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근재 안축의 시문에 나타난 공적(公的) 풍경 구성 방식

        김풍기 ( Kim Punggi ) 한국한문고전학회 2021 漢文古典硏究 Vol.43 No.1

        이 논문은 고려 후기 관료 문인 安軸(1287~1348)이 지은 『關東瓦注』에 수록된 작품을 통해서 그가 구축하고 있는 풍경 구성 방식을 탐색하고자 한다. 풍경을 읊은 시는 작자의 시선이 어디에 있는지를 보여주면서, 그가 주목하는 풍경요소들을 문학적 장치로 나타낸다. 특히 작자가 관료의 신분일 때 그가 보여주는 풍경은 다분히 공적인 측면을 강하게 반영한다. 이를 ‘공적 풍경’이라고 한다면, 안축의 시문은 공적 풍경을 구성하는 여러 요소들을 흥미롭게 보여준다. 필자는 안축의 시문에서 공적 풍경을 세 가지 측면으로 이해하였다. 아름다운 풍경 이면에 감추어져 있는 백성들의 고통을 응시하는 것, 고요한 풍경을 발견하고 그것을 통해 유교적 이성을 발현하는 것, 풍경에 들어있는 역사적 이야기를 주목하는 것이 바로 그것이다. 이를 통해서 그는 개인적 차원에서 여행하거나 정자를 건립하여 풍경을 즐기는 私的 풍경과는 다른, 공무를 담당하는 관리의 시각을 반영한 공적 풍경을 표현하였다. 이러한 요소들을 통해 안축은 지방관의 입장에서 과거와 현재의 삶을 자연 경물과 혼합하여 풍경의 해석을 다양하게 만들 수 있었다.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composition methods of the landscape expressed in the poems in 『Gwandongwaju』(關東瓦注) that is written by Ahn Chuk(安軸, 1287-1348), a government official and writer in the late Goryeo period. A poem that represents landscapes usually shows the space which a speaker’s gaze is upon, thereby constructing the elements of the landscape he pays attention to as a literary device. Especially when the poet is a bureaucrat, the landscape he shows cannot but reflect the public aspect. If we could call this a 'public landscape', the poems of Ahn Chuk show us the variety of interesting elements that make up the public landscape. This paper analyzes three characteristics of the public landscape shown in Anchuk's poetry. They are as follows: to gaze at the suffering of the people hidden behind the beautiful spectacles, to meditate upon and discover the meaning of Confucian reason amid the tranquil scenery, and to pay attention to the historical events related to the place. Unlike the private landscape which can be appreciated while traveling on a personal purpose or enjoying the scenery staying on the sophisticatedly built gazebo, it is the public landscape which reflects the perspective of an official in charge of public affairs that Ahn Chuk describes in his works. From the perspective of a local official, Anchuk tries to do the works of weaving the past and present life with natural wonders in his poetry and those works enable the interpretations of the landscape to be open, bringing about diverse and abundant ones.

      • KCI등재
      • KCI등재

        고전문학의 콘텐츠 개발과 그 지향 :정선아리랑의 경우

        김풍기(Kim Punggi) 한국언어문학회 2008 한국언어문학 Vol.67 No.-

        Scholars of classical literature should always ask what meaning the classics hold at present. Once, they avoid or slip away from these questions, the classics are no longer classics. Developing new cultural contents is an important way to realize the present meaning of classical literature. Through the new media, classical literature is reinterpreted as the new cultural symbol of this age. In that process, we wander between the historical level and the fictional imagination embedded in classical literature. This paper aims to present Jeongseon Arirang, a typical arirang(a genre of Korean folk songs), as a model for contents development. Important objective is to create a story for an animation by interweaving the folk song into tales. However, we must constantly try to reduce the distance between historical evidences and fictional imagination. In that sense, we can ask if it is correct to create a narrative placed in Goryeo period without the concrete evidence to prove that Jeongseon Arirang was formed in the late Goryeo period. It is with these kinds of questions in mind that the scholars of classical literature come up with new and meaningful cultural contents for classics.

