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인건비 예산 증가가 국방예산 배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 병 봉급 인상을 중심으로

        김정후 국방대학교 국방대학교 국방관리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병 봉급 인상으로 인한 급격한 인건비 예산 증가가 국방예산 배 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2010년부터 2024년까지의 국방예산을 대상 으로 교차작용항을 투입한 다중회귀모형을 이용하여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건비 예산 증가는 주로 병력운영비와 전력유지비에 영향을 미쳤다. 둘째, 인건비 예산 증가로 인한 다른 예산의 삭감효과는 병 봉급이 급격하게 인상된 시기에 더 크게 나타났다. 셋째, 삭감효과를 보인 예산은 장병 복무여 건 개선과 연관된 예산이거나 행정적 성격이 강한 예산이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급격한 병 봉급 인상은 장병 복무여건 개선에 제약이 될 가능성이 있음 을 알았으며, 향후 국방예산 배분에 이를 고려한 선택과 집중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국방예산에서 경직성 경비에 해당하는 인건비 성격 의 예산을 전부 선별 해내지 못했으며, 정부의 프로그램 예산구조가 일관되게 정착된 2010년 이후의 자료를 대상으로 분석하여 시계열이 상대적으로 짧았다 는 한계가 있었다. 주요어 : 국방예산, 대체관계, 병 봉급, 인건비, 다중회귀분석 This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pact of a sharp increase in personnel expenses due to a raise in soldier wasges on the allocation of defense budgets. The research methodology for this purpose is as follows. An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a multiple regression model on defense sector budge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 increase in personnel budget had a significantly more pronounced impact on operational expenses than on defense capability improvement expenses. Secondly, during periods of sharp increases in soldier wages, the trade-off relationship between personnel budget and other budgets became more apparent. Thirdly, It was primarily evident that the budget for improving service conditions predominantly influence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results, it was evident that a sudden increase in soldier wages leads to disruptions in the improvement of soldiers' service conditions. Hence, it can be deduced that future defense budget allocation will necessitate a focus on prioritization and concentration

