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Regulation of FOXO3a by Metabolic Stress : 대사 스트레스에 의한 FOXO3a 조절 기전에 대한 연구

        김채하 한림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When cellular energy level becomes low, AMPK is activated and targets a range of physiological processes including increase of energy production, coordinated decrease of ATP usage and decrease of protein translation through inactivation of mTOR. In addition, AMPK activation is reported to activate FOXO3a by phosphorylation (at ser413). However, physiological meaning of FOXO3a activation by AMPK has not been elucidated clearly. ATM, a DNA damage response mediator, is known to be directly activated AMPK. We tested effect of metformin, an AMPK activator and one of the most widely prescribed medicine for type II diabetes, on the possible activation of FOXO3a in human embryonic fibroblasts (HEFs). Protein level of FOXO3a was increased at 10 min in response to metformin treatment. Metformin mediated-activation of AMPK (phosphorylation of AMPK) resulted in phosphorylation of FOXO3a (Ser413) protein. Gamma-H2AX and FOXO3a were colocalized in nucleus at 10 min after metformin treatment. Protein level of FOXO3a was also increased by activated AMPK. Protein level of MnSOD, a target gene of FOXO3a was increased. Thereby, ROS level was decreased by metformin. Protein level of XPC, a possible target gene of FOXO3a, was also increased and thereby NER (nucleotide excision repair) activity was also increased by metformin. Immunoprecipitation analysis showed that metformin-treatment enhanced at interaction of FOXO3a to FOXO biding sites of XPC promoter. Taken together, our results indicate that interrelationship between AMPK activated by metformin induces ROS-scavenging activity and NER activity through transcriptional activation of XPC and MnSOD by phosphorylation of FOXO3a.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AMPK and ATM by induced by metformin also appears to be important for FOXO3a dependent ROS detoxification and DNA repair.

      • 아버지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유아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김채하 광주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아버지와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유아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부모의 인구학적변인과 아버지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유아리더십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성별 간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연구하기 위하여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부모의 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부모의 양육행동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부모의 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유아의 리더십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3. 부모의 양육행동이 유아의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연구대상은 광주광역시에 소재한 유치원 3곳, 민간어린이집 3곳 중 사회경제적 수준이 중류층인 지역의 유치원 3곳, 민간어린이집 3곳에서 만 3세, 만 4세, 만 5세 유아의 부모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의 도구는 아버지와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유아의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부모의 인구학적 변인과 아버지의 양육행동도구, 어머니의 양육행동 도구, 유아의 리더십도구로 구성하였다. 