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분자생물학적 방법을 이용한 한국과 중국 호수의 저질토에서 황환원세균의 다양성과 수직적 분포

        金仁善 강원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Sulfate reduction, mediated by sulfate reducing bacteria (SRB), is the most important remineralization pathway in sediments. In sediments of lakes in Korea (Lake Sihwa and Lake Soyang) and China (Lake Aha and Lake Erhai), the diversity and vertical distribution of sulfate reducing bacteria were investigated by fluorescence in situ hybridization (FISH), 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DGGE), phylogenetic analysis of the functional gene (dsrA) clones. As results of FISH method, SRB from sediment in Lakes of China were located to deeper layer than those in Lakes of Korea. SRB were not detected below 19 cm and 10 cm depth in sediments of Lake Sihwa and Lake Soyang, respectively. In case of lakes in Korea, the proportion of SRB ranged from 2.9 to 25.6% (Lake Sihwa) and ranged from 0.6 to 7.1% (Lake Soyang). For lakes in China, the proportions of SRB ranged from 0.6 to 19.4% and from 2.9 to 11.2% within sediments from Lake Aha and Lake Erhai, respectively. The high peaks of SRB numbers in sediments of all sampling sites were appeared at depths between 0 cm and 2 cm. In DGGE analysis, all six major groups of SRB were presented in both sediment of Lake Sihwa and Lake Aha. Especially, the Desulfotomaculum and the Desulfobulbus group were dominant in Lake Sihwa and Lake Aha, respectively and the diversity of SRB also were higher than those of other groups. The band patterns didn't show big difference depending on the different depth. A total of 68 dsrA clones from sediment samples of Lake Sihwa and Lake Aha affiliated with the Deltaproteobacteria and the Firmicutes and were divided into ten clusters (I∼X) with 87% sequence similarity cutoff value. Sequences retrieved from sediment of Lake Sihwa revealed a higher numbers than those of Lake Aha, demonstrating a higher diversity of dsrA gene in Lake Sihwa. The dsrA genes were dominant at 2cm depths, which pattern was the consistent with results represented in FISH. None of the clusters contains both Lake Sihwa and Lake Aha clones except only cluster VIIIb. These result indicated that the diversity and abundance of SRB were different with environmental conditions.