      • Feature Ensemble 기반의 DNN을 이용한 스포츠 중계 영상의 이벤트 검출 방법에 관한 연구

        김정후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컴퓨터 비전 산업 분야에서 자동차 및 로봇 분야를 제외하고 가장 가치 있는 분야 중 하나는 스포츠 분야라고 여겨지고 있다. 이미 스포츠 현장에서는 컴퓨터 비전 기반의 어플리케이션들이 활발히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스포츠 중계 영상을 자동으로 분석하고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기술들이 각광 받고 있다. 컴퓨터 비전 기반의 스포츠 중계 영상의 이벤트 검출에 관한 연구는 2000년대 초반 hand-crafted 기반의 알고리즘들이 주를 이루다가 2010년대에 들어 다른 컴퓨터 비전 분야와 마찬가지로 성능 구현의 어려움을 딥러닝을 이용하여 해결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또한, 일부 연구에서는 이벤트 검출 알고리즘의 성능 평가를 위한 많은 양의 이벤트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셋도 함께 공개하고 있다. 이렇듯 스포츠 중계 영상의 이벤트 검출 분야는 딥러닝의 도입과 성능 평가를 위한 데이터 셋의 등장에도 성능은 여전히 연구 초기 단계에 머무르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스포츠 중계 영상에서의 이벤트 검출 성능의 전반적인 향상을 위하여 feature ensemble 기반의 deep neural network를 제안하고자 한다. 이 네트워크의 feature ensemble에 사용되는 Knowledge-based feature extractor는 스포츠 중계 영상의 카메라 앵글 및 쇼트 구성에 의한 bias 특성 및 종목별 특성을 고려하여 중계 영상을 다양한 기하학적 방법으로 변환시킨 영상을 입력으로 사용한다. 입력 영상의 기하학적 변환으로 spatial domain에 대하여 대응하였다면 temporal domain에 대한 대응 방안으로 개별 feature 들을 ensemble 하여 이벤트의 검출을 결정하는 네트워크를 학습한다. Ensemble feature로 temporal CNN, temporal pooling layer를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학습시킴으로써 프레임 시퀀스의 의존성(쇼트의 구성)을 줄임으로써 bias 데이터에 의한 과적합 문제를 해결하고 일반화 성능을 향상 시킬 수 있었다. 제안하는 방법의 이벤트 검출 성능 평가는 축구 중계 영상 데이터 셋인 SoccerNet 데이터 셋과 MLB-YouTube 데이터 셋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축구 중계 영상 데이터에 대한 이벤트 검출 성능은 평균 mAP=71.69% 로 기존의 가장 우수한 성능에 비해 9.19% 개선된 결과를 보여주었다. 야구 중계 영상 데이터에서는 평균 mAP=79.84% 로 확인되었으며 이는 단일 입력 영상만을 사용하는 이벤트 검출 네트워크에 비해 5.18% 개선된 결과를 보여주었다. Sport is considered one of the most valuable sectors in the computer vision industry, excluding automobiles and robots. Computer vision-based applications are already actively used in sports. Recently, the technology for automatically analyzing sports broadcasting video and providing various information has been in the spotlight. Handcrafted algorithms dominated computer-based event detection of sports video in the early 2000s. However, in the 2010s, as with other computer vision fields, the focus shifted to deep learning to enhance performance. Data sets were published that included abundant event data for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an event detection algorithm. As such, in the field of event detection in sports broadcasting video, even with the application of deep learning and release of data sets for performance evaluation, analysis of event detection performance is still in the early stages of research. This thesis proposes a deep neural network based on a feature ensemble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event detection in sports broadcasting video. The Knowledge-based feature extractor used for the feature ensemble of the proposed network uses as an input video transformed by various geometric methods in consideration of each sport’s bias and characteristics in relation to the camera angle and shot structure of the sports broadcasting videos. The geometrical transformation of the input video corresponds to the spatial domain. The network that decides the event detection learns by ensemble features as a response to the temporal domain. Through the network learning, including the temporal CNN and temporal pooling layer with the ensemble feature, the dependency of the frame sequence (structure of shorts) was reduced, thereby solving the problem of overfitting caused by biased data and improving generalization.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on the SoccerNet data set and the MLB-YouTube data set. The event detection performance for the soccer broadcasting video data showed an average mAP of 71.69%, which was a 9.19% improvement compared to the existing best performance. In the baseball broadcast video data, the average mAP was 79.84%, which was a 5.18% improvement compared to event detection network using single input video.

      • 최적 색상정보 추출을 통한 Mean-shift 알고리즘 기반 컬링 스톤의 검출 및 추적 기법

        김정후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스포츠 경기 기록 분야의 경우 ICT 기술의 발달로 좀 더 다양한 경기 정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게 되었다. 특히 컬링은 ‘빙판 위의 체스’ 라고 불릴 만큼 그 전략이 다양하여 경기 분석과 관련된 ICT 기술 및 소프트웨어의 적용이 적합한 종목이라 할 수 있다. 이에 이 논문은 컬링 경기 기록을 위해 컬링 영상에서 스톤을 검출하고 추적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제안하고자 한다. 핵심 알고리즘이라 할 수 있는 스톤 추적 알고리즘은 Mean-Shift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이 알고리즘은 스톤의 검출 및 추적의 속도 개선과 정확성을 위해 최적 색상정보를 추출하여 생성한 특징 벡터를 사용한다. 또한, 컬링 경기 중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변인에 의해 스톤 추적 중 추적 정보를 잃거나 잘 못 추적했을 경우에 이를 보정해줄 수 있는 방법으로 칼만 필터를 함께 적용한 Mean-Shift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The Sports analyzing filed be improved with ICT enhanced. The Curling sports is called ‘Chess on Ice’ because Curling have variable statics in play. Therefore, Curling Sports is suitable applying ICT enhanced. So this paper propose a algorithm for detecting and tracking Curling stone. The algorithm based on Mean-shift algorithm. Specially, the algorithm use feature vector by optimal color sampling for faster and correct than generally Mean-shift. In addition, in playing Curling consist many elements for example players, illuminance variation, and etc. They are bad effect on keeping stone tracking. So, the proposed algorithm use with Kalman-filter against that.

