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애인무용교육(Adapted Dance Education)의 개념화 및 보편적 학습설계의 적용

        김지안 ( Jian Kim ),윤지은 ( Ji Eun Yun ),진주연 ( Jooyeon Jin ) 한국특수체육학회 2021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29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장과 학계에서 전문 용어로 정립되지 못한 ‘장애인무용교육(adapted dance education)’을 개념화하고 ‘보편적 학습설계(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UDL)’의 원리를 적용한 실천적인 모델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관련 전문가들의 자문과 특수학교 및 일반학교 특수학급에서 다년간 무용수업 경력을 가진 현장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수정된 델파이조사(modified delphi survey)’를 실시하였다. 이에 개념적, 실천적인 측면에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제시해 볼 수 있었다. 첫째, 장애인무용교육은 특수성으로 무용수업의 차별화된 전략을 요구하는 장애인에게 적합한 교수 내용과 방법을 적용하여 무용의 다양한 경험과 가치에 도달할 수 있도록 교육적 지원을 제공하는 맞춤형 무용교육으로 정의하였다. 이에 장애인무용교육의 궁극적인 목표는 장애로 인한 제약 없이 누구나 ‘무용소양(dance literacy)’을 함양하는 것으로 설정하였다. 반성적 무용수업의 ORDER 모델(최의창, 2009; Lavender, 1996)과 문화예술교육표준 (무용교육)(서예원 외, 2013;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1)을 기초로, 장애인무용교육에 적합하도록 교육 영역을 ‘표현(춤추기)’, ‘창작(춤만들기)’, ‘감상(춤읽기)’, ‘소통(춤나누기)’으로 구성하였다. 둘째, 무용수업에 모든 학습자가 참여할 수 있도록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장애인무용교육에 보편적 학습설계를 적용하여 ① 공평한 수업 설계, ② 상황별 융통성, ③ 간단하고 직관적인 교수, ④ 다양한 표현 수단, ⑤ 실수에 대한 포용력, ⑥ 학습자의 신체적·인지적 특성 고려, ⑦ 무용수업을 위한 적절한 환경의 일곱 가지 원리를 제안하였다. 또한, 장애인무용교육에서의 ‘인지적 표상 수단’, ‘전략적 표현 수단’, ‘정서적 참여 수단’을 ‘접근’, ‘구축’, ‘내재화’의 실행 단계에 맞추어 가이드라인을 제안하였다. 결론적으로 장애인무용교육에서 보편적 학습설계는 무용수업의 특정한 방법이나 테크닉이라기보다는 교수자의 노력과 학습자의 주도성이 시너지를 내고 함께 성장할 수 있는 전인적 관점이자 패러다임으로 보는 것이 적절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장애인의 무용참여에 관하여 포괄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커뮤니티댄스(community dance)’ 또는 ‘특수무용 교육(special dance education)’이라는 광의적인 개념으로부터 ‘장애인무용교육(adapted dance education)’의 개념과 보편적 학습설계를 제안함으로써 예비 무용교육자를 양성하는 교육과정과 현장에서의 실천적 가이드라인을 체계적으로 구축할 수 있는 방향성을 제시한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ceptualize 'adapted dance education', which has not yet to be established in both research and practice, and to propose practical guidelines for dance education based on the principles of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UDL). To achieve this purpose, the current study employed a modified delphi survey with experts in dance education and professionals who had teaching experience in special schools and special classes as well as advice from experts in the related fields. This allowed the following results to be presented in terms of conceptualization and practical applications. First, adapted dance education is defined as individualized dance education to reach various experiences and values of dance by applying appropriate teaching contents and methods for those who need tailored educational strategies due to their special characteristics. The ultimate goal of adapted dance education is set to foster 'dance literacy' without limitations and restrictions due to the disability conditions. This study also proposed the reorganization of educational domains suitable for adapted dance education such as "expression (dancing)," "creation (dance making)," "appreciation (dance reading)," and "communication(dance sharing)" based on ORDER model (Choi, 2009; Lavender, 1996). Second, this study proposed seven UDL principles : ① equitable class design ② contextual flexibility ③ a simple and intuitive teaching ④ various expression tool ⑤ tolerance for mistakes ⑥ consider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learners ⑦ appropriate environment for dance class in order to increase accessibility, so that all learners with/without disabilities can participate in the dance classes. In addition, guidelines were suggested to align 'cognitive representation means', 'strategic representation means' and 'emotional participation means' with the implementation stages of 'approach', 'construction' and 'internalization' in adapted dance education. In conclusion, it is probably appropriate to view UDL as a whole perspective and paradigm in which the teacher's efforts and learner's initiative can create synergy and grow together, rather than a specific method or technique of dance classe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concept of 'adapted dance education' with UDL is a better approach than the broader concepts of 'community dance' or 'special dance education.' This finding may be meaningful in that it indicates a direction for systematically establishing a curriculum for training pre-service dance educators and providing practical teaching guidelines in the field of dance.

