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보행길 유형화를 통한 보행환경개선에 관한 연구

        김제훈 동의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Walking is the most basic and important way of transportation in relation to the movement of people. However, as a transportation policy focused on the automobile is proceeded, the interest and importance of walking is decreased. So, improvement of walking environment is insufficient. A safe walking space is the most important criterion for measuring the attraction of a city and linked to the quality of life of citizens. Hence efforts to improve the walking environment are being increased to create attractive city spaces an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for citizens. A walking path, which is the main movement space for pedestrians, is not a term that has a clear definition or legally defined concept, but in this study, a walking space where walking is mostly performed is defined as a walking path. A walking path is not simply a space for movement, but an active space where various activities are developed and are being used as an important method for forming social bonds. The improvement of the walking environment for a walking path is approached only from the perspective of facilities, but improvement of the walking environment reflecting the patterns of the surrounding area should be formed in consideration of the patterns of the walking path with connection with the surrounding area. In other words, we should classify the types of a walking path in consider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alking path and the surrounding area, and to proceed the improvement of the walking environment for each type. Therefore, in this study, the classification of road types, which is a higher concept of a walking path, is executed, and based on this, the types of walking paths are classified. Therefore, the status of roads in Busan is analyzed through GIS data, and based on this, the road types are classified in consideration of the road and land use adjacent to the road. Nine road types are classified in consideration of the scale of the road and the spatial patterns of the area adjacent to the road. And, based on the classification of the road type, the walking path types are classified with additionally applied formal patterns of a waking path. Walking path types are classified into total 11 types: 4 arterial types, 3 collecting types, and 4 alley types. Case regions for each type of a walking path are established to identify the patterns of the classified walking path types and to derive improvement plans for each type. And improvement plan reflecting the patterns of the surrounding area with basic facility maintenance are suggested in consideration of the patterns of the case regions. Improvement of the walking path is established moving away from a uniform improvement plan through the improvement plan for each type for a walking path. Thereby, there will increase the efficiency for walking of the pedestrian and improve walking satisfaction. And a plan for creating a walking space that can satisfy both local residents and users is suggested, focusing on the functions of the walking path. Through these processes and results, it is judged that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c direction and guideline for the promotion of the walking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 and the walking path creation project in Busan in the future. Road types are classified based on natural patterns and types of walking paths and suggestion for improvement are presented based on this classification.