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역대 치안총수와 인권정책에 관한 연구

        김창윤 ( Kim Chang Yun ) 한국경찰학회 2018 한국경찰학회보 Vol.20 No.5

        우리나라의 역대 치안총수와 인권정책은 정권의 지향점과 필요성에 따라서 수립된 측면이 강하다. 본 연구에서는 역대 치안총수의 인권정책을 분석하기 위해서 인권에 대한 기본적 개념을 알아보고 우선 역대정부의 국가정책 및 치안정책을 분석하였다. 이후 국가의 권력지향점이 치안총수에게 어떻게 영향을 미쳤는지를 인권정책을 중심으로 살펴 보았다. 제1공화국의 치안총수의 정책지향점은 반공노선을 강화하고, 이승만 대통령의 1인 독재를 강화하는 국가안보치안정책을 추진하는 것이었다. 제1공화국의 인권정책은 ‘반공으로서의 인권정책’이었다. 인권에 대한 모든 기준은 ‘반공’이나 ‘용공’이냐 단 하나의 기준에 따라서 평가되었다. 제3공화국과 유신정부 치안총수의 정책지향점은 국가의 존립과 번영에 위해를 주는 북한 및 기타 적에 대응한 ‘국가안보치안정책’을 강화하였다. 제3공화국과 유신시기의 인권정책은 ‘시국안정을 위한 인권정책’이 추진되었다. 이승만 정권보다 인권탄압을 위한 법이 치밀하게 제정되었으며, 통치의 기술이 보다 정교해졌다. 특히 유신헌법 제정이후 거의 무제한적인 비상조치를 통해서 국민의 기본권을 제약할 수 있었다. 제5공화국 치안총수의 정책지향점은 민주화 열망의 확산을 억압하고, 시민사회의 체제도전을 진압하는 국가안보치안정책과 시국정보치안정책을 추진하였다. 1980년 광주민주화 운동을 공수부대를 동원해 피로 진압한 군부정권인 제5공화국은 수많은 민주화 운동을 말살하는 ‘민주화 운동 초토화 인권정책’을 추진하였다. 제6공화국 치안총수의 정책지향점은 연장된 군사정권 체제를 유지하기 위해서 국가안보 치안정책, 시국정보 치안정책, 민생치안 치안정책 등을 추진하였다. 제6공화국은 ‘대공기능 강화와 좌경척결 인권정책’을 추진하였다. 민주적 정권으로 이행하는 과정에서 과도기적 성격을 가진 노태우 정권은 점차 억압정책을 강화하였다. 김영삼 정부 치안총수의 정책지향점은 3당 합당에 따른 권위주의 체제를 유지하기 위해서 국가안보 치안정책, 시국정보 치안정책 등을 추진하였다. 특히 학원과 노동계를 통제하기 위해서 ‘신공안정국’을 만들면서 공안통제를 강화하였다. 김영삼 정부는 대북관계 및 국내 ‘한총련 사태’ 등으로 인하여 ‘신 공안정국’을 만들면서 ‘공안통제 인권정책’을 추진하였다. 김대중 정부 치안총수의 정책지향점은 경찰의 정치적 중립과 노동계의 국정파트너 인정으로 인한 민생안정 치안정책과 경찰지원 치안정책이었다. 1998년 정권을 잡은 김대중 대통령은 “경찰은 되도록 최루탄을 쏘지 말라”며 ‘자제령’을 내렸다. 이에 따라 경찰은 ‘무최류탄 인권정책’을 추진하였다. 노무현 정부 치안총수의 정책지향점은 경찰의 수사권 독립과 자치경찰제의 도입에 따른 경찰지원 치안정책의 추진이었다. 특히 자치경찰제를 도입하고, 경찰의 인권정책을 새롭게 강조하였다. 노무현 정부는 국민의 인권보호를 강조하고 제도화를 강조하는 ‘인권경찰 정책’을 추진하였다. 경찰청에 인권보호센터를 신설하고 전국 경찰서에 인권보호관을 지정했다. 또한‘피해자보호 매뉴얼’과 ‘인권수사 매뉴얼’을 작성하였다. 이명박 정부 치안총수의 정책지향점은 법질서 확립과 실무적 경찰능력 강화를 위한 시국정보 치안정책과 민생안정 치안정책의 강조였다. 이명박 정부는 법질서확립을 강조하면서 ‘법질서 강화인권정책’을 추진하였는데 시민사회단체들은 80년대식 공안탄압으로 회귀하고 있다고 강하게 반발했다. Our police have greatly developed police security capabilities. As a result, the top five crime arrest rate exceeded 80%, and the arrest rate of violent crimes such as murder, robbery, and rape exceeded 95%. Our police's superior police security competence is highly appreciated globally. Foreign tourists visiting Korea ranked security capabilities of police as the most satisfying area. For the past two years, tourists around the world have chosen Korea as the safest country in the