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외식 프랜차이즈 몰입에 대한 연구 : 만족 및 조절변수를 중심으로

        김하윤 경기대학교 2006 국내박사

        RANK : 247647

        최근 외식 시장의 규모가 커지면서 소규모 창업자들이 늘어나고 있다. 소규모 사업자들은 초기비용, 운영비용, 운영 노하우 등 도움을 받을 수 있는 프랜차이즈 비즈니스 형태를 선호 하면서 외식 프랜차이즈 시장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프랜차이즈의 사업형태가 늘어나면서 가맹본부와 가맹점간의 이해관계나 갈등으로 인한 분쟁이 늘어나고 있는데, 본 연구는 이러한 분쟁으로 인한 관계 단절을 가맹본부 운영관리를 통하여 미연에 방지 할 수 있다고 가정하였다. 또한 가맹본부와 가맹점의 특성이 만족이나 몰입에 영향을 줄 것이라 가정하고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의 주 흐름은 가맹점들은 가맹본부와 가맹점의 특성에 따라 느끼는 만족이 차이가 있을 것이고 이러한 만족을 조절하는 요소로 가맹본부의 운영방법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이라 가정하였다. 또한 가맹점이 느낀 만족은 몰입과 인과관계가 높고, 만족과 몰입사이에 재무적인 성과가 만족의 크기에 조절역할을 할 것이라 가정하였다. 따라서 가맹점의 특성 및 본부 특성, 운영관리 특성, 재무적 특성에 따른 성과변수인 만족과 몰입의 차이가 종합적이고 실증적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위해서 문헌연구를 통해 이론적 고찰을 토대로 프랜차이즈 가맹본부의 특성 변수들을 선정하였다. 추출된 변수로는 가맹본부 항목은 외형, 능력, 엄격함이 가맹점 특성 변수는 가맹점의 본부의존도, 거래특유투자, 입지를 선정하여 만족과의 인과관계를 분석하였다. 가맹본부 및 가맹점 특성과 만족도 사이를 조절하는 변수로 가맹본부의 운영관리에 따라 이러한 만족도가 차이가 있을 것으로 예상하여 본부의 운영관리 요소로 커뮤니케이션, 지원, 갈등을 조절변수로 추출하여 조절회귀 분석을 하였다. 또한, 만족과 관계몰입의 인과관계 및, 만족과 관계몰입간의 관계를 강화하는 요인을 매출, 순익, 재무적 성과 평가로 보고, 조절역할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만족이 가맹본부 및 가맹점 특성과 몰입사이에서 직․간접적 매개역할을 하는지에 대하여도 알아보았다. 조사 절차는 프랜차이즈 가맹점주 들에게 심층 면접 후 서울, 경인지역의 프랜차이즈 가맹 점주와 매니저에게 조사가 실시되었다. 총 448부의 설문 데이터 중, 386개의 설문이 분석에 사용되었다. 분석은 SPSS. 10.0을 사용하였고, 분석 방법은 요인분석을 통하여 각각의 변수 개념을 정리하였고, 다중회귀분석, 일원배치 분산분석, 조절회귀분석, 계층회귀분석 등을 사용하였다. 프랜차이즈 가맹본부 및 가맹점 특성에 따른 관계마케팅에 관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맹본부의 특성과 만족과의 관계를 보면 가맹본부의 외형에 해당하는 체인점 수나 규모, 명성 등이 크면 가맹점들은 가맹본부에 대하여 더 큰 만족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맹본부의 능력이 좋을수록 가맹점의 만족도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가맹점이 엄격성은 유의한 영양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가맹점들은 가맹본부의 특성 중 가맹본부의 외형이나 능력 같은 외적인 면을 좋게 평가할 때 전반적인 만족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가맹점의 특성과 만족과의 관계를 살펴보면 가맹점들은 시설이나, 교육 등 자신들 점포에 거래특유투자를 많이 했을 경우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가맹점 자신들의 입지가 좋을 경우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가맹점의 본부에 대한 의존도는 만족과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가맹점들이 자신들이 투자한 투자액이 높을 때, 또는 입지에 대한 자부심이 있을 경우 가맹본부에 대해서도 더 많은 만족도를 보이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운영관리요소의 조절역할을 살펴보면, 커뮤니케이션은 엄격함과 만족사이에서 조절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커뮤니케이션이 적을 경우 엄격한 집단에서는 만족도가 매우 낮고, 커뮤니케이션이 많을 경우 엄격함이 높더라도 만족도는 매우 높은 것은 결과나 나왔다. 그리고 지원은 가맹본부의 외형과 만족사이를, 엄격함과 만족사이를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데, 가맹본부의 지원이 클수록 만족을 더 크게 느끼는 경향이 있으며, 지원에 의한 조절효과는 가맹본부의 외형이 큰 집단에서 더 크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엄격함이 높을 경우 지원이 높으면 만족도는 높겠지만, 지원이 낮으면 만족도는 현저하게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갈등도 가맹본부의 외형과 만족사이, 엄격함과 만족사이에 조절역할을 하는데 갈등이 크면 만족도가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갈등은 가맹본부의 외형이 클수록 더욱더 큰 조절효과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엄격함이 높은 집단에서 갈등이 높으면 만족도는 떨어지지만 갈등이 낮으면 만족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가맹점 특성과 만족사이의 운영관리 요소역할을 보면, 지원은 가맹본부의 입지와 만족사이에 조절역할을 하고, 지원에 의한 조절효과는 가맹점의 입지가 좋을수록 더 크게 나타났다. 갈등은 본부의존도와 만족, 거래특유자산과 만족, 입지와 만족 사이에 조절함으로써 가맹점 특성에서는 갈등의 조절역할이 모두 지지되었다. 갈등의 의존도 조절 효과는 의존도가 낮을수록 더 큰 조절 효과를 나타냈고, 거래특유자산이 적을수록 더 큰 조절효과를, 입지가 좋을수록 더 큰 조절효과를 보였다. 다섯째, 가맹본부에 대한 만족과 관계몰입의 관계는 매우 밀접하게 인과관계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여섯째, 만족의 매개효과를 보면, 만족은 가맹본부의 외형, 능력, 가맹점의 거래특유투자, 입지와 몰입 사이에서 매개역할을 하고 있다. 이중 가맹본부의 외형, 능력, 가맹점의 거래특유투자는 관계몰입에 만족을 매개로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가맹본부의 입지는 관계몰입에 만족을 매개로 간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가맹점의 만족과 관계몰입사이에 재무성과의 조절역할을 보면 월매출이 높을수록, 재무적 성과평가가 높을수록 관계몰입이 높게 나타나는 결과를 보이고 있어 재무성과가 관계몰입을 강화하는 조절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Franchise system has been popular in Korea since 1990s. This study is focused in the relational commitment between the franchisor and franchise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mainly to inquire the variable of franchisor and franchisees characteristic affecting the relational commitment and satisfaction. And it will be difference satisfaction level cause to operation management and financial performance. A large percentage Previous studies of franchise system has focused on qualitative relationship propensities, resulting in lack of study on financial performance. The data for the empirical analysis were collected through survey questionnaire and personal interviews and 448 store were participated in the study. Each questions is based on a 5-point likert-type scale. After initial data recording, 62 questionnaires were deleted from the data set because of missing answer or participate part-time staff. Finally, the sample data of 386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Using SPSS Win 10.0. To test hypothesis, factor analysis, ANOV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moderated regression analysi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he result of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result of factor analysis, franchiser characteristic are composed external form, capability and enforcement. And franchisee characteristic are composed franchisee's dependence, transaction specific investment, and location of franchisee's store. Secondly,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dicate that, franchiser external form, capability, franchisee transaction specific investment and location are positively influence on franchisee's satisfaction. Third, franchisor's operation management effect as follow. Analyzing a moderating effect of the communication,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nforcement and satisfaction. Support are moderating effect on external form and satisfaction, enforcement and satisfaction, and, location and satisfaction. Conflict are moderating effect on external form and satisfaction, enforcement and satisfaction, dependence and satisfaction, transaction specific investment and satisfaction, and, location and satisfaction. Also financial performance(monthly sale, perceived sale performance) are moderating effect between satisfaction and commitment. Fourth, satisfaction positively influence on commitment. Finally, satisfaction is mediated between franchiser, franchisee characteristic and commitment. In detail, external form, capability and transaction specific investment, directly and indirectly, and location indirectly influences commitment, through satisfaction.

