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속발 내사시에서 수술량을 내사시각의 1/4만큼 시행한 한눈 외직근 전진 수술의 효과

        김중엽(Jung Yup Kim),이수정(Soo Jung Lee) 대한안과학회 2016 대한안과학회지 Vol.57 No.7

        목적: 간헐 외사시로 두눈 외직근 후전 수술 시행 후에 발생한 25 Prism diopters (PD) 이내의 속발 내사시 환자에서 수술량을 내사시각의 1/4만큼 시행한 한눈 외직근 전진 수술의 효과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2011년부터 2014년까지 두눈 외직근 후전 수술 후 발생한 속발 내사시로 한눈 외직근 전진 수술을 받고 최소 6개월 이상 경과 관찰이 가능하였던 1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여 속발 내사시 수술 전후의 사시각 변화, 수술성공률, 직근 이동에 대한 사시각의 교정 정도를 조사하였다. 결과: 속발 내사시 수술 전 사시각은 원거리 주시시 -19.6 ± 4.7PD, 근거리 주시시 -16.5 ± 7.4PD였다. 한눈 외직근 전진 수술의 수술량은 수술 직전 내사시각의 1/4만큼, 평균 4.8 ± 1.1 mm가 시행되었다. 10명(91%)은 수술 후 정위 및 8PD 이내의 외편위로 회복 되었다. 나머지 1명은 3개월째 내사시가 재발하여 교대 가림 치료 및 프리즘 안경 치료를 병행하여 12개월 후 정위로 회복되었다. 직근 이동에 대한 사시각의 교정량은 수술 후 1일째는 3.3 ± 0.7 PD/mm, 수술 후 1주일째 3.7 ± 0.6 PD/mm, 수술 후 6개월째는 3.8 ± 0.7 PD/mm의 결과를 보였다. 결론: 두눈 외직근 후전 수술 후 발생한 속발 내사시 환자에서, 수술량을 내사시각의 1/4만큼 시행한 한눈 외직근 전진 수술은 모든 경우에서 성공적인 수술결과를 얻었으며, 외직근 이동에 대한 사시각의 교정 정도가 크므로 일차 수술에 비해 수술량을 줄이는 것이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된다. <대한안과학회지 2016;57(7):1134-1138> Purpose: To evaluate the efficacy of unilateral lateral rectus muscle advancement surgery based on one-fourth of the angle of consecutive esotropia within 25 prism diopters (PD) which occurred after bilateral lateral rectus muscle recession for intermittent exotropia. Methods: Medical records of 11 patients who underwent unilateral lateral rectus muscle advancement for consecutive esotropia from 2011 to 2014 and who were observed for at least 6 months after surgery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change in the angle of deviation before and after consecutive esotropia surgery, success rate, and surgical effect were evaluated. Results: Preoperative esodeviation was -19.6 ± 4.7 PD at distance and -16.5 ± 7.4 PD at near. Unilateral lateral rectus muscle advancement surgeries were performed based on one-fourth of the angle of consecutive esotropia and the mean surgical amount was 4.8 ± 1.1 mm. Of the total 11 patients, 10 patients (91%) recovered to orthotropia or exodeviation within 8 PD. One patient had a recurrence of esotropia at postoperative 3 months, but the patient recovered to orthotropia at postoperative 12 months with alternative patch treatment and a prism glass prescription. The surgical effect of unilateral lateral rectus muscle advancement was 3.3 ± 0.7 PD/mm at postoperative 1 day, 3.7 ± 0.6 PD/mm at postoperative 1 week, and 3.8 ± 0.7 PD/mm at postoperative 6 months. Conclusions: Unilateral lateral rectus muscle advancement surgery based on one-fourth of the angle of consecutive esotropia within 25 PD was successful in all 11 cases. The surgical effect was significantly greater in unilateral lateral rectus muscle advancement than in primary lateral rectus muscle recession. Thus, reduction in the amount of surgery should be considered carefully in unilateral lateral rectus muscle advancement for consecutive esotropia. J Korean Ophthalmol Soc 2016;57(7):1134-1138

      • KCI등재

        한국과 일본의 당뇨망막병증 치료에 대한 경향 비교

        김중엽(Jung Yup Kim),신재필(Jae Pil Shin),조영준(Young Joon Jo),박태관(Tae Kwann Park),유승영(Seung Young Yu),장우혁(Woo Hyok Chang),오재령(Jae Ryung Oh),이지은(Ji Eun Lee),이주은(Joo Eun Lee) 대한안과학회 2016 대한안과학회지 Vol.57 No.8