      • KCI등재

        허균의 「견가림신」(譴加林神)에 나타난 민속지(民俗誌)적 성격과 그 의미

        김풍기 ( Kim Punggi ) 근역한문학회 2018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ol.50 No.-

        「견가림신」은 허균이 함열 귀양 시기에 지은 작품이다. 금강을 사이에 두고 남쪽은 함열이고 북쪽은 부여에 소속된 가림이라는 동네였다. 두 지역의 백성들은 서낭당을 모시고 있었는데, 허균은 작품 속에 그 풍속을 자세히 묘사하였다. 이 작품은 크게 세 부분으로 구분되며, 각 부분은 내용, 시적 목소리, 사상적 층위 등에서 차이를 가진다. 첫째 부분은 가림 지역 서낭당의 神인 가림신이 비바람을 불러 일으켜서 문제를 만들고 이 때문에 백성들이 고통을 받는 현실을 읊었다. 함열 서낭당의 신인 함신이 자신의 남편인데 다른 여성 신과 사이좋게 지내자 질투가 나서 문제를 만든 것이다. 여기서 그는 남신과 여신을 따로 모시는 서낭당이 있는 두 지역 사이의 민속을 흥미롭게 묘사하고 있다. 조선 시대 유학자들이 거의 관심을 보이지 않는 소재를 허균이 자세하게 다루었다는 점에서 민속지적 성격을 지닌다. 두 번째 부분에서는 가림신을 꾸짖기 위해 허균이 도교의 여러 신들을 부르는 내용이고, 세 번째 부분은 유교 윤리에 의해 지방관이 노력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는 내용이다. 이들 부분은 민간신앙에서 도교로, 다시 유교에 의해 그 사상적 층위가 정리된다. 표면적으로는 유교의 모습을 하고 있지만, 그 이면에는 도교와 민간신앙이 보이지 않는 기초를 만들고 있다. 이들 사이에서 허균은 도교에 바탕을 두고 민간신앙을 다루고자 하지만, 유교적 윤리로 사회 시스템을 만들어가야만 하는 유학자로서의 태도를 표면에 내세우고 있다. 이처럼 「견가림신」은 허균 시대의 일상이나 풍속을 자세하게 기록화함으로써 한 시대를 증언한다는 점에서 흥미로운 작품이다. 민간신앙이나 세시풍속과 같은 내용으로 작품을 창작하는 것은 자기 시대의 삶을 섬세하고 구체적으로 살핌으로써 문학이 일상으로부터 비롯하는 것, 일상어는 그러한 내용을 담아야 한다는 것을 자연스럽게 드러내려고 한 허균의 문학론과 궤를 함께 하는 것이라 생각된다. 자신이 살고 있는 시대와 지역의 민속을 관찰하고 그들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며, 나아가 이를 내용으로 하여 기록을 남기는 행위는 민속지가 가지고 있는 특징에 값하는 것이다. Gyeongalimshin(譴加林神) is a poetical work created by Heo Gyun during the period of his exile in Hamyeol. Hamyeol was located to the south side of Geum River and to the north, Garim, a part of Buyeo, lied. The people in these two areas were worshiping each Seonangshin, a village deity, in each Seonangdang, a shrine, and Heo Gyun describes this kind of traditional customs closely in his work. This verse is largely divided into three parts, each of which has a difference in content, poetic voice, and an ideological level. The first part sings that people in these areas are suffering from distressing rainstorm which is caused by Garimshin, the goddess of Garim. Her husband Hamshin, the god of Hamyeol flirts with another goddess and this makes her feel fiercely jealous, thereby her bringing about troubles to people. Here, Heo Gyun interestingly describes the folklore between the two regions where people serve separately the goddess and the god in a different Seonangdang. This work has ethnographic feature in that it deals with these materials concretely that Confucian scholars at that time of Joseon Dynasty do not generally show much interest in. In the second part of this work, Heo Gyun calls many gods of Taoism to reprove Garimshin. The third part emphasizes that the local authorities should perform their duties on the basis of the Confucian ethics. These three parts indicate that the ideological level flows first into folk belief, second Taoism, and then Confucianism. Even though it appears to pursue Confucianism on the surface, it is actually built on Taoism and folk belief at the bottom. Between these levels, while Heo Gyun interprets folk beliefs on the basis of Taoism, he also shows an outward appearance of a Confucian scholar, who has to make a social system in agreement with Confucian ethics. Gyeongalimshin(譴加林神) is, thus, an interesting work since it narrates a certain period by recording the daily lives and the customs of his era in detail. Creating works dealing with folk beliefs or traditional seasonal customs can be understood in the same context with Heo Gyun's literary theory that an author has to write literary works reflecting on everyday life by deliberately and closely reading people's lives of his or her time and that everyday language should embody that reflection. It shows the very characteristics of ethnography that a writer observes the folklore of a time and a space when and where the writer lives, tries to listen carefully to people's voices, and then leaves a record referring to those contents.

