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분단적대성’의 역사적 발원과 감정구조

        김종곤(Kim, Jong Gon)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8 통일인문학 Vol.75 No.-

        이 글은 ‘분단적대성’의 역사적 발원과 이를 재생산하는 감정구조를 살펴보면서 그 개념을 정립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에 이 글은 우선 해방시기부터 분단의 역사를 되짚어 보면서 분단적대성이 남북의 분단 그 자체로부터 나온 산물이 아니라 애초에 남북 분단에 냉전질서가 오버랩 되어 상대를 정적과 이단으로 삼는 정치논리에 착근되어 탄생한 감정/인식이라고 분석한다. 나아가 분단적대성은 그와 같이 남북의 냉전적 정치논리에 착근되어 탄생하였지만 오히려 ‘민족=국가’를 향한 동일성의 욕망을 좌절시키면서 그로부터 적대적 에너지를 수혈 받는 히스테리적 감정이라고 밝힌다. 이어서 이 글은 분단적대성의 재생산 메커니즘을 분단국가와 그것이 산출하는 분단의 감정공동체를 통해 분석하고 있다. 분석 결과 분단국가는 담론과 기억을 통해 분단적대성의 감정을 윤리화하고 위기-안보 담론에 기대어 분단적대성이 재생산될 수 있는 사회적 구조를 형성하고 있었다. 반면에 분단의 감정공동체는 분단국가의 사회적 의례를 비롯한 문화 전반에 걸쳐 분단적대성의 표출을 지지받고 집합적인 국가적 자아를 (재)생산하면서 분단의 감정 에너지를 분단국가로 실어 나르는 순환구조를 형성한다고 결론짓는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stablish the concept of ‘Division Antagonism’, looking at its historical origin and emotion structure. So first of all, this paper looks back divided history from the period of the liberation, and concludes that Division Antagonism was not a product made by division itself, but emotion-cognition rooted in the logic behind politics, regarding the opposite side as a political opponent and heresy, while order of cold war had overlapped with the division of South and North Korea. Furthermore, Division Antagonism is hysterical emotion that was born like that, but rather disappointed desire of identity for ’nation=state’ and was given a blood transfusion from it. Next, this paper analyzes reproductive mechanisms of Division Antagonism by observing divided nation and emotional community of division. Analysis shows that divided nation makes Division Antagonism into ethics and builds social structure reproducing Division Antagonism, based on crisis-security discourses. And analysis also shows that emotion community of division is received support to express Division Antagonism throughout cultures including social ceremony and (re)produces congregative national selfhood, consequently makes circulation structure to convey emotional energy to divided state.