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present more detailed classification criteria or to subdivide the spatial forms of roads for the classification of road types not just in terms of land use. It is considered to proceed with more detailed classification criteria through future research. 보행은 사람의 이동과 관련하여 가장 기초적이면서 가장 중요한 통행수단이다. 그러나 자동차 위주의 교통정책이 추진되면서, 보행에 대한 관심과 중요성이 낮아지게 되어 보행환경에 대한 개선은 미흡한 실정이다. 안전한 보행공간은 도시의 매력성을 측정하는 가장 중요한 기준이자, 시민의 삶의 질과 연결된다. 이에 매력적인 도시공간을 창출하고 시민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 보행환경 개선에 대한 노력이 증가하고 있다. 보행자의 주요 이동 공간인 보행길은 명확한 정의나 법제도적으로 개념이 명시되어 있는 용어는 아니나, 본 연구에서는 보행이 주로 이루어지는 보행공간을 보행길로 정의하였다. 보행길은 단순히 이동만을 위한 공간이 아니라 다양한 활동이 전개되는 활동적인 공간으로 사회적 유대관계를 형성하는 중요한 매개체로도 활용되고 있다. 보행길에 대한 보행환경개선은 시설적 측면에서만 접근하고 있으나 주변지역과의 연계성을 가진 보행길의 특성을 고려하여 주변지역의 특성을 반영한 보행환경개선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즉, 보행길과 주변지역의 관계를 고려하여 보행길의 유형을 분류하고, 유형별 보행환경개선을 추진해 나가야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보행길의 상위 개념인 도로의 유형의 분류를 시행하고, 이를 토대로 보행길의 유형을 분류하고자 하였다. 그래서 부산시 도로의 현황을 GIS 데이터를 통해서 분석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도로와 도로에 접한 토지이용을 고려하여 도로의 유형을 분류하였다. 도로의 규모와 도로의 접한 지역의 공간적 특성을 고려하여 9개의 도로 유형을 분류하였다. 그리고 도로의 유형분류를 기준으로 보행길의 형태적 특성을 추가적으로 적용하여 보행길 유형을 분류하였다. 보행길 유형은 간선형 4개, 집산형 3개, 골목형 4개의 유형으로 총 11개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분류된 보행길 유형의 특성을 파악하고, 유형별 개선방안을 도출하기 위해서 각 보행길 유형별 사례지역을 설정하였고, 사례지역의 특성을 고려하여 기본적인 시설 정비와 함께 주변지역의 특성을 반영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보행길 유형별 개선방안을 통해서 일률적인 개선방안에서 벗어나 지역의 특성을 고려한 보행길 개선이 이루어지면서, 보행자의 통행 효율성 증대와 보행 만족도를 향상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보행길이 가지고 있는 기능을 중심으로 지역 주민과 이용자 모두 만족할 수 있는 보행공간의 창출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과정과 결과를 통해서 본 연구가 향후 부산시의 보행길 보행환경개선사업 추진 및 보행길 조성 사업에 있어서 기초적인 방향 제시와 가이드라인으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자연적 특성을 중심으로 도로의 유형을 분류하였고, 이를 토대로 보행길 유형 분류와 개선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향후 도로의 유형 분류에 있어, 토지이용적 측면에서 보다 세부적인 유형 분류 기준을 제시하거나, 도로의 공간적 형태를 세분화하는 방안도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는 향후 연구를 통해서 보다 세분화된 분류기준을 마련하여 진행해 나가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사례 분석을 통한 건설공사 부실방지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김제훈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IMF( International Monetary Fund )에 의하면 2016년 국내 총 생산 (GDP)는 1656조9900억원 ( 1조5300억 달러) 에 달하며 그중에서 건설수주액이 차지하는 비중은 대한건설협회에 의하면 164조8757억원으로 약 10%를 차지하기에 국민생활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건설공사가 부실공사로 이어질 경우 국민생활에 미치는 영향은 상당히 크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한번 부실공사로 이어져 건물 붕괴로 이어질 경우 상당한 재산피해와 인명피해는 피할 수 없다. 그러하기에 건설공사에서의 부실공사를 줄이는 것은 상당히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물론 사람이 하는 것이기에 부실공사를 제로화 할 수는 없다. 특히 건설공사는 각종 제도의 종류도 많고 단계별 진행과정이 여타 산업에 비해 복잡하기에 부실공사의 발생 소지가 많다. 하지만 기존의 제도를 정비하고 보완하며, 새로운 제도를 도입하면은 부실공사는 최소화할 여지는 얼마든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부실공사의 사례를 분석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방안을 도출하여 부실공사 최소화시킴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기존문헌을 통하여 단계별 부실공사가 일어나는 원인 및 대책을 알아보고 실제 사례에서는 부실공사가 일어나는 원인을 조사하고 방지책을 확인한다. 그리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1. 책임시공제를 실시한다. 건설공사는 많은 단계별로 이루고 그에 따른 책임주체도 서로 다르다. 그러므로 각각의 책임소제가 불분명한 경우가 많이 있다. 이것을 기획에서 감리까지 전부 건설사가 책임시공을 함으로써 건설사의 보다 많은 권한을 부여함으로써 책임소재의 분명화와 단계별 발생하는 부실공사의 발생요인을 최소화 한다. 2. 최저가 낙찰제를 지양한다. 최저가 낙찰제를 함으로써 이어지는 미숙련된 작업자, 저가의 자재, 안전관리의 소홀화로 이어져 부실공사로 이어진다. 그러하기에 최저가 낙찰제보다 종합평가방식을 지향해 최저가 낙찰제로 인한 부실공사를 최소화 한다.