      • 장애유아통합교육에 대한 장애아 전문 어린이집 교사의 신념과 역할수행능력 인식간의 관계

        김정후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pecial child care center teachers' belief and their recognition of role performance ability in inclusion education with disabled children.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 1. How are special child care center teachers' belief in the inclusion education with disabled children? 1-1. How are special child care center teachers' belief in the necessity of inclusion education with disabled children and are there any differences between the child care teacher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 1-2. How are special child care center teachers' belief in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inclusion education with disabled children and are there any differences between the child care teacher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 2. How are special child care center teachers' recognition of role performance ability in inclusion education with disabled children? 2-1. How are special child care center teachers' recognition of role performance ability as an education course designer in inclusion education with disabled children and are there any differences between the child care teacher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 2-2. How are special child care center teachers' recognition of role performance ability as a performer and planner of daily routines in inclusion education with disabled children and are there any differences between the child care teacher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 2-3. How are special child care center teachers' recognition of the role performance ability as an assessor in inclusion education with disabled children and are there any differences between the child care teacher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 3.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pecial child care center teachers' belief in inclusion education with disabled children and their recognition of role performance ability in inclusion education and are there any differences between child care teacher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the 80 child care teachers, 73 special education teachers ; a total of 153 teachers who work at the day care center with disabled children in Jeolabuk-do, Chungcheongnam-do, and Daejeon. To measure teachers' belief on inclusive education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 previous study from Bae, Jae-Jung(2005) and the tool from Yu, Eun-Sun (2010) were used as references, The previous study from Bae, Jae-Jung(2005) and the tool from Yu, Eun-Sun(2010) were reconstructed and used for the purposes of this study. In processing of the data, spss 18.0 descriptive statistics and t-tests were conducted to measure teacher beliefs and recognition of role performance ability, and Pearson's product-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was calculated to se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acher's belief and recognition of role performance and difference between teachers. The results shown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 teachers of the special child care center have the highest belief in the legal justification of inclusion education with disabled children and the positive educational effect on normal children. Also, special education teachers have a higher belief compared to child care teachers. Second, in inclusion education with disabled children, teachers of the special child care center have relatively lower recognition about overall design of the curriculum and assessment skills compared to their role performance ability as a worker, planner and conductor.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child care teacher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cognition of the role performance ability as an education course designer, a performer and planner of daily routines, and assessor. Third, there i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role performance ability of teachers and their belief in inclusion education. Specifically, there is a stronger relationship between the child care teachers' belief and their recognition of role performance ability compare to special education teachers. 본 연구는 장애아 전문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특수교사와 보육교사의 장애유아통합교육에 대한 신념과 교사역할수행능력 인식이 어떠하며 그들의 신념과 역할수행능력 인식 간에는 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알아보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장애유아통합교육에 대한 장애아 전문 어린이집 교사의 신념은 어 떠한가? 1-1. 장애유아통합교육의 당위성에 대한 신념은 어떠하며 보육교사와 특수교사 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1-2. 장애유아통합교육의 교육적 효과에 대한 신념은 어떠하며 보육 교사와 특수교사 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2. 장애아 전문 어린이집 교사의 장애유아통합교육환경에서의 교사역할 수행능력 인식은 어떠한가? 2-1. 장애유아통합교육 환경에서 교육과정설계자로서 역할수행능력에 대한 인식은 어떠하며 보육교사와 특수교사 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2-2. 장애유아통합교육 환경에서 일과계획 및 수행자로서 역할수행능 력에 대한 인식은 어떠하며 보육교사와 특수교사 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2-3. 장애유아통합교육 환경에서 평가자로서 역할수행능력에 대한 인 식은 어떠하며 보육교사와 특수교사 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3. 장애아 전문 어린이집 교사의 장애유아통합교육에 대한 신념과 교사 역할수행능력 인식과의 관계는 어떠하며 보육교사와 특수교사 간 에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전라북도, 충청남도, 대전광역시 소재 장애아 전문 어린이집에서 근무 중인 보육교사 80명, 특수교사 73명으로 총 153명이다. 장애유아통합교육에 대한 교사의 신념을 측정하기 위하여 선행연구 배재정(2005)과 유은선(2010)의 도구를 참고로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재구성하여 사용하였고, 장애유아통합교육에 대한 교사의 역할수행능력인식을 측정하기 위해 김진희(2010)의 연구도구를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재구성하여 사용하였다. 자료의 처리는 장애유아통합교육에 대한 교사의 신념과 역할수행능력 인식을 측정하기 위해 SPSS 18.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와 t검정을 실시하였고, 교사의 신념과 역할수행 능력의 인식 간에 관계와 교사 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s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아 전문 어린이집 교사는 장애유아통합교육의 법적 당위성에 대한 신념과 일반유아에게 미치는 긍정적 교육 효과에 대한 신념이 높게 나타났으며, 특수교사가 보육교사보다 더 높은 신념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유아통합교육상황에서의 장애아 전문 어린이집 교사의 역할수행능력에 대한 인식은 일과계획 및 수행자로서의 역할을 비교적 높게 인식하였고 교육과정의 전반적인 설계와 평가 능력에 대한 인식은 이에 비하여 낮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교육과정 설계자, 일과계획 및 수행자, 평가자로서의 교사 역할수행능력에서 장애아전문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와 특수교사 간의 인식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장애아 전문 어린이집 교사들의 장애유아통합교육에 대한 신념과 교사의 역할수행능력 간에는 정적 상관관계가 있으며, 특히 보육교사들의 신념과 역할수행능력의 인식 간의 관계가 특수교사에서 보다 더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 대안학교 학생을 중심으로