자료의 통계분석은 최종 수집된 총 316부를 바탕으로 PASW Statistics 21.0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라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인구학적 변인(연령, 교육수준, 직업)에 따른 부모의 양육행동이 차이에 있어서 아버지의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른 아버지의 양육행동(양육참여, 제한설정, 반응성, 합리적지도, 친밀감)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전체적으로 아버지의 연령에 따른 아버지의 양육행동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아버지의 교육수준과 직업에 따른 아버지의 양육행동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요인별로 아버지의 연령은 제한설정, 아버지의 교육수준에서는 양육참여, 제한설정, 아버지의 직업은 양육참여, 제한설정, 반응성, 합리적지도의 하위요인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어머니의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른 어머니의 양육행동(제한성, 회피성, 애정성, 반응성, 친밀감, 합리성)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전체적으로 어머니의 교육수준에 따른 어머니의 양육행동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어머니의 연령과 직업에 따른 어머니의 양육행동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요인별로 어머니의 연령은 애정성, 어머니의 교육수준은 회피성, 친밀감, 합리성, 어머니의 직업은 합리성의 하위요인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부모의 인구학적 변인(연령, 교육수준, 직업)에 따른 유아의 리더십 차이에 있어서 아버지의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른 유아의 리더십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전체적으로 아버지의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른 유아의 리더십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아버지의 연령의 하위요인인 통솔력에 있어서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어머니의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른 유아의 리더십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전체적으로 어머니의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른 유아의 리더십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아버지의 교육수준에서 재창조능력과 아버지의 직업의 통솔력 하위요인에 있어서만 유이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아버지의 양육행동이 유아의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변인별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아버지의 양육행동은 유아의 리더십전체 뿐만 아니라 하위요인과의 관계에서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어머니의 양육행동전체는 유아의 리더십전체, 유아의 리더십의 하위요인인 목표달성능력과 인간관계능력은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다. 부모의 양육행동이 유아의 리더십에 미치는 개별적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유아의 리더십을 종속변인으로 하고 부모의 양육행동의 하위요인을 독립변인으로 투입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아버지의 양육행동이 유아의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하여 아버지의 양육참여에서 유아의 리더십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어머니의 친밀감에서 유아의 리더십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하여 아버지와 어머니의 양육행동은 유아의 리더십에 영향을 미치며, 부모의 양육행동이 유아의 리더십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주제어 : 아버지 양육행동, 어머니 양육행동, 유아 리더십

      • M. 메를로퐁티의 관점에서 본 예술적 표현에 관한 연구 : 지각 및 체험된 신체를 중심으로

        김채하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메를로퐁티의 철학의 중심과제는 인간과 세계의 관계의 근원적인 역할이 지각에 있음을 밝히고 주체의 인식적 원천을 체화(體化)된 경험으로 되돌리려는 데 있다. 그의 지각 및 신체의 현상학은 인간과 세계와의 직접적이고 시원적인 접촉을 회복하고 그 접촉에 철학적 지위를 부여하는 데 전력을 기울인다. 그러므로 그의 예술, 문학, 정치에 대한 관심 역시 지각현상에 대한 연구의 연장선상에서 파악될 수 있으며 특히 예술은 체험된 신체의 표현적 방법론으로서 인간과 세계사이의 상호주체적 관계에 강력한 증언이 되고 있다. 따라서 메를로퐁티의 예술론에 대한 올바른 이해는 그의 현상학적 이론에 대한 연구를 필요로 한다. 본 논문은 메를로퐁티의 지각에 관한 이론에서 출발하여 그의 예술론을 포괄적으로 살펴보고 나아가 실제 예술작품의 사례를 통해 시각예술에서 메를로퐁티의 이론이 어떻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고찰하여보고자 한다. 메를로퐁티의 현상학이 지니는 특징은 “지각”이라는 신체의 원초적 현상을 중심으로 순수의식과 신체의 구분 및 주종관계를 전제하는 근대 철학의 이분법적 사고관을 극복하려는 데 있다. 메를로퐁티에 따르면 지각은 경험주의 철학과 주지주의 철학에서 본 바와 같이 물리적 신체에 반응 내지 의식의 요소에 불과한 분석의 대상이 아니라, 주체가 대상과 처음으로 만나는 가장 기본적인 차원의 문제로써 순수한 의식에 의한 것도, 대상에 대한 인과적이고 수동적인 수신에 의한 것도 아니다. 그것은 정신과 신체가 통합된 주체에 의한 것으로서 객관적 세계 및 과학적 지식에 선행하고 지성적 활동을 가능케하는 바탕이다. 따라서 지각이 가능한 장, 요컨대 지각되는 세계는 객관적 영역 이전의 가능태로서의 현상적 장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이러한 선객관적 영역의 체험을 가능케 하는 주체는 순수한 물질적 신체도 투명한 의식도 아닌 양자가 통합된 육화된 의식 혹은 의식화된 신체로서 설명된다. 