      • KCI우수등재

        산업연관분석을 활용한 무용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이지영 ( Lee Ji Young ),김지안 ( Kim Jian ) 한국체육학회 2021 한국체육학회지 Vol.60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가구당 무용의 소비항목별 지출 규모를 중심으로 무용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파악함으로써 잠재적인 경제 가치를 조망하는데 있다. 이에 김지영, 이지영(2020)의 무용산업분류체계를 바탕으로 통계청(2019)의 한국표준산업분류와 한국은행(2015)의 산업연관표를 매칭하여 연관표를 추가하고 이를 근거로 산업연관분석(input-output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용산업의 소비항목별 지출 규모를 파악한 결과, 무용소비 지출이 가구당연평균 642,987원이었으며, 전국에서 무용소비 지출을 하는 가구의 총 지출액은 연간 1조 2,884억 원으로 나타났다. 특히 무용소비를 무용산업분류표의 대분류 기준으로 비교하였을 때, 공연보다 교육, 용품, 콘텐츠와 같이 체험과 관련된 소비지출이 가구당 483,155원으로, 전국 무용소비 지출의 75%에 해당하는 9,681억 원으로 나타났다. 둘째, 산업연관분석 결과, 우리나라의 전체 무용소비 지출은 4조 6,172억 원의 생산유발효과, 9,589억 원의 부가가치유발효과, 연간 117,144명의 고용유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무용산업을 전체 산업과 비교하였을 때 부가가치유발효과는 95%로 평균보다 낮았지만, 생산유발효과는 104%, 고용유발효과는 117%로 전체 산업의 평균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무용산업이 공연, 교육, 콘텐츠, 용품 등 주류 생산업을 중심으로 연관된 생산업 뿐만 아니라 지역과 국가 전체 경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부문 산업임을 보여주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dict the potential economic value of the dance industry by analyzing the economic impacts, focusing on the amount of expenditure in dance per household. Based on the industry classification for dance statistics of Kim & Lee (2020), the Korea Standard Industry Classification of Statistics Korea (2019) and the Bank of Korea (2015) added a related table and conducted an input-output analysis based on this. First, as a result of an assessment of the expenditure size by consumption item in the dance industry, expenditure for dance consumption was an annual average of 642,987 won per household, and the total expenditure for dance consumption of all households nationwide was 1.2884 trillion won per year. Especially, when dance consumption was compared by each type, expenditure related to experiences rather than performance was 483,155 won per household, and the expenditure of all households was 968.1 billion won, which took up 75% of the whole dance consumption nationwide. Second, as a result of the input-output analysis, the entire expenditure for dance consumption in South Korea caused the production of 4.6172 trillion won, the added value of 958.9 billion won, and an effect on employment of 117,144 persons a year. Compared to the overall industry, the value-added inducement effect was 95%, lower than the average, but the production inducement effect and employment inducement effect was respectively 104% and 117%, higher than the average for the entire industry. These results show that the dance industry forms a cluster structure centering around the mainstream production businesses, such as performance, education, contents, and products as well as it can affect the regional economy, the entire national economy, and the related manufacturing businesses.