        김정후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object of this thesis is to suggest basic data for helping Alternative Education by clearing the effect of its variable on the Career Maturity after understanding the level of the alternative school students' awareness of their self-esteem. The methodology employed to accomplish this thesis is as follow The participants includes 60 boys (57.1%) and 45 girls (42.9%). All 105 subjects were from an alternative school students in Seoul. Measurement include the self-esteem criterion developed by Coopersmith(1967) and Career Maturity inventory of Crites(1978) as translated by Hyun Ok Kim(1989). SPSS 12.0 was used to interpret the data. The results of this thesis continue below. First, Participation and Direction, which are subordinate elements of Career Maturity, have a significant difference for both boys and girls. Second, the data shows that self-esteem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career maturity. In other words, higher self-esteem was linked to career maturity. Third, students's self-esteem was statistically correlated with direction. Fourth, it was revealed that general-self-esteem, which is a subordinate element of self-esteem affects Career Maturity. Fifth, correlation analyses show that general-self-esteem of self-esteem is associated with Direction of Career Maturity. General-self-esteem is also associated with Decision which is a subordinate element of Career Maturity. Social Respect which is a subordinate element of self-esteem is associated with Direction of Career Maturity and self-esteem in school is associated with Direction. Interpretation of the results suggests the existence of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career maturity and provides the grounds for my suggestions for maximizing the career maturity of alternative school student. First, alternative school students need to maintain their higher self-esteem to determine their future career correctly. That's why more programs need to be developed to boost their self-esteem. Second, as interpersonal relations are important in students healthy evaluation of their self-esteem, alternative schools should encourage meeting and clubs within same age groups. Third, an alternative school should provide information regarding future careers and qualifications for college admission for its students. As such private career counseling is essential as is a career program for students and their parents. 본 연구는 대안학교 학생들이 지각한 자아존중감의 수준을 파악하고 관련 변인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혀 봄으로써 대안교육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초적인 자료를 제시해 주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적용한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다. 연구의 대상은 서울에 소재한 6개의 비인가 대안학교 학생 105명으로 남학생은 60명(57.1%)였으며, 여학생은 45명(42.9%)였다. 연구에서 사용된 척도로는 Coopersmith(1967)가 개발한 자아존중감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진로성숙도 척도는 Crites(1978)가 제작한 진로성숙도 검사(Career Maturity Inventory: CMI)를 번역한 김현옥(1989)의 연구를 참조하여 작성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12.0을 사용하였으며, 조사 결과로 얻어진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성숙도의 하위요소인 관여성과 지향성이 남학생과 여학생에 있어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아존중감은 진로성숙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진로성숙도가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자아존중감이 진로성숙도 하위요소인 지향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아존중감의 하위요소인 일반적 자아존중감이 진로성숙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 번째,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한 결과 자아존중감의 하위요소인 일반적 자아존중감와 진로성숙도 하위요소인 지향성이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반적 자아존중감과 진로성숙도 하위요소인 결정정도도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자아존중감의 하위요소인 사회적 자아존중감과 진로성숙도의 하위요소인 지향성도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교내 자아존중감과 지향성에서도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자아존중감은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대안학교 학생들을 위해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대안학교 학생들이 올바르게 자신의 진로를 결정하기 위해서 높은 자아존중감을 유지 할 수 있어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대안학교에서 자아존중감을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이 많이 개발 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자아존중감에 있어서는 친구와의 관계도 중요하다. 따라서 대안학교 학생의 친구관계에 도움을 주는 또래모임, 또래 동아리 등의 구성을 지원해줄 필요가 있다. 셋째, 진로성숙도에 있어서는 대안학교가 청소년들에게 진로와 진학에 대한 정보를 주고 스스로 진로 준비행동을 하도록 교사들이 신속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개인 진로 지도가 꾸준하게 이루어 져야 하며 학생들과 부모들을 상대로 진로상담을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 임목부산물 이용한 우드펠릿의 경제성 분석

