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3~4세기 호서지역 (주구)토광묘 연구

        김중엽(Kim, Jung-Yeob) 원광대학교 마한백제문화연구소 2013 馬韓, 百濟文化 Vol.22 No.-

        본 논문은 3~4세기 호서지역의 주 묘제인 단순토광묘·주구토광묘의 비교 및 지역적 양상에 대한 연구이며, 묘제의 차이는 계통적 차이에서 기인한다는 개념에 부합하여, 단순토광묘, 주구토 광묘, 분구묘(주구묘)의 용어를 구분하였다. 지역적 양상은 하천수계를 기준으로 분류하였으며, 무 덤을 구성하는 세부속성 분석 및 비교를 시도하였다. 호서지역 (주구)토광묘를 구성하는 특징적인 양상으로는 먼저, 원저단경호와 발형토기의 세트조 합이 있다. 지역에 따라 조합비율이 다르지만 남한강, 미호천, 곡교천유역의 대부분은 50%이상을 차지하며, 단순토광묘에 비해 주구토광묘에서 비율이 좀 더 높게 확인된다. 이러한 조합관계 는 서북한지역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이며, 영남지역 경주 덕천리 유적에서 확인되는 조합구성 과도 매우 유사하다. 다음으로는 목관과 목곽의 결합구조, 다양한 관, 곽의 결합형태, 다수의 합장묘 등이 나타난다. 이러한 매장시설 및 방법 역시 서북한 지역과 매우 유사하며, 한반도 내에서 이 지역이 유일하다. 세 번째는 다양한 청동제품의 출토가 있지만 그 중에서 청동제 마형대구의 출토이다. 마형대구는 마한의 권역에서는 이 일원에서만 출토되며, 매우 한정적 분포를 보이고 있다. 마형대구의 분포권은 아산만에서 천안, 청주를 거쳐 상주, 영남지역까지 연결되는 양상을 띠며, 마치 주요 교통로를 따라 이어지는 선형적 분포를 띤다. 마형대구는 마한을 상징하는 위세 품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공반유물 및 무덤의 규모 등 비교결과, 위세품으로 부장되기 보다는 마형대구를 소유하던 집단에 대한 상징적 물품이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위의 3가지 특징적인 양상은 (주구)토광묘 축조집단의 부장관념 및 장법과 관련 있으며, 서북 한지역 및 영남지역과의 유사성은 단순히 문화의 교류 및 전파에 의한 영향 보다는 집단의 이동 및 이주와 관련 있을 가능성이 있지만 아직까지 직접 관련짓기는 어려운 부분이 있다. 단순토광묘와 주구토광묘는 여러 속성 면에 있어 구분할만한 차이는 없다. 다만 비교를 통해 단순토광묘에 비해 주구토광묘의 평균적인 규모가 크고 유물부장량 등에서 우위를 보이고 있는 점은 어느 정도 주구토광묘의 위계성이 높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동일한 양상이 나타나는 두 무덤의 계통은 같았던 것으로 보이며, 주구는 좀 더 우월하게 보이기 위한 선택이었을 것으로 보인다. 무덤을 통해 본 3~4세기 호서지역은 백제의 영향이전 재지세력의 문화가 고스란히 남아 (주 구)토광묘를 축조한 세력의 장제적 특징 및 장법, 관념 등을 확인 할 수 있다. 3~4세기 이전 (주 구)토광묘와 직접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는 단계는 아직 알려지지 않아 이들의 계통 및 출자와 관련해서는 추후 자료의 증가를 기다리는 수밖에 없다. 다만, (주구)토광묘는 마한의 범주 아래 주 변에 분포하는 분구묘(주구묘)축조세력과는 장법 및 부장관념이 다른 계통임을 보여주며, 백제영 역화 이후의 이들의 전개도 상호관련 보다는 독자적 전개가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This is a comparative study on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simple togwangmyo (tomb without encircling ditch) and jugutogwangmyo (pit-tomb with encircling ditch), main forms of the tomb system commonly used in Hoseo region or the middle part of South Korea. In accord with the definition that the difference of the tomb system results from the hierarchical difference of the tomb system, tombs are classified in this paper into the categories of simple togwangmyo (pit-tomb), jugutogwangmyo and bungumyo (mounded tomb with encircling ditch). By region, the water system is used as criterion for classification in this study and attempts are made to analyze and compare detailed attributes that constitute the old tombs. The characteristic aspects of jugutogwangmyo in Hoseo area include, first of all, combined sets of wonjeodangyeongho (round-based jar with short neck) and balhyeongtogi (bowl pottery). Although the ratio of combination differs by region, more than 50% of