      • KCI등재

        델파이 기법을 활용한 중국 대학 무용학과 무형문화재 교육과정의 편성 및 운영 방안 모색

        우옌옌 ( Wu Yanyan ),김지안 ( Kim Jian ),홍애령 ( Hong Aeryung ) 한국무용연구학회 2022 한국무용연구 Vol.4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대학 무용학과에서 국가 무형문화재 무용의 전승을 위한 전문교육과정을 편성하고 운영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중국 대학의 무형문화재 무용 전승 프로젝트 정책 계획과 실행에 참여한 실무자, 프로젝트 참여자 및 전수자, 무형문화재 무용 프로그램 개발 경험이 있는 대학 현장 교강사 등 전문가집단 28명을 대상으로 델파이 기법(Delphi Method)을 활용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중국 대학 무용학과의 무형문화재 무용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 방안에 관한 요인은 ‘행정 및 재정’, ‘조직’, ‘교육환경 및 시설’, ‘전문인력 및 교육 프로그램’ 등 4개의 항목으로 범주화되었으며 24개의 세부 요인이 도출되었다. 이를 통해 중국 대학에서 무형문화유산으로서 무용의 보존과 전승을 위한 전문 교육시스템 구축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way to organize and implement professional curriculum for the transmission of dance as a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the dance department of Chinese universities.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using the delphi method of 28 experts, including practitioners, project participants and completers who participated in the policy planning and implementation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Dance Project at Chinese universities, and university field instructors with experience in developing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dance programs. As a result, the factors related to the composition and operation of the dance curriculum for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of the dance department of the Chinese University were categorized into four items: 'administration and finance', 'organization', 'education environment and facilities', and ‘professional manpower and educational program’ and 24 detailed factors were derived. Through this, Chinese universities proposed the establishment of a professional education system for the preservation and transfer of dance as a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 의미연결망을 활용한 목재특성의 상관관계 분석

        한연중 ( Yeonjung Han ),이상민 ( Sang-min Lee ),김지안 ( Jian Kim ),김명길 ( Myungkil Kim ),이성숙 ( Sung-suk Lee ) 한국목재공학회 2022 한국목재공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22 No.1

        의미연결망 분석은 사회연결망(Social Network)에서 정의된 노드(node)의 연결관계에 초점을 맞추고 각 노드의 관련성과 상호작용을 분석하는 방법으로 최근 사회과학 분야를 비롯한 자연과학 분야에서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의미연결망 분석기법(UCINET; Analytic Technology)을 활용하여 연결망 내 노드의 구조분석과 관련된 개념인 매개중심성을 기준으로 목재특성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목재특성은 KS F 1551 「목재 관련 용어-목재의 성질 및 결점」에 제시된 29개 항목의 세포구조, 13개 항목의 물리적 성질, 12개 항목의 수분특성으로 결정하였다. 세포구조, 물리적 성질, 수분 특성을 각각 1개의 집합으로 가정하고, 각 집합 내의 상관관계를 1-모드 네트워크로 분석하였다. 먼저 KS F 1551에 제시된 목재특성의 용어 정의에 다른 목재특성이 포함된 경우 서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설정하고, 목재 특성의 비방향-이진 네트워크를 분석한 결과, 세포구조에서 매개중심성은 나이테, 방사방향, 형성층의 순서로 나타났다. 물리적 성질에서는 밀도, 수축, 치수안정성의 순서로 나타났으며, 수분특성에서는 섬유 포화점, 함수율, 수분경사의 순서로 나타났다. 두 번째로 논문인용색인 데이터베이스(Web of Science DB)의 논문목록에서 주요어 빈도를 활용하여 관계를 설정하였다. 서로 다른 목재특성을 「제목-주제」로 검색한 논문목록에서 각각의 목재특성의 주요어로 포함된 빈도를 방향-계량 네트워크로 분석한 결과, 세포구조에서의 매개중심성은 세포, 미성숙재, 나이테의 순서로 나타났다. 물리적 성질에서는 함수율, 수축, 치수안정성의 순서로 나타났으며, 수분특성에서는 밀도, 수축, 치수안정성의 순서로 나타났다. 추가적으로 목재특성의 각 집합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2-모드 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할 경우, 중심성이 높은 목재특성을 도출할 수 있으며 보다 많은 목재특성의 상관관계를 분석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