        김정후 고려대학교 생명환경과학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온실가스 배출량 규제, 화석연료 소비에 따른 환경문제와 에너지 고갈 문제 등을 해결하기 위해 전 세계적으로 신·재생에너지에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우리나라는 2012년부터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화제도(RPS, Renewable Energy Portfolio Standard)가 도입되었으며 최근 신재생에너지 확대정책에 따라 신재생 공급의무 비율을 대폭 상향 조정하였다. 이러한 움직임에 따라 바이오매스의 발전비중 또한 증가되었으며 대부분이 목재바이오매스 발전으로 채우고 있다. 하지만 원료 대부분을 경제성만을 고려하여 저렴한 수입산 목재펠릿을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로 인해 유럽 등 선진국에서 재생에너지 확대와 지속가능한 산림 관리를 통해 자국 바이오매스 산업과 일자리 향상에 기여하는 것과 달리, 한국은 발전을 위한 목재펠릿을 전적으로 해외 구입에 의존하면서 에너지 안보와 기후변화 대응 효과가 상쇄된다는 비판을 받아 오고 있다. 이에 따라 경제적, 안정적이며 신뢰할 수 있는 원료 수급과 내수시장을 확대를 위해서는 다양한 방식의 공급확대를 통한 국내 목재펠릿 생산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이동식 소형 목재펠릿제조기를 이용하여 경제성 때문에 버려지는 국내 임목부산물을 원료로 하는 목재펠릿 생산을 제안하고자 하며, 비용편익분석을 통해 목재펠릿 대한 경제성을 분석하였다.