      • 게임화(Gamification)를 적용한 종묘제례악 교수ㆍ학습 방안 연구

        김하윤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2015 개정 중학교 음악교과서를 중심으로 종묘제례악 교수ㆍ학습 현황을 고찰하고, 종묘제례악 교수ㆍ학습에 적용하기 적합한 게임화 요소들을 분석하여,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하고 효과적인 학습을 도울 수 있는 중학생 대상의 게임화 적용 종묘제례악 교수ㆍ학습 방안을 제시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첫째, 종묘제례악의 문헌자료를 고찰하고,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 및 중학교 음악교과서에 수록된 종묘제례악의 교수ㆍ학습 내용을 분석하였다. 둘째, 게임화(Gamification)이론을 바탕으로 종묘제례악 교수ㆍ학습에 적합한 게임화 요소를 선택하여 중학생 대상의 종묘제례악 교수ㆍ학습 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셋째, 온라인 게임 기반 학습 도구 프로그램인 ‘Kahoot!’(카훗)을 주요 매체로 하여 ‘역사 속 종묘제례악’, ‘종묘제례악 속으로!’, ‘세계 속 종묘제례악’의 세 가지 교수ㆍ학습 방안으로 이루어진 게임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구현하였다. ‘역사 속 종묘제례악’은 종묘제례악의 역사ㆍ문화적 배경에 대한 이해와 종묘제례 및 종묘제례악에 대한 개괄적 이해를 돕는 교수ㆍ학습 방안으로, 학습 목표를 역사적 배경 속에서 종묘제례 및 종묘제례악의 특징을 이해할 수 있다로 하여, 영상자료 및 카훗 슬라이드, 퀴즈를 활용한 강의식 수업으로 진행된다. ‘종묘제례악 속으로!’는 학습 목표를 종묘제례악을 이루는 가ㆍ무ㆍ악 요소를 이해하고 이를 노래, 신체, 악기연주로 표현할 수 있다로 설정하고, 스토리(서사), 협력, 미션, 보상, 성취, 경쟁, 피드백 등의 게임화 요소를 적용한 카훗 컨텐츠로 설계하였다. 학생들은 시나리오 속 주인공이 되어 미션화 한 종묘제례악 학습활동에 게임하며 참여한다. 미션은 종묘제례악을 이루는 세가지 요소인 가ㆍ무ㆍ악의 각 요소별 미션 및 가무악 통합 미션으로 구성하였다. ‘세계 속 종묘제례악’은 ‘문화유산으로서의 종묘제례악의 가치를 이해하고 소개할 수 있다.’를 학습 목표로 한, 조별 토론과 발표 중심의 참여형 수업으로 구성하였다. 학생들은 토론하며 인터뷰 형식의 활동지를 작성하고, 역할극을 진행한다. 제시한 게임화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확인하기 위해, 중학교 1학년 및 3학년 50명을 대상으로 ‘종묘제례악 속으로!’를 적용한 음악 수업을 진행하고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분석 결과, 참여 학생 중 약 90%가 게임화 프로그램을 통한 종묘제례악 학습에 흥미 및 재미를 느꼈고, 약 80%가 종묘제례악을 효과적으로 이해하고 학습하는 것에 유의미한 도움을 받았다고 답하였다. This study suggested teaching-learning program of Jongmyo Jeryeak applying gamification for middle school students by examining the current status of schooling ‘Jongmyo Jeryeak’ and applying suitable gamification factors for teaching Jongmyo Jeryeak. First, examination on Jongmyo Jeryeak was done with literature materials. Improvements in the contents of Jongmyo Jeryeak in middle school music textbooks were proposed based on and the learning contents of 2015 revised music curriculum. Next, with the analysis of the ‘Gamification’ theory, Jongmyo Jeryeak schooling program for middle school students were designed by applying gamification elements suitable for teaching Jongmyo Jeryeak. Finally, with the online game-based learning tool program ‘Kahoot!’ as the main medium, a gamification program consisting of three goals: ‘Jongmyo Jeryeak in History’, ‘Into Jongmyo Jeryeak!’, ‘Jongmyo Jeryeak in the World’ was implemented and presented. ‘Jongmyo Jeryeak in History’ is a teaching method to help understand the historical, cultural background, and general understandings of Jongmyo Jeryeak. With the goal of learning "The characteristics of Jongmyo Jerye and Jongmyo Jeryeak can be understood in historical background.", it was conducted as a lecture-style class using video materials, kahoot slides, and quizzes. ‘Into Jongmyo Jeryeak!’ was designed as a kahoot content with gamification elements, such as story, cooperation, mission, reward, achievement, competition, and feedback. students become the main characters in the scenario and participate in the Jongmyo Jeryeak learning activities. This helps students to understand the three elements of Jongmyo Jeryeak, which are song, dance and music, and express them with songs, musical instrument performances, and body. Each mission is consisted of ‘Song’, ‘Dance’, and ‘Music’, and the integration of them. ‘Jongmyo Jeryeak in the World’ is a participatory class centered on group discussions and presentations. The course which is composed of group discussions, interview-type activity sheets and role plays helps students understand the value of Jongmyo Jeryeak and introduce it as cultural heritage. In order to confirm the effectiveness of the presented program, a survey was conducted on 50 students first and third graders of middle school. As a result of the survey analysis, about 90% of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learning of Jongmyo Jeryeak through the gamification program were interested, and about 80% said they received significant help in learning Jongmyo Jeryeak.