world. The excellence of the investigation capability and the police security system has been acknowledged globally. "Korean Police Security System" including police investigation, cyber criminal investigation, 112 system and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 are being handed over to 78 countries all over the world. Our police's long-standing Dream, independence of investigation rights seemed not long. However, the Yongsan Tragedy has turned the members of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experts, and the majority of the public, who had been friendly to the police in matters of investigation problem between police and prosecution. The impact of the human rights problem was just as great. Most of the Police Commissioners General of the past government exercised police power according to the will of the Blue House or the power. It received public criticism from non-human rights remarks and failed to pursue the right human rights policy. The human rights policy, which was being promoted, would go back to its original position when the Police Commissioner General changed. Until now, the past Police Commissioners General have taken a subservient attitude to political power. For the unjust pressure or interference of political power, Police Commissioner General must fight against it, but until now there has not been such a person in our police headquarters. On the other hand, there are many people who fought against political power among the top police officers in Japan. Now the Police Commissioner General should no longer be aware of the power. After retiring from the position of police agency, Police Commissioner General should retire honorably without any further greed. Korean society in the 21st century has been praised by the world as the only nation that succeeded in industrialization and democratization among the colonies. It is an economic powerhouse of the world's top 10 exporting countries and is being treated as an advanced country belonging to the G20. Citizens are also demanding human rights policy of police for advanced countries. Police should go further for the realization of justice and the protection of human right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역대 치안정책의 수립과정 분석 및 미래에 관한 연구