      • 피지니 주택(Casa Figini)에서 나타나는 地域的 時代的 特徵의 受用方式에 관한 硏究

        김정후 慶熙大學校 1999 국내석사

        RANK : 247631

        연구의 배경 건축이 갖는 기본적인 특징중의 하나는 어느 시기, 어느 지역이던간에 시대상과 지역성을 반영한다는 측면이다. 이것은 건축이 근본적으로 인간의 보편적 삶을 담고 있으며, 동시에 그 지역의 특수한 사회적 문화적 특성을 표현하는 적절한 수단 중의 하나라는 측면에서 이해될 수 있다. 이러한 지역적·시대적 특징은 한 시기의 건축을 구별짓게 하는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다. 이탈리아의 경우 이러한 지역적 · 시대적 특징들이 비교적 충실하게 반영되었다고 볼 수 있으며, 이러한 경향은 북부지역와 남부지역에서 차이점을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탈리아는 사회·문화·정치 등의 전반적 상황에 비추어 볼 때도 크게 북부와 남부 지역으로 구분되어진다. 이 중 북부지역은 이탈리아 산업혁명의 중추적 역할을 수행한 곳이며, 농업·상업·공업 등 모든 산업분야에서 이탈리아 경제활동의 중심지이다. 또한 지리적으로도 유럽국가들과 문화적 교류가 용이하였다. 건축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남부지역과 북부지역으로 크게 구분될 수 있으며, 북부지역중에서도 특히 롬바르디아(Lombardia) 지역은 코모(Como), 밀라노(Milano)를 중심으로 몬짜(Monza), 브레샤(Brescia), 베르가모(Bergano), 만토바(Mantova) 등의 도시들로 이루어져 있다. 이 지역은 전통건축은 물론이고 근대 이후 유럽전축과 뭇솔리니(B. Mussolini)의 영향 그리고 고전과 근대의 단순 형태적 통합을 시도한 노베첸토(Novecento) 운동 등의 특징을 지니고 있으며, 이것이 근대 이후 롬바르디아 건축의 특징을 형성하는 중요한 요소들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산업화 이후 1930년대는 다양한 건축적 활동들이 롬바르디아 지역을 중심으로 일어났으며, 정치적 측면에서 뭇소리니의 파시즘 역시 이 지역건축에 정치적 이데올로기가 반영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많은 영향을 주었다. 이러한 전반적인 상황하에서 롬바르디아 건축의 지역적 특징과 시대적 특징-동시대 유럽의 근대건축과 파시즘-을 작품에서 적절히 조화시켜 표현하는 것은 용이한 작업이 아니었으리라 판단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당시 파시즘 정부의 건축 정책에 동조하는 단체들의 핵심에서 활동했던 건축가 루이지 피지니(L. Figini)에 의하여 1934년에 계획된 페로네 디 산 마르티노(via Perrone di San Martino)가의 주택에서는 당시 이탈리아 롬바르디아 건축의 특징이 형태 및 공간 구성에서 동시대 근대건축과 적절히 조화를 이루면서 나타나고 있다는 측면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질수 있다. 기존연구의 동향기존의 연구에서는 이탈리아 근대건축의 커다란 흐름속에서 이 주택이 1930년대 이탈리아 주거건축에서 갖는 근대적 의미와 또한 동시대 유럽 근대건축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파악되어 지고 있다. 그리고 기본적으로 건축가 피지니가 갖는 근대적 성향과 피지니 주택에서 분명하게 드러나는 꼬르뷔제적 요소들로 인하여 이탈리아적 특징들의 표현보다는 꼬르뷔제의 빌라 사보아에 보여지는 건축적 원칙에 주로 근거하여 분석의 초점을 맞추고 있다. 피지니 건축에 대하여 많은 분석을 하고 있는 비토리오 사비(V. Savi)의 경우 자신의 저서 <피지니와 폴리니 건축 (Figini e Polllini Architecture 1927~1989)> 에서 이 주택 이 꼬르뷔제의 빌라 사보아를 규범으로 하고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커티스(W.J.R. Cutis)의 경우는 (1900년 이후의 근대건축 (Modern Architecture sine 1900)> 에서 당시 이탈리아 건축의 전반적 상황에 대하여그룹 7(Gruppo 7)의 이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있다. 특히 테라니(G. Terragni)의 작품을 집중적으로 분석하여 이 시기 건축의 특징을 설명하고 있으며, 그 가운데 피지니에 대하여 언급하면서 피지니 주택의 특징을 꼬르뷔제의 건축어휘가 엄격하게 적용된 경우로 설명하고 있으며, 그 구체적 설명이나 근거는 제시하지 않고 있다. 이탈리아 사가들인 베네볼로(L. Benevolo), 타푸리(M. Tafuri), 제비(B. Zevi) 그리고 람푸냐니(V. M. Lampugnani) 조차도 각각 경우는 다르나 이탈리아의 1930년대 상황을 상세하게 기술하면서 피지니를 젊은 아방가드르 세대로 분류하여 제시하고 있을 뿐 피지니 주택에 대한 구체적 언급은 하지 않고 있다 특히 이 네 명의 사가는 이탈리아의 당시 상황을 자신들의 독자적인 관점에서 다양하게 관찰하고 서술하고 있으며, 또한 건축가 피지니의 존재를 분명히 의미 있게 언급하고 있기는 하나 구체적 설명은 생략하고 있다. 이러한 사가들의 견해를 살펴보면 1930년대 이탈리아 근대건축의 상황속에서 피지니의 존재는 그룹 7이나 이탈리아 합리주의 건축 운동(M.L.A.R.)등 당시 그가 활동했던 단체속에서 파악되어지고 있으며, 그가 이 단체들의 성격을 규정하는데 분명히 중요한 역할을 했기 때문에 항상 그의 이름이 거론되기는 하나 구체적 작품에 의한 논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