      • 社會敎育機關으로서의 公共圖書館에 관한 硏究 : 서울特別市를 中心으로

        김제훈 明知大學校 社會敎育大學院 1991 국내석사

        RANK : 247631

        A. 要約 이 硏究의 目的은 韓國公共圖書館의 運營實態, 問題點을 硏究함으로 社會敎育 役割遂行을 위한 改善點을 提示함에 있었다. 硏究를 爲한 資料는 社會敎育的 性格 규명을 위하여 문현연구에 의존하였으며 現況은 이차적 데이타를 使用하였고, 利用者와 運營動態는 設問紙 發送 및 回收된 結果의 分析에 의존하였다. 資料의 分析은 빈도, 百分比에 의하여 산출하였다. 이 硏究에서 얻어진 結果는 다음과 같다. 1) 運營實態를 파악하기 위하여 여러가지 資料運營이나, 예산, 직원 現況등에 대하여 알아본 결과, 장서보유에 있어서 충분하다는 답은 19 %에 그치고 50 %가 불충분하다는 답이었고, 자료가 다양하게 구비되고 있다가 2 3%, 그렇지 않다 51 %,자료제공은 잘된다는 응답이 36 % 그저그렇다 39 %로 답함으로서 장서보유와 자료제공이 불충분함을 알 수 있다. 열랄실사용이 위주라는 답은 25 %, 자료제공이 주업무라는 답은 58 %였으며, 가장 설치하고 싶은 열람실은 成人, 靑少年 열람실 32 % ,특별(연구지정) 열람실이 27 %로서 社會敎育活動을 바라고 있었다. 또한 社會敎育施設에 있에서는 음악감상실, 전시실, 휴게실순으로 設置를 희망하였는데, 基本的인 휴게실의 설치도 절실함을 알수 있다. 公共圖書館運營을 위해 重要한 것으로 예산의 충분한 지원이라고 50 %가 답합으로서 충분한 예산의 책정이 요구되고, 이용자들의 도서관에 대한 인식이 먼저 갖추어져야 한다는 응답도 27 %에 달해 社會敎育을 통한 도서관이용교육도 重要함을 알 수 있다. 社會敎育 전람 부서나 직원의 여부에 있어서 없다가 54 %, 있다가 27 %로 응답하여 예산의 充分한 策定에 따른 전문적인력의 채용이 병행되어야 하겠다. 지역내에서 자원봉사자 활용도는 안되고 있다가 74 %, 그저 그렇다가 38 %로 저조하였다. 그러나 근무지로서의 도서관의 분위기에 대해 54 %가 좋다. 나쁘다는 24 %로 양호함을 할 수 있다. 2) 利用者現況을 파악한 결과 主로 학생층에 편중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청소년이나 일반성인들의 도서관이용은 불과 6.1 %에 지나지 않아 일반성인들의 도서관의 참여를 위해 많은 努力이 경추되어야 하겠다. 또한 主로 利用하는 學生中에서도 40.5 %가 대학 입시 준비생인 것으로 드러나 도서관이 열람실 위주로 活用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公共圖書館이 사회교육기관으로셔 成人들의 계속적인 교육의 장으로 活用되어야 한다는 認識을 많이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社會敎育 프로그램의 重要性에 대해 77 %가 重要하고 必要하다고 응답한 것으로 보아서 充分히 인식을 하고 있지만 그 運營에 있어서는 職場犬, 主婦에 대해 各 6 % , 14 %만 잘 운영된다고 응답한 것으로 보아 아직도 미비한 점이 않았다. 우선 다양한 계층의 사람들을 도서관으로 유입시켜야 하겠고 그들을 위한 프로그램을 선정하는데에는 프로그램 參與者들의 要求調査와 그들의 特性을 充分히 감안하여 전문가가 선정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프로그램을 계획하여 설계로 運營하는데에도 社曾敎育的인 가치와 효과등을 고려하여야한다. 4) 弘報實態를 조사한 결과 弘報를 하고 있다가 55 %, 그저그렇다 22 %였으며 弘報方法으로는 發行物을 통해 53 %, 매스미디어 30 %였다. 인쇄물은 도서관요람 37 %,도서관보 26 %를 이용하고 있는데, 公共圖書館이 弘報活動은 하고 있으나 그 方法에 있어서는 몇가지로 한정되어 있어 큰 效果를 거두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社會敎育機關으로서 보다 能動的이고 積極的인 역할을 遂行하기 위해 弘報活動을 活潑하게 展開하여야 하며 지역사회주민들로 하여금 圖書館에 對한 관심증진과 參與度를 높여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여러가지 다양한 매체를 活用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다. 5) 館外奉仕活動을 파악한 결과 貸出方法에 었어 個入이 54 %, 단체 33 %, 가정 11 %이있고 도서이동차량은 19 %만이 活用하고 있었다. 館外奉仕 說置를 希望하는 순서는 자동차문고와 대출문고가 各 24 % , 분관 22 %였다. B. 結論 公共圍書館이 앞으로 國民들의 圖書習慣의 계도와 아울러 社會敎育施設 및 기관으로서의 技能을 强化하교 國民文化水準을 向上시키는 주역이 되기 위해서는 地城住民들의 要求에 부응하는 교양, 문화센터로서의 시설과 자료의 구비가 先行되어야 할 것이고, 利用者層을 폭넓게 수용할 수 있는 社會敎育프로그램의 硏究와 다양한 弘報매체를 活用하여 館內로 유인하고 圖書館에 대한 認識을 주지시켜야 할 것이며, 이에 따른 예산의 지원과 자체 수익 방안도 연구되어야 할 것