        김창윤(Kim Chang Yun) 한국공안행정학회 2018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27 No.1

        우리나라의 역대 치안정책은 경찰 자체의 범죄분석에 의한 치안정책수립보다는 정권의 지향점과 필요성에 따라서 수립된 측면이 강하다. 대통령을 정점으로 한 중앙집권적인 행정체제의 특성에 따라 경찰은 그 어떤 행정조직보다도 국가정책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본 연구에서는 역대정부의 치안정책을 분석하기 위해서 ‘치안정책 분석모델’을 제시하였다. 역대 치안총수가 제시한 치안정책을 ① 국가안보 치안정책, ② 민생안정 치안정책, ③ 시국정보 치안정책, ④ 경찰지원 치안정책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제1공화국의 치안총수의 정책지향점은 반공노선을 강화하고, 이승만 대통령의 1인 독재를 강화하는 국가안보치안정책을 추진하는 것이었다. 특히 내무부 장관을 정점으로 경찰조직은 부정선거에 앞장섬으로써 이승만 대통령의 권력유지와 정치적 퇴행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제2공화국의 치안총수의 정책지향점은 정치적 혼란을 수습하고 다양한 사회계층의 폭발적 욕구를 안정적으로 관리하는 민생안정 치안정책을 추진하는 것이었다. 특히 혼란한 정치ㆍ사회적 환경 속에서 노동조합을 비롯한 각종 사회단체와 이익집단의 무질서를 바로잡는 것이 최우선 정책목표로 제시되었다. 제3공화국과 유신정부 치안총수의 정책지향점은 국가의 존립과 번영에 위해를 주는 북한 및 기타 적에 대응한 ‘국가안보치안정책’을 강화하였다. 특히 유신 정부는 유신독재 반대 진압을 위한 ‘안보치안정책’을 추진하면서 ‘시국안정화 정책’과 ‘치안정보 강화정책’을 추진하였다. 이 시기는 이승만 정권보다 인권탄압을 위한 법이 치밀하게 제정되었으며, 통치의 기술이 보다 정교해졌다. 제5공화국 치안총수의 정책지향점은 민주화 열망의 확산을 억압하고, 시민사회의 체제도전을 진압하는 국가안보치안정책과 시국정보 치안정책을 추진하였다. 특히 노동분야를 학원 등 다른 체제도전 세력과 마찬가지로 정치적 도전 세력으로 간주하여 공안기구를 동원하여 가혹하게 탄압하였다. 제6공화국 치안총수의 정책지향점은 연장된 군사정권 체제를 유지하기 위해서 국가안보 치안정책, 시국정보 치안정책, 민생치안 치안정책 등을 추진하였다. 노동분야의 민주화 열망에 따른 시위를 진압하고 급증하는 민생범죄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 최우선 과제였다. 특히 ‘공안 정국’을 조성하여 학원과 노동분야를 탄압하였다. 김영삼 정부 치안총수의 정책지향점은 3당 합당에 따른 권위주의 체제를 유지하기 위해서 국가안보 치안정책, 시국정보 치안정책 등을 추진하였다. 특히 학원과 노동계를 통제하기 위해서 ‘신공안정국’을 만들면서 공안통제를 강화하였다. 김대중 정부 치안총수의 정책지향점은 경찰의 정치적 중립과 노동계의 국정파트너 인정으로 인한 민생안정 치안정책과 경찰지원 치안정책이었다. 특히 자치경찰제를 추진하고, 대여성 관련 부서와 사이버분야의 경찰기구를 정비하였다. 노무현 정부 치안총수의 정책지향점은 경찰의 수사권 독립과 자치경찰제의 도입에 따른 경찰지원 치안정책의 추진이었다. 특히 자치경찰제를 도입하고, 경찰의 인권정책을 새롭게 강조하였다. 이명박 정부 치안총수의 정책지향점은 법질서 확립과 실무적 경찰능력 강화를 위한 시국정보 치안정책과 민생안정 치안정책의 강조였다. 특히 법치질서의 확립과 정부의 권위회복을 강조하면서 시민사회 영역과 갈등을 겪었다. Police polices in Korea have been established according to the direction and necessity of the regime rather than establishing policing policies by police’s own crime analysi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entralized administrative system with the president as the peak, the police were more influenced by the national policy than any other administrative organization. In this study, ‘Police Policy Analysis Model’ was presented to analyze the security policy of the previous government. Commissioner General in Korea presented by the past police officers were classified into ① National Security Police Policy, ② Public Security Police Policy, ③ Police Information Security Policy and ④ Police Support Police Policy. The policy of the First Republic’s Police Commissioner General was to strengthen the anti-communist line and to push for a national security and security policy that would strengthen President Lee seung-man dictatorship. The policy of the Police Commissioner General of the Second Republic was to promote a policy of stable public security that relieved political turmoil and stably managed the explosive needs of various social classes. The policy of the Third Republic and the Yushin Government’s Police Commissioner General strengthened the National Security Police Policy in response to North Korea and other enemies that threatened the nation’s existence and prosperity. The policy point of the 5th Republic Police Commissioner General promoted national security and national security policies that suppressed the proliferation of democracy aspirations and suppressed the systemic challenges of civil society. In order to maintain the extended military regime, the policy head of the 6th Republic of Korea Police Headquarters promoted the National Security Police Policy, the City Information Security Policy, and the Public Security Police Policy In Kim Young-sam Administration, the head of the government’s policemen, pursued national security and policing policies in order to maintain the authoritarian regime in accordance with the three-party system. In particular, in order to control the academy and the labor system, it strengthened the control of public security by creating a “New Public Security Stage.” The policy of the Kim Dae-jung government’s Commissioner General was policing policy of the police and policing of the police. In particular, it promoted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and improved the police department in the cyber field and the department related to women. The policy of the Roh Moo-hyun government’s Commissioner General was to promote police policing policy based on independence of police investigation rights and introduction of autonomous police system. In particular,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was introduced and the police’s human rights policy was newly emphasized. The Lee Myung-bak administration’s policy intention was to emphasize the police information security policy and the public security policing policy for establishing the legal system and strengthening the practical police capability. Especially, it stressed the establishment of the order of the rule of law and the restoration of the authority of the government.

