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박물관ᐧ미술관 교수ᐧ학습매체 개발과 활용 방향: 어린이 박물관ᐧ미술관을 중심으로

        김해경(Hai-kyung Kim) 한국문화교육학회 2017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2 No.1

        박물관ㆍ미술관 교육에서 대부분의 학습이 교수자 없이 이루어지는 상황을 고려하면 교수ㆍ학습 매체는 박물관ㆍ미술관 교육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에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 사용되고 있는 교수ㆍ학습 매체의 문제점을 알아보고 교수ㆍ학습 매체의 개발과 활용 방향에 대해 논의해보고자 하였다. 박물관ㆍ미술관의 교수ㆍ학습 매체가 갖고 있는 문제점으로는 학습자의 요구와 상황에 맞추어 세분화되지 않은 점, 교수ㆍ학습 매체의 종류 및 형식이 유사한 점, 어린이 박물관ㆍ미술관 내 전시물에 진품 전시가 드물다는 점, 작동이 되지 않는 전시물이 그대로 방치되는 점을 지적하였다. 이러한 박물관ㆍ미술관의 교수ㆍ학습 매체 개발과 활용 방안으로는 다양한 관람객의 상황에 맞추어 교수ㆍ학습 매체를 세분화할 것, 교재보다 교구 형태의 교수ㆍ학습 매체 개발에 더 많은 관심을 가질 것, 새로운 종류와 형식의 교수ㆍ학습 매체 개발에 관심을 가질 것, 교수ㆍ학습 매체 개발과 유지에 드는 비용 대비 효과를 고려할 것, 어린이 박물관ㆍ미술관 내에서 진품 전시를 고려할 것, 고장 및 훼손에 대비한 예산 확보와 관리 지침을 수립할 것을 제안하였다. 교수ㆍ학습 매체 활용 방안으로는 첫째, 관람객의 연령별로 관람 동선을 제시하거나 전시물의 이용 방법을 달리 안내할 것과 교구재 대여 사업을 하는 박물관ㆍ미술관의 경우 교육 전문가가 원거리 교육 지원을 통해 교구재 활용을 지원할 것을 제안하였다. Considering most learning to be happened without a instructor in museum except participating in education program, teaching-learning materials are very important in museum education. Therefore, it is needed to find out problems of currently being used teaching-learning materials in museum education and to discuss the directions of developing and applying them. The first problem of teaching-learning materials in museum education is not to meet the needs of diverse visitors. Second, the types and styles of them are similar. Third, children s museums rarely exhibit real remains or artworks. Fourth, broken exhibits are neglected without immediate repair. The directions of development of teaching-learning materials in museum education are 1) to be subdivided teaching-learning materials by visitors age, types and degrees of disability, education, etc; 2) to concern for developing hands-on type teaching-learning materials; 3) to consider substitutes for high-priced teaching-learning materials; 4) to seek for the ways to use real remains and artworks as teaching-learning materials in children s museum; 5) to secure a budget for repairing and to develop a care instructions for teaching-learning materials. Two ideas are suggested as applying teaching-learning materials in museums. First, diverse visitors paths can be developed according to visitors needs and interests, so visitors can know which exhibits are suitable for their needs and interests. And, same teaching-learning materials can be applied in different ways. For example, kindergartners can learn about the name of color with pieces of a puzzle and primary school students can put the puzzle together. So, the way to apply teaching-learning materials in diverse ways can be suggested. Second, a museum educator can co-teach with a teacher by videotelephone who are borrowed teachers package.

