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仁祖代 前半期 왕권과 정치질서 재편 (1623~1636)

        김한신 고려사학회 2020 한국사학보 Vol.- No.78

        In this paper, I could show the outline of the main political currents at this time like the following. Right after the enthronement of King Injo(仁祖), the political situation was going on ascribing the political convulsion to Lord Kwanghae(光海君). And it grew arranged to impose a desirable model of monarch on King Injo. This sort of insistence rendered the instrument of limiting Injo's kingship. But King Injo was able to turn that situation by punishing several political cliques that selected hard line at some moments. Nevertheless King Injo still had not influence on other important matters. It was because of the absence of loyal group's favor and the weak authority of King Injo. At the time King Injo proceeded to enshrine his parents as king and queen officially. Because King Injo was not a son of king and queen. With this plan, King Injo attempted to expand the magnitude of his loyal group. However, Kim Ryu(金瑬), One of his loyal member, having opposed to the plan was expelled from the court provisionally. King Injo needed Kim Ryu again in order to prevent a recurrence of war with Qing(淸), the second Manchurian kingdom in China. King Injo led the new loyal group which had implemented the parental enshrinement to participate in devising diplomatic steps also. In this aspect, we can notice that King Injo accomplished some grasp of political situation with reorganization of the different loyal groups. But this was somewhat incomplete. The main frame of the above description is consisted of three points. The points are ㉠ the structural fortification of the political argument in the early period of King Injo, ㉡ the conspicuous role of small cliques subsisting in huge factions, and ㉢ the emphasis on the discrimination from the politics of Lord Kwanghae period intending to justify the enthronement of King Injo. 반정 이후 정국의 추이는 폐주 광해군을 반정이 일어난 주요 원인으로 설정하고 인조에게 모범적인 군주상을 강조하는 쪽으로 나아가게 되었다. 인조에게 이러한 과제는왕권을 정치적으로 제한시키는 장치가 되었다. 반정 이후 권력을 유지하기 위해 사림의 폭넓은 지지가 필요했고, 그 때문에 공론의 영향력이 전에 없이 커진 것이었다. 인조는 박정 등의 남이공 탄핵 사건을 계기로 이러한 틀을 전환시킬 수가 있었다. 그러나, 종친들의 호의를 얻을 수 있었던 인성군 문제나 인조의 정통성을 강화할 수 있는사친 제례에서 인조는 여전히 영향력을 가질 수가 없었다. 체계적인 대안을 제시하고인조의 의지를 실제 정책으로 실행시켜 줄 친위 세력과, 신하들을 순응하게 할 수 있는 권위가 인조에게 부족했기 때문이었다. 인조는 사친을 위한 추숭을 진행하면서, 친위 세력의 재편도 시도하였다. 인조는 이귀, 최명길의 계책과 조력에 힘입어 사친 추숭과 종묘 입묘를 마칠 수 있었다. 이 과정에서 인조는 비공신계 인물을 친위 세력으로들일 수 있었다. 그럼에도 왕권을 지탱해 주는 다른 한 축이었던 김류 세력이 없이는불완전할 수밖에 없었다. 인조는 後金의 건원 칭제 이후 대신들에게 삼사를 견제하게하는 시기에, 김류를 대신에 복귀시킬 수 있었다. 인조는 최명길을 비롯한 추숭 지지세력이 전란을 저지하는 외교적 대책 마련에 참여하도록 유도함으로써 김류 세력과의통합을 시도하였다.