      • 새치염색의 인식 및 실태와 컬러 이미지 변화에 대한 선호도·만족도에 관한 연구

        김하윤 한남대학교 사회문화·행정복지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ttempted to suggest marketing for gray hair coloring by analyzing the perception and current patterns of gray hair coloring and people’s preferences and satisfaction with changes in color images. For this, a questionnaire survey was performed against a total of 250 adult men and women in their 20-70s in Jeolla-do, who had gray hair coloring befor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8.0, and the results found the followings: First, concerning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61 respondents (24.4%) were men while 189 respondents (75.6%) were women. In terms of negative perception of gray hair coloring by gender, women were higher than men. In terms of positive perception, no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men and women. Second, in the perception of gray hair coloring, negative perception was higher in ‘women (M=3.73)’ and ‘married (M=3.81)’ in terms of gender and marital status respectively while positive perception was higher in ‘KRW 4-5 million’ in terms of average monthly income. Third, concerning current gray hair coloring patterns, when asked when hair started to go gray, ‘40s’ was most responded with 32.8%. When asked how often they color their hair fully, 36.8% responded, ‘bimonthly or quarterly’. When asked where they usually get hair coloring, ‘beauty salon’ was most responded with 74.0%. When asked why they visit a beauty salon for hair coloring, ‘to prevent scalp and hair damage’ was most responded with 32.8%. When asked what they most consider before gray hair coloring, ‘covering gray hair’ was most responded with 47.6%. When asked if they are willing to color their gray hair provided that such coloring is adjustable according to their personal image, 93.6% responded, ‘Yes’. In terms of willingness to change by age, ‘50s’ was higher than ‘60s or older’. Fourth, regarding color preferences by change in gray hair color, ‘natural brown (30.4%)’ was the highest. In terms of gender, men (42.6%) preferred dark brown while natural brown was most responded in women (32.3%). In terms of brightness of hair color, ‘natural brown (32.0%)’ was the highest. Regarding preferred color for gray-hair coloring, ‘neutral brown (31.2%)’ was most responded. In terms of gender, ‘neutral’ was the highest in men. In women, ‘chestnut’ was mostly responded. In brown color, ‘ash brown’ was most preferred with 46.7%. When asked what made them choose the color, ‘my favorite color’ was most responded with 48%, followed by ‘considering different skin/hair color (34.0%)’. In terms of preferred personal images after gray hair coloring, ‘gentle image (42.6%)’ was preferred in men while elegant and refined images were preferred by women (33.2%). Fifth, regarding satisfaction with gray hair coloring, no difference was found from the perspective of appearance/color in gender, age and marital status. However, there was a big difference in satisfaction by average monthly income. Appearance satisfaction was higher in ‘KRW 3-4 million’.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is study proposes its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First, in this study,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against 250 adult men and women in their 20-70s living in Jeolla-do, who had gray hair coloring before. Therefore, there are limitations in generalizing the results. It is required to inspect more respondents who had gray hair coloring before in diverse regions. Second, since it is hard to measure the status of gray hair, there are limitations according to personal image changes. It is anticipated that there might be better results with changes in color images provided that a body image questionnaire was conducted with hair model, not with image color, bringing in better results. 본 연구는 새치염색의 인식 및 실태와 컬러 이미지 변화에 대한 선호도·만족도에 관한 연구하여 그에 따른 새치컬러 관련 마케팅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 대상은 전남·북 지역의 새치염색 경험자를 대상으로 20대 이상 70대이하 총 250명을 대상으로 비교분석하였으며, 조사도구는 설문지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통계 프로그램 SPSS 28.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이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으로는 남자 61명(24.4%), 여자 189명(75.6%), 이었으며, 새치염색의 대한 인식 중 부정적인 인식은 여자가 남자보다 더 높았고, 긍정적인 인식은 남·여 비슷했다. 둘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새치염색에 대한 인식 차이 결과, 성별 중 여자(M=3.73)가 염색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더 높았고, 결혼여부에 따라서는 기혼이(M=3.81)로 미혼보다 전후 관리 필요성이 높았고, 월평균 소득 400-500만원이 긍정적인 인식이 더 높았다. 셋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새치염색을 실태 차이 결과, 새치염색을 처음 시작한 나이는 전체적으로 40대가 32.8% 높았고, 전체염색의 빈도는 전체적으로 2-3개월에 한번이 36.8% 높았고, 주로 장소는 미용실에서 74.0%로 가장 높았다. 미용실에서 하는 이유는 두피/모발 손상 예방이 32.8% 가장 높았고, 새치염색을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것은 흰머리 커버력이 47.6%로 가장 높았고, 새치염색이 자신의 이미지에 맞게 변화가 가능하다면 바꿀의향이 93.6% 나타났다. 연령은 50대 이하가 60대 이상보다 더 많았다. 넷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새치염색의 이미지변화 컬러 선호도 차이 결과, 현재 모발 색상은 전체적으로 자연갈색(30.4%)이 가장 많았고, 성별로는 남자(42.6%) 어두운 갈색, 여자(32.3%)는 자연갈색이 가장 많았다. 선호하는 모발염색의 밝기는 전체적으로 자연갈색(32.0%)이 가장 많았으며, 새치염색 시 선호하는 컬러는 뉴트럴브라운(31.2%)이 가장 많게 나타났다. 성별로는 남자가 뉴트럴이 가장 많고, 여자가 체스넛이 많았으며, 브라운계열에서는 전체적으로 선호하는 것이 애쉬브라운이 46.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컬러를 선택하는 요인은 자신이 좋아하는 색이 48%, 다음 피부색이나 모발색을 고려하는 34.0% 순으로 많았다. 새치염색 후 선호하는 이미지는 남자가 부드러운 이미지(42.6%)를 선호하였고, 여자가 고급스럽고 세련된 이미지(33.2%)를 선호하였다. 다섯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새치염색 만족도 차이 결과, 성별, 연령, 결혼여부로는 외모적·컬러적으로 만족도 차이는 없으며, 월평균 소득에 따른 만족도에서는 차이가 있었다. 300-400만원이 외모 만족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한계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는 전남·북 지역에 거주하는 20∼70대 이하 새치염색 경험자를 250명 대상으로 설문조사 표본으로 한정하였기 때문에 연구결과를 일반화하기에 한계점이 있으며, 향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지역과 새치염색 경험자의 대상자를 더 많이 조사할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는 정확한 자신의 새치실태를 측정하기 어렵기 때문에 이미지변화의 결과 한계점이 있으며, 이미지 색상이 아닌 헤어모델로 이미지 설문을 하였다면 컬러 이미지 변화에 대한 도움이 되어 결과가 더 좋았을 것으로 사료된다.