      • KCI등재후보

        북한법 연구와 ‘법의 지배’ 원리

        김종곤(Kim Jong Gon) 건국대학교 통일인문학연구단 2010 통일인문학 Vol.49 No.-

        규범적 해석에 따르면 법의 지배가 실현되는 사회는 ‘정부와 개인의 행위에 대한 예측가능성’이 존재하는 곳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런 논의들은 북한법이 이러한 필요조건을 결여하고 있다는 입장에서 그것을 명목적이고 장식적인 법률로 간주한다. 즉, 북한법은 김일성 교시를 실현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죽은 법’에 지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런 입장에서 보자면 북한법은 규칙으로서 아무런 효력을 발휘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북한은 규칙 없는 사회가 된다. 하지만 법의 지배에 대한 규범적 해석은 법학자들의 상상력이 만들어 낸 허구일 수 있다. 왜냐하면 행위의 규칙성(regularity)이 반드시 규칙들(rules)의 결과가 아닐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의미에서 북한법이 자유주의 법률적 요소들을 명시적으로 결여하고 있다고 해서 1인 혹은 특정 정당에 의해 운영되는, 즉 안정성과 예측가능성을 보증하는 규칙성이 없는 사회로 판단하는 것과 그에 따라 가치 없는 법으로 결론짓는 것은 성급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또한 가치 평가적 해석에 비추어 북한 헌법을 ‘법의 지배’ 원리를 결여한 것으로, 즉 독재 권력에 의한 ‘법의 의한 지배’를 실현하기 위한 도구로 보는 입장이 있다. 이러한 입장에 따르면 실정법이 합법성의 형식적인 요건들을 모두 갖추었을지라도, 그것이 도덕원리의 표현인 개인들의 권리를 승인하지 않을 경우 온전한 합법성을 갖추지 못한 것으로 간주한다. 하지만 남과 북이 가지고 있는 법체계 혹은 그 법체계를 떠받들고 있는 정치 이념적 가치의 상대성 내지 당파성이 이러한 가치 평가적 입장을 흔들어 놓을 수 있다. 이는 법체계라는 것이 정치적 맥락과 떼어서 생각할 수 없다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법철학적 관점은 자신이 속해있는 국가의 법체계에 대해 보편성을 부여하고, 반성 없는 정당성을 뒤틀어 폐쇄적인 자기 동일성을, 외부를 형성하면서 만드는 결과를 놓을 수 있다는 점에서 우려할만하다. 따라서 북한법을 평가하는데 있어 적어도 세 가지를 고려해야 한다. 첫째, 북한법의 성립과정과 그 내용을 정치현실과 법과의 관계를 다각적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다. 둘째, 남한법학이 가지고 있는 개념에 대한 반성적 고찰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차이의 부각이 아닌 공통성을 확인하는 미래지향적 방향으로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According to the normative analysis, in the society that 'the rule of law' is realized 'the predictability for the government and individual behavior' exists. But these discussions, in a position that the law of North Korea(LNK) lack these necessary conditions, consider it to be nominal and decorative. In other words, LNK is just 'dead law' as a means for achieving the Kim Il Sung instructions. Looking at this position, LNK has no effect as a rule. Further, North Korea is a society without rules. However, the normative interpretation of the rule of law may be fiction that the imagination of the jurists embellished. Because the regularity of behavior may not be the result of the rules. In this sense, the reason that LNK lack of the liberal legal elements does not prove the discussion that North Korea is operated by one man or a particular political party and has not the rules to ensure stability and predictability. So, it can not be said that the LNK is the valueless law. The standpoint in the light of valuation analysis regard LNK as the law lacking 'the rule of law' principle. Namely, it consider it the tool for the realization of 'rule of law' of the dictatorship. According to these positions, although the positive law has the formal requirements of legality, it's seen as equipped with full legitimacy if it dose not approve the rights of individuals of an expression of moral principles. But this could be shaked by the legal system of South/North Korea or by the partisan and relativity of political ideological values determining that the legal system. This says that tha law system can not think without political context. These perspective of the legal philosophy has problems as: they grant universality and exclusive self-identity without self-reflection. Therefore, we must consider three points to evaluate LNK at least. First, we need to analyze relationship between the establishment process of LNK and the political reality. Second, we need to reflect the concept of South Korea law. Finally, we need future-oriented assessment to confirm commonness.

      • KCI등재

        ‘재일’ & ‘조선인’으로서의 정체성과 가치지향성

        김종곤(Kim, Jong Gon)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4 통일인문학 Vol.59 No.-