      • KCI등재

        해방 이후 범죄대응을 위한 경찰조직 변천에 관한 연구

        김창윤(Kim, Chang Yun) 한국범죄심리학회 2016 한국범죄심리연구 Vol.12 No.4

        대한민국은 해방이후 아프라카 가나와 가봉에도 뒤지는 세계 최빈국(1인당 GNI 45달러) 대열에서 2014년 세계 13위(1인당 GNI 2만 8천 180달러)로 급성장했다. OECD 국가이자 G20 국가로 선진국에 당당히 진입한 것이다. OECD 국가이자 G20 국가로 선진국에 진입한 우리 국민들은 역사의 정통성과 자긍심을 갖고 있다. 또한 국민들과 경찰구성원들은 대한민국의 국가발전에 가장 큰 초석을 다진 경찰의 정통성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비록 역사적 과오는 있지만 경찰은 대한민국의 위대한 발전에 묵묵히 그리고 소리 없이 공헌한 숨은 조력자였다. 그러나 민주화 과정에 대한 경찰의 과오와 증가하는 다양한 범죄현 상, 고도 산업화와 정보화의 급진전에 따른 다양한 범죄의 증가는 국민의 신뢰를 얻지 못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 경찰의 끊임없는 노력에도 불구하고 국민의 경찰 변화에 대한 요구가 한층 더 증대되면서 경찰은 아직도 국민의 애정과 신뢰를 받기보다는 질책과 비난의 대상이 되는 경우가 많은 것이 사실이다. 지금까지 경찰의 역사에 대한 연구들에서는 과거 경찰의 역사를 소개만 하고 있을 뿐 경찰의 과오와 국민의 신뢰를 받기 위한 각 시기별 평가가 부족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경찰 70년 회고를 위한 기본적 논의로써 첫째, 근대경찰인 경무청의 역사성과 정통성 문제를 다루었다. 둘째, 미군정기 경무국의 역사성과 정통성 문제를 논의하였 다. 마지막으로 민주화에 대한 경찰의 과오문제를 고찰하였다. 위와 같은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오늘날 대한민국의 경이로운 발전과 함께한 해방 이후 경찰의 70주년을 경무국, 치안국, 치안본부, 경찰청으로 시대구분을 하여 그당시의 시대적 상황과 경찰의 과오와 발전을 고찰하였다. This article is a primarily study on the 70th Korean Police History and Development since 1945 to 2015. Korean Police has been built on 21th October 1945. It is argued that Korean Police has been Good Police or Bad Police during the time of Modern Korean History. But Korean Police have a great role in the field of social safety and economy growth. Korean Police have been designed for the Korean people to be happy and feel safety from 1945 up until current times. This study comparatively analyzed the change of modern korean police.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period of Kyungmu Bureau(1945-1948) were the times of direct rule system building and centralized police system building. That times Police have had an anti-soviet union and anti-communist policy. Secondly, the period of Chian Bureau(1948-1974) were the times of removing the pro-communist and anti-government That times Police have had strengthened police power and obeying the people. Thirdly, the period of Chian Headquarter(1974-1991) were the times of control and order. That times Police have had protected military government and suppressed democracy. Fourthly, the period of Kyungchal Agency(1991-2015) were the times of contributing to modernize the police organization. In that time, Korea people have played the principal role in setting up the care and service policy of police. And police have taken issues of Police Administration, Detection Techniques, Criminal Psychological and Social Issues, Types of Crime and Legal Questions.