      • 창의성 발달을 위한 아동미술 프로그램 : 평면활동을 중심으로

        김하윤 강릉원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창의성 발달을 위한 아동미술 프로그램 :평면활동을 중심으로 金 何 潤 江陵原州大學校 敎育大學院 美術敎育專攻 우리는 빠르게 변화하는 21세기에 살고 있다. 누구도 예측할 수 없는 미래사회를 살아가려면 무한한 내적자원인 창의력을 지닌 사람만이 자아의 분열을 극복하고 생동적이며 가치 있는 삶으로 나아갈 수 있는 동시에 물질과 정신의 조화를 이루어 미래를 설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현재 우리의 교육 현장에서는 열악한 교육여건, 입시 위주의 그릇된 교육들로 인해 창의력을 저하 시키고 있다. 하지만 가장 큰 원인은 교사에게 있다. 즉 교육의 현장에서 창의성 계발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지만, 창의성 교육을 위한 교육은 어떻게 이루어 져야 하는지 창의성 교육을 위한 자료개발과 수업상황에 대한 지식, 창의성 교육결과 아동들의 창의성 증진에 대한 효과 등을 보다 구체적이고 실천적인 활동 등에 대한 선행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창의력은 어느 한 순간에 생기는 것이 아니다. 창의력 발달이 가장 활발하게 나타나는 아동기 시기부터 개인의 자유분방함과 개성을 살려주고 창의력을 북돋아 주는 교육에서 비롯된다. 본 연구에서는 아동들이 창의성과 밀접하게 관련이 있는 미술활동을 통해 느끼고, 만져보고, 경험해 봄으로써 스스로 표현활동을 통해서 창의성이 증진되고, 아동의 잠재능력을 표출함으로써 스스로 창조하는 능력을 개발시킬 수 있도록 지도방법을 연구하고, 아동들이 언제 어디서나 쉽게 접할 수 있는 평면활동을 실제 수업에 활용하여, 다양한 재료와 표현기법에 대한 이해와 목표를 설정해주고, 자기 내면의 생각을 자유롭게 상상하여 창의적 표현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유도했다. 그리고 결과물 보다는 작품을 만들어가는 과정과 아동 스스로 표현 할 수 있도록 동기부여를 해주고, 다양한 재료와 표현이 효과적으로 이루어 졌는지 함께 감상해보며 자유롭게 평가하며 점검해 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신감이 부족하고, 소극적인 아동들이 평면활동을 통해 스스로 만족감을 느끼며 자신감을 갖게 되었다. 둘째, 교사의 적절한 동기 유발이 중요하며 그것은 아동의 다양한 표현방법과 연결되었다. 셋째, 잠재 되어 있는 창의성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아동의 본성과 발달단계에 맞는 적절한 주제를 부여해 주어야 한다. 넷째, 아동들이 만들어낸 결과물에 대한 자기평가와 만족도 등을 이야기 해보는 것, 그리고 다른 아동들의 작품 또한 함께 감상해 보는 것이 중요하다. 다섯째, 교사는 아동표현의 특징을 이해하고 격려를 아끼지 말아야 한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연구자는 아동들이 평면활동을 통해 자기표현활동이 조금씩 다양해지고, 스토리텔링이 풍부 해지는걸 느꼈다. 교사의 사전준비와 아동의 발달단계를 고려한 적절한 주제와 지도방법이 아동의 흥미를 자극하고, 그것은 다양한 미술표현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하게 되었다.

