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초음파적 내측 반월상 연골 탈출의 진단 가치

        김정만,이동엽,고인준,이은봉,Kim, Jung-Man,Lee, Dong-Yeob,Koh, In-Jun,Lee, Un-Bong 대한정형외과초음파학회 2009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Vol.2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rrelate the degree of sonographic medial meniscal extrusion with MRI and arthroscopic findings. Materials and Methods: Out of these 32 patients, with medial meniscal tear who went on arthroscopic surgery, 14 patients had the medial meniscal tear and 18 patients had both lateral and medial meniscal tear. The extent of meniscal extrusion without meniscal tear was assesed in 24 patients who did not show meniscal tear on MRI. The extent of meniscal extrusion was measured between tibial medial joint line (excluded osteophyte) and the outer margin of the medial meniscus. Kellgren-Lawrence grading scale was assessed in plain X-ray image and the location of lesion was assessed during arthroscopic surgery. We also measured the extent of meniscal extrusion on MRI and sonography respectively, and compared each other. Result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atients with medial meniscal tear and both lateral and medial meniscal tear, patients with medial meniscal tear, patients with both medial and lateral meniscal tear, patients without meniscal tear (P value<0.05). Conclusion: The Meniscus tear must be considered when sonography shows the meniscal extrusion more than 5 mm in length. 목적: 초음파상 진단되는 내측 반월상 연골 탈출의 반월상 연골 파열과 관련된 의의에 대해 자기 공명 영상과 관절경 소견을 연계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슬관절 내측 반월상 연골의 파열이 있어 관절경적 수술을 시행하였던 32예로서 내측 반월상 연골 파열 14예, 내측 및 외측 동시 파열 18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반월상 연골 파열이 없는 내측 반월상 연골의 탈출의 정도는 자기공명 영상에서 반월상 연골 파열이 없는 24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내측 반월상 연골 탈출의 정도는 골극을 제외한 경골의 내측 관절선부터 내측 반월상 연골의 변연부까지 계측하였다. 단순 방사선 사진에서 Kellgren-Lawrence (K-L) 등급을 평가하였고, 관절경 수술 시에 병변의 위치를 평가하였다. 각각의 소견을 비교하여 자기 공명 영상과 초음파에서 반월상 연골의 탈출의 정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관절경 소견 상 반월상 연골 파열이 있는 군 전체, 내측 반월상 연골 파열이 있는 군, 내측 및 외측 반월상 연골이 동반 파열된 군 들과 파열이 없는 정상 군 사이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결론: 초음파 영상에서 5 mm 이상의 탈출이 있을 때 반월상 연골 파열을 의심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거위발 건 압통의 원인