      • 크렉 데이비드(Craig David)의 리듬에 따른 보컬 스타일 연구 : [Greatest Hits] 앨범을 중심으로

        김제훈 상명대학교 문화기술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2스텝 음악의 리듬 형식을 대중화 시킨 크렉 데이비드(Craig David)의 데뷔 10주년을 기념해 만든『Greatest Hits』앨범의 2스텝 장르의 곡 5곡을 선정하여 각곡들의 가창 스타일을 분석하고 2스텝의 리듬적 특징을 보컬에 어떻게 적용하였는지 연구하였다. 그 후 분석한 내용을 2스텝 리듬을 활용할 수 있는 4/4박자 곡이면서 리듬 특성이 적용 가능한 5곡에 응용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 방법은 크게 세 가지로 분류 한다. 첫째, 크렉 데이비드의 빠른 비트에서 나오는 안정된 중저음의 발성특징과 크렉 데이비드만의 가창 스타일에 대해 연구한다. 둘째, 2스텝이라는 리듬형식의 발전과정을 알아보고 리듬의 특징을 연구 분석한다. 그리고 크렉 데이비드가 2스텝 리듬특징을 보컬에 어떻게 활용하였는지 연구한다. 셋째, 크렉 데이비드의『Greatest Hits』에서 선정한 곡들을 분석하고 다른 장르의 곡들에 응용하여 새로운 편곡 스타일을 제시한다.『Greatest Hits』앨범에서의 곡 선정기준은 수록 곡 15곡 중 2스텝 위주의 곡이며 크렉 데이비드의 곡 중 가장히트를 기록하고 대중적으로 성공을 이뤘던 ‘Rise&Fall', ‘7Days', ‘Walking Away', ‘Insomnia', ‘What's Your Flava'곡을 선정하였으며, 각 곡들의 전반적인 음악형식과 조성 및 리듬을 분석하고 2스텝 리듬에 따른 다양한 가창 스타일을 분석했다. 적용 곡들은 ‘Shape Of My Heart', 자작곡인 ‘I Wish', ‘The Blower's Daughter', ‘Ordinary People', ‘Breezy'를 선정했다. 그리고 각곡들의 분석에 맞는 2스텝 리듬을 적용하여 리듬에 변화하는 가창 스타일을 얻어냈고 리듬에 변화된 새로운 편곡 또한 얻어냈다. 본 논문의 연구와 적용을 통해 장점과 동시에 한계점 또한 발견 되었지만 앞으로 리듬적인 아이디어를 통해 더 많은 보컬의 가창연구가 지속되길 기대해본다. The present article investigated Craig David, who popularized the 2-step rhythms, and selected 5 songs of the 2-step genre on the 『Greatest Hits』 album released in honour of the 10th anniversary of Craig David’s debut. Particularly, the present study analysed each of the five selected songs for their singing styles to find out how the 2-step rhythmic characteristics were applied to the vocal. Then, the findings from the analysis were applied to 5 four-four-time pieces, to which the 2-step rhythmic characteristics were applicable. This article largely adopted three methods. Firstly, it explored Craig David’s stable mid-/low-pitched voice-production from fast beats and his original singing styles. Secondly, this study reviewed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2-step rhythms and analys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rhythms as well as how Craig David applied the 2-step rhythms to his vocal. Thirdly, the songs selected from Craig David’s 『Greatest Hits』were analysed to apply the findings to other genres, so as to present new arrangements. The selection of songs from the 15 pieces on the 『Greatest Hits』album was based on the 2-step rhythms. Specifically, Craig David’s greatest hits such as ‘Rise & Fall,’ ‘7 Days,’ ‘Walking Away,’ ‘Insomnia,’ and ‘What’s Your Flava’ were chosen for the analysis. Each piece was analysed for the overall musical forms, compositions and rhythms. Also, diverse singing styles based on the 2-step rhythms were analysed. ‘Shape of My Heart’ and my own compositions–‘I Wish,’ ‘The Blower’s Daughter,’ ‘Ordinary People’ and ‘Breezy’-were selected for applying. By applying the 2-step rhythms to each piece, singing styles with rhythmic variations were obtained. New arrangements with different types of rhythms were also attained. Although the present study and applications revealed both strengths and limitations, future studies should continue to delve into singing styles of more vocals based on the ideas of rhythms.