        재일 조선인은 일제식민지배가 끝난 이후에도 한(조선)반도로 돌아오지 못하고 식민지 종주국인 일본에 남아 ‘식민지-시간’을 살아야만 했던 코리언이다. 이들은 여전히 피식민지인으로서 일본이라는 국가와 사회로부터 배제 되고 차별을 받아야 했다. 그런 이유로 재일 조선인 1, 2세는 일본에 대한 저항의식이 상대적으로 강하게 나타날 수밖에 없었다. 재일 조선인 3세 역시 오늘날에도 현재진행형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재일 조선인에 대한 일본 사회의 차별과 배제로 인해 자신들의 권리를 쟁취하고자 하는 인정투쟁으로서의 저항의식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이들의 저항의식은 일방적인 희생자이기보다는 유연하고 탄력적인 삶에 대한 지향 속에서 형성되고 있다는 점에서 1, 2세와 동일하다고 할 수 없다. 그렇기에 이들의 가치지향성은 한(조선)반도라는 조국지향성으로 나타나기보다는 일본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살아가고자 하는 공생지향성으로 나타난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이것이 일본이라는 국가의 구성원으로서 편입되고자 하는 욕망으로 해석될 수는 없다. 이들은 오히려 ‘국가=정체성’이라는 국가중심주의적 사고를 벗어나 있으며, 일본이라는 국가뿐만 아니라 한국 혹은 조선이라는 국가와 자신의 정체성을 동일시하는 것도 부정한다. 이들은 국가 혹은 민족으로 완전히 환원되지 않는 ‘재일 조선인’이라는 정체성을 자신들의 삶 속에서 새롭게 구성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코리언의 민족적 합력 창출을 위해 이들과 소통하고자 한다면 무엇보다 차이로서 타자의 타자성에 대한 인정과 탈중심주의와 객관화를 통한 자기반성이 요구된다. 즉, 분단국가주의 혹은 한(조선)반도 중심주의의 관점에서 이들의 정체성을 재단하려는 시도를 벗어나려는 ‘국민국가에 대한 초월적 상상력’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Jaeil Joseonin are Koreans who could not come back to the Korean peninsula but had to live in Japan after the end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exclusion and discrimination are still a factor they have to live with. So first and second generation had to have spirit of resistance to Japan. Third-generation also is the same. They express the spirit of resistance as struggle for recognition to achieve civil and social rights. It is not identical to their ancestor’s. It aim at flexible life. Therefore their value orientation is headed for symbiosis in Japan, but not the Korean Peninsula. Even so, it didn’t be accepted as the desire to be member of Japan as State. They find self-identity outside nationcentrism of “State=Identity” because they deny to identify it with Japan, South Korea, North Korea. They construct the identity as “Jaeil Joseonin” in their life. So They resemble Antevasin who belongs to something and doesn’t belong to something at the same time. If we’re going to try to communicate and interact with them in order to create the resultant force of Korean, it is necessary to agree to otherness of other and to reflect on oneself through decentration and self-objectification. That is to say, we must get out of division-Statism or Korean Peninsula-centralism, sincere desire to have “imagination transcending a nation-state.”

      • KCI등재

        기억과 망각의 정치, 고통의 연대적 공감

        김종곤(Kim, Jong Gon)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5 통일인문학 Vol.61 No.-

        본 논문의 목적은 전상국의 소설 <아베의 가족>, <남이섬>, <지뢰밭>을 분석하면서, 분단서사의 안티테제로서 통합서사를 모색하는 것에 있다. 이에 우선 79년 작품인 <아베의 가족>을 통해 전상국은 상처의 기억을 망각하기보다는 적극적으로 ‘기억’하면서, 또 미래지향적인 삶의 기획 속에서 ‘공감’ 하기를 주문하고 있는 것으로 읽어낸다. 그리고 두 번째로 30여년의 세월이 흐른 뒤 세상에 나온 <남이섬>과 <지뢰밭>에서는 그러한 문제의식이 사회적 차원으로 이어지고 확장되면서 실천적으로 ‘애도의 주체-되기’를 제안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한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본 논문에서는 통합서사를 분단 역사에서 망각되었지만 흔적으로 남아 있는 것들에 대한 객관화의 시도이며, 삶의 고통이 지닌 질감이 생생하게 드러나도록 하는 ‘복원의 서사’라는 점을 주장한다. 또한 통합서사는 통합이라는 단어에 매몰되지 않고 공식적인 역사의 기억에 균열을 만들어내는 ‘균열의 서사’인 동시에, 고통의 연대적 공감을 요청하는 ‘연대의 서사’라고 말한다. 그리고 그것은 미래적 삶을 다시 재설계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현재를 재구성하는 것인 만큼 ‘정치변혁의 서사’라고는 점을 강조한다. 마지막으로 통합서사는 결국 다르게 기억하고 다르게 살기 위한 활동이라는 점에서 니체적 의미에서 ‘망각의 서사’라고 결론짓는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analyzes the novels of Jeon sang-guk, 〈The Family of Abe〉, 〈Namiseom Island〉, 〈Minefield〉 and attempts to find ‘Integration Narrative’ as the antithesis of ‘Division Narrative’. For this reason, I read as follows: First, Jeon sang-guk suggestes that we should not forget historical trauma and remember, sympathize with it, in 〈The family of Abe〉. Second, he extendes this critical mind to the social dimension and suggest that we should become the subject of condolences, in 〈Namiseom Island〉, 〈Minefield〉. From this analysis, this paper argues that Integration Narrative is the endeavor of objectification of remains which is forggeten in division history, and is ‘narrative of restoration’ which pains of life are vividly imagined. Further, it is ‘narrative of crack’ which makes crack of the official history memory. Besides, it is ‘narrative of solidarity’ which askes for solidarity of pains. It is ‘narrative of political reform’ in respect that it redesigned the future-oriented life and restructures the present. Lastly, since it is the practice to remember and live differently, it is ‘narrative of oblivion’ in sense of Nietzsche.