      • KCI등재

        宋代 居士佛敎의 발전과 儒·佛의 대응

        김한신 중국사학회 2023 中國史硏究 Vol.- No.144

        The percep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onfucianism and Buddhism in the Song Dynasty as one of the rise of Confucianism and the decline of Buddhism is a projection of the views of later scholars. The Song elite, the Shidaifu(士大夫), was closely associated with Buddhism in the private sphere, as evidenced by the competitive establishment of grave temples(墳寺), but in public life, they maintained an attitude based on Confucian principles. In this article, we will take a deeper look at the interaction between Confucianism and Buddhism, focusing on Shidaifu and the Chan priest(禪師) in a seemingly contradictory situation. The Song dynasty, founded after overcoming the turmoil of the Five Dynasties period, sought to end the Age of Warriors and establish a system of governance based on a literate bureaucracy, and to this end,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was continuously expanded. In this process, the Shidaifu sought to reject Buddhism as incompatible with their Confucian values. However, Chan Buddhism, flourishing in China's Jiangnan region since the Five Dynasties period, could draw on its superior academic credentials to propagate teachings that could satisfy the intellectual needs of the Shidaifu. They abandoned the traditional Buddhist dominance of Confucianism and argued that Confucianism and Buddhism were essentially the same in a way that was acceptable to the scholars. In this way, they were able to convert a large number of the great families to Buddhism. As a provincial official in southern China, Song Dai Shidaifu naturally interacted with scholar monks who inherited a high level of intellectual tradition, and through them, Chan Buddhist temples became extremely prosperous economically. This decline in temple economic growth and Wenzi Chan's rise to prominence, reinforced by his interactions with Shidaifu, led to the need for a purification effort in Buddhism, and Chan Buddhist priest Dahui Zonggao's Kanhua Chan was part of that effort. Dahui imparted ultimate enlightenment to Shidaifu by presenting a method of study in pursuit of don-o, or short-lived enlightenment, as a subject of conversation, which, in addition to its role in mitigating social criticisms of the excesses of the temple economy at the time, provided a powerful stimulus to the sexologists who sought to construct a new analytical metaphysics. Zhu Xi criticized Dahui's Kanhua and sudden enlightenment, emphasizing "investigation of things" as an alternative to overcome it by intensively analyzing the study methods of Dahui and the Shidaifu lay devotee who succeeded him. Meanwhile, in the new relationship that developed between Confucianism and Buddhism in the Song dynasty, the Chan priest's contact with Shidaifu consequently not only gave birth to a metaphysical Confucianism based on new academic attitudes and philosophies, but also to a new inclusive Buddhism that recognized the situation of Confucian dominance and emphasized its fundamental homogeneity with Confucianism to embrace the Confucian Shidaifu. 송대의 유교와 불교의 관계에 대한 유교의 흥성과 불교의 쇠퇴라는 인식은 후대 유학자들의 시각이 투영된 것으로서 실제로는 경쟁적으로 墳寺를 설치하는 모습에서 볼 수 있듯이 사적인 분야에서 송대 사대부들은 불교와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었음에도 공적 생활 속에서는 유가적 원칙에 입각하한 태도를 견지하고 있었다. 일견 모순적으로 보이는 이러한 현상의 배경에는 兩宋代 유교계와 불교계의 치열한 경쟁과 지속적인 융화가 있었다. 특히 본고에서 살펴보았던 바와 같이 계숭과 대혜종고와 같은 탁월한 선승들은 당시의 사회 정치적 질서 속에서 불교를 위한 공간을 확보하고자 노력하였다. 오대십국의 혼란을 극복하고 건국된 北宋은 무인의 시대를 종식하고 문인에 의한 황제 전제체제를 구축하고자 하였고 이를 위해 과거시험이 지속적으로 확대되었다. 이 과정에서 탄생하게 된 사대부들은 자신들의 유교적 가치관과 배치되는 불교를 배척하고자 하였다. 그런데 오대십국 이래로 중국 강남지역을 중심으로 번성하고 있었던 선종 중심의 불교계는 자신들의 우월한 학문적 수준을 바탕으로 사대부들의 지적 욕구를 만족시켜 줄 수 있는 가르침을 전파하였다. 송대에 이르러 계숭을 비롯한 선승들은 기존의 불교 우위의 유불회통의 방식을 포기하고 유학적 사대부들이 거부감 없이 받아들일 수 있도록 유교와 불교가 본질적으로 동일하다는 주장을 개진해 나갔다. 이를 통해 대규모의 사대부 거사들을 불교에 귀의시킬 수 있었다. 지방관으로서 중국 남부지역에 부임한 송대 사대부들은 높은 수준의 지적 전통을 계승한 선승들과 자연스럽게 교유하게 되었고, 이들을 통해 당시 숭유억불을 주창하였던 송대에 선종 사원은 오히려 경제적으로 극도로 번성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사원 경제 성장의 폐단과 사대부와의 교류로 인해 심화된 文字禪의 강세는 불교에 대한 自淨노력의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대혜종고의 간화선은 그러한 노력의 일환이었다. 대혜는 화두를 갖고 단박의 깨달음 즉 돈오를 추구하는 공부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사대부들에게 궁극적인 깨달음을 전해주었고, 이는 당시 사원경제의 지나친 비대화에 대한 사회적 비판을 완화시켰던 역할 이외에도 새로운 유학적 형이상학을 구축하고자 하였던 성리학자들에게 강렬한 자극을 주었다. 주희는 대혜나 그를 계승한 사대부 선사들의 공부 방식을 집중적으로 분석하여 이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서 ‘격물’을 강조하면서 대혜의 간화와 돈오를 비판하였다. 한편 송대 유교와 불교 사이에 전개된 새로운 관계 속에서 선승과 사대부의 접촉은 결과적으로 새로운 학문적 태도와 철학에 기반한 형이상학적 유학을 태생시켰을 뿐만 아니라 불교 역시 유교 우위의 상황을 인정하고 사대부들을 포섭하기 위해 유학과의 근본적 동질성을 강조하는 새로운 포용적인 불교를 태동시켰다.