      • KCI등재

        시각문화미술교육에서 외연과 내포 개념을 통한 이미지 해석력 교육

        김해경(Kim, Hai Kyung) 한국미술교육학회 2010 美術敎育論叢 Vol.24 No.3

        학습은 조직적이고 의도된 학습상황에서 뿐만 아니라 그 밖의 일상적인 상황에서도 이루어진다. 우리의 일상생활과 밀접한 관계에 있는 시각문화는 우리의 가치관, 정체성, 삶의 방식, 행동 등에 영향을 준다. 많은 미술 교육자들이 시각문화미술교육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공감하고 있지만 구체적인 지도 방안이 충분히 제시되지 않아 많은 시각문화미술교육 프로그램이 광고나 상품 포장지 등을 보여주고 광고의 뜻을 묻는 수준에서 그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롤랑 바르트의 외연과 내포의 개념을 통해 시각문화를 분석적이고 비판적으로 해석하는 방법을 지도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또 시카고 미술 대학의 수업과 가족사진, 상품, 여행 기념품을 사용한 시각문화미술교육 방법을 예로 제시하였다. Many people may associate learning with a school. However, learning is, also, happened in social context. In other words, learning is happened in the condition of our daily life. Our daily life is influenced a lot by popular culture. Understanding popular culture, in here visual culture, is important because it affects to our consciousness and behavior. In art education,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teaching how to interpret visual culture is well acknowledged well. However, many teachers still have difficulty to educate students about visual culture. Roland Barthers' concept about denotation and connotation makes us to be aware that an image contains two levels of meaning. Denotation of an image is as it is shown. Connotation is the hidden meanings in the image. By studying the concept of denotation and connotation, students will be able to interpret visual culture in depth. Also, a graduate class in the School of the Art Institute of Chicago and Duncum's suggestion of using family photos, commodities, and souvenir for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are presented as examples.

      • KCI등재

        “환경 미술교육”의 특성과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

        김해경(Kim Hai-Kyung) 한국미술교육학회 2004 美術敎育論叢 Vol.18 No.3

        황폐해진 자연과 극도로 산업화된 현대 사회에 대한 반작용으로 자연에 대한 관심 이 높아지고 있다. 환경 또는 생태 교육이라고 번역될 수 있는 Ecological education은 자연이나 자연보호의 필요성에 대해 교육할 뿐만 아니라 자연계에서 발 견되는 원리를 인간 사회에 적용하여 보다 건전하고 조화롭게 만드는데 궁극적인 목적 이 있다. 환경교육은 한국이 가지고 있는 환경문제와 사회문제의 해결책 중의 하나가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환경교육에 대한 이해와 한국 실정에 맞는 프로그램 개 발을 돕기 위해서 환경 미술가들의 활동과 다른 나라에서 선행되어진 환경교육 프로그 램에 대해 소개하였다. 또한 성공적인 환경 미술교육을 위해 염두에 두어야 할 사항들 을 요약 정리하여 결론에 실어 보았다. In the recent west, the point of view to the nature is changed from the object of conquer to the object of coexistence. If we put together some scholars' opinions like Ittleson, Proshansky, Rivlin, and Winkel, Lankford, Merchant, and Rifkin, they regarded importantly the organic relation between human and nature. They insisted the principle of the nature such as interrelation, un-competition, and systematic thinking to apply to improve human society more symmetrical and sounder. The aims of ecological art education are to preserve and restore environment, to teach the relation between human and the nature, and to restore society through applying the principle of the nature. It will be helpful to know activities of ecological artists to understand ecological art education and to get some idea about it. Therefore, I introduced briefly history of ecological art and performed ecological education program such as The Art and the River and The Pickerington Elementary School in the States, and Save the Trees in England.