      • KCI등재

        남북분단 구조를 통해 바라본 `탈북 트라우마`

        김종곤 ( Kim Jong-gon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4 문학치료연구 Vol.33 No.-

        본 논문은 탈북 트라우마가 개인적 트라우마로 환원되지 않으면서도 또 동시에 난민/이주민과 구분되는 특수성을 지니고 있다는 점에서 한국 입국 `탈북자`가 지닌 존재적 특수성과 그 존재가 세계와 맺는 관계를 고려하면서 `탈북 트라우마` 개념을 시론적으로 정립하고 나아가 그에 대한 치유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우선 탈북 트라우마를 탈북과정에서 겪는 외상적 경험에 의한 것만으로 한정하는 것은 난민 트라우마와 구분되지 못하게 만들면서 변별점을 상실한다. 왜냐하면 한국입국 탈북자는 `민족적 동일성`에 대한 욕망을 지니고 있다는 점에서 난민과 다르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탈북 트라우마는 한국 사회에서 정착하고 적응하는 과정에서 사회적 편견과 차별을 경험하면서 동일성의 욕망이 좌절되면서 발생하는 트라우마와 절합되어 있는 것이다. 이는 단지 한국 주민들의 인식적 차원의 구분짓기가 아니라 분단이라는 한반도의 구조로 인한 것이다. 따라서 탈북 트라우마는 개인을 초월하여 있는 구조에 의해 발생하는 `집단 트라우마`로 접근해야 한다. 문제는 탈북자들 스스로가 한국 사회의 편견과 차별에 대응하는 방식이 오히려 이들의 트라우마를 치유불가능하게 만든다는 것이다. 이들은 한국에 입국한 후 한국의 주민으로 동일화를 시도하는 과정에서 강박적이고 원한적인 감정에 사로잡혀 북을 적대적으로 타자화 한다. 하지만 그러한 타자화는 역설적이게도 한국 사회 내에서 이들을 고립시키고 심지어는 상품화하는 것으로 이용된다는 점에서 트라우마를 재생산하는 구조를 강화하고 나아가 치유할 수 없게 만드는 모순적인 결과를 낳고 만다. 그렇기에 탈북 트라우마를 치유하기 위해서는 탈북자 스스로 북으로 향해 있는 파토스의 에너지를 한국사회와의 연대성을 형성하는 것으로 돌릴 필요가 있다. 하지만 한국주민들이 여전히 이들을 북의 주민과 동일시하면서 타자화한다면 거세 공포를 지니고 있는 탈북자는 주체적으로 `말하기` (Lοgos) 를 시도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탈북 트라우마의 치유는 탈북자 집단만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분단 구조로 인해 한국 사회에 고착화되어 있는 분단 트라우마를 치유하는 것과 병행되어야 할 문제로 보아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stablish the concept of North Korea-defection Trauma and to suggest the way of healing it. North Korea defection Trauma is not reduced to individual trauma. and it has distinctiveness in a different from refugee trauma. We must not confine North Korea defection Trauma to trauma by experience of North Korea-defection process. Because North Korean defectors entering Korea are different from refugee in that they have desire for National Indentity. So North Korea defection Trauma articulate with trauma that has been arisen by social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in Korea. But this trauma is not created by the conscious distinction of South Korean, division structure of the Korean Peninsula. Therefore this trauma is collective trauma transcended individual. The problem is that way of response to Korean social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lead to impossibility of healing. They make North Korea into the hostile other, in fetters compulsive, rancored emotion, in the process of identification with South Korean. But paradoxically it isolates them in Korea society, goes as far as to commercialize, so it prcduces paradoxical result that reinforces the structure reproducing trauma. Thus they must turn energy of pathos toward North Korea into the development of solidarity with South Korea society, so as to heal North Korea-defection Trauma. Nevertheless, if South Koreans still make them to the others, they can not try to speak(Logos) with subjectivity in a state of castration fear. So we must heal North Korea defectors Trauma as well as Division trauma fixed by division structure.