      • 창의성 계발을 위한 중학교 협력종합예술활동 교과협력수업 사례연구 : -뮤지컬 분야를 중심으로-

        김인선 세종대학교 융합예술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collaborative team teaching via musical comprehensive art activities on creativity development, and to present the reference model of 'Comprehensive Art Activities' as one of educational approaches which can help students to develop creative and comprehensive thinking by harmonizing 'musical play' and 'academic curricula' cooperatively. Therefore, the study is intend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rt education (the musical play), education policy (the collaborative art activity), and creativity development after academically examining the definition and the components of creativity and the need of creativity education. Based on such theoretical studies, we have studied in depth the case from G Middle-school in Guro-gu, Seoul which is a good class model for collaborative team teaching via musical comprehensive art activities. The researchers participated as observers to observe, record and organize the series of processes including pre-planning stage for operation of collaborative teaching of musical and Arts as core subject, team teaching course planning stage, discussion with teachers and musical instructors for collaborative team teaching, design and application stage for musical play and lastly the performance presentation. In addition, this study sought to discuss the effectiveness of collaborative team teaching via cooperative composite art activities by individually interviewing students and teachers in depth with survey.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e cas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collaborative team teaching via cooperative composite art activities was conducted with common educational purpose in cooperation with musical play and different subjects such as Korean language, Ethics, Sociology, Science and Art. This helps students to develop creativity by leading them to think in creative way, and providing them an opportunity to integrate their existing knowledges and abilities. Secondly, the musical collaborative team teaching helps students not only to obtain knowledge but also to holistically develop communication ability, cooperation ability, expression ability, empathy ability and so on. Thirdly, the study presented the reference model for team teaching by observing and recording the entire process of the musical collaborative team teaching. Fourthly, improvement in education methods can be expected by utilizing the case from G Middle-school where demonstratively operates 'collaborative art activities' Based on above results, this case study has made following suggestions; Firstly, this study is not conducted as comparative study that this does not consist of control group. If the effectiveness of musical collaborative team teaching on creativity development can be verified through pre and post-examination, more objective results can be expected. Secondly, further studies can be conducted for collaborating science-based subjects such as Mathematics and Physics to offer effective creativity development in such fields as well through collaborative team teaching. Thirdly, this study suggests for further researches to be conducted to establish an institutional foundation for successful operation of collaborative team teaching throguh musical comprehensive art activities in many other schools. The futuristic society in the 21st century demands for cultivation of creative convergent talents. In order to arouse a change in paradigm of traditional cramming and entrance-exam-centered education, it is highly recommended for varies of researches to be done to induce students to develop knowledges and abilities holistically in fields of arts education as well. 본 연구는 뮤지컬 협력종합예술활동을 통한 교과협력수업이 중학생의 창의성 계발에 어떤 효과를 미치는지 그 효용성을 알아보고, 더불어 학생들로 하여금 예술장르인 ‘뮤지컬’과 ‘교과교육’을 융합·협력하도록 하여 창의적이며 통합적인 사고를 할 수 있는 교육방법으로써의 ‘협력종합예술활동’의 모델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창의성의 정의와 구성요소, 창의성 교육의 필요성 등에 대해 학문적으로 검토해본 후 ‘뮤지컬’이라는 예술교육과 ‘협력종합예술활동’이라는 교육정책과 창의성 교육의 상관관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와 같은 이론적 연구를 바탕으로 뮤지컬 협력종합예술활동을 통한 교과협력수업의 모델이 될 만한 서울 구로구에 소재한 G중학교의 사례를 심층적으로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자가 관찰자로 참여하여 교과와 뮤지컬의 협력수업 운영을 위한 사전 기획 단계, 협력 수업을 위한 교사와 뮤지컬 강사와의 회의, 협력수업 교육 계획안 , 창작 뮤지컬 설계 및 적용 단계, 공연 발표까지 일련의 과정을 관찰·기록, 정리하였다. 또한 협력 수업 종료 후 설문조사 및 교사와 학생들과의 심층 인터뷰를 통해 중학교 협력종합예술활동을 통한 뮤지컬 교과협력수업의 효용성에 대해 논의하고자 하였다. 위 같은 사례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뮤지컬 협력종합예술활동을 통한 교과협력수업은 뮤지컬 희곡을 창작하고 공연 발표하는 공통의 교육목표를 가지고 국어, 사회, 도덕, 과학, 음악 교과와 뮤지컬이 협력하여 수업을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학생들이 창의적으로 사고하고 기존의 지식과 기술을 융합·통합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여 창의성 계발을 꾀할 수 있다. 둘째, 뮤지컬 교과협력수업은 지식적인 앎뿐만 아니라 의사소통능력, 협력능력, 표현능력, 공감능력, 자발성 등 학생들이 전인적으로 발달할 수 있도록 돕는다. 셋째, 뮤지컬 협력종합예술활동을 통한 교과협력수업의 전 과정을 관찰·기록함으로써 참고할만한 협력수업의 모델을 제시하였다. 넷째, ‘중학교 협력종합예술활동’을 시범적으로 운영되는 G중학교의 사례를 활용하여 진일보한 교육으로 보완·개선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는 뮤지컬 교과협력수업을 한 대상과 그렇지 않은 대상과의 비교연구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뮤지컬 교과협력수업이 학생들의 창의성 계발에 어떤 효과를 나타내는지 사전, 사후 검사를 통해 그 효과성을 검증한다면 더 객관적인 연구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수학, 물리 등과 같은 이질적인 교과와의 교과협력수업에 대한 연구를 통해 더욱 효과적인 창의성 계발과 증진을 위한 뮤지컬 교과협력수업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뮤지컬 협력종합예술활동을 통한 교과협력수업이 많은 학교에 시행되기 위해서 그에 따른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기 위한 연구가 이뤄져야할 것이다. 21세기 미래사회에 요구되는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을 위해 주입식 교육, 입시 위주의 교육을 탈피하고 기능 교육 위주였던 예술교육