      • KCI등재

        박근혜 정부의 치안정책 및 범죄추세 분석에 관한 연구

        김창윤 ( Kim Chang Yun ),서샛별 ( Seo Sat Byul ) 한국경찰학회 2018 한국경찰학회보 Vol.20 No.6

        박근혜 대통령의 시대적 임무에 대한 인식을 총체적으로 보여주는 표현은 ‘국민행복시대의 완성’이라고 볼 수 있다. 이를 위해 세부적으로 안전, 경제부흥, 복지국가, 경제민주화 등을 추구했다. 박근혜 정부의 경찰관련 중요 국가정책으로 ① 성폭력, ② 가정폭력, ③ 학교폭력, ④ 불량식품 등과 같은 4대 사회악 근절이었다. 이에 따른 경찰의 치안정책으로 ‘여성청소년수사팀 확대 정책’, ‘성폭력분야 전담수사체계 정책’, ‘불량식품 단속을 위한 액센트 단속 정책’등을 추진하였다. 박근혜 정부의 범죄추세를 민주화 시대 이후 역대정부와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민주화 시대가 개막된 이후의 총범죄 증가율은 김영삼 정부는 17.8% 증가, 김대중 정부 7.1% 증가, 노무현 정부 3.1% 감소, 이명박 정부 1.0%가 감소, 박근혜 정부 0.42% 감소하였다. 총범죄율은 이승만 정부부터 김대중 정부까지는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노무현 정부와 이명박 정부부터 증가세가 감소되었으며, 이러한 추세는 박근혜 정부에서도 이어졌다. 인구10만 명당 범죄발생율은 김영삼 정부 5.7% 증가, 김대중 정부 17.6% 증가, 노무현 정부 7.9% 감소, 이명박 정부 5.6% 감소, 박근혜 정부 3.27% 감소로 나타났다. 경찰관 수의 변화에 있어서 김영삼 정부의 경찰관수는 처음으로 3%가 감소하였다. 김대중 정부 경찰관수는 1.33% 증가, 노무현 정부 경찰관수는 4.7% 증가, 이명박 정부의 경찰관수는 4.9%가 증가, 박근혜 정부의 경찰관수는 8.83%로 가장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This Study considers the Police Policy and Crime Trends in South Korea from 2013-2017. The data that we has analyzed for was obtained from official crime statistics, “Analytical Report on Crime,” which was published by the Korean Police. We analyzed Park Guen-hye presidential term from 2013 to 2017. The slogan of Park Geun-hye administration as a whole showing the perception of the duty of the times can be seen as the completion of the era of National Happiness. To this end, Park Geun-hye government pursued safety, economic revival, welfare state and economic democratization in detail. The most important national policies related to the police of Park Geun-hye administration were ① sexual violence, ② domestic violence, ③ school violence, and ④ defective food. As a result, the police policy in this term had been promoted as the expansion of the female juvenile investigation team, the policy of dedicated investigative system in the field of sexual violence, and the policy of controlling accidents for cracking down on defective food. The results of the comparison of the crime trends in Park Geun-hye term with the previous government since the era of democratization are as follows. Since the beginning of the democratization era, the rate of total crime has increased by 17.8%, Kim Dae Jung government increased by 7.1%, Roh Moo Hyun government has decreased by 3.1%, Lee Myung Bak government has decreased by 1.0% and Park Geun Hye government has decreased by 0.42%. The total crime rate continuously increased from the Rhee government to the Kim Dae-jung administration. The growth rate has decreased since the Roh Moo-hyun administration and the Lee Myung-bak administration, and this trend has continued in the government. The incidence of crime per 100,000 population increased by 5.7% in the Kim Young-sam government, 17.6% in the Kim Dae-jung government, 7.9% in the Roh Moo-hyun government, 5.6% in the Lee Myung-bak government and 3.27% in the government. The number of police officers in the Kim Young-sam government decreased by 3% for the first time in changing the number of police officers. The number of government police officers in Kim Dae-jung increased by 1.33 percent, the number of police officers in Roh Moo-hyun increased by 4.7 percent, the number of police officers in the Lee Myung-bak government increased by 4.9 percent, and the number of police officers in Park Geun - Hye increased by 8.83 percent.