      • KCI등재

        분단국가주의에 맞선 주체로서 "문학가" - 류연산의 <인생숲>을 바탕으로

        김종곤 ( Jong Gon Kim ) 한국문학언어학회(구 경북어문학회) 2016 어문론총 Vol.68 No.-

        이 글은 류연산의 <인생숲>을 텍스트로 삼아 분단국가주의에 맞선 주체 형성에 대해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첫째, <인생숲>의 주인공이 전쟁으로 인한 고통에 이성적·관조적 주체가 아닌 그 고통에 참여하는 주체이며, 나아가 분단국가주의가 생산하는 숭고함을 추락시키고 새로운 담론을 형성하는 분열적 주체라는 점을 분석적으로 읽어낸다. 둘째, 그러한 주체가 바로 분단국가주의 가 만드는 역사 서술 형식을 문제 삼고, 과거의 역사를 재구성함으로써 현재와 미래의 삶을 다르게 점치게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새로운 예언적 주체임을 논의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이 글은 그러한 예언적 주체가 감정공동체를 만들어가 는 과정에서 형성 가능한 것이며, 이때의 주체는 분단 폭력과 고통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는 ‘문학가’에 다름 아니라는 점을 주장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discuss about formation of subject against divided nationalism from Yu, Yon-san’s novels “Forest of Life”. So first, we read the main character not as rational and contemplative subject, as subject who empathizes with other’s pain, divided subject who denies sublimity of divided nationlaism and makes new discussion. Second, we discuss that such subject is “predictor” who makes an issue of frame of historical presentation, predictes retroactively the history of past. Lastly, this paper argues that such subject could be formed from construction process of emotional community, is nothing but “writer” who could react sensitively to division-violence and pain.

      • ‘믿음의 믿음’으로서의 ‘물신숭배’

        김종곤(Kim Jong Gon) 건국대학교 통일인문학연구단 2009 통일인문학 Vol.48 No.-

        맑스는 노동생산물 간의 가치관계가 전도되어 물체와 물체 사이의 관계라는 환상적인 형태를 띄는 것을 물신숭배라 부른다. 그런데 맑스에게 있어 물신숭배가 발생하는 메커니즘은 인식적 오류에 기인한 행위가 아니다. 오히려 그것은 관습 내에서의 일반적 행위 규칙이 무의식의 영역으로 침투함으로써 발생하는 것이다. 지젝은 이를 정확하게 지적한다. 그에 따르면, 맑스는 물신의 비밀을 형식 이면이 아니라 상품관계와 교환이라는 형식 자체에서 찾고 있다. 즉, 그가 보기에 물신숭배는 객관적이고 현실적인 인간의 행위를 통해 무의식으로 전이되어 믿음으로서 현상하는 것이며, 맑스의 물신숭배는 ‘사유추상’이 아닌 ‘현실추상’의 현상형태를 설명하는 것이다. 그런데 현실추상의 현상형태로서의 물신숭배는 ‘믿음’이라는 주관과 관계한다. 맑스는 자본에서 4단계의 형태, 즉 단순가치 형태 - 확대된 가치형태 - 일반화된 가치형태 - 화폐형태를 통해 상품이 어떻게 믿음을 통해 교환되는지를 보여준다. 결론적으로 상품의 가치는 교환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믿음을 통해 정해질 수밖에 없으며, 그러한 교환 속에 있는 인간은 상품관계 속에 내재해있는 인간관계를 보지 못하고 상품 자체에 대한 믿음만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주체의 직접적인 대응물로서의 외부화된 내부 물질”로서의 배설물은 오히려 “적대되는 지배의 외적 양식”이라는 관습적 구조 속에서 주체를 지배한다. 그리고 나아가 그 주체는 공동체내의 구성원들과 행위양식과 대타자에 대한 믿음을 공유한다. 따라서 주체가 믿는 것은 타인의 믿음이며, 맑스가 설명하고자 했던 물신숭배 또한 이와 같은 ‘믿음의 믿음’이라 할 수 있다. The relation of value between products of working is reversed, and is seen a fantastic body shape as the relation between objects. It is called fetishism by Marx. For Marx, however, the Mechanism of fetishism is not caused by congnitive errors. Rather, it is producted by which the general rule of acts within customary infiltrates into the realm of the unconscious. Zizek precisely points this. According to him, Marx is looking for the secret of fetish at the type itself - relation of commodities and exchange, not at the hidden side of the type. In other words, for him, fetishism is a phenomenon as belief, which translate into the subconscious through objective and realistic human behavior. In my view, his suggestions are vaild. In Capital , Marx shows, in the form of four steps, namely the elementary form of value, the expanded form of value, the general form of value, the money-form, how commodities are exchanged through belief. As a result, the value of commodities necessarily is fixed in the exchange process, the man in that exchange doesn't see the human relation inherented in the relation of commodities, has only belief on commodities themselves. So the waste, 'an internal matter appeared on the outside as direct counterparts of the subject' governs subjects in the structure of the customary rule of 'external forms of the hostile goverance'. Further, those subjects share the mode of action and the belief for 'the Other' with members of the community. Therefore, what subjects believe is the belief of others, and the fetishism that marx explained also can be called such 'the belief of belief