      • KCI등재

        벽화 프로젝트의 교육적 효과 또는 가능성

        김해경(Kim Hai Kyung) 한국미술교육학회 2007 美術敎育論叢 Vol.21 No.3

          인류는 여러 가지 목적을 가지고 오랫동안 벽화를 그려왔다. 벽화는 작품의 크기가 크고 실외에 전시할 수 있기 때문에 공공미술의 성격이 짙다. 이런 특징 때문에 벽화는 환경, 사회, 역사적인 주제와 관련지어 통합교육과정에 적용하거나 협동학습을 하기에 적합하다. 이 연구는 벽화가 가진 교육적 효과를 알아보고 학교, 지역사회 단체, 미술관 등에서 벽화 프로젝트를 진행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미국 인디애나 주 포트웨인의 포트웨인 미술관에서 2006년 여름부터 실시하고 있는 지역사회 벽화 프로젝트에 대해 연구했다. 우리는 지역사회 벽화 프로젝트를 통해 얻은 교육적 성과와 문제점, 문제점에 대한 대안을 모색하고 벽화 프로젝트를 적용할 수 있는 예에 대해 알아볼 것이다.   Human beings have made murals for a long time to serve diverse purposes. Murals show a marked trend toward public art because they are usually big and can be exhibited outdoors. These characteristics of murals makes it appropriate to incorporate their study in an integrated curriculum related to environment, society, and history or cooperative learning. I researched the Community Mural Project produced by Fort Wayne Museum of Art at Fort Wayne, Indiana in the United States to examine its educational effects and to compile information that would be helpful for schools, community organizations, and museums interested in conducting similar mural projects. Children created murals during summer 2006 and spring 2007 with the assistance of Max Meyer, a museum educator and Jason Stopa, a student artist. At the time of this writing, in summer 2007. they were creating the third mural. Based on the mural created in summer 2006, I will describe the materials. processes, outcomes, problems, and alternative proposals for similar mural projects. This paper will also include useful information which may be used to produce a mural project such as places for purchasing materials, characteristics of materials, and prices. Through the Community Mural Project. children developed a sense of belonging, self-confidence. and a cooperative spirit. However, materials used for the project are expensive and custom-built production. Murals are powerful tools for enabling children to realize their power to change society and teaching them to speak up without resorting to violence. If the Community Mural Project utilized these inherent characteristics of murals. educators could provide children a platform for more meaningful learning. As Meyer and Stopa mentioned. one of the most powerful outcomes of the Community Mural Project is the development of mutual understanding between two groups from different social and economic backgrounds. Consequently. the mural project may be used as an effective means of improving social interaction among different social. cultural. and economic groups.

      • KCI등재

        2022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 ‘미적 체험’ 영역의 5·6학년용 미술 교과서 개발 방향 연구

        김해경(Hai Kyung Kim),전수현(Soo Hyeon Jeon),송명길(Myung kil Song)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24 미술교육연구논총 Vol.76 No.-

        The Aesthetic Experience/Experience area, which first appeared when the Content System was introduced i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It has been constantly pointed out that the Aesthetic Experience/Experience area is ambiguous and overlapped with other areas, Expression and Appreciation. School teachers also indicated the area is the most difficult when designing the curriculum, and it was also selected as the most problematic area in the study of the 2015 Revised National Art Curriculum. Textbooks are an important method to deliver the national level curriculum to classroom.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how to imply the Aesthetic Experience area in the 2022 Revised National Art Curriculum into art textbooks in order to support practicing the national curriculum. First, the Content Elements and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Experience area for the 5th and 6th graders of the 2015 Revised National Art Curriculum were compared with the Aesthetic Experience area for the 5th and 6th graders of the 2022 Revised National Art Curriculum. Next, according to the criticism that the Aesthetic Experience/Experience area has low connectivity and hierarchy, the Content Elements and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Aesthetic Experience area for the 5th and 6th graders of the 2022 Revised National Art Curriculum were compared with the 3rd and 4th grade level and the middle school level. Based on analyzing the previous and new Curricular, we suggested how to apply Aesthetic Experience area of the 2022 Revised National Art Curriculum into new art textbooks for the 5th and 6th graders by referring art textbooks for the 5th and 6th graders based on the previous Curriculum. As a result, these are suggested to apply to develop new art textbooks for the 5th and 6th graders: 1) digital devices should be used for sensory exploration, 2) opportunities to refl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nses and thinking should be supplied, 3) activities to decode denoted meaning implied in visual culture should be included, and 4) opportunities to find and make meanings as exploring objects and environments should be included. 제7차 교육과정에서 내용 체계를 도입하면서 처음 등장한 미적 체험/체험 영역은 미술과 고유의 특성이 드러나는 영역이면서도 표현, 감상과 달리 영역 구분이 모호하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았다. 현장에서도 교육과정 설계 시 가장 어려움이 많은 영역이었고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에 관한 연구에서도 가장 문제가 되는 영역으로 꼽혔다. 이런 상황에서 교과서는 교육과정을 수업에 녹아내게 하는 중요한 도구이기에 현장에서 미적 체험 영역 지도의 어려움을 해소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본 연구는 미적 체험 영역을 교과서로 구현할 때 주목해야 하는 부분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우선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 5·6학년군 체험 영역의 내용 요소와 성취기준을 2022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 5·6학년군 미적 체험 영역과 비교하였다. 다음으로 미적 체험 영역이 연계성과 위계성이 낮다는 지적에 따라 2022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 5·6학년군 미적 체험 영역의 내용 요소와 성취기준을 3·4학년군과 중학교와 비교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에 따른 5·6학년용 미술 교과서 6종을 참고하여 차기 교육과정 미적 체험 영역의 5·6학년용 미술 교과서 적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 1) 감각적 탐색에 디지털 기기를 활용하고, 2) 감각과 사고의 관계를 성찰할 기회를 제공하고, 3) 시각 문화에 내포된 의미를 찾아보도록 하며, 4) 대상과 환경을 탐색하며 의미를 부여하는 활동을 교과서에 반영해야 함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파트너십에 기반 한 미술교육 프로그램의 교육적 의미와 구조에 대한 연구