combination is revealed in the majority of tombs in the basin area of Namhangang River, Mihocheon Stream and Gokgyocheon Stream. But jugutogwangmyo accounts for slightly more than simple togwangmyo in the combination ratio. Such combination ratio seems to be related to the region of the northwestern part of the country and is very similar to the one found in the relics of Deokcheon-ri, Gyeongju in Yeongnam area or the southeast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r. Secondly, there appear combined structures of wooden coffin and chamber, their combination in various forms, and lots of couple tombs. Such ways and facilities of burial as these also bear a close resemblance to those of burial found frequently in the northwestern part of Korea, a unique one of its kind in the Korean peninsular. Thirdly, particularly significant among other bronze wares which have been unearthed in this area are bronze horse-shaped buckles. This is the onlyarea in Mahan where horse-shaped buckles are excavated, though in the very limited scope. The regions in which horse-shaped buckles were used range from Asan Bay through Cheonan and Cheongju to Sangju in Yeongnam or the southeastern part of the country in a lineal form of distribution as if they are connected with each other along a major traffic route. Horse-shaped buckles are believed to be prestige goods symbolic of Mahan state. However, a comparison of tomb sizes and associated relics buried together leads to an assumption that the buckles were rather symbolic of the group who owned them than those buried as prestige goods. The above-mentioned three aspects seem to be associated with the concept and method of burial of the group who used (jugu) togwangmyo. Their resemblance to those of the northwestern and southeastern parts of the peninsular can not simply be outcomes of influence by cultural exchanges and spreads but more likely be results from move and migration of the group. Its direct interrelation is difficult to exactly presume yet, though. There remains little to differentiate between simple togwangmyo and jugutogwangmyo in terms of attributes. However, a simple comparison makes it clear that jugutogwangmyo is bigger in average size than simple togwangmyo and richer in burial accessories, suggesting that jugutogwangmyo may be placed a little higher in rank. It is possible to conclude, therefore, that the two types of tombs belong to the same line judging from the fact that the same pattern appears repeatedly and that jugu may be only an option to make it look like more superior. The tombs in the Hoseo area during the 3~4th centuries have preserved entirely the culture of the local gentry of the era when Baekje didn t exercise influence upon it, ascertaining the special features, burial methods and perception of the force who constructed (jugu) togwangmyo.