      • KCI등재

        통일 이후 과거청산을 위한 ‘듣기의 윤리’

        김종곤(Kim, Jong Gon)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1 통일인문학 Vol.88 No.-

        이 글의 목적은 전시 학살에 대한 기억이 다른 남북이 통일 이후 과거청산을 하는 데에 있어 지향해야 하는 바를 논의하는 데에 있다. 먼저 이 글이 문제 삼는 것은 가해자를 밝혀내는 데에만 집중하면서 생존피해자의 증언을 사법적이고 실증주의적으로 다루는 듣기의 방식이다. 가해자를 규명하는 것은 과거청산에 있어 매우 중요하며 필수적인 과정이다. 그렇지만 국내외의 사례에서 보듯이 "가해자 가려내기"에 과도하게 집중하여 증언을 듣는 순간, 생존피해자가 "고백"하는 고통의 소리에 둔감하게 만든다는 한계를 낳는다. 그런 이유로 이 글은 1950년 북에서 자행되었던 신천학살사건을 하나의 사례로 살펴보면서 생존피해자가 중심부에서 배제되지 않는 증인과 청중 간의 정동적 관계맺음을 ‘듣기의 윤리’로 제시한다. 또 그러한 윤리에 기초할 때 비로소 생존피해자의 비언어적인 ‘발화’(고통의 고백)에 청중이 실천적으로 ‘응답’하는 앙가주망이 가능해질 수 있음을 논의한다. 마지막으로 이 글은 증인과 청중 간의 발화-응답의 관계 맺음이 문화적 구속으로서 ‘집단기억’을 형성하는 데에 바탕이 될 때 남북의 이데올로기적 입장에 휘둘리지 않으면서, 생존피해자의 회복과 피해로서의 권리 보장을 위한 사회적 지지를 확대·강화할 수 있는 정치문화의 형성이 가능하다고 주장한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discuss what the two Koreas should commonly pursue in liquidating the past after reunification. In particular, what this article takes issue with is a listening method that deals with the testimony of the surviving victim judicial and positivist while focusing only on identifying the perpetrator. Identifying the perpetrator is very important and essential for past liquidation. However, as seen in domestic and foreign cases, the moment you listen to testimony by focusing excessively on "screening out perpetrators," it creates a limitation that it insensitivity to the sound of pain in which surviving victims "confess." For that reason, this article examines the Sincheon Massacre in North Korea in 1950 as an example and presents the establishment of an affective relationship between witnesses and audiences whose surviving victims are not excluded from the center as “the ethics of listening”. In addition, it is discussed that only based on such ethics can a "response" to the non-verbal "speech"(confession of pain) of surviving victims become possible. Finally, this article argues that when such an utterance-response relationship is based on forming a "collective memory" as a cultural restraint, social support for the recovery of surviving victims and guaranteeing their rights as damage can be expanded and strengthened.