      • Preparation of HDPE/Nylon 11, 12 Blends and Its Barrier Properties

        김제훈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범용 폴리올레핀계 수지인 HDPE의 가스 및 수증기 차단성을 증대시키고자 HDPE와 폴리아미드계 저융점 nylon 11 또는 nylon 12를 블렌드하여 보틀형태의 성형품으로 제조하였다. 또한 HDPE와 nylon 11 또는 nylon 12의 상용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열중합법과 감마선 조사를 통해 상용화제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상용화제의 FT-IR과 원소분석을 통해 공중합율을 확인한 결과 열중합으로 제조한 상용화제에 있어서 maleic ahhydride의 함량 증가에 따라 높은 공중합율을 나타냈으며, 반면에 25~100KGy 사이의 감마선 조사량은 공중합율에 영향을 주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블렌드 보틀의 열적 특성을 DSC를 통해 확인한 결과, HDPE에 비해 용융온도가 4~6℃ 상승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SEM을 통해 블렌드 보틀의 표면형태를 확인한 결과 상용화제로 EPDM을 사용한 블렌드 보틀의 외/내부 표면이 상용화제로 maleic anhydride를 공중합한 HDPE를 사용한 블렌드 보틀보다 더 거칠은 표면형태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결과를 통해 HDPE와 nylon 11 또는 nylon 12를 블렌드함에 있어서 maleic anhydride를 공중합한 HDPE가 상용화제로 보다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인장강도에 있어서는 상용화제의 공중합율이 높을수록 nylon 11 또는 nylon 12와의 블렌드에 있어서 성능을 개선시킴을 확인하였다.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차단성에 있어서는 maleic anhydride를 공중합한 HDPE를 상용화제로 사용한 블렌드가 EPDM을 사용한 블렌드에 비해 차단성능이 뛰어남을 확인하였다. 수증기 차단성에 있어서는 HDPE / nylon 11 블렌드가 HDPE / nylon 12 블렌드에 비해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To improve the gas barrier property of HDPE, the high gas barrier resins such as nylon 11 and 12 were blended with HDPE. In this study, to improve the compatibility between the HDPE and nylon 11 and 12, the compatibilizer was prepared by melt free radical grafting and gamma-irradiation grating and the gas and water vapor permeabilities of blended resin were measured after preparing bottles. The graft of the maleic anhydride and acrylic acid on HDPE were confirmed using FT-IR spectra and elemental analysis. In the melt free radical grafting, higher composition of maleic anhydride give the higher grafting ratio. However, irradiation dose of gamma-ray had no effect on grafting ratio. Thermo-oxidative degradation behavior of the compatibilizer sustained the similar thermal stability after grafting. In the blend of HDPE and nylon 11 and 12, the melting temperature increased about 4~6 ℃ in comparison with pure HDPE. In the morphologies of the bottle, blend samples containing ethylene propylene diene rubber (EPDM) as a compatibilizer showed the rougher outer/inner surfaces morphology in comparison with blend samples with maleic anhydride, indicating that maleic anhydride grafted HDPE compatibilizer was more effective than EPDM. The tensile strength increased with the graft ratio of compatibilizer in blends containing nylon 11 and 12. In addition, the tensile strength of blend containing the nylon 12 was superior to the blend with nylon 11. In the gas permeability of bottles, O₂ and CO₂ permeability of bottle containing EPDM showed higher permeability in comparison with bottle containing maleic anhydride grafted HDPE. Water vapor barrier property of HPDE/nylon 11 blends was more effective than that of HDPE/nylon 12 blends.