        김해경(Hai Kyung Kim),김정희(Jeonghee Kim) 한국미술교육학회 2010 美術敎育論叢 Vol.24 No.1

        본 논문에서는 미술교육 발전을 위한 풍부한 자원 확보와 활용으로 미술 교육의 효과성을 높이는 관점에서 파트너십의 의미와 구조가 논의 된다. 파트너십을 기반으로한 우수한 미술교육 사례를 중심으로, 교육의 효과와 효율성, 파트너십의 구조와 유형 등을 분석하고, 분석 자료를 토대로 학교 미술교육 활성화를 위한 파트너십 구축 방안을 제시한다. 특히 파트너십에 기반 한 미술교육이 성공적으로 확대 실천 되도록 하기위해 조직간 또는 인력간의 협력적 관계의 지속적인 유지와 프로젝트의 기획, 집행, 평가 및 환류 등의 과정과 절차를 강조하고 있다. 파트너십을 통해 미술교육을 위한 교수자의 자원관리 및 전문성 확보를 할 수 있기 때문에 미술교육의 환경을 질적으로 개선하고 학습자의 미술적 체험을 확장시킬 수 있으며, 참여한 미술교사의 역량을 강화시킬 수 있다는 관점에서 학교와 박물관, 미술관, 미술가, 미술 단체, 문화회관 등의 파트너십 구축 방안을 제안하고 있다. This study discussed the meaning and structure of partnership in art education programs. In this study, partnership is viewed as a way to increase the educational effect of art education programs as securing abundant human resources and application. By analyzing the cases of superior art education programs, the educational effect and efficiency of partnership based art education programs and the structure and types of partnership were disclosed. Also, the way to construct partnership to revitalize school art education was suggested. Particularly, the continuous cooperation between organization and organization, organization and individuals, individuals and individuals, and the process and procedure of planning, administrating, evaluation, and circulating were emphasized to successfully expand partnership based art education. This paper suggests the way to construct the partnership among schools, museums, galleries, artists, art organizations, and culture centers because we can improve the quality of environment for art education, expand the breadth of students' artistic experience, and reinforce art teachers' capacity through managing resources of art instructors and rescuing their expertise.

      • KCI등재

        일제강점기 반도팔경 선정과정을 통해 본 경관인식

        김해경 ( Hai Gyeong Kim ),안경진 ( Kyung Jin An ) 한국전통조경학회 2015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3 No.2