      • 이상적 욕망 추구를 위한 채색화 연구 : 본인작품을 중심으로

        김하윤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사람은 자기표현의 욕구를 가지고 있다. 본 논문은 더 나은 나를 꿈꾸는 본인의 욕망을 다룬 본인 작품을 분석한 것으로 자화적 표현의 형상인 치타가 바로‘이상적인 욕망’의 상징이다. 욕망은 긍정적인 측면에서 삶의 원동력과 활력을 가져다주지만 사회적 물의를 일으키는 부정적인 측면으로도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욕망을 어떻게 바라보고 활용해야 하는지 동양철학과 서양철학의 이론을 바탕으로 본인 작품의 창작의도를 알아볼 것이다. 동양철학은 일원론적 사유에 기초하여 변화와 직관을 강조하고 물질보다 정신을 중요시 여기며 유기체적 통합을 주장하는 특징이 있다. 때문에 생성론을 기반으로 노자가 말하는 도의 관점에서 무위자연의 미와 맹자가 말하는 양기설의 핵심인 호연지기를 작품형성의 이론적 근거로 삼았다. 더불어 서양철학으로는 존재론을 비판하고 생성을 강조한 니체의 힘의 의지와 위버멘쉬를 근거로 작품을 분석하였다. 선행연구로 니체의 사상에서 동양철학의 생성중심적인 성격과 유사점을 찾을 수 있었으며, 본인이 추구하는 욕망의 방향성에 깊이를 더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본인작품은 생성 중심적 성격을 띠고 있으며, 우리의 삶에 건강한 의욕을 불러오는 동력으로써 ‘욕망’을 긍정적으로 바라보고 있다. 욕망에 대한 과도한 억제나 억압은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욕망을 적절히 활용하여 인생의 좋은 동반자로 함께 할 것을 주장한다. 본 논문을 통해 이러한 생각을 본인 작품의 특징으로 구체화 시켜 이상적인 욕망추구에 대한 주제의식과 표현방법에 객관성을 더했다. People have a desire for self-expression. This study analyzes my work dealing with my desire to become a better me, a cheetah, the figure of self-portrait expression, is the symbol of 'ideal desire.' The desire brings dynamic and vitality to life in a positive way. However, it can also be interpreted as a negative aspect that could cause social controversy. This study will investigate the creative intention of my work based on the theories of Eastern and Western philosophy to view and utilize these desires. Eastern philosophy emphasizes change and intuition based on monistic thinking, values spirit over matter, and insists on organic integration. Therefore, based on generative theory, Lao-tzu's claim on the aesthetics of the idleness naturalism from the perspective of the Tao and Mencius' claim on vast-flowing spirit, the core of the Yangqi (Mencius' mental training method), were used as the theoretical basis for the formation of the work. In addition, as for Western philosophy, the work was analyzed based on Nietzsche's will of power, which criticized ontology and emphasized creation, and Ubermensch. Through my previous studies, it was possible to find similarities with the generative-centered nature of Eastern philosophy in Nietzsche's thoughts, and I was able to add depth to the direction of desire that I pursue. Therefore, my work has generative-centered nature, and I view 'desire' positively as a driving force that brings a healthy will to our lives. Excessive suppression or repression of desire could lead to negative results, so I insist on using desire appropriately and making it a good companion in life. Through this study, I have materialized these thoughts as the characteristics of my work, adding objectivity to the subject consciousness and expression methods for the pursuit of ideal desires.

      • 외식기업의 SNS마케팅 특성이 MZ세대의 고객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 SNS 관여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하윤 호남대학교 사회융합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인터넷, 모바일 기기의 발달과 보편화로 SNS 이용자수가 폭발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기업들의 마케팅도 변화되어 가고 있다. 실제적으로 기업들이 SNS를 홍보채널의 수단으로 활용하는 사례는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SNS를 마케팅 전략의 차원에서 고객과 소통하고 실질적인 매출 증대를 위해 활용하고 있으므로 SNS는 중요한 마케팅 채널이라고 할 수 있다. 근래 식품·외식 시장에서 그들만의 가치관과 라이프 스타일로 새로운 트렌드를 형성하며 차세대 소비주도층으로 부상하고 있는 MZ세대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MZ세대는 밀레니얼(Millennials)의 M과 제네레이션(Generation)의 Z가 합쳐진 말로서, 밀레니얼 세대는 1980~2000년대 출생한 세대로 정보기술IT에 능통하며 대학 진학률이 높다는 특징이 있고, Z세대는 1990~2000년대 출생한 세대로 디지털 환경에서 자란 ‘디지털 네이티브’라는 특징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외식기업의 SNS마케팅이 MZ세대의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관여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설문지는 외식기업의 SNS마케팅 특성, 행동의도, 관여도, 인구통계학적 특성까지 4개 항목에 걸쳐 총37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연구 대상은 인구 밀집지역인 서울, 경기 중심으로 살고있는 MZ세대들로 설정하였으며, 명목척도와 리커트 5점 척도를 이용하였다. 총 334부의 설문지를 최종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SPSS WIN 21.0 프로그램을 통해 단순회귀분석과 다중회귀분석, 외계적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이에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식기업의 SNS마케팅 특성 중 정보제공성, 상호작용성, 유희성, 신뢰성은 MZ세대의 재방문의도와 추천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식기업이 SNS에서 MZ세대들에게 기업에 대한 정보, 광고,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MZ세대들에게 신뢰를 형성하고 의사결정에 드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하며, 흥미, 최신정보, 서비스 등 이용자들 간의 정보공유 및 의사소통이 즐거움에 대해 스스로 지각하게 만들어 단순 정보가 아닌 가치를 제공하면, 재방문 및 추천에 대한 의도가 높아진다는 것이다. 둘째, 외식기업의 SNS마케팅 특성 중 상호작용성과 신뢰성은 재방문의도 및 추천의도 관계에서, 고관여 집단은 관여도의 조절작용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들이 제품을 및 서비스를 홍보하고 광고하는 데만 머무르지 않고 외식기업의 SNS를 통해 다양한 정보를 제공해 줌으로써 고객의 궁금증을 해결해 줌과 동시에 기업의 이미지를 높이는 상호작용성 방향을 택한다면 재방문의도와 추천의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외식기업의 SNS에 관심 및 중요도가 높을수록 기업은 MZ세대에게 상품과 서비스를 넘어선 가치를 제공하고, MZ세대에게 신망을 얻는 것이다. 셋째, 남성보다는 여성, 미혼자보다는 기혼자. 연소득 3500~5000만원 대의 MZ세대들이 강하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구매결정권은 여성에게 달려있으므로 SNS마케팅 타켓은 남성보다는 여성 중심인 MZ세대들에게 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연구 결과를 토대로 우리는 라이브방송과 같은 양방형 소통의 SNS마케팅을 늘려야하며, 신뢰할 수 있는 진실된 정보를 MZ세대 즉, 소비자들에게 제공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SNS마케팅을 통해 제품이 아닌 가치를 선물하여 단순하게 정보를 제공하는 것보다는 이벤트나 제품에 대한 스토리텔링을 통하여 흥미를 유발하는 것이 중요하다.