      • 조력 발전량 산출에 관한 수치모형 연구

        김제훈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재 세계는 화석연료 부존자원의 유한성과 자원국의 자원 무기화로 인한 에너지 자원의 안정적 확보 어려움, 화석연료 이용에 따른 온실가스 방출로 지구 온난화 현상 등의 문제가 대두됨에 따라 청정에너지를 확보할 수 있는 대안 마련에 몰두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이용·보급 촉진법’을 시행하고 있으며, 이 법의 목적은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산업의 활성화를 통하여 에너지원을 다양화하고, 에너지의 안정적인 공급, 에너지 구조의 환경 친화적 전환 및 온실가스 배출의 감소를 추진하고 있다. 그중 조력발전은 지구, 달, 태양의 상대적인 천체운동이므로 예상가능하고 지속적이며 재생 가능한 에너지로 높이 평가되었다. 국내에서는 시화호조력발전소를 시작으로 비교적 큰 평균조차를 보이는 서해안 일대에서 개발계획 및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로인한 설계단계에서 발전량 산출은 가장 중요한 부분이다. 조력발전은 조지의 형태에 따라 단조지 단류식, 창조식, 복류식과 복조지 연결식, 분리식으로 구분한다. 따라서 각 형태에 따른 발전량을 산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시공비와 발전량사이의 경제성 분석이 이루어져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아산항의 기초자료를 바탕으로 단조지 창조식, 낙조식, 복류식의 형식에 따른 발전량을 산출하였다. MATLAB을 이용하여 발전량 산출 프로그램을 작성하였고 터어빈의 개수 변화에 따른 각 형식별 발전량을 비교하였다. 앞으로 다양한 변수와 시공비산출을 MATLAB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동화 하고 최적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GUI(graphical user interface)형태로 쉽게 이용하도록 연구할 계획이다. Currently, the world has been focusing on providing alternatives to secure clean energy from emerging problems of difficulties in securing stable energy resources due to limitation of fossil fuel and weaponization of natural resources, and global warming from greenhouse gas emissions due to fossil fuel use. Korea also performed 'new energy and renewable energy develop·use·dissemination promotion', and the objective is to diversify energy, to provide stable energy, to convert energy structure environment-friendly, and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 by activation of the industries where they use new and renewable energy. Tidal power generation amongst them evaluated high because it is continuous and expectable since it is the astronomical movement among Earth, Moon and Sun. In Korea, starting with Sihwa tidal power plant, development plan and evaluation are underway where the tidal level is relatively large. In the designing stage , calculation of generation is the most important part. Tidal power generation is classified as one basin edd generation, one basin flood generation, on basin two-way generation, two basin single path and multiple path genera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basin. Therefore, generation amount should be calculated according to the type, and economical analysis between construction cost and generation amount should be followed up based on the calculation. In this study, the generation amount was calculated based on the data of Asan harbor according to one basin edd, flood and two-way generation type. Generation amount calculation was composed by using MATLAB, and also compared when there is a change in numbers of turbine according to types. The further plan is to make optimized and automation program to be used easily as GUI(graphical user interface) by considering more various variables and calculation of constructional cost.