      • KCI등재

        원삼국시대 마형대구(馬形帶鉤)의 의미에 관한 고찰

        김중엽(kim jung yeob) 원광대학교 마한백제문화연구소 2021 馬韓, 百濟文化 Vol.37 No.-

        마형대구는 말의 형태를 띠는 허리띠 장식으로 원삼국시대 영남지역과 충청내륙을 중심으로 출토되는 지역적인 특수성을 가진 유물이다. 주로 충청 일원에서 다량 확인되고 있다는 점을 들어 마한을 대표하는 유물로도 알려져 있으며, 청동이라는 재질과 말 형상의 장식성 등을 토대로 위세품의 성격으로 인식하는 경향성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마형대구의 출토양상을 면밀하게 검토해 보면 그 의미에 대해 재고해 볼 필 요성이 있다. 일단, 마형대구의 출토범위는 아산만을 따라 아산, 천안, 청주를 통해 영남지역으로 연결되는 교통로 부근에 집중적으로 출토되면서 이는 주구토광묘 및 토광묘 중심권역에서만 한정적인 분포범위를 보인다. 마형대구의 출토양상을 보면, 영남지역의 경우 위세품으로 볼 수 있는 경향성이 나타나지만, 일부 마형대구만 단독으로 부장되는 양상도 확인되며, 충청지역의 경우 다양한 출토양상이 확인된다. 묘광의 규모가 작은 것부터 큰 것까지 다양하고, 공반유물도 풍부한 것과 일반적 부장양상, 마형대구만 부장되는 양상 등 다양한 점은 단순히 위세품의 의미로 판단하기에는 부족한 점이 많다. 마형대구는 형식상 영천 어 은동과 경산 신대리 출토품이 가장 빠르고, 아직 이 단계의 마형대구는 충청지역에서 출토되지는 않고 있 지만, 이후 단계부터는 영남지역에 비해 마형대구가 급격하게 증가하며, 영남지역에서는 더는 마형대구가 사용되지 않는 특징이 나타난다. 이는 양쪽 지역 간의 교류를 통한 물품의 이동보다는 아산만 교통로를 통 한 주민의 충청일원에 정착 즉, 주민의 이동과 관련이 깊을 것으로 생각되며, 마형대구는 이러한 주민들의 계통성을 보여주는 상징적 물품으로서의 의미일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 KCI등재

        속발 내사시에서 수술량을 내사시각의 1/4만큼 시행한 한눈 외직근 전진 수술의 효과

        김중엽(Jung Yup Kim),이수정(Soo Jung Lee) 대한안과학회 2016 대한안과학회지 Vol.57 No.7

        목적: 간헐 외사시로 두눈 외직근 후전 수술 시행 후에 발생한 25 Prism diopters (PD) 이내의 속발 내사시 환자에서 수술량을 내사시각의 1/4만큼 시행한 한눈 외직근 전진 수술의 효과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2011년부터 2014년까지 두눈 외직근 후전 수술 후 발생한 속발 내사시로 한눈 외직근 전진 수술을 받고 최소 6개월 이상 경과 관찰이 가능하였던 1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여 속발 내사시 수술 전후의 사시각 변화, 수술성공률, 직근 이동에 대한 사시각의 교정 정도를 조사하였다. 결과: 속발 내사시 수술 전 사시각은 원거리 주시시 -19.6 ± 4.7PD, 근거리 주시시 -16.5 ± 7.4PD였다. 한눈 외직근 전진 수술의 수술량은 수술 직전 내사시각의 1/4만큼, 평균 4.8 ± 1.1 mm가 시행되었다. 10명(91%)은 수술 후 정위 및 8PD 이내의 외편위로 회복 되었다. 나머지 1명은 3개월째 내사시가 재발하여 교대 가림 치료 및 프리즘 안경 치료를 병행하여 12개월 후 정위로 회복되었다. 직근 이동에 대한 사시각의 교정량은 수술 후 1일째는 3.3 ± 0.7 PD/mm, 수술 후 1주일째 3.7 ± 0.6 PD/mm, 수술 후 6개월째는 3.8 ± 0.7 PD/mm의 결과를 보였다. 