      • 古典文學 콘텐츠 개발 및 활용을 위한 敍事 콘텐츠 뱅크 구축의 의의

        김풍기(Kim, Punggi) 아시아강원민속학회 2021 아시아강원민속 Vol.35 No.-

        21세기를 문화의 세기로 지칭하면서 학계에서 콘텐츠 개발 문제를 주목한 것도 벌써 20년이 넘었다. 빠른 속도로 사라지는 과거의 문화 유산을 걱정하면서 이러한 자료를 모아두는 것에 집중했던 20세기 후반이 지나자 이들 콘텐츠들을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 하는 문제를 고민하기 시작한 것이다. 모든 분야에서 콘텐츠가 어느 정도 모이자 이들의 활용이 중요하다는 점을 인식한 것이다. 설화 분야에서도 그동안 자료 수집 단계를 지나서, 수집된 자료들을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가 중요한 화두로 대두하여 오랫동안 논의되어 왔다. 그러나 학계에서는 수집된 자료를 분류하는 것조차 공식적인 논의를 한 적이 없을 정도로 연구는 미진한 상태다. 이런 점을 감안해서 필자는 설화를 분류하여 활용 가치가 높은 콘텐츠를 정리하고, 이를 한곳에 저장함으로써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설화를 쉽게 이용할 수 있는 가상 아카이브 구축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것을 필자는 ‘서사 콘텐츠 뱅크’라고 명명하였다. 서사 콘텐츠 뱅크는 설화 아카이브라고 하는 더 큰 개념 속에 포함되는 것이어서 언젠가는 사라질 개념일 수 있다. 그렇지만 큰 규모의 아카이브 구축이 여전히 요원한 상태에서 우선 서사성을 가진 설화들을 선별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만드는 작업이 시급하다고 생각하여 이러한 제안을 하였다. 이러한 인터넷 공간을 통해서 우리나라 설화의 서사적 특징을 논의하고 그것을 활용하는 데에 새로운 계기가 마련되기를 기대한다. It has already been more than 20 years since we called the 21st century the century of culture and the academic community paid attention to the issue of contents development. After the second half of the 20th century, when the community worried about the rapidly disappearing cultural heritage of the past and focused on collecting materials relevant, it began to ponder the question of how to use these contents. Scholars came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contents’ use when they had almost been collected in all fields. In the field of Korean ancient tales, moving through the data collection level, how to use the collected data has been an important issue and been discussed for a long time. In academia, however, even the classification of the collected data has never been officially discussed. Therefore, I would like to propose to establish a virtual archive that allows experts in various fields to easily use tales, by classifying the materials, organizing them with high utilization value, and storing them in one place. I named it ‘The Narrative Contents Bank’. It is possible for the narrative contents bank to disappear someday for it is a subordinate concept involved in a larger one of a tales-archive. As building-up a larger-scale archive is difficult and not under way, I think that working on selecting tales with rich narrativity and using them could be the priority. Through this online archive, I hope, there will be meaningful opportunities to discuss the narrative characteristics of Korean ancient tales and make the most of them.