        김정만,이동엽,고인준,김상일,Kim, Jung-Man,Lee, Dong-Yeob,Koh, In-Jun,Kim, Sang-Il 대한정형외과초음파학회 2009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Vol.2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know the cause of the tenderness at pes anserinus. Materials and Methods: Out of 24 patients with tenderness at pes anserinus, 23 patients were female and 1 patient was male, and their average age was 65.9 years old. We checked the tenderness at pes anserinus by history taking & physical examniation and then, checked the pes anserinus for the presence of bursitis by US in outpatient clinic. With no evidence of bursitis by US, we injected steroid-lidocaine mixture intraarticularly and checked whether the tenderness disappeared after 2~3 minutes. Results: There was no case with bursitis at pes anserinus by US. The tenderness at pes anserinus diminished in 2-3 minutes after the intraarticular injection of the steroid-lidocaine mixture. After 6 weeks follow up, 16 patients(66.7%) had little or no tenderness at pes anserinus. 8 cases had the recurrence of tenderness recurred, 4 cases underwent arthroscopic operation on the meniscal tear, and 1 case underwent total knee arthroplasty. All cases underwent any operations had the tenderness at pes anserinus disappeared. The others 3 cases did not undergo total knee arthroplasty despite of radiologic obliteration of knee joint adequate for Kellgren-Lawrence grade IV. Conclusion: Without the bursitis at Pes Anserinus, patients the osteoarthritis may have the tenderness due to the referred pain. 목적: 거위발 건 압통의 원인에 대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거위발 압통이 있었던 24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나이는 65.9세, 여자 23명, 남자 1명 이었다. 외래에서 거위발 압통 여부를 문진 및 진찰 소견으로 확인 후 초음파 검사로 거위발 점액낭염 여부를 검사하였다. 점액낭염이 없는 것을 확인하고 관절내 스테로이드-리도카인 혼합액을 관절내에 주사하고 2~3분 후 압통이 자연 소실되었는지를 확인하였다. 결과: 총 24예의 거위발 압통이 있는 환자에서 초음파 검사 상 점액낭염이 확인된 예는 없었다. 스테로이드-리도카인 혼합액을 관절내 주사 한 후 전 예에서 2-3분 후 거위발 압통이 소실되었다. 6주 후 외래 추시 시에 16예(66.7 %)에서는 모두 거위발 압통의 소실 및 관절 내 삼출액이 감소 또는 소실되었다. 6주 추시 시 압통이 재발된 8예 중에서 4예는 반월상 연골의 파열로 관절경적 수술을 시행하였고, 1예는 슬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하였다. 수술을 시행한 전 예에서 추시 시 거위발 압통이 소실되었다. 나머지 3예는 Kellgren-Lawrence grade IV로 관절 간격의 완전한 소실을 보였으나 슬관절 전치환술은 시행하지 않은 예들이었다. 결론: 골 관절염에서 거위발 압통의 원인은 거위발 점액낭염이 없어도 발생하며 그 기전은 연관통으로 생각된다.

      • 초음파를 이용한 슬관절 내측 불안정 평가 -측정기법-

        김정만,이동엽,고인준,김승민,Kim, Jung-Man,Lee, Dong-Yeob,Koh, In-Jun,Kim, Seung-Min 대한정형외과초음파학회 2008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Vol.1 No.2

        목적: 슬관절의 내측 측부 인대 손상으로 인한 내측 불안정의 정도 측정 시에 초음파를 이용하여 내반 및 외반 상태에서 동적으로 측정하는 기법을 기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8년 1월부터 2008년 4월까지 내측 측부 인대의 손상이 있었던 7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추시 관찰 시에 손상 직후 운동제한 보조기(limited motion brace)를 착용시켜 보존적 치료를 시행하였고 수상 직후, 6주 및 12주에 초음파로 내측 불안정성의 치유 경과를 관찰하였다. 평가는 슬관절을 30도 굴곡시키고 내반 및 외반 상태에서 대퇴골의 내측f 상과의 직하부에서 경골의 골 기시부까지의 거리를 계측하였다. 결과: 초음파 이용 시 내측 상과(medial epicondyle) 직하부에 골피(cortex)가 직선으로 내려가기 시작하는 부위와 경골 근위부의 관절 연골 둥근 부분 직하부의 골피 시작 부위 사이의 거리를 계측하였고 내반 및 외반은 하지 중력 만을 이용한 생리적 상태로 초음파 시야를 조정하면서 동적으로 측정하여 항상성 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결론: 초음파는 내측 불안정의 정도 평가 시에 내측 측부 인대의 추가 손상 없이 내반 및 외반의 동적 상태로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the method of dynamic sonographic measurements in the evaluation of the MCL injury of the knee joint while applying valgus and varus stress. Materials and Methods: Seven cases of MCL injury from January to April of 2008 was used for the study. For the evaluation of the medial instability, sonography was used immediately after injury, 6 weeks and 12 weeks after conservative treatment with limited motion brace. The length between the foot of the medial femoral epicondyle and the most proximal point of the tibial cortex was measured in 30 degrees flexion with valgus and varus stress of the knee joint. Results: The foot of the medial epicondyle and the starting point of the proximal tibial cortex underneath the round portion of the articular cartilage were always able to be seen on ultrasonography, even in varus and valgus stress with gravity in 30 degrees flexion of the knee joint. The results of measurements were always constant. Conclusion: Sonography can be used in evaluation of medial instability under the dynamic valgus and varus stress of the knee joint without further injury.