      • KCI우수등재

        연구주제의 다양화와 새로운 경향: 송요금원사 회고와 전망 2016~2017

        김한신 역사학회 2018 역사학보 Vol.0 No.239

        Over the last two years between 2016 and 2017, researchers in the Song-Liao-Jin-Yuan studies have greatly expanded the research scopes. They have dealt with not only the traditional research fields such as political and diplomatic history and socio-economic history but also the relatively new areas such as cultural history or history of Sino-Korean relations. This article mainly deals with the overall impression on the qualitative growth in the researches of the Song-Liao-Jin-Yuan studies. Lastly, I would like to mention two significant challenges to solve. Firstly, it is obvious that both the researchers and researches on the socio-economic history of the Song-Liao-Jin-Yuan studies have gradually declined since the early 2000s. Although it became conspicuous in the aftermath of obsolete socialism in the 1990s, it will be serious matter since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socio-economic history may become basis to carry out researches on various field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vigorate the field through finding a new detailed topic. Secondly, researches on the history of Sino-Korean relations also need to expand the range of the researches. The researchers will understand the relations between the Korean Dynasties and the Chinese ones more clearly if they see it from the broader perspective of the history of multilateral relations among the ancient East Asian regimes, which includes Kamakura Shogunate, Ryukyu Kingdom, and Tamra(Jeju). By doing so, for instance, we will find out the right answer to the problems that we could not have understood from the narrow perspective so far. 지난 2년간 (2016~2017) 송요금원사 연구자들은 다양한 분야의 주제를 다루면서 연구의 범위를 적극적으로 확대해 나가고 있다. 기존의 전통적인 정치외교사나 사회·경제사뿐만 아니라 문화사로 포괄될 수 있는 다양한 주제를 다루고 있고 한중 관계사에 대해서도 수준 높은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본고는 주로 송요금원사 분야 연구의 전반적인 발전에 대해서 언급하고 있지만, 마지막으로 두 가지 향후과제에 대해서 지적하는 것으로 마무리하고자 한다. 우선 지난 20세기 송요금원사 연구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주제였던 사회경제사 분야에 대한 연구와 연구자가 점차 줄어들고 있다는 점이 최근 연구경향의 분명한 특징이다. 이는 사회주의의 퇴조와 맞물려 토지경제사 분야가 쇠퇴하였던 것과 그 궤를 같이 하고 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현상은 연구 주제의 다양성이라는 차원에서 뿐만 아니라 사회경제사에 대한 충분한 이해가 전제되지 않은 중국사 연구가 가져올 문제점을 고려해 보더라도 중요한 문제라고 사료된다. 꾸준히 사회경제사 분야의 연구를 진행하고 있는 연구자들의 노력으로 그 명맥은 유지되고 있지만 앞으로 새로운 세부 주제의 발굴을 통해 사회경제사 분야를 더욱 활성화 시킬 필요가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가장 활성화 되고 있는 한중관계사 역시 그 시야에 있어서 지적해야할 문제점들이 있다고 생각된다. 현재 송요금원사 학계에서는 고려와 송, 고려와 요, 고려와 금 그리고 고려와 원 이라고 하는 한국과 중국왕조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지만, 향후에는 동아시아 전체를 포괄하는 확대된 맥락 속에서 중국왕조들과 고려·가마쿠라 막부·류큐·탐라 등을 포함한 다자간 역학관계를 살펴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그럼으로써 그동안 제한된 사료 속에서 놓치고 있었던 중요한 연결고리를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仁祖 즉위 이후 권력장악과 인목대비의 위상