결론: 두눈 외직근 후전 수술 후 발생한 속발 내사시 환자에서, 수술량을 내사시각의 1/4만큼 시행한 한눈 외직근 전진 수술은 모든 경우에서 성공적인 수술결과를 얻었으며, 외직근 이동에 대한 사시각의 교정 정도가 크므로 일차 수술에 비해 수술량을 줄이는 것이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된다. <대한안과학회지 2016;57(7):1134-1138> Purpose: To evaluate the efficacy of unilateral lateral rectus muscle advancement surgery based on one-fourth of the angle of consecutive esotropia within 25 prism diopters (PD) which occurred after bilateral lateral rectus muscle recession for intermittent exotropia. Methods: Medical records of 11 patients who underwent unilateral lateral rectus muscle advancement for consecutive esotropia from 2011 to 2014 and who were observed for at least 6 months after surgery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change in the angle of deviation before and after consecutive esotropia surgery, success rate, and surgical effect were evaluated. Results: Preoperative esodeviation was -19.6 ± 4.7 PD at distance and -16.5 ± 7.4 PD at near. Unilateral lateral rectus muscle advancement surgeries were performed based on one-fourth of the angle of consecutive esotropia and the mean surgical amount was 4.8 ± 1.1 mm. Of the total 11 patients, 10 patients (91%) recovered to orthotropia or exodeviation within 8 PD. One patient had a recurrence of esotropia at postoperative 3 months, but the patient recovered to orthotropia at postoperative 12 months with alternative patch treatment and a prism glass prescription. The surgical effect of unilateral lateral rectus muscle advancement was 3.3 ± 0.7 PD/mm at postoperative 1 day, 3.7 ± 0.6 PD/mm at postoperative 1 week, and 3.8 ± 0.7 PD/mm at postoperative 6 months. Conclusions: Unilateral lateral rectus muscle advancement surgery based on one-fourth of the angle of consecutive esotropia within 25 PD was successful in all 11 cases. The surgical effect was significantly greater in unilateral lateral rectus muscle advancement than in primary lateral rectus muscle recession. Thus, reduction in the amount of surgery should be considered carefully in unilateral lateral rectus muscle advancement for consecutive esotropia. J Korean Ophthalmol Soc 2016;57(7):1134-1138