        일제강점기인 1920년대에는 다양한 매체가 창간되었고, 발행 부수 확보를 위한 미디어 이벤트를 실시했다. 이중 『삼천리』는 1929년 창간호에서 문인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을 통해서 ‘반도팔경’을 선정하는 미디어이벤트를 기획했다. 이에 반도팔경의 선정과정과 선정된 반도팔경에 대한 분석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반도팔경의 선정은 당시의 지식인에 해당하는 문인을 대상으로 한 설문 결과이다. 팔경으로 선정 가능한 경승지에 대한 구체적인 조건은 명시하지 않았다. 젊은이 계몽, 민중 계몽, 아름다운 경승지 소개가 목적이며, 문인들의 반도팔경에 대한 다양한 의견이 개진되었다. 둘째, 반도팔경에 선정된 경승지는 금강산(金剛山), 대동강(大洞江), 부여(扶餘), 경주(慶州), 명사십리(明沙十里), 해운대(海雲臺), 백두산(白頭山), 촉석루(矗石樓)이다. 선정된 팔경은 경승지의 규모나 영역에서 일관성이 없으며, 일부 문인은 선정되지 못한 경승지를 거론하면서 교통의 중요성을 피력했다. 셋째, 기행문으로 발표된 반도팔경 경승지인 백두산과 부여 낙화암에 대한 경관인식이다. 백두산 경관에 유구한 역사와 민족 정기를 대입시켰으며, 조선시대를 부정하면서 부여는 고도 백제로 빈 공간이라고 했다. 기행문은 실제 답사를 다녀온 후 작성된 것이 아니라 기존 발표한 내용을 재편집했다. 넷째, 김동환의 편집으로 1941년 기행문 형식의『반도산하』가 발간되었다. ‘사적’과 ‘경승’으로 구분하여 팔경을 선정하였으며, 보존해야 할 경관과 향유하는 경관을 구분하기 시작했다. 이처럼 본 연구는 1929년 선정된 반도팔경의 분석을 통해서 일제강점기 지식인인 문인의 경관 인식을 도출했다. 이는 미디어 이벤트를 통한 새로운 선정 방식과 기행문을 통한 경관 인식을 확인할 수 있는 실증적 연구로써 의의가 있다. In the 1920s, the period of cultural governance ruled by Japan, the diverse media were founded and various events were conducted to boost circulation. Under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n 1920s, a number of media - newspapers and magazines - were published and often they carried out entertaining events in order to obtain more subscribers. A hobby magazine, Samchunri, for instace, set up a media event to selecting Korea``s eight beautiful scenary (Bandopalgyong) for the first edition in 1929. The paper aims to analyse and understand the perception of landscape in 1929 through the media event carried out by Samchunri. In particular, the selection was made by well-known writers within Japanese colonial period 1910 - 1945). The selection process and views from the writers on landscape were analysed; firstly, the selection of Bandopalgyong was carried out by questionnaires to writers in 1929 where Korea is under Japanese colonial rules. The conditions of the selection were unknown; however, the purpose was enlightening the people specially the youngs and introduction of beautiful places in Korea. As a result, views and opinions on Bandopalgyong by the writers were progressed. Secondly, within the Bandopalgyong, the natural landscape areas include Gumgansan(金剛山), Daedonggang(大洞江), Buyeo(扶餘), Gyongju(慶州), Myongsasipri (明沙十里), Haundae(海雲臺), Baekdusan(白頭山), and Choksukru(矗石樓). Those chosen places were not cohesive nor did not have any consistant reasons to be chosen in terms of size and location; however, some writers claimed that there were other places to match the chosen ones and therefore, the selection process was highly dependent on access (i.e. transport). Thirdly, the travelogue on Baekdusan and Nackwhaam(洛花岩) illustrated interesting views on landscape in particular. Baekdusan landscape were described in overlaping with long history and national soul. In the Nackwhaam travelogue, it described ``Buyeo (夫餘) was an ancient capital of Backjae Dynasty and empty place`` as well as denying Chosun Dynasty. It was assumed that the two places weren``t visited but rewritten with existing literatures. Fourthly, edited by Kim Dong Whan, a travelogue style book, ``Bandosanha`` was published in 1941. It did repeat the selection of Bandopalgyong, but this time, it was classified the eight beautiful landscape into two categories; historic/cultural places and natural landscape. This paper was able to analyse and understand the perception of landscape in 1929 through the travelogue of Samchunri. It is an empirical study on the process and perception on Korea landscape under Japanese colonical period by views of the selected writers.

