 반응하는 능력인 ‘쌍방향 상호작용’이었으며 학습자에게 나아가야 할 방향을 알려주고 판단해야 할 방향을 전수해주는 ‘사회적 책임과 사명’이었다. 또한 가르침은 ‘일상의 문제해결 상황과 직접적으로 연관된 활동’으로서 실천적 지식이 보다 강조되고 개발되어야 할 필요성이 드러났으며, ‘긍정적이고도 조화로운 정서와 연관된 행위’로 가르침에 대한 인식과 긍정적 직업정체성의 중요함이 나타났다. 결론 교사는 진정한 의미로 학습자에 대해 반응하고 관계적 실천을 추구하여야 하며 교사 스스로 가르침의 의미를 인식하고 판단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실천적 지식이 능동적으로 개발되도록 교육과정을 변화시켜나가야 한다. 가르침의 의미를 파악하는 것은 긍정적인 교사 역할 수행과 관련 있으므로 교사 역할을 수행하기 전 예비 유아교사 단계에서 가르침의 신념에 대해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며 가르침에 대한 철학적 성찰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belief systems on teaching and their recognized meaning of teaching so that they can redefine their own perceptions of teaching. Methods To this end, this study selected 90 consistently participatory students out of a total of 102 students enrolled in the childhood education program’s third term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course at a 4-year college of education in the S district of Jilin province, China, and collected data through multiple methods including conducting discussions, image analysis, and kindergarten class video analysis. Results The study’s results showed that Chinese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understanding of the meaning of teaching can be broadly categorized into: two-way interaction, social responsibility and duty, problem-solving situations in daily life and directly related activities, and optimistic and harmonious emotional development and related activities. Conclusions The findings show that first, teaching is not merely a means to an end but an act pursuing goodwill in and of itself, is a practical execution that goes beyond being a tool, and is a “relative” practical execution that requires the responsibility of having the ability to react. Second, as an act that tells the learner the direction they should go in and passes on an understanding of the directionality learners ought to make judgments with, teaching is an act that requires responsibility and a sense of duty. Thus, the meaning of teaching to a teacher must expand and teachers must develop the ability to independently recognize and judge the way they teach. Third, as the act of teaching is related to problem-solving in daily life, practical knowledge must be emphasized and developed. Fourth, since the act of teaching is related to optimistic and harmonious emotional development, the perception of teaching and a positive job identity are very important.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suggests that recognizing teaching morality before executing the teaching role at the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 stage and making philosophical reflections about teaching are necessa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