      • KCI등재

        마한 분구묘와 주구토광묘의 비교로 본 개념과 계통성

        김중엽(Kim, Jung-Yeob) 원광대학교 마한백제문화연구소 2021 馬韓, 百濟文化 Vol.38 No.-

        본고는 기원 후 마한을 대표하는 두 묘제인 분구묘와 주구토광묘를 비교 검토하여 개념에 대한 재 검토와 계통성에 관해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분구묘의 축조과정을 통한 개념의 검토와 주구토광묘와 의 여러 속성비교를 통해 분구묘와 주구토광묘의 계통적 차이를 파악하고자 한다. 먼저 분구묘의 개념에 대해 살펴보고 분구가 잔존하는 자료 중 지하에 매장시설이 깊게 조성되거나 매장시설 조성 후 동시성토가 이루어졌다고 보고된 사례를 중심으로 축조방법을 검토한 결과, 적어도 정지층과 그 위로 성토가 먼저 이루어진 후에 매장시설이 조성되고 있음을 파악하였고, 이는 본질적 특징으로 미리 분구를 조성했다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반면, 주구토광묘의 본질적 요소는 원저단경호와 발형토기 조합 부장양상으로 볼 수 있으며, 주구토 광묘 권역에서만 확인되는 마형·호형대구와 유개대부호 및 원저옹 등의 특징적인 유물은 분구묘와 구 분할 수 있는 요소로 생각된다. 이러한 양상은 서북한 지역과 영남동남부 지역과의 관련성이 깊은데, 계통성과도 관련이 깊은 것으로 추정된다. 최근 분구묘와 주구토광묘의 자료가 급증하면서 평면형태와 매장관념의 요소만으로 구분이 어려워 진 경우가 다소 확인되는데, 이는 대체로 분구묘와 주구토광묘의 경계지역에서 나타나는 양상으로 문 화접변에 의한 영향이 작용한 것으로 생각해 볼 수 있다. 주구토광묘의 중심권역인 아산, 천안, 청주 일원은 아산만을 통해 영남지역의 대구, 경산, 경주까지 이어지는 중요 교통로로서 서북한(낙랑) 또는 중국과 연결하는 교류의 중심에 위치하며, 주구토광묘 집단은 이러한 교통로를 통해 성장한 집단으로 생각된다. 분구묘는 본질적으로 동일한 매장관념을 가진 집단이면서 해양을 중심으로 성장한 집단으로 볼 수 있으며, 분포권이 넓은 만큼 분구묘간 지역적 차이가 분명하게 나타난다. 분구묘의 출현지점 및 시기 에 대해 논란이 있지만, 그 시작점은 관창리 분구묘가 분포하는 충남 보령이나 서산 일원으로 생각되 며, 주변지역으로 확산된 것으로 추정된다. The present paper examined the mounded and ditch-pit tombs, the two representative tomb types of Mahan since AD, in an attempt to investigate their lineage by organizing the concepts related to the construction process of the mounded tombs and comparing their various attributes with those of the ditch-pit tombs. In the first place, the existing concepts of the mounded tombs were examined and their construction process was reassessed beforehand. Researches of the previous data which showed mainly the cases in which, unlike the basic burial concept of mound first, burial next , burial facilities were built underground and ground was filled up right after burial facilities were established confirmed that the major burial facilities were installed after the site was prepared, graded and created by digging the encircling ditch in a plain shape as well as soil was filled up partly although the mound was not completed. This may be interpret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perspective of understanding the construction process, but the fact that filled layers were created prior to graded layers regardless of the size should be understood that mound was formed first as done traditionally. That the mound was created by digging again certain amount of ground which was already filled up led to assumption that the construction of burial facilities with residual depth was carried out in the same way as the case where buried facilities remained deep underground. In parallel with the rapid increase recently in numbers of the data concerning the mounded and ditch-pit tombs, it has become no longer easy to distinguish between them merely on the basis of the elements like planar forms and concepts of burials, because lots of cases affected by cultural assimilation have frequently been found in each region. However, relics such as combination of rounded bottom jars with short neck and bowl-shaped pottery as a kind of grave goods as well as bronze belt accessories with horse and tiger symbols, lidded leg jars and rounded bottom small jars which are found only in the area of the ditch-pit tombs are important features that make them distinguished from the mounded tombs and serve thus as clues to estimate their lineage. The patterns of grave goods and characteristic relics are closely related to the northwestern and Yeongnam regions since the areas of Asan, Cheonan, Cheongju, and Chungju where the ditch-pit tombs are discovered are the important transportation routes linking Asan Bay with Daegu, Gyeongsan and Gyeongju of the Yeongnam region. This area was also the center of exchanges connecting with North Korea (Nakrang) and China via Asan Bay. Judging from this, it is believed that it was a dynamic society which had a large population and had grown thanks to active come and go of people. As for lineage of the people, it is presumed that a political system was constituted in the area of the ditch-pit tombs by various groups such as the indigenous powers identified characteristically with such grave goods as rounded bottom jars with short neck and bowl-shaped pottery, the group in Yeongnam area who had wooden coffin tombs and bronze belt accessories with horse symbol, and the immigrants or displaced persons of the northwestern area, etc. Although the mounded tombs didn t feature a standardized or characteristic pattern, somewhat regional differences were still shown since the area of distribution was wide. Nevertheless, the mounded tombs showed almost the same process of development and, of them particularly, the vertical and horizontal expansion for mass burials suggested that they shared the common concept of burial. Despite some controversies over appearance of the mounded tombs, it is believed that they began first in the area of Boryeong or Seosan, Chungcheongnam-do and spread to the Gyeonggi and Honam regions later, and that, in each region, they were localized following contact with the existing culture.