        김한신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22 東洋學 Vol.- No.86

        This study aims demonstrating how King Injo(인조) had brought up the support from Queen Dowager Inmok(인목대비) and made the best use of it after dethronement of Kwanghaegun(광해군). It reflects the foundation of power that Injo had based on and its trait. Having accomplished the enthronement, Injo tried to signify the past argument in 1618 in which Queen Dowager Inmok had been claimed to be deprived of her title and privileges. He made it a principle to punish severely those who had led the argument. At the same time he also appointed those who had not participated in the argument as his officials. It means the restoration of Inmok’s title and privileges indirectly. Additionally, Injo showed his respect to Inmok by giving new titles and some royal estates for her. The more Inmok’s position grew to be respected, the more Injo became to get his legitimacy. 인조는 거사 직후 즉위 과정에서부터 인목대비의 지지를 얻어 권력장악의 정당성을 확보하려 했다. 먼저 인조는 인목대비와 명 황제에게서 책봉을 받아야만 했다. 명 황제로부터 받는 책봉에서조차 인조는 인목대비의공식적인 奏請 없이는 가능한 일이 아니었다. 즉위 이후 인조는 광해군 10년(1618)에 있었던 폐모논의를 기준으로 인사 및 처벌을 진행하고 이를 통해 권력을 장악하는 작업에 착수했다. 이는 간접적으로으로는 인목대비의 명예를 復權하는 일이기도 했다. 인조는 인목대비의 지위를 회복함으로써 곧 자신의 통치를 정당화하려 했다. 인조는 거사는 물론 즉위 이후의 통치과정에서 인목대비와의 관계에 주의를 기울임으로써 권력의 입지를견고히 할 수 있었던 것이다.

      • KCI우수등재

        최치원 기억하기 - 기억의 재구성과 재해석 -

        김한신 역사학회 2022 역사학보 Vol. No.