      • 전방 십자 인대의 일차 봉합술 후 MRI 소견

        김정만,고인준,이동엽,이윤민,Kim, Jung-Man,Koh, In-Jun,Lee, Dong-Yeob,Lee, Yoon-Min 대한관절경학회 2009 대한관절경학회지 Vol.13 No.1

        목적: 관절경하 일차 봉합술 후 전방 십자인대의 자기 공명 영상 소견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봉합사 견인 결찰(pull-out) 기법으로 관절경하 일차 봉합술을 시행한 17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21.4개월(범위: 12~60개월)이었다. 외래 방문시 신체 검사 및 KT-1000 arthrometer (MEDmetric, San Diego, CA) 측기로 안정성을 검사하였으며 수술 후 자기 공명 영상으로 추적하였다. 남아 있는 활막 소매(synovial sleeve)의 위치로 정의한 파열부의 위치에 따라 환자를 두 군으로 분류하였으며 제 1군은 파열이 대퇴골 부착 부위부터 근위 1/3 실질부 이내에 위치하는 경우, 제 2군은 파열이 근위 1/3 실질부 보다 원위에 위치하는 경우로 하였다. 수술 후 자기 공명 영상소견을 일정한 주기로 촬영하였으며 봉합된 십자인대의 주행 경로, 경계의 명확성, 두께 및 신호 강도를 3등급으로 분류하여 평가하였으며 두 군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결과: 모든 예에서 Lachman검사와 flexion-rotation drawer 검사는 음성이었으며 Pivot-shift 검사는 1도 이하였으며 건측과 환측의 KT-1000 arthrometer 차이는 평균 1.4 mm(범위: -1.0~2.5 mm)로 측정되었다. 파열부 위치에 따른 분류로 제1군은 11예, 제 2군은 6예가 해당하였다. 자기 공명 영상 소견상 모든 예에서 전방 십자 인대의 전반적인 연속성은 유지되고 있었으나 10예(58.8%)에서 경도의 처진 주행 경로를 보였고 6예(35.3%)에서 경도의 불명확한 경계를 보였으며 8예(47.1%)에서 두께의 증가, 5예(29.4%)에서 신호 강도의 증가를 보였다. 모든 항목에서 두 군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한편, 시상면상 제1군의 2예(18.2%), 제 2군의 5예(83.3%), 전체 환자의 7예(41.2%)에서 대퇴골 부착 부위의 후방 변연부 실질부의 국소 결핍 소견이 관찰되었으며 이는 제2군에서 의미 있게 더 높은 빈도로 관찰되었다(p=0.035). 결론: 일차 봉합술 후 임상적으로 불안정이 없는 슬관절의 자기 공명 영상 검사 소견으로 주행 경로의 처짐, 경계의 불명확, 두께 및 신호 강도의 증가, 대퇴 부착 지점의 국소 결핍 등의 비정상 소견을 보일 수 있다. 한편 대퇴 부착부의 국소결핍 소견은 파열의 위치와 관계가 있다. Purpose: To investigate MRI findings of the repaired anterior cruciate ligament (ACL). Materials and Methods: Seventeen of arthroscopic ACL primary repair with sutures pull-out technique were followed for 21.4 months (range: 12 to 60 months). Stability was assessed with physical examination and KT-1000 arthrometer (MED metric, San Diego, CA) and postoperative MRI checked with time.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2 groups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ear which was defined with the location of remained synovial sleeve. Group I (11 patients) comprised that the tear was located within proximal 1/3 of ACL substance and group II (6 patients) comprised below proximal 1/3. MRI findings of the repaired ACL were evaluated by its course, sharpness, thickness and signal intensity using 3 grade system and correlated with its location of tear. Results: In all cases, Lachman test and flexion-rotation drawer test were negative, pivot-shift test was less than grade 1 and the mean side-to-side difference by use of KT-1000 arthrometer was 1.4 mm (range: -1.0 to 2.5 mm). The overall continuity of the repaired ACL was well maintained in all cases. However, mild sagging was observed in 10 cases(58.8%), mild obscure contour in 6 cases (35.3%), increased thickness in 8 cases (47.1%) and slight increased signal intensity in 5 cases (29.5%).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in all parameters between 2 groups. And a focal defect at the femoral attachment site in sagittal image was observed in 7 cases (41.2%) of all patients which comprised 2 cases (18.2%) of group I and 5 cases (83.3%) of group II. It was observed more frequently in group II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p=0.035). Conclusion: Some abnormal MRI findings such as mild sagged course, obscure contour, increased thickness and signal intensity, the focal defect at femoral attachment site could be observed even though the stability was well maintained clinically. We thought that the focal defect was affected by the location of tear of ACL.