      • KCI등재

        일반논문 : 신임경찰 역량기반 교육훈련에 관한 연구 -신임경찰 역량기반교육훈련을 중심으로-

        김창윤 ( Chang Yun Kim ) 한국경찰학회 2010 한국경찰학회보 Vol.12 No.1

        본 연구는 신임경찰관의 교육훈련에 있어서 종전의 직무수행에 필요한 지식과 기술개발에 목적을 둔 단편적인 직무중심의 교육훈련체계인 ISD(Instructional System Design)나 DACUM(Developing A Curriculum)를 개편하여 조직의 목표 및 미션중심, 성과중심, 수요자중심, 현장실천중심의 역량 기반교육훈련(CBC: Competency Based Curriculum)으로 개편하기 위한 정책방안을 제시한 연구이다. 역량기반교육훈련(CBS)체계는 공무원 개인을 대상으로 하는 역량평가와 교육훈련을 연계함으로써 공무원개인의 자질과 역량을 진단하고 이를 근거로 조직이 필요로 하는 인재를 개발하고 적재적소에 활용함으로써 최적의 업무성과를 실현할 수 있다. 즉, 역량기반의 교육훈련체계는 조직차원의 성과증대를 목적으로 최고수준의 수행성과를 달성하기 위한 모든 형태의 학습지원체계를 개발하는 장기적이고 포괄적인 안목의 접근을 시도하는 것이다. 경찰에서는 이러한 역량기반교육훈련(CBS)에 대한 연구가 매우 드물며, 이에 대한 도입사례도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신임경찰 교육에서의 역량기반교육훈련(CBS)체제 구축방안을 논의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연구과제들은 중점적으로 논의하였다. 첫째, 역량기반 교육훈련체제의 개념, 특성 그리고 구축절차 등에 대한 논의이다. 둘째, 이를 바탕으로 신임경찰 역량기반교육훈련(CBS)체제 구축방안에 대한 논의이다. 마지막으로 앞으로의 정책적 대안에 대한 제시이다. 특히, 역량기반교육훈련(CBS)은 선발(Selection), 교육훈련(Education & Training), 개발(Development), 평가(Assessment), 보직관리(Staffing), 승진(Promotion), 보수(Payment)에 관련되는 광범위한 사항을 포함하고 있지만 본 연구에서는 신임경찰관의 교육훈련과 연관하여 한정적으로 살펴보았다. This study examines the CBC(Competency Based Curriculum) for the Training of New Police Recruits underlying police education training in Korea. By using the Analytical Report on the Police Education Training, this study examines competency-based curriculum and police training, examining the question: what does competency-based curriculum mean to the Training of New Police Recruits? Major Sugg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examines the police`s philosophical framework including police vision, mission, values and goals, and the use of this framework as a guide to police personal and professional endeavors. Second, this study suggested the Training of New Police Recruits competency-based curriculum is one component of a larger competency-based human resource management system that is about to be implemented across Korean Police. The research brought awareness to the dramatic organizational change that is forthcoming within the Training of New Police Recruits as competency-based curriculum and human resource management systems are implemented. Potential benefits to the Training of New Police Recruits and its members are explored, and potential difficulties in implementing competency-based curriculum and human resource management are also considered.