        This article mainly examines how memories of Choi Chi-won were reconstituted and reimagined according to changes of the ruling groups and ruling thoughts. This article is not, however, intended to give a new historical evaluation of Choi Chi-won. In the early Goryeo, Choi Chi-won’s Confucian statecraft was highly valued, and his spirit tablet was enshrined in the Confucius’ Shrine(文廟) along with Seolchong(薛聰). Above of all, his enshrinement could be justified by intentional oblivion of Buddhist or Taoist elements in his studies. Furthermore, in order to legitimize it politically, the connection with Silla was diluted, by emphasizing the fact that he secretly helped the founding of the Goryeo Dynasty[密贊祖業] in the late Silla period and abandoned expectations for Silla and lived in seclusion. However, as Daoxue(道學)(Neo-Confucianism) was established as a systematic doctrine with the power of Sarim forces(士林) in the middle of the Joseon Dynasty, demands to have Choi Chi-won's tablet removed from the Confucius’ Shrine emerged strongly. For the Joseon Daoxue literati who regarded loyalty to the monarch as life, his images overlaid during the Goryeo Dynasty was considered disloyalty and directly contributed to their contempt. Although Choi Chi-won’s removal from Confucius’ Shrine was not realized, repeated debates over Choi Chi-won following the replacement of the ruling forces changed his memory and eventually created new memories through compromise. As a result, the official memory of him was fixed as an outstanding writer who contributed to the transmission and development of Confucianism. 신라 말기에 활동하였던 孤雲 崔致遠(857~미상)은 ‘신라에 文學을 唱導하였던 유학의 宗匠’으로서 崇慕되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망국의 길로 접어든 조국 신라에서 그 뜻을 펼치지 못한 불우한 사상가’로 인식되었다. 기존 선행연구들은 최치원의 文廟從祀나 黜享을 둘러싸고 치열하게 전개된 최치원에 대한 기억의 논쟁 속에서 그 정치적 사상적 맥락의 변화에 대해서만 주로 분석하였다. 반면에 그 과정에서 최치원에 대한 공식적인 기억 자체가 굴절되고 변화되어왔던 모습에 대해서는 간과해왔던 것이 사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 최치원에 대한 공식적인 기억이 고려시대에 재구성되고 유학적 세계의 판테온(patheon)인 문묘에 처음으로 從祀되는 과정을 살펴본다. 다음으로 조선 중기 이후 등장한 교조주의화된 성리학을 숭상하는 신흥 세력에 의해 진행된 문묘의 재건과정에서 성리학적 道統에서 벗어나 있었던 최치원의 문묘 黜享 논쟁이 일어나게 되고 그 과정에서 최치원에 대한 기억에 변화가 발생하였던 과정을 다루어보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최치원이라는 역사적 인물에 대한 새로운 사실의 발견 내지는 기존과 다른 평가를 하기보다는 그에 대한 기억이 사상적·정치적 변화에 따라 굴절되어 후대에 전승되는 과정에 대해서 초점을 맞추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역사적 인물 최치원에 대한 공식적인 기억이 오랜 기간 전승되는 과정에서 지배집단의 의도에 의해서 재창조된 결과였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中國 后土 信仰의 변천과정─ 漢代~唐代 후토 이미지의 역사적 변천과정 고찰 ─

        김한신 중국고중세사학회 2015 중국고중세사연구 Vol.37 No.-

        This article examines the historical transformation of the divine image of Houtu (后土), an earth god, between the Early Western Han Dynasty and the Late Tang Dynasty. Although the deities which were commonly referred to Houtu included both the territorial spirits (社神) and the gods of the earth (地神), the latter ones did not emerged until the Han Dynasty. During the Early Western Han Dynasty, the Han Wudi (漢武帝) ordered to construct the temple for the Houtu in Fenyin (汾陰) of the Shanxi province for the first time. Since he came under the influence of the Daoists, occulters, or socerers, however, the Confucian principled scholars of the late Western Han period began to criticize the sacrifice rituals to the Houtu of the Fenyin which was inconsistent with the Confucian ritual codes. As a result, the sacrifice to the Houtu of Fenyin was abolished when the Wang Mang (王莽) took the power. While the Houtu was deified as an earth god by the Western Han authorities, it was not until the Early Tang period that the characters of female deity began to be superimposed on the Houtu. During the reign of Wuzetian (武則天), in particular, the gendered image of Houtu was influenced by her popular images, and then the Tang Elites of the mid-Tang period who published novels associated with the Houtu made big contribution to widespread of the image of female deity throughout the Empire. After the Wuzetian and Tang Xuanzong (唐玄宗) carried out the sacrifice to the Houtu temple of Fenyin in person, the sacrifice rituals were suspended until the governor-general Gao Pian (高騈) of the Southern China resumed the ritual within his jurisdiction. However, the sacrifice performed by him was completely against the Confucian principle but was definitely based on popular custom. Consequently, between the Early Western Han Dynasty and the late Tang Dynasty, the cult of Houtu transformed itself from an official deity which had been worshiped according to the state ritual codes into the popular deity which had gendered image and protected her worshipers from danger as tutelary deities of popular religions.