      • 서울시 도시재생활성화사업의 과정적 성과와 한계 분석 : -근린재생 일반형 사업을 중심으로-

        김하윤 광운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Seoul Urban Regeneration Revitalization Project began as an alternative to strategically improve the city that was declining due to the problems that a ppeared in the urban renewal project, which was a total demolition method, an d the social problem of low growth. The Seoul Urban Regeneration Revitalization Project was implemented as a project that reflected the participation of residents and stakeholders and reside nts' opinions, and a new concept of urban regeneration was attempted, such as establishing a governance system. However, there was a lack of active respon se to old housing, and public opinion emerged that the urban regeneration vital ization project was focused on the software (S/W) business. As some criticis ms were raised about the failure of the urban revitalization project in Seoul, it was decided that a study on the process result and limitations of the urban re vitalization project in Seoul was necessary. The target areas for the analysis of the study are Cheonyeon/Chunghyeon- dong in Seodaemun-gu, Bulgwang 2-dong in Eunpyeong-gu, and Suyu-dong in Gangbuk-gu, which are the second-phase areas of the Seoul Neighborhood Regeneration General Urban Revitalization Project. This is an area that started in 2017 and ended in December 2022 under the support and operation of the Urban Regeneration Field Support Center. The Seoul Urban Regeneration Revitalization Project is a neighborhood rege neration general type general type second-phase areas where the majority of low-rise residential areas(Cheonyeon/Chunghyeon-dong in Seodaemun-gu, Bul gwang 2-dong in Eunpyeong-gu, Suyu-dong in Gangbuk-gu, Nangok/Nanhyan g-dong in Gwanak-gu, Muk 2-dong in Jungnang-gu and Chang 3-dong in Ga ngbuk-gu) is a total of 6 regions. However, through the Outcome-Based thre e areas, we tried to present policy implications and improvement plans for the process performance and limitations of the Seoul Urban Regeneration Revitaliz ation Project. Previous studies were reviewed to derive items on the process performance and limitations of the Seoul Urban Regeneration Revitalization Project. In addit ion,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on the procedural achievements and l imitations of the urban revitalization project in Seoul targeting experts, public officials in charge of local governments, executives of resident councils, and i ntermediate support organizations at urban regeneration field support centers. Preliminary items derived from previous studies and interviews were modified, supplemented, changed, and deleted through expert FGI, and the final items w ere selected and a analytic hierarchy process(AHP) was performed in three gr oups(experts, resident councils, and administration). As a result of the empirical analysis of the importance and priority of the performance of the entire group by combining the opinions of the three groups of residents, administration, and expert groups, the global values ​​of the perfor mance items of the Seoul Urban Regeneration Revitalization Project were in th e order of ‘securing additional living infrastructure’(0.288), ‘rediscovering com munity capacity’(0.282), ‘establishing governance’(0.238), and ‘confirming local economic potential’(0.192). As a result of the global value analysis of detailed items, the achievements with the highest importance were 'improvement of all ey and street environment'(0.119), 'community recovery and social integration effect'(0.117), and 'reflection of residents' opinions from the planning process’ (0.099), 'diversification of village contents discovery'(0.098), 'reinforcement o f energy through residents' participation in public projects'(0.094) were derive d as high importance and priority. As for the limitations of the Seoul Urban Regeneration Revitalization Projec t, the global value of the entire group is 'lack of capability of the subject' (0. 278), 'inappropriateness of core projects' (0.278), ‘inefficiency of financial ma nagement’(0.246) and 'local resources' inactivity' (0.198) followed. As for the detailed items, 'lack of expertise in administrative affairs' (0.103), 'superficial project selection' (0.100), 'lack of sustainability after the end of public fundin g' (0.098), 'lack of active response to housing aging' (0.093) and 'lack of exp ertise in field support centers'(0.089) were the limitations that should be sup plemented the most. In the expert group, the highest item on the procedural performance of the Seoul Urban Regeneration Revitalization Project was the ‘additional securing of living infrastructure’(0.286), and the limit item was the ‘inefficiency of financi al management’(0.301) with the highest importance and priority. In the reside nt group, the highest item on the performance of the Seoul Urban Regeneratio n Revitalization Project was the ‘rediscovery of community capacity’(0.295), a nd the limit item was the ‘inadequacy of the core business’(0.308) was the li mitations that should be supplemented the most. In the administrative group, t he highest item on the performance of the Seoul Urban Regeneration Revitaliz ation Project was the ‘confirmation of the possibility of local economy‘(0.345) and the limit item was the ’lack of competence of the subjects’(0.325) was th e limitations that should be supplemented