      • KCI등재

        맹아와 약시아동을 위한 미술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

        김해경(Kim Hai-Kyung) 한국미술교육학회 2006 美術敎育論叢 Vol.20 No.1

          미술이 시각과 깊은 관련이 있는 만큼 그동안 미술교육에서 맹아들과 약시아동들이 소외되어왔다. 그러나 홀린스(Hollins, 1989)의 연구에 따르면 맹아들도 그들 나름의 미술표현 발달단계를 가지고 있다. 맹아와 일반아동, 그리고 그들의 다리 역할을 해줄 약시아동이 함께 미술에 대해 대화하고 미술작품을 제작한다면 그들은 미술에 대한 서로의 독특한 경험을 배우고 공통점과 차이점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 해 본인은 “손끝으로 세상보기”라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 프로그램에서는 맹아와 약시아동, 일반아동이 함께 콜라주로 추상작품을 제작하고 암실 전시회를 개최한다. 암실 전시회는 일반인들에게 맹아의 입장에서 미술품을 감상하는 기회를, 다른 맹아들에게는 미술 감상의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Many people consider art as a visual activity. If we restrict art to being only visual, it means that blind children are ruled out as students of art education. According to Hollins(1989), blind children have their own art-expressing development steps. Discussing and making art work with blind, visually impaired, and sighted children will be a meaningful chance to learn and share each other"s unique experiences about art. In the class, seeing the world with the tip of a finger, children who have different experiences, body conditions, and knowledge of art will learn together in an integrated group. The basic understanding about abstract art is necessary for this class, so the class will start from explanation and discussion about abstract art and elements of art. Learning materials for this should be made with things with noticeable textures. Children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elements of art such as a dot, a line, and a shape. Also, colors will be replaced by textures. From this class, blind children will have a chance to be familiar with artworks, to express themselves with artworks and to learn the way of appreciating artworks. Visually impaired children will recover their interesting and self-confidence about art. And all of children will enlarge their concepts about art and will find the new way to appreciate and express not with eyes but with other sense. After completing artworks, an exhibition will be opened in a darkroom and attendances will appreciate artworks with their fingers in the dark by following the unevenness guidelines. Before appreciating students" artworks, attendances will be educated how to appreciate artworks in the dark. This event will be a chance not only broadening the public"s conception about art but also awakening the possibility of art for the blind.

      • KCI등재

        역량 기반 교육과정 실행을 위한 미술과 교수·학습 및 평가의 설계 모형 구안

        김정효(Jeong-Hyo, Kim),김해경(Hai-Kyung, Kim) 한국문화교육학회 2019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4 No.6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brings about many changes in entire society. In the field of education, the usefulness of the content-oriented curriculum for the delivery of knowledge had been questioned and the direction of education has been changed to competency building. Academics and sites are working on research virtuously and efforts to meet this new educational paradigm. Backward Design often referred to as an alternative to teaching and learning design methods for competency building. Since it was introduced in 1998, the revised Backward Design has been introduced in 2011 and 2012, complementing it to be more suitable for arts and function-related subjects and to enhance the integrity among goals, evaluations and learning activities.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ncludes core competences and subject competences which was developed based on core competences. It is clear that the curriculum aims competency building as its ultimate goal. Therefore, the revised Backward Design would help to imply the purpose and significance pursued by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n this study, teaching and learning deign model is developed through modifying the newly introduced Backward Design in accordance with the 2015 Revised Art Curriculum. This model would guide teachers at the site to design an unit plan to promote an authentic understanding of learners. 4차산업혁명은사회전반에많은변화를이끌어냈다. 교육분야에서도기존의지식전달을 위한 내용 중심 교육과정의 유효성에 의문을 갖게 되었고 교육의 방향은 역량 함양으로 전환되었 다. 학계와 현장은 이 새로운 패러다임에 부응하고자 연구와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데 역량 함양을 위한 교육 방법에 대한 대안으로 종종 언급되는 것이 백워드 설계이었다. 1998년 소개된 이후 예 술및기능관련교과에더적합하고학습목표, 평가, 학습활동간일체성을강화하도록보완하 여 2011년과 2012년에 수정된 백워드 설계가 소개되었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은 핵심 역량을 중심 으로 교과 역량을 개발하여 역량 함양이 교육의 궁극적 목표임을 명확히 하였다. 이에 2015 개정 교육과정이 추구하는 취지와 의의를 구현하기에 수정된 백워드 설계가 도움이 될 것이라고 보았 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장의 교사들이 진정한 의미에서 학습자의 이해를 촉구할 수 있는 교 수·학습 및 평가 설계 모형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 정의 상황에 맞추어 새롭게 소개된 백워드 설계를 기존의 백워드 설계 방식과 비교하며 제시하였 다. 그리고 우리나라 교육과정 상황에 맞추어 새로운 백워드 설계 방식을 수정, 변형하여 제시하 고 이에 대한 사례를 개발하여 참고할 수 있도록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