      • KCI등재
      • KCI등재

        우리나라 일부 도시와 농촌지역 주민의 혈중 납 및 혈중 카드뮴 농도

        김효준(Hyo-Jun Kim),홍영습(Young-Seoub Hong),이경은(Kyung-Eun Lee),김대선(Dae-Seon Kim),이명진(Myeong-Jin Lee),예병진(Byung-Jin Yeah),유철인(Cheol-In Yoo),김영욱(Young-Wook Kim),유병철(Byung-Chul Yoo),김영훈(Young-Hun Kim),김정만(Jun 한국생명과학회 2009 생명과학회지 Vol.19 No.4

        본 연구에서는 도시 지역 주민들과 농촌 지역 주민들을 대상으로 지리적 환경 차이에 따른 혈중 납 및 혈중 카드뮴농도를 조사하여 노출 정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2007년 7월 1일에서 8월 30일 까지 경남의 전형적인 농촌마을(진주) 주민 84명과 부산 인근의 반농촌마을(기장) 주민 64명, 대도시 부산지역 주민 100명을 선정하여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Graphite furnace를 갖춘 비불꽃 원자 흡광기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평균 혈중 납 농도는 대도시 부산지역 주민이 6.38±2.86 ㎍/㎗이었으며, 진주 농촌지역 주민들은 5.41±2.16 ㎍/㎗, 부산 인근의 기장지역 주민들은 4.50±2.87 ㎍/㎗으로 부산지역 주민들의 평균 혈중 납 농도가 가장 높았으며 부산지역 주민의 혈중 납 농도와 부산 인근 기장지역 주민의 혈중 납 농도간 유의한 차이(p<0.01)를 보였다. 평균 혈중 카드뮴 농도는 대도시 부산지역 주민이 0.85±0.44 ㎍/ℓ이었고, 진주 농촌지역 주민이 1.57±0.78 ㎍/ℓ, 부산 인근의 기장지역 주민 0.95±0.54 ㎍/ℓ으로 진주 농촌지역 주민들의 평균 혈중 카드뮴 농도가 가장 높았으며 부산지역 주민과 진주 농촌지역 주민들 간에 통계적 유의한 차이(p<0.01)가 관찰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 지역과 농촌 지역 간에 따라 혈중 납 및 혈중 카드뮴의 농도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으나, 일부 지역 주민들의 결과만으로 우리나라 전체 도시와 농촌지역 주민의 혈중 납 및 카드뮴 농도에 대한 차이를 단언하기는 어렵다고 생각된다. 하지만 작업장 내의 직업적 폭로가 아닌 도시와 농촌 간의 지역적 차이에 관한 연구로써 의미 있는 연구라 생각되며, 향후 혈중 납과 카드뮴의 체내축척을 줄이기 위하여 보다 더 많은 대상자들의 정밀한 조사가 이루어져야 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levels of blood lead and cadmium in urban and rural populations.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from 100 urban (Busan) residents and 150 rural residents (Jinju-84, Gijang-66) from July 1 to August 30, 2007. The blood lead and cadmium levels were analyzed using flameless atomic absorption spectrophotometry and were compared by age, gender and smoking status. The mean levels of blood lead in urban-Busan, rural-Jinju and rural-Gijang residents were 6.38±2.86 ㎍/㎗, 5.41±2.16 ㎍/㎗ and 4.50±2.87 ㎍/㎗, respectivel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blood lead between urban-Busan residents and rural-Gijang residents. The mean levels of blood cadmium in urban-Busan, rural-Jinju and rural-Gijang residents were 0.85±0.44 ㎍/ℓ, 1.57±0.78 ㎍/ℓ and 0.95±0.54 ㎍/ℓ, respectivel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blood cadmium between urban-Busan residents and rural-Jinju residents. This study showed that the levels of blood lead and cadmium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urban and rural populations. The level of blood lead was highest in urban-Busan residents, but the level of blood cadmium was highest in rural-Jinju residents.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define the cause of high levels of blood lead and cadmium related to area of residence and personal habits.