      • KCI등재

        四佳 徐居正의 문장에 나타난 弛張論과 그 정치적 확산

        김풍기 ( Kim Punggi ) 택민국학연구원 2022 국학연구론총 Vol.- No.29

        조선 전기 관료 문인의 문학비평에서 이장론은 흥미로운 논의지만 연구가 많이 되지는 않았다. 『예기(禮記)』에 처음 등장하는 이장론의 논점은 한 번 긴장하면 한 번은 느슨하게 하는 것이 문왕과 무왕의 도라는 것이다. 이 글은 송나라 주희(朱熹)에게 오면 일상생활에서의 농담이 삶을 윤택하게 한다는 의미로 변화하고, 조선 전기에 이르면 설화 및 소설을 옹호하는 논리로 변화한다. 삶의 태도가 문학을 논의하는 논리로 전화(轉化)한 것이다. 이 시기에 활동했던 서거정은 이장론을 관료 생활 전반으로 확장시켜서 활용한다. 조선이 안정기에 접어들면서 서거정은 지방을 다스리는 관료의 중요성을 깊이 인식한다. 그들은 왕의 권력을 위임 받아서 지방을 다스리는데, 국가의 위엄을 드러내기 위해 관청의 건물을 새로 짓거나 보수하는 일에 몰두한다. 깊은 학식보다는 뛰어난 행정 능력을 필요로 하는 것이 지방 관리들이었다. 그는 뛰어난 지방 관리를 순리(循吏)라고 개념화하였다. 이들 관리는 백성의 안정을 위해 노력하는 한편 관청 건물을 통해 국가의 위엄을 드러냈다. 그러나 관청은 대부분 객사와 누정이었으므로 비판하는 사람들이 나타났다. 이에 대해 서거정은 관리가 근무를 하는 동안 쌓인 긴장감을 누정의 풍류로 느슨하게 풀어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것은 이장론을 정치적인 논의로 확장시킨 것이다. 조선 전기에 활발하게 논의된 이장론은 소설 비평에서 정치적인 분야로 확장되었으며, 조선이 끝날 때까지 관리의 휴식을 정당화하는 논리로 활용되었다. The theory of relaxation and tension shown in the literati officials’ literary criticism in the early Joseon Dynasty is an interesting subject, but not much research on it has been done. This theory, which first appeared in Liji(禮記), said that it was Tao of King Wen and Wu, once being tense, to definitely relax in turn. Zhu Xi(朱熹) in the Song Dynasty used this theory as the meaning that jokes in daily lives enabled our life itself to be enriched. In the early Joseon Dynasty, it changed into the view which defended folk tales and novels. Seo Geojeong at this period expansively used this theory of relaxation and tension in terms of the general aspects of bureaucrats’ lives. Seo Geojeong, as the Joseon Dynasty entered a period of political stability,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the local bureaucrats who governed the provinces. The local bureaucrats, to whom the power of the king was delegated to rule the provinces, were immersed in building or repairing government buildings to reveal the dignity of the dynasty. It was not the extensive learning but the excellent administrative ability that the local officials needed. Seo Geojeong conceptualized these kinds of outstanding local bureaucrats as the respectable and morally lofty officials. These officials not only worked on the stability of the people’s lives but tried to display the dignity of the dynasty with the government architecture. Still, the fact that most of the government constructions were used as official residences and pavilions raised critical viewpoints. In response to these claims, Seo Geojeong argued that the officials’ extreme tension accumulated while being on duty should be loosened up through enjoying pungnyu(風流) on pavilions. This point was the very extension of the theory of relaxation and tension to a political realm. This theory of relaxation and tension, considerably dealt with in the early Joseon Dynasty, was expanded from the field of literary criticism (especially of novels) into that of politics and was also used as a logic to justify the officials’ relaxation until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 KCI등재후보

        『청구제영(靑邱題詠)』 소재강원도 지역 시문의 특징과 의의

        김풍기 ( Kim Punggi ) 강원대학교 강원문화연구소 2023 강원문화연구 Vol.47 No.-

        The < Chŏnggoo-jeyŏng(靑邱題詠) > is a tablet book produced by Hong Kyeong-mo(洪敬謨, 1774-1851), a 19th-century bureaucrat and literary figure, who compiled tablets of poems hung in pavilions across the country. In this article, we discuss the features and utilization of Korean poetry works in tablets from the Gangwon-do region. The Korean poems in the < Chŏnggoo-jeyŏng > are dominated by tableaux from the area around Mount Gumgang. Since it is a marketplace of pavilions operated in the public domain, the landscape depicted in the work is supposed to be composed from a public perspective. However, in < Chŏnggoo-jeyŏng >, the landscape is characterized by the intersection of public and private landscapes. The significance and utilization of this book are as follows. First, it is a complementary source for author theory in the study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Second, it provides a good source for research on the history of Korean calligraphy. Third, it provides a source for research on the history of nineteenth-century scholarship. Fourth, it enriches local cultural assets and can be utilized as tourism content.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for various academic disciplines to study < Chŏnggoo-jeyŏng > with interes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