메를로퐁티의 신체 개념에 따르면 신체는 마치 심장이 유기체 안에 있는 것과 같이 세계 내에 존재한다. 따라서 신체는 순수 대상으로서도 혹은 순수 주체로서도 아닌 두 가지가 융합된 제 3의 차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컨대 “봄(vision)”에 있어서, 우리 자신은 보는 주체인 동시에 보이는 대상으로서의 이중성을 갖는다. 신체는 지각을 통하여 지각을 행하는 주체로서의 자신뿐만 아니라 세계에 현전하게 된 자신, 이른바 지각된 대상을 가지게 된다. 이 같은 “신체의 가역성”은 신체가 주체와 대상의 두 가지 측면을 통일시킬 수 있는 체계로서 세계를 통일적으로 파악할 뿐만 아니라 나와 세계 혹은 타자간의 근본적인 관계가 서로 상호 얽힘의 관계라는 사실을 설명해줌으로써 메를로퐁티의 철학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신체는 더 이상 전통적 편견이 그래왔듯이 외적 물질이나 그릇이 아니라, 실제 삶이 이루어지는 세계에 거주하고, 세계를 향해 역동적으로 나아가며 지속적으로 관계를 맺는 “세계-에로-존재”와 같다. 이렇듯 능동성과 수동성, 그리고 고정성과 개방성을 동시에 지닌 신체는 세계에 현전하여 의미를 획득하게 된다. 신체는 자신이 살아가고 있는 바와 무관할 수 없으며 끊임없이 세계와 만나며 의미를 드러내고, 만들어내며, 그 의미를 다시 투사하는 소통체계이다. 예술은 획득된 의미가 표출되는 장으로써 언어와 달리 명료한 개념이 아니라 그를 둘러싼 모체를 표현하여 가시계에 존재하는 비가시적 의미 및 존재의 깊이, 존재의 발원적인 의미를 드러낸다. 이러한 예술적 표현의 과정은 체험된 신체의 시각에서 나타나는 화가와 세계와의 상호 얽힘에서 실현된다. 보는 화가는 동시에 세계에 보이는 존재가 되고 이러한 겹침이 가시적인 예술적 등가체계로 압축되어 예술작품으로 형상화된다. 메를로퐁티는 이것을 스타일이란 개념으로 설명하는데, 그것은 외적인 기술의 차원에서 서술되는 가치평가 및 범주화의 수단이 아니라 예술가가 세계와의 실존적인 만남을 통해 지각 속에 흩어져 있는 의미를 고유의 체계로 변형시키는 표현방식, 말하자면 작가의 고유한 언어와 같은 것이다. 예술작품의 스타일에는 예술가의 전적인 개인뿐만이 아니라 그가 속한 사회의 문화적 맥락 혹은 예술적 관례 등의 계기도 작용하게 되며, 또한 완성된 작품에서 드러나는 스타일은 보편적이고 공통적인 의미의 지평, 즉 또 다른 신체적 주체인 관객의 시선에 속하게 되어 지각의 대상으로서 소통의 세계로 진입하게 된다. 메를로퐁티의 예술론은 폴 세잔 및 파울 클레의 회화작품에 대한 분석을 통해 보다 구체화될 수 있다. 세잔과 클레는 가시적 세계 이면에 존재하는 비가시적인 의미, 즉 지각적 체험에서 획득되는 형상의 원천적인 생성의 논리를 가시화하고자 하였다. 세잔은 습관화된 시각을 멈추고 체험된 시각을 통하여 가시적 대상이 시각 장안으로 들어오게 되는 시각의 전달자를 형상화하고자 하였으며, 클레는 자연의 생성의 원리를 좇아 대상과 화가 사이의 가역적 만남에서 생겨나는 사물의 깊이를 풍부한 색채와 형성을 암시하는 유동적 선 등의 회화적 조형요소로 표현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메를로퐁티가 직접 언급한 세잔과 클레의 작품 분석을 바탕으로 영국 화가 프랜시스 베이컨의 작품을 분석하여 메를로퐁티의 예술론이 다른 예술작품의 표현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 가능성을 고찰해보았다. 베이컨 역시 기존의 관습적 시각과 표현을 탈피하여 회화 자체로서 표현되는 내적인 감각과 보이지 않는 힘을 폭력적이고 왜곡된 스타일을 통해 보여주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메를로퐁티의 관점에서 설명될 수 있다. 의식에 선행하는 신체의 감각을 드러낸 그의 그림은 의식 속에 고정된 표상의 문제가 아니라 생생한 지각의 세계를 표현한 것이기 때문이다. 메를로퐁티에게 있어 예술작품의 의미는 예술가의 체험된 신체를 기반으로 한 “지각”이라는 원초적 경험의 표현에서 비롯된다. 그렇기 때문에 예술작품, 특히 회화는 더 이상 재현의 문제나 주관의 문제에 붙들려 있지 않고 예술가에게 획득된 의미를 열어 보여주는 일종의 현상적 장과 같다. 예술가는 가시적 세계에 대한 응답하는 자로서 비가시적인 의미에서 그 응답의 실마리를 찾는다. 그리고 이것은 예술가의 스타일로 표출되어 또다시 가시적 세계를 향해 열리는 체험적 신체의 역할을 수행한다. 그러므로 메를로퐁티의 예술론은 지각 및 체험된 신체라는 실존적이며 구체적인 근거를 바탕으로 예술가, 작품, 관객 어느 한편에 치중되는 것이 아니라 이들 사이를 아우르며 유기적으로 연결한다. 의식과 신체, 주체와 객체, 세계와 인간 등 대립하는 양자 간의 통합과 세계에로의 열림을 함의하는 메를로퐁티의 견해는 예술을 이해하는 하나의 새로운 시각이자 예술작품을 바라보는 보다 확장된 지평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The central theme of Maurice Merleau-Ponty’s philosophy lies in the fact that the basic relation between human and the world is in perception and the main body of cognition should be turned to bodily experience. His phenomenology of perception and the body tries its best in recovering direct contact between the human and the world and endowing philosophical status to this contact. Therefore, his concern on art, literature and politics can be understood along the research on his perception of phenomenology. Thus, in order to understand Merleau-Ponty’s art theory properly, it is necessary to do research on his phenomenological theory. In this thesis Merleau-Ponty’s phenomenological theory and his art theory were reviewed and a study was made to see how Merleau-Ponty’s theory influences the visual art via examples of artistic products. The characteristics of Merleau-Ponty’s phenomenology is to overcome dichotomy thought in modern philosophy which divide pure