        목적: 한국과 일본의 당뇨망막병증 치료 경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한국망막학회 회원 210명, 일본당뇨병안학회 회원 754명을 대상으로, 당뇨망막병증의 진단 및 치료에 관한 49개 항목의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설문조사는 2012년 6월-7월간 실시되었다. 결과: 한국망막학회 회원 210명 중 91명(43%), 일본당뇨병안학회 회원 754명 중 120명(16%)이 설문에 참여하였다. 확산 당뇨황반부종의 치료에 관하여, 한국에서는 ‘항혈관내피세포성장인자 안구내 주사 후 국소 레이저 광응고술’이 가장 선호되었던 반면(48%), 일본에서는 ‘테논낭하 스테로이드 주사 후 국소 레이저 광응고술’이 33%로 가장 선호되었다. 두 번째로 많은 응답을 받은 항목이 일본에서 유리체절제술이었던 것에 비해(18%), 한국에는 아무도 유리체절제술을 선호하지 않았다. 그러나 난치성의 확산 당뇨황반부종에 대해서는 한국에서도 유리체절제술을 하겠다는 응답이 75%로 나타났다. 일본에서는 항혈관내피세포성장인자나 스테로이드 안구내 주사를 병행하지 않는 유리체절제술이 상대적으로 더 높았다. 양국 모두에서 증식 당뇨망막병증의 수술에 23 Gauge (G)나 25 G를 이용한 소절개창 유리체절제술을 선호하였다(일본 64%, 한국 90%). 결론: 당뇨망막병증의 진단 및 수술 환경은 한일 양국이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하지만 당뇨황반부종의 치료 경향에서는 큰 차이를 보여, 한국에서는 항혈관내피세포성장인자를 적극적으로 사용하는 반면, 일본에서는 테논낭하 스테로이드 주사와 유리체절제술을 선호하였다. Purpose: To evaluate preferences and trends in the management of diabetic retinopathy in Korea and Japan. Methods: An Internet survey comprised of 49 questions was sent to the members of Korean Retina Society (KRS) and Japanese Society of Ophthalmic Diabetology (JSOD). The survey was conducted during the period between June 2012 and July 2012. Results: Ninety-one of 210 members of the KRS (43%) and 120 of 754 members of the JSOD (16%) participated in the survey. For diffuse diabetic macular edema, ‘intravitreal injection of anti-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anti-VEGF) followed by focal laser treatment’ was the most preferred treatment in Korea (48%), while ‘sub-tenon steroid injection followed by focal laser treatment’ was the most common procedure in Japan (33%). Vitrectomy was the second most common procedure in Japan (18%). In contrast, none of the KRS members preferred vitrectomy in this situation. For refractory diabetic macular edema, however, vitrectomy with or without the use of anti-VEGF was chosen in 75% of the KRS members. In Japan, vitrectomy without the use of intravitreal injection of anti-VEGF or steroid was relatively more preferred. Small-gauge (G) vitrectomy using either a 23 G or 25 G needle was popular in both countries (90% in Korea, 64% in Japan). Conclusions: Although the trends in diagnostic and surgical environments were similar in Korea and Japan, the preferred treatment approaches for diabetic macular edema were different. Sub-tenon steroid injection and vitrectomy were preferred in Japan, while anti-VEGF injection was most commonly employed in Korea.

      • KCI등재

        양안의 비측 상안검에 발생한 특발성 경화성 염증성 종양 1예

        김중엽,이수정,Jung Yup Kim,MD,Soo Jung Lee,MD,PhD 대한안과학회 2014 대한안과학회지 Vol.55 No.5

        Purpose: To report a case of idiopathic sclerosing inflammatory tumor presenting as painful masses in the medial side of both upper eyelids. Case summary: A 26-year-old female presented with pain in both eyes at upward gaze and progressive medial side masses on bilateral upper eyelids 3-4 months prior. Orbit MRI showed an orbital benign tumor and partial excisional biopsy was performed for the larger right upper eyelid mass. The biopsy result was chronic inflammation with fibrosis. There was no change in the masses size after an oral steroid was prescribed for 11 days. At 6 weeks after the first operation, complete excisional biopsy was performed for the bilateral upper eyelid masses and idiopathic sclerosing inflammatory tumor was diagnosed. Intravenous steroid injections were administered twice with a 1-week interval postoperatively. After 6 months of follow-up, no recurrence was evident. Conclusions: Idiopathic sclerosing inflammatory tumor usually involves the anterior, lateral, or apex of the unilateral orbit and does not invade the inferomedial side of the orbit and typically has a chronic course. We experienced a rare case of idiopathic sclerosing inflammatory tumor that involved the medial side of both upper eyelids which was cured by complete excision. J Korean Ophthalmol Soc 2014;55(5):750-754

      • KCI등재

        초음파 뼈흡인기를 이용한 코경유 눈물주머니코안연결술

        이수정(Soo Jung Lee),김중엽(Jung Yup Kim),권재환(Jae Hwan Kwon) 대한안과학회 2015 대한안과학회지 Vol.56 No.11

        목적: 초음파 뼈흡인기를 이용한 코경유 눈물주머니코안연결술의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2014년 1월부터 2014년 6월까지 코눈물관폐쇄 환자 12명 15안을 대상으로 코경유 눈물주머니코안연결술 시행 시 초음파 뼈흡인기(Cusa, Integra, New Jersey, NJ, USA)를 이용하여 누공을 만들었다. 결과: 모든 안에서 눈물 흘림의 완전한 개선을 보였고 합병증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수술 후 10개월 이상의 경과관찰 중 재발 소견은 보이지 않고 있다. 결론: 국내에서 처음으로 초음파 뼈흡인기를 사용하여 코경유 눈물주머니코안연결술을 시행하여 좋은 결과를 얻었으며, 초음파 뼈흡 인기를 사용한 수술법은 열손상과 연부조직 손상이 적고 빠른 시간 내에 정확한 골공을 형성할 수 있어 드릴 및 론저를 사용하는 방법을 대체할 수 있는 유용한 방법이라고 생각된다. Purpose: To report the results of 15 endoscopic dacryocystorhinostomy (eDCR) cases using ultrasonic bone aspirator (UBA) and evaluate the UBA efficiency in these surgeries. Methods: Fifteen eyes of 12 patients presenting with nasolacrimal duct obstruction were evaluated in the present study. eDCR and osteotomy were performed using UBA (Cusa excel, Integra, New Jersey, NJ, USA) from January 2014 to June 2014. Results: All the patients showed complete resolution of the epiphora. There were no complications or recurrences for a minimum of 10 months postoperatively. Conclusions: This is the first report on eDCR using UBA. The surgeries were successful and no complications were observed. eDCR using UBA is an easy, safe and effective technique with minimal heat production, minimal damage to the surrounding soft tissue and quick and precise bone remova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