      • KCI등재

        한국과 일본의 당뇨망막병증 치료에 대한 경향 비교

        김중엽(Jung Yup Kim),신재필(Jae Pil Shin),조영준(Young Joon Jo),박태관(Tae Kwann Park),유승영(Seung Young Yu),장우혁(Woo Hyok Chang),오재령(Jae Ryung Oh),이지은(Ji Eun Lee),이주은(Joo Eun Lee) 대한안과학회 2016 대한안과학회지 Vol.57 No.8

        목적: 한국과 일본의 당뇨망막병증 치료 경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한국망막학회 회원 210명, 일본당뇨병안학회 회원 754명을 대상으로, 당뇨망막병증의 진단 및 치료에 관한 49개 항목의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설문조사는 2012년 6월-7월간 실시되었다. 결과: 한국망막학회 회원 210명 중 91명(43%), 일본당뇨병안학회 회원 754명 중 120명(16%)이 설문에 참여하였다. 확산 당뇨황반부종의 치료에 관하여, 한국에서는 ‘항혈관내피세포성장인자 안구내 주사 후 국소 레이저 광응고술’이 가장 선호되었던 반면(48%), 일본에서는 ‘테논낭하 스테로이드 주사 후 국소 레이저 광응고술’이 33%로 가장 선호되었다. 두 번째로 많은 응답을 받은 항목이 일본에서 유리체절제술이었던 것에 비해(18%), 한국에는 아무도 유리체절제술을 선호하지 않았다. 그러나 난치성의 확산 당뇨황반부종에 대해서는 한국에서도 유리체절제술을 하겠다는 응답이 75%로 나타났다. 일본에서는 항혈관내피세포성장인자나 스테로이드 안구내 주사를 병행하지 않는 유리체절제술이 상대적으로 더 높았다. 양국 모두에서 증식 당뇨망막병증의 수술에 23 Gauge (G)나 25 G를 이용한 소절개창 유리체절제술을 선호하였다(일본 64%, 한국 90%). 결론: 당뇨망막병증의 진단 및 수술 환경은 한일 양국이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하지만 당뇨황반부종의 치료 경향에서는 큰 차이를 보여, 한국에서는 항혈관내피세포성장인자를 적극적으로 사용하는 반면, 일본에서는 테논낭하 스테로이드 주사와 유리체절제술을 선호하였다. Purpose: To evaluate preferences and trends in the management of diabetic retinopathy in Korea and Japan. Methods: An Internet survey comprised of 49 questions was sent to the members of Korean Retina Society (KRS) and Japanese Society of Ophthalmic Diabetology (JSOD). The survey was conducted during the period between June 2012 and July 2012. Results: Ninety-one of 210 members of the KRS (43%) and 120 of 754 members of the JSOD (16%) participated in the survey. For diffuse diabetic macular edema, ‘intravitreal injection of anti-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anti-VEGF) followed by focal laser treatment’ was the most preferred treatment in Korea (48%), while ‘sub-tenon steroid injection followed by focal laser treatment’ was the most common procedure in Japan (33%). Vitrectomy was the second most common procedure in Japan (18%). In contrast, none of the KRS members preferred vitrectomy in this situation. For refractory diabetic macular edema, however, vitrectomy with or without the use of anti-VEGF was chosen in 75% of the KRS members. In Japan, vitrectomy without the use of intravitreal injection of anti-VEGF or steroid was relatively more preferred. Small-gauge (G) vitrectomy using either a 23 G or 25 G needle was popular in both countries (90% in Korea, 64% in Japan). Conclusions: Although the trends in diagnostic and surgical environments were similar in Korea and Japan, the preferred treatment approaches for diabetic macular edema were different. Sub-tenon steroid injection and vitrectomy were preferred in Japan, while anti-VEGF injection was most commonly employed in Korea.