      • KCI등재

        소설 『벗』을 통해 본 북한의 ‘가족주의’와 ‘젠더정치’

        김종곤(Kim, Jong Gon)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1 통일인문학 Vol.86 No.-

        남북의 가족주의는 공통적으로 ‘가부장적 가족주의’에 기초해 있었다는 점에 대해서는 이견이 있을 수 없다. 남북의 가족주의가 가부장적이었다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남북의 가족에서 여성은 각각의 국가적 체제의 전략과 호응하면서 ‘상이한’ 형태로 종속화 및 주변화의 경향성을 보인다. 이는 여성이 안정되고 일관된 젠더 범주가 아니라 권력 관계 속에서 만들어지는 수행적 범주이며, 또 그렇기에 여성은 좁게는 가족 내에서 넓게는 국가적 차원에서 어떤 상징성으로 규정된다는 의미이다. 하지만 동시에 여성 젠더의 상징적 규정이 사회적 조건의 변화에 따른 가변적이라는 점은 현실에서 여타의 요소들(가령 타 이데올로기)과 경합하거나 그로 인해 번복될 수 있으며 더 나아가서는 상징성의 잠재적 균열성이 표면화될 가능성이 열려있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이 글은 이러한 문제의식에 기초하여 백남룡소설 『벗』(1988)을 읽으면서 북쪽의 독특한 가족주의의 지형 위에서 펼쳐진 ‘젠더 정치’(gender politics)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에 이 글은 우선 소설 『벗』이 주체사실주의와 3대혁명을 반영하는 1980년대 북한 소설의 일반적인 특징을 공유하면서 이혼이라는 ‘현실문제’ 를 주제로 삼고 있다는 점을 개괄한다. 그렇지만 이 글이 주목한 점은 ‘현실문제’를 다루는 소설 속에서 ‘여성’을 어떻게 호명하고 있는지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이를 통해 북의 젠더 균질화 정책과 가부장적 이데올로기 간에 간극이 발생하고, 그 간극에서 모순적 호명에 대한 의심이 제기될 수 있음을 논의한다. 하지만 이어지는 논의에서는 그러한 의심 제기의 가능성을 북의 사회적 대가정론과 국가 후견주의가 결국 봉합해버리고 여성을 다시 가부장적 질서 내에 위치시킨다는 점을 보여준다. 결론적으로, 이 글은 소설 『벗』이 북의 현실문제를 다루면서 의도했든 아니든 간에(여)성해방을 위해 대결해야 하는 것은 가부장적 이데올로기만이 아니라 그것을 지속시키는 (여)성 억압적 국가가부장제라는 점을 스스로 드러내고 있다고 해석한다. There can be no disagreement on the fact that familism in North and South Korea has been commonly based on "patriarchal familism." In terms of the patriarchalism of the two nations, women in families within the two Koreas are subordinated and marginalized in a "different" form in response to the strategies of their respective national systems. This is not a stable and consistent gender category, but a performance category created in power relationships. Therefore, women are defined as a symbol at a national level, broadly within the family. However, the fact that the symbolic regulations of the female gender are variable due to changes in social conditions also implies that they can compete with or reverse other elements in reality (e.g., ideology) and further open the possibility of a potential crack in symbolism. Based on this problem, this article examines Friend (1988)--the novel by Paek Nam-Nyong--to explore the "gender politics" with respect to the unique landscape of familism in North Korea. In response, this article first outlines the fact that Friend shares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North Korean novels in the 1980s, which reflect subject realism and the three major revolutions, and uses divorce as its theme. However, this article focuses on how the novel presents "women" as dealing with "real problems." Additionally, the article discusses the gap between North Korea"s gender homogenization policy and patriarchal ideology, which may raise doubts about contradictory calls. However, subsequent discussions show that the possibility of raising such suspicions is eventually sealed by North Korea"s social grandiose theory and national patronage, which places women back into the patriarchal order. In conclusion, this article reveals that it is not only a patriarchal ideology, but also a patriarchal state that sustains the system. Thus, regardless of whether Friend accurately represents the reality of North Korea, sexual liberation must be strived for in the n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