      • KCI등재

        중국종교(中國宗敎)의 새로운 범주화(範疇化) ― 1960년대 이후 구미(歐美)학계의 중국민간신앙(中國民間信仰)에 대한 새로운 인식 ―

        김한신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14 東洋學 Vol.55 No.-

        Until quite recently, the Chinese popular religions had been treated as just a superstitious beliefs that did not have any clear belief system nor ethical implications. Unlike the institutional religions such as Buddhism, Daoism, and Confucianism, the diffused religions like the popular religions have no religious scriptures and no priest. Moreover, the institutional religions like Buddhism and Daoism did not have dominant influence on the Chinese people's daily lifes, and the Confucianism had just weaker religious features than the others. Therefore, in early 20th century, not only Western scholars but also western oriented Chinese scholars were convinced that Chinese people are nonreligious and have interest only in secular matters of worldly life. Since the 1960s, however, a series of Western Scholars have presented fresh perspectives on the Chinese popular religions. First of all, the Western anthropologists argue that the system of spiritual beings in the popular religions was exactly equivalent to the social position class in the local society. From the sociological perspective, a celebrated scholar, C. K. Yang categorized the Chinese religions into two very different types: the "diffused religions" and the "institutional ones". And then, he demonstrated that in particular, the fist ones were closely connected with the substrate structure of the Chinese society. Contrary to the anthropologists' and the sociologists' studies on the modern Chinese popular religions, which considered them as unchanged custom, the Western Historians traced how the Chinese popular religions have experienced radical transformation since the ancient period. In particular, they emphasized the significance of the Song period (960~1279) as a watershed of the history of Chiense popular religions. Although the Yang's dichotomy helped us to understand the belief system of the Chinese popular religions, in addition, his theory used to ignore the interplay between the popular religions and the institutional religions. Recent scholarship on the popular religions has unearthed that there have been vigorous and continuous interplay between the two types of beliefs. Consequently, due to the Western scholars' researches, the Chinese popular religions became to be categorized as one of the most significant religions in Chinese history. 이 글은 기존에 미신으로만 취급되던 중국 민간신앙이 1960년대 이후 서구학계에서 새롭게 인식하게 되었던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그들의 연구를 통해 중국 민간신앙은 불교·도교·유교와 같은 제도종교에 비해서 중국의 기층사회구조와 더욱 밀접한 관계에 있었음이 밝혀졌고, 특히 그 의례행위를 통해서 향촌 사회 구성원들의 지역적 정체성을 확립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음이 밝혀졌다. 그러나 중국 민간신앙의 현재적 모습에만 초점을 맞춘 접근방식은 그 사회적 기능에 대해서는 비교적 명확한 해답을 찾을 수 있었지만, 자칫 중국 민간신앙이 원시적 형태에서 변화 없이 유지되어 왔을 것이라는 잘못된 인식을 갖게 할 위험이 있었다. 반면에 중국 민간신앙의 역사적 변천과정에 관한 역사학자들의 연구들은 특히 송대를 전후한 시기에 급격한 변화가 발생한다는 점을 명확하게 보여주었다. 송대에 발생한 사회경제적 상황의 변화와 더불어 민간신앙과 제도종교 사이의 상호작용은 민간신앙의 모습을 급격하게 바꾸어 놓았을 뿐만 아니라 제도종교 또한 이로부터 중대한 영향을 받게 되었다. 중국학의 다른 분야에 비해서 중국 민간신앙에 대한 구미 학계의 공헌은 훨씬 더 절대적인 것이었다. 구미 학계의 다양한 방식의 연구들은 중국 민간신앙을 단순한 미신적 믿음에서 중국 종교의 중요한 범주로 바꾸어 놓았다. 따라서 서구학계의 주요 연구 성과들을 되짚어 보는 것은 중국 민간신앙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절대적으로 중요한 과정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 사이버교육활성화를 위한 CRM방법의 적용에 관한 연구

        김한신,이공섭,이창호 대한안전경영과학회 2002 대한안전경영과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2 No.05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사이버교육은 활발 전개되고 있다 하지만 사이버교육에서의 CRM 적용사례는 부족한 현실이다. 본 연구는 RFM, Prediction, 고착도, 연관규칙, 분류규칙등 데이터 마이닝기법들을 활용하여 학습자의 수준에 맞는 강의추천전략을 제안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