the most. The main implication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 ows. First, the limitations of the lack of competence of the subjects are that it is necessary to find ways to induce voluntary participation of various generations in the participation of residents and to participate in online participation of tenants and young people who are not attending. It is necessary to overcome t he roles and limitations of more successful urban regeneration project, such as the task of bias and conflict of the residents' council, strengthening professiona lism with administrative and field centers, and establishing solid governance. Second, the limitation of the inadequacy of the core business should be sele cted selectively, not indiscreetly, considering the visible effect on the improve ment of the physical environment in the future urban regeneration project.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actively cope with the aging of housing, which is a problem in low-rise residential areas, and to supplement the shortcomings of core businesses in order to achieve the goals of planned projects. Third, regarding the problem of financial management and utilization, in order to maintain the sustainability of the region after the completion of the priming water project, it is necessary to promote the efficiency of financial management by actively attracting private capital investment to secure financial resources. Fourth,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profit model by discovering and explor ing local resources, and to carry out the project in cooperation with the minist ries for the success of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The city progresses by repeating growth and decline. The urban regeneratio n project is a project that complements and revitalizes a city that is now good but is falling behind. In areas where physical environment improvement is nee ded, it is also necessary to carry out competitive projects suitable for the are a and to integrate software projects for community and social integration of re sidents. We look forward to a new urban regeneration project that will revitali ze the city by revising and complementing the trial and error of the Seoul Ur ban Regeneration Revitalization Project. 서울시 도시재생활성화사업은 전면 철거방식인 도시정비사업에서 나타났 던 문제점과 저성장의 사회문제로 쇠퇴해가는 도시를 전략적으로 개선하려 는 대안으로 시작되었다. 서울시 도시재생활성화사업은 주민과 이해관계자들의 참여와 주민 의견 이 반영된 사업으로 실행되었고 거버넌스 체계를 구축하는 등 새로운 개념 의 도시재생을 시도하였다. 하지만 노후주택에 대한 적극적 대처가 부족하 였고 도시재생활성화사업이 소프트웨어(S/W) 사업에 치중했다는 여론이 부각되었다. 서울시 도시재생활성화사업에 대해 실패했다는 일부 비판도 제 기되면서, 서울시 도시재생활성화사업의 과정적 성과와 한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되었다. 연구의 분석을 위한 대상지는 서울시 근린재생 일반형 도시재생활성화사 업 2단계 지역으로 서대문구 천연‧충현동, 은평구 불광2동, 강북구 수유동 이다. 2017년에 시작하여 도시재생현장지원센터의 지원과 운영 아래 2022 년 12월에 종료된 지역이다. 서울시 도시재생활성화사업은 저층주거지가 대다수인 근린재생 일반형의 2단계 사업지역(서대문구 천연‧충현동, 은평구 불광2동, 강북구 수유동, 관 악구 난곡·난향동, 중랑구 묵2동, 도봉구 창3동)은 전체 6개 지역이다. 그러 나 성과 중심의 3개 지역을 통하여 서울시 도시재생활성화사업의 과정적 성 과와 한계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 및 개선방안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서울시 도시재생활성화사업에 대한 과정적 성과와 한계에 대한 항목을 도출 하고자 선행연구를 검토하였고 전문가, 지자체 담당 공무원, 주민협의체 임원, 도시재생현장지원센터 중간지원조직 등을 대상으로 서울시 도시재생활성화사 업의 과정적 성과와 한계에 대한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선행연구와 인터 뷰에서 도출된 예비항목들로 전문가 FGI를 통해 수정, 보완, 변경, 삭제하는 과 정으로 최종항목을 선정하여 3개 그룹(주민협의체, 행정, 전문가)으로 계층분석기 법(AHP)을 실시하였다. 주민, 행정, 전문가 그룹의 3개 집단의 의견을 종합한 전체 집단의 성과에 대 한 중요도 및 우선순위의 실증분석 결과, 서울시 도시재생활성화사업의 성과에 대한 항목의 Global 값은 생활인프라 추가적 확보(0.288), 지역사회역량 재발견 (0.282), 거버넌스 구축(0.238), 로컬경제 가능성 확인(0.192) 순으로 나타났다. 세부항목의 Global 값의 분석 결과에서 가장 높은 중요도를 지닌 성과는 ‘골목길 및 가로환경개선’(0.119), ‘공동체 회복 및 사회통합의 효과’(0.11 7), ‘계획과정부터 주민의견반영’(0.099), ‘마을컨텥츠 발굴의 다양화’(0.09 8), ‘주민의 공공사업 참여를 통한 영량강화’(0.094)등의 순으로 높은 중요 도 및 우선순위로 도출되었다. 서울시 도시재생활성화사업의 한계에 대한 항목은 전체 집단의 Global 값 이 ‘주체들의 역량부족’(0.278)과 ‘핵심사업의 부적정성’(0.278), ‘재정운용 의 비효율성’(0.246)과 ‘지역자원의 비활용성’(0.198)의 순으로 나타났다. 세부항목에 대해서는 ‘행정업무에 전문성 결여’(0.103), ‘피상적 사업선발’(0. 100), ‘공공재원 종료 후 지속성부족’(0.098), ‘주택노후화에 대한 적극적 대 처 미흡’(0.093), ‘현장지원센터의 전문성 결여’(0.089)가 가장 보완해야 할 한계점으로 나타났다. 주민 집단에서 서울시 도시재생활성화사업의 성과에 대한 가장 높은 항 목으로는 지역사회역량 재발견(0.295)과 한계에 대한 항목은 핵심사업의 부적정성(0.308)이 가장 보완해야 할 한계점으로 나타났다. 행정 집단에서 서울시 도시재생활성화사업의 성과에 대한 가장 높은 항목으로는 로컬경제 가능성확인(0.345)과 한계에 대한 항목은 주체들의 역량부족(0.325)이 가 장 보완해야 할 한계점으로 나타났다. 전문가 집단에서 서울시 도시재생활 성화사업의 과정적 성과에 대한 가장 높은 항목으로는 생활인프라 추가적 확보(0.286)와 한계에 대한 항목은 재정운용의 비효율성(0.301)이 가장 높 은 보완해야 할 한계점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한 주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주체들의 역량 부족에 대한 한계점은 주민참여에 대한 다양한 세 대의 자발적 참여 유도 방안과 참석이 저조한 세입자와 청년들에 대한 온라 인 참여에 대해 모색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주민협의체의 편향성 및 갈등 문제에 대한 과제와 행정 및 현장센터와의 전문성 강화, 견고한 거버넌스 구 축 등 좀 더 성공적인 도시재생사업의 역할과 한계점 극복이 필요하다. 두 번째, ‘핵심사업의 부적정성’에 대한 한계점은 향후 도시재생사업에 있어 물리적 환경개선에 대한 가시적 효과를 고려하여, 무분별한 사업선발 이 아닌 선택적 선발을 하여야 한다. 또한 저층주거지에 문제인 주택노후화 에 대해 적극적 대처와 계획한 사업에 대한 목표 달성을 위해 핵심사업에 부족했던 점에 대한 보완이 필요하다. 세 번째, ‘재정 운용 비효율성’에 대한 한계점은 마중물사업 종료 후 그 지역의 지속가능함이 유지되도록 민간투자를 적극 유치함으로 재원마련 및 지속성있는 지역발전을 위해 재정 운용의 효율성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 네 번째, 지역자원의 발굴 및 탐색으로 수익모델을 마련하고 도시재생사 업의 성공을 위해 부처 간 협력으로 사업을 진행하여야 한다. 도시는 성장과 쇠퇴를 반복하며 진행해 간다. 도시재생사업이란 현재는 양호하나 낙후되고 있는 도시를 보완하며 활력을 불어넣는 사업이다. 물리 적 환경개선이 필요한 지역은 그 지역에 맞는 경쟁력있는 사업을 함과 동시 에 주민들의 공동체와 사회통합을 위한 소프트웨어 사업을 통합적으로 진행 하는 방식도 필요하다. 그동안의 서울시 도시재생활성화사업의 시행착오를 수정 보완하여 도시의 활력을 넣는 새로운 도시재생사업을 기대해 본다.