      • 약품(액상소석회) 저장조 준설 작업자의 유해인자 특성 연구

        김제훈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Semiconductors are manufactured by engraving patterns on wafers and using many chemicals while covering and carving layers on the patterns. The chemicals used in each step are purified and discharged by biochemical, treatment method using various chemicals in the prevention facility. Although the work related to chemicals in the semiconductor manufacturing process is part of the planning process, the limitation of prevention will exist with the urgency of exposure due to diversity of variables, toxicity, diffusion speed, etc. that may occur when and how, and new reactions that may occur when new chemicals are applied. Article 2 No. 5 of the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Act stipulates that samples are collected, analyzed, and evaluated by the employer in order to identify the work environment, and that workers are exposed to noise, dust, high heat, metal processing oil, and chemicals. However, as mentioned earlier, the measurement of legal working environment is carried out regularly once every six months, along with the diversity of variables, urgency of exposure, and limitation of prevention, so it is very difficult or sometimes impossible to monitor them, so it is predicted through MSDS and test reports. The work environment can be predicted through 2(GHS classification information), 8(exposure standard information), 9(materi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and 15(hazardous classification number information) among the information in the MSDS consisting of 16 steps prescribed in Chapter14-10 of the Notice No. 2016-19 of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Agriculture. However, even if MSDS is composed of 16 steps, firstly, the data for the prediction of the working environment are often missing due to no data in the MSDS or trade secrets. Second, the data whitten in the MSDS is related to technical terms or chemical symbols. It is difficult for workers without knowledge to understand. Third, the test report has only limitations related to measurement of working environment by reflecting only the items necessary for delivery. In addition, no by-products and impacts of chemicals are provided. Therefore, through this study liquid lime used in the process of purifying wastewater discharged during semiconductor manufacturing id analyzed to verify the occurrence of by-products by analyzing air quality and dredging sludge(waste) in the internal dredging operation of the reservoir, and to derive the characteristics of workers' fattened ninja by means of tool and noise intensity used in dredging work. Also it is compared with MSDS and test report based work environment prediction, and it is to confirm whether the protective equipment worn by the dredging worker in the reservoir meets and is appropriate for the protective equipment based on MSDS. 화학물질에 관련된 작업은 대부분 철저한 계획하에 진행되지만 언제, 어떻게 발생될지 모를 변수의 다양성이 존재하고, 유독성과 빠른 확산속도 등의 노출의 긴급성을 비롯해 신규 화학물질 적용시 기존 화학물질과의 신규 반응성으로 예방의 한계성 또한 존재하고 있어 작업자에 대한 유해·위험성이 항상 존재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반도체 제조 과정에서 배출되는 폐수를 수질오염방지시설에서 정화할 때 사용되는 액상소석회를 대상으로 약품 저장조 내부 준설 작업시 작업환경 측정 및 부산물 생성여부를 분석하여 작업자에 대한 유해·위험성을 확인하고, MSDS나 시험성적서에 의한 작업환경 예측치와 비교하여 예측치에 대한 신뢰성을 확인하였으며, 저장조 내부 준설작업자가 착용한 보호구가 MSDS내 보호구 기준에 부합되는지를 확인하였다. 확인 단계는 준설작업 중 공기질 및 준설폐기물의 분석, 준설 장비 및 공도구 사용에 의해 발생된 소음 측정, 착용 보호구의 MSDS기준 부합 여부, 작업환경 예측치의 신뢰성 확인의 4단계로 진행되었다. 평가결과 공기질 및 준설폐기물은 실내공기질관리법과 폐기물관리법 기준치 이하였고, 공기질과 폐기물의 분석 Data확인시 저장조 내부에서 새롭게 발생된 부산물은 없었다. 소음 노출의 경우 작업자가 착용한 귀마개의 차음율(11dB)로 인해 작업자에게 가해지는 소음의 강도는 94.71dB에서 83.71dB로, 95.15dB에서 84.15dB로 낮아지고, 작업자 개개인별 실질적인 작업조건(2교대)을 반영하면 소음에 의한 작업자의 건강 영향성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강알카리성 약품인 액상소석회 준설 작업시 보호구는 강알카리성 약품에 대한 보호가 가능한 제품을 선정 및 착용하여 적정성이 확보되었으나, 준설작업시간(350분) 및 작업조건(2인 1조, 2조 구성)을 기초로 작업자가 착용한 보호구의 파과시간(Breakthrough Time)을 고려하면 내화학장갑에 대한 사용기준 강화가 필요하며, 호흡기 보호구 착용시 밀착도 검사(Fit Test) 또는 자가 검사 미시행으로 작업자 유해·위험성이 잠재되어 있어 호흡기 보호구 착용기준에 대한 제도적 보완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MSDS나 시험성적서에 의한 작업환경 예측치와 분석치를 비교했을 때 부산물에 대한 사항을 제외하고는 작업환경 예측치의 신뢰성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결론적으로 준설작업자의 유해인자 노출에 따른 건강 장해 예방을 위해서는 작업시간과 작업조건을 감안한 적절한 보호구의 선택과 착용 상태가 반드시 유지되어야 가능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