consciousness and body with emphasis on “perception.” According to Merleau-Ponty, perception is not an object of analysis which is physical body reaction and an element of consciousness as seen by empiricism and intellectualism. It is a fundamental problem in which the subject meets an object, not by pure cognition and passive reception of the object. It is a foundation which allows intellectual activities by unifying mind and body prior to objective world and scientific knowledge. Thus, the world of perception can be understood as a phenomenal field, a possible field prior to the objective realm. This kind of main body which makes the experience realm prior to the objective field can be explained as an incarnated consciousness unifying both which is neither pure materialistic body nor transparent consciousness. According to Merleau-Ponty’s body concept, body resides in a world just as the heart is in the organic body. Therefore, a body is understood as a unified third dimension being, not as a pure objective or pure main body. For example, in the case of “vision,” we have dual capacities that we see and are seen. The body has not only the main body of getting perception but also the object that is perceived. This “reversibility of body” explains the fact that body is a system that can unify main body and the object. It also explains the fact that the relation between I and the other or the world got mutually entangled. Therefore, the body is no longer outside substance or a vessel but “être-au-monde” in which real lives are living in the world and make stride. Thus, the body having activeness and passiveness, closeness and openness toward the world gains meaning. A body is a communicating system that encounters the world constantly and makes a meaning since a body can not ignore the place in which it lives. Art is not a precise meaning such as language but is a field in which acquired meaning is exposed. It expose the invisible existing in the visible and depth of being. Such a procedure of artistic expression is realized in “chiasm” of artist and the world. An artist formalize such chiasm into an artistic work through his/her internal equivalent. Merleau-Ponty explains this in terms of “style.” It is not an evaluative and categorial mean described in the dimension of external technology but is an artists’s authentic language which is a way of expression to transform the scattered meanings into an inherent system by existential encounter of the world. Not only an artist but also the culture and artistic customs to which the artist belongs affects the style of an artistic work. The style of a completed work belongs to a horizon in terms of universal and common meaning. That is, as it belongs to another body, audiences’ sight, it launched into a world of communicating by perception. Merleau-Ponty’s art theory can be materialized through analyses of paintings of Paul Cézanne and Paul Klee. Cézanne and Klee tried to visualize the meaning which existed in the backside of visual world which was a logic of fundamental generation acquired by perceptive experience. Cézanne tried to form a visual messenger which can be seen by lived perspective, whereas Klee tried to express the depth of things generated by reversibility between an object and the artist by affluent color and flowing lines. In this thesis, Francis Bacon’s work was analyzed on the basis of the analyses of works of Cézanne and Klee mentioned by Merleau-Ponty and the possibility to apply