      • KCI등재

        한국 경찰학의 성립과 기원에 관한 연구

        김창윤(Kim Chang Yun) 한국공안행정학회 2012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21 No.2

        본 연구는 경찰학에 관련된 제반 연구자료를 바탕으로 각국의 근대경찰 성립과 경찰학의 발전과정을 고찰하였으며, 이들 통해서 한국의 근대경찰과 경찰학은 어떻게 성립되고 발전하여 왔는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경찰학(警察學)의 기원과 관련하여 유스티에 의한 18세기 독일의 '경찰학(Polizeiwissenschaft)', 19세기 중반 프랑스의 '범죄학(Criminology)' 그리고 윌슨(O. W. Wilson)에 의한 20세기 미국의 「경찰행정학(Police Administration)」에 영향을 받았으며, 우리 경찰학은 유길준의 「서유견문」을 그 기원으로 삼을것을 제시하였다. 이는 행정학(行政學)이 독일의 관방학(Kameralwissenschaft)과 윌슨(Woodrow Wilson)의 「행정학 연구」(The Study of Administration)를 그 기원으로 삼는 것과 다른 것이다. 또한 대다수의 행정학자들이 경찰행정은 행정학의 특수분야로 인식하고 경찰학은 학문분야의 정체성이 미흡하다고 인식하였다. 이에 대해서 경찰학(Police Science)은 독자적인 분과학문(分科學問)으로써 행정학과 다른 연구대상, 접근방법, 개념 및 이론체계를 가지고 있음을 제시하였다. 즉, 경찰학은 행정학과는 다른 연구영역으로 경찰행정(Police Administration), 수사기법(Detection Techniques), 심리문제와 사회문제(Psychological and Social Issues), 범죄유형(Types of Crime), 그리고 법률적 문제(Legal Questions) 등이 있음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경찰학의 연구분야에는 법학자(Jurist), 행정학자(Administrator), 범죄학자(Criminologists), 사회학자(Sociologists), 심리학자(Psychologists), 교육학자(Pedagogues), 철학자(Philosophers), 역사학자(Historian) 등과 같은 다양한 분야의 학자들이 참여하고 있으며, 이처럼 전공은 다르지만 경찰학(Police Science)을 연구하는 제반 학자들을 '경찰학자(Police Scientist)'라고 한다. 따라서 경찰학분야를 연구하는 학자들의 다양한 학문적 배경으로 인해 전공에 따른 연구방법론 및 이론체계를 활용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규범적 연구(Normative Approaches), 제도적 연구(Institutional Approaches), 경험적 연구(Empirical Approaches), 역사적 연구(Historical Approaches) 등이 주된 경찰학의 접근방법이다. 이처럼 경찰학(警察學)(Police Science)은 분과학문이 되기 위한 오랜 역사와 전통 그리고 다양한 연구대상, 접근방법, 개념 및 이론체계를 갖고 있기 때문에 독립된 분과학문으로서의 정체성과 특징을 갖고 있음을 제시하였다. This article is primarily a study in the establishment and the origin of Korea Police Science. It is argued that Korea Police Science originated in Public Administration about the identity of Korea Police Science. But Korea Police Science have reconsidering the concept and role of background disciplines of subjects in the subject of police Science and approach method since 19th century. This study comparatively analyzed the origin of modern police and police science in developed countries of the world.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origin of the korea police study is originated from the Polizeiwissenschaft of German, Criminology of france, Police Administration of U.S. and Seoyugeonmun of Chosun Dynasty(Korea). These Police Science have effected on establishing Korea Police Science. Secondly, the police study takes issues of Police Administration, Detection Techniques, Criminal Psychological and Social Issues, Types of Crime and Legal Questions. Police Science is different from the origin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the disciplines of subjects. Thirdly, the idea of Yoo Gil-Jun contributed to modernize the police organization of Chosun Dynasty. In 1950s, the pioneers in the police science played the principal role in setting up the police system and establishing the police science. Police Science has the principle task to analyse, scrutinize and review usual or traditional, and sometimes well-prove, practices, routines or patterns on the basis of theoretical perspectives and scientific metho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