      • 건설공사 안전관리비 산정 모델 개발

        김하윤 인하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건설기술진흥법」안전관리비는 건설공사 수행 시 시설물 안전 및 사업장 외부 시민안전과 관련하여 안전관리계획에 따른 안전관리가 적절히 이행되도록 하는데 필수적인 비용이며, 안전사고 예방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현행 안전관리비 계상 방법은 세부 기준이 규정되어 있지 않고 시공자의 재량에 따라 사용 가능 금액을 계상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시공자의 재량에만 의존하여 제한된 시간과 인력으로 안전관리비 모든 항목에 대해 건설현장의 특성을 충분히 고려한 안전관리비를 산정하기에는 어려움이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선행 연구 분석 결과, 대부분의 선행 연구에서는 현행 산업안전보건관리비 계상 방법과 동일하게 공사종류와 공사비만을 영향요인으로 고려하고 있으나, 각 안전관리 비용의 목적과 사용기준이 상이함에 따라 산업안전보건관리비의 계상 방법을 안전관리비 계상에 그대로 적용하는 것은 합리적이지 못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건설기술진흥법」안전관리비의 주요 영향요인을 도출하고,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건설현장의 특성을 고려한 적정 안전관리비를 산정하는 모델을 개발 및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안전관리비 산정 모델과 산정 방법론의 활용을 통해 시공자는 건설현장의 다양한 특성이 고려된 적정 안전관리비를 쉽게 산정하여 확보할 수 있고, 이에 따른 안전관리 예산을 편성 및 운영하여 안전사고를 효율적으로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淸陰 金尙憲의 漢詩 硏究

        김하윤 高麗大學校 大學院 2013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고는 조선 중기 선조-효종 연간을 거친 청음 김상헌(1570-1652)의 시세계를 살펴보고, 청음 시의 다양한 양상들을 통해 그의 정신세계를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청음은 조선시대 사란을 겪은 관료문인으로, 조선후기 국가대의인 북벌론의 기초를 놓았다고 평가받았으며, 후세에 절조의 상징으로 높이 평가되었다. 청음은 정몽주가 의리를 주창했고, 김굉필에서 이황에 이르기까지 의리정신이 계승되었다고 하였다. 청음은 정몽주의 의ㅣ리를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조광조의 절조도 닮고자 하였다. Ⅰ. 序論에서는 지금까지 이루어진 청음에 대한 기존에 대한 연구 성과를 소개하고, 본 논문의 연구 목적과 문제를 제기하였다. Ⅱ. 生涯는 청음의 생애를 출생부터 졸년에 이르기까지 전체적으로 개관하였다. 청음은 壬亂부터 丙亂에 이르기까지 四亂을 모두 경험한 관료문인이기 때문에, 그의 생몰을 따라가면서 역사적인 사건도 짚어 보았다. Ⅲ. 學問的 交遊와 師承關係는 청음 학문의 연원은 家學에서 시작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청음은 어릴 적에 아버지와 조부에게서 수업을 받으며, 학문의 기반을 다져나갔다. 청음 학문의 완성은 청음이 백형 김상용과 당형 김상준의 가르침을 받아가면서 학문의 길을 열어갔다. Ⅳ. 詩世界의 諸 樣相에서는 청음의 시를 네 가지 주제별로 나누었고, 그 주제를 바탕으로 한시를 선별하여 진행하였다. 청음은 다양한 시체를 중심으로 1,800여 수에 이르는 작품을 지었고, 이 시들은 청음의 다양한 면모를 보여주는 작품들이다. 따라서 청음 시의 내용을 그의 생애와 관련해서 節操와 悲感, 望仙과 仙化, 追慕와 哀傷, 欽慕와 友誼 등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이상과 같이 청음은 절의를 지키고자 하는 정치적인 입장이 뚜렷했지만, 그에 못지않게 청음 시문학을 통해서 그가 뛰어난 문인의 모습도 지니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청음 한시의 다양한 분석을 통해서 그가 지닌 사고의 일단면도 추론할 수 있는 가늠자가 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앞으로 조선 중기 문학사에서 청음이 지닌 한시 문학의 의의를 좀 더 다각적으로 고찰하고, 심화된 연구와 분석을 통해서 청음이 지닌 문학적 위상을 한층 공고하게 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