      • KCI등재

        광양 제품부두의 계류안정성 해석

        영복(Kim, Young-Bok),정태권(Jeong, Tae-Gweon),세원(Kim, Se-Won),김중엽(Kim, Jung-Yeop),영훈(Kim, Young-Hun) 한국해안해양공학회 2010 한국해안해양공학회 논문집 Vol.22 No.6

        본 계류안정성 해석은 광양만 부두의 포항제철 제품 및 고철부두에 대한 적정 선박을 선정하는 방법의 하나로서 수행되었다. 계류안정성 해석을 위해서는 우선 제품부두에 정박하는 기준이 되는 대상선박을 선정하여 각 선박의 운동특성을 파악하고, 이것을 바탕으로 각 대상 선박의 유체력을 계산한 후 파랑, 바람 및 조류를 고려하여 안벽에 계류된 선박의 계류안정성해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광양 제품부두에서의 계류안정성을 보장하는 적정한 선박 선정기준을 개선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is aiming to find one of reasonable guidelines to select a proper berthing ship at Kwang Yang harbors for loading/unloading for the POSCO(Pohang Steel Co. Ltd.). For dynamic analysis for the moored ships, the selection of subjected vessels has to be given the priority, so that the motion characteristics are figured out. The calculation of the dynamic fluid forces and wave, wind and current forces in time domain are followed. Then, the dynamic mooring analyses are performed. This study might contribute to make a new guideline by which the proper sized and loaded ships could be moored safety at the berths of Kwang Yang Harbor.

      • KCI등재

        양안의 비측 상안검에 발생한 특발성 경화성 염증성 종양 1예

        김중엽,이수정,Jung Yup Kim,MD,Soo Jung Lee,MD,PhD 대한안과학회 2014 대한안과학회지 Vol.55 No.5

        Purpose: To report a case of idiopathic sclerosing inflammatory tumor presenting as painful masses in the medial side of both upper eyelids. Case summary: A 26-year-old female presented with pain in both eyes at upward gaze and progressive medial side masses on bilateral upper eyelids 3-4 months prior. Orbit MRI showed an orbital benign tumor and partial excisional biopsy was performed for the larger right upper eyelid mass. The biopsy result was chronic inflammation with fibrosis. There was no change in the masses size after an oral steroid was prescribed for 11 days. At 6 weeks after the first operation, complete excisional biopsy was performed for the bilateral upper eyelid masses and idiopathic sclerosing inflammatory tumor was diagnosed. Intravenous steroid injections were administered twice with a 1-week interval postoperatively. After 6 months of follow-up, no recurrence was evident. Conclusions: Idiopathic sclerosing inflammatory tumor usually involves the anterior, lateral, or apex of the unilateral orbit and does not invade the inferomedial side of the orbit and typically has a chronic course. We experienced a rare case of idiopathic sclerosing inflammatory tumor that involved the medial side of both upper eyelids which was cured by complete excision. J Korean Ophthalmol Soc 2014;55(5):750-754

      • KCI등재

        치성기원으로 인한 감염성 심내막염: 증례보고

        안신영,양석진,수관,학균,이효빈,중엽,최동국,영종,Ahn, Shin-Young,Yang, Seok-Jin,Kim, Su-Gwan,Kim, Hak-Kyun,Lee, Hyo-Bin,Park, Joong-Yeop,Choi, Dong-Kook,Kim, Young-Jong 대한악안면성형재건외과학회 2006 Maxillofacial Plastic Reconstructive Surgery Vol.28 No.3

        Infective endocarditis remains an important, life-threatening infection despite improvements in diagnosis and management. Despite the decrease in rheumatic heart disease and the improvements in antibiotic prophylaxis, infective endocarditis has been reported with increasing frequency in the last few decades. Presumably, this is due to the rise in the incidence of intravenous drug users, carriers of prosthetic valves and other intracardiac devices, and the longer survival of patients with congenital heart disease. Despite the great advances in medical and surgical treatment, infective endocarditis is still a life-threatening disease with an estimated mortality of 27%. Infective endocarditis represents one of the few potentially fatal infections that may occur in a dental patient. Efforts to reduce the incidence of this disease usually take the form of appropriate antibiotic coverage before dental treatment, together with the establishment and maintenance of good oral health. This study is a case report of a patient who developed infective endocarditis after multiple tooth extractions due to chronic periodontitis of dental origi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