Merleau-Ponty’s art theory to other expressions of artistic works was explored. Bacon’s work can be explained in the view of Merleau-Ponty since it tried to show inner sense and invisible force by a violent and distorted style. Body’s sense which precedes consciousness was expressed in his paintings. His paintings expressed live world of perception not the problem of fixed representation in the consciousness. For Merleau-Ponty, the meaning of artistic works begins with the original experience of “perception” based on artist’s body experience. Therefore, an artistic work expecially paintings were not constrained by the matter of representation or matter of subjective emotion any more. It is a sort of developed field which shows acquired meanings to an artist. An artist is a person who responds to the visual world and tries to find clues in the invisible meaning. And it is expressed as a style of an artist to play the role of body’s experience open to visual world again. Therefore, Merleau-Ponty’s art theory is not biased to an artist, work or audience on the basis of existential and concrete ground of perceived and experienced body. It embraces and link them in an organic way. Merleau-Ponty’s view which unifies the consciousness and the body, the subjective and the objective, the world and the human and opens to the world that can provide a more expanded horizon to understand the art with a new insight.

      • 어머니의 성인애착과 애정적 양육태도의 관계: 정신화와 부부갈등의 매개효과

        김채하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어머니의 성인 애착, 정신화, 부부 갈등, 양육 태도의 변인 간 관계를 살펴보고 어머니의 성인 애착 유형과 애정적 양육 태도의 관계에서 정신화와 부 부 갈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특히 어머니의 성인 애착을 안정, 회피, 불안, 비조직화의 네 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여 각 변인에 미치는 영향과 차별적 경로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만7세, 8세, 9세 자녀를 양육하고 있는 어머니를 대상으로 성인 애착, 양육 태도, 정신화, 부부 갈등 척도로 구성된 자기 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 다. 수집된 286명의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SPSS 29.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 통계 및 상관관계 분석을 하였으며 SPSS macro 4.2 프로그램의 매개 효과 모형 인 모델 6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에 따른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 변인인 성인 애착 안정, 회피, 불안, 비조직화와 애정적 양육 태도, 정신화, 부부 갈등의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애착 안정은 애정적 양육 태도, 정 신화와 정적 상관을 보였고 부부 갈등과는 부적 상관을 보였다. 애착 회피, 애착 불안, 애착 비조직화는 애정적 양육 태도, 정신화와 부적 상관을 보였고 부부 갈등과는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어머니의 성인 애착 안정, 회피, 불안, 비조직 화와 애정적 양육 태도의 관계를 정신화와 부부 갈등이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성인 애착 안정, 회피, 불안, 비조직화와 애정적 양육 태도의 관계를 정신화와 부부 갈등이 순차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어머니 의 성인 애착 유형이 안정적일 경우 부부 갈등 수준을 낮게 지각하고 높은 애정 적 양육 태도를 보이지만 어머니의 성인 애착이 회피, 불안, 비조직화일 경우 부 부 갈등 수준을 높게 지각하고 낮은 애정적 양육 태도를 보이는 것을 시사한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성인 애착 안정, 회피, 불안, 비조직화가 정신화와 부부 갈등을 매개로 하여 양육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어머니의 성인 애착유형을 안정, 회피, 불안, 비조직화로 구분 하고 각 유형이 서로 다른 특성을 지닌 것을 확인함으로써 상담장면에서 양육 태도에 문제가 있는 내담자의 애착유형을 확인하고 구분하여 유형별 특성에 맞 게 개입하여야 한다는 이론적 틀을 마련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해 개인의 애착 문제와 더불어 자녀 양육에 대한 문제, 부부 갈등 문제에 직면한 내 담자들에게도 효과적인 상담 및 치료 계획을 수립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 이라 기대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핵심어: 학령초기, 어머니의 양육 태도, 성인 애착, 애정적 양육태도, 정신화, 부부 갈등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