      • KCI등재
      • KCI등재

        법인파산실무의 주요 논점

        김정만(Kim Jung-man),정문경(Chung Moon Kyung),문성호(Moon Seoung Ho),남준우(Nam Jun Woo) 한국법학원 2011 저스티스 Vol.- No.124

        2006. 4. 1. 채무자 회생 및 파산에 관한 법률이 시행된 이후 전국 법원의 법인파산사건 신청건수는 2008년을 기준으로 그 전보다 증가하였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서울중앙지방법원에 접수된 법인파산사건은 2009년 한 해 동안의 총 접수건수가 2008년의 접수건수 대비 69%가 증가하였고, 2010년의 접수건수 역시 2009년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였다. 법인파산사건이 증가하면서 서울중앙지방법원의 법인파산실무에는 기존에 부각되지 않았던 여러 쟁점들이 등장하였고, 그 해결과정을 통해 실무 운용례와 연구 성과 등이 축적되었다. 이 글은 서울중앙지방법원 법인파산 재판부가 2009. 2.부터 2010. 2.까지 지난 2년 동안 법인파산사건을 담당해오면서 정립했던 실무 운용례와 주요 논점들에 관한 연구 내용을 정리한 것이다. 법인파산실무에 관한 안내책이라고 할 수 있는, 서울중앙지방법원 파산부가 2008. 10. 발간한 법인파산실무 제2판의 내용과 중복되지 않도록 그 발간 이후 변경된 실무례와 새롭게 등장한 쟁점에 관한 논의만을 파산절차의 순서에 따라 소개하였다. 특히 신속한 파산절차 진행을 위한 조치, 파산관재인 선임 방법, 파산재단에 대한 자금관리 등에 관한 변경된 실무례를 언급하였고, 재단채권, 별제권, 부인권, 채권조사확정재판, 견련파산에 관한 주요 쟁점을 다루었다. Korea, there has been an increase in corporate bankruptcy cases which were filed to courts nationwide for the two years from 2008 than ever before. In this circumstance, the number of corporate bankruptcy cases which were filed to the Seoul Central District Court in 2009 was increased by 69% compared to 2008 and the number of it in 2010 reached a level similar to that of 2009. With the increase in corporate bankruptcy cases, various kinds of new issues which were not highlighted have been raised in the practice of corporate bankruptcy in Seoul Central District Court. A lot of practical guidelines have been made and research achievements have been accumulated through dealing with these issues. This article, written according to the order of bankruptcy procedure, focuses on the introduction of the practical guidelines and research achievements on the current key issues in the corporate bankruptcy cases in the Seoul Central District Court. Each subject in this article includes especially the practical guidelines which were changed or newly formed for the last two years from 2009 to 2010 in order to avoid unnecessary duplication of the contents in the book titled ‘A Practical Guide to Corporate Bankruptcy by the Seoul Central District Court(2nd edition)’ which was published in October 2008. To be specific, the practical guidelines related to rapid progress of the bankruptcy procedure, appointment of the bankruptcy trustee, collection and liquidation of the estate and so on are contained. Some main issues regarding the priority in bankruptcy proceeding, allowance of claim of a creditor secured by a lien on property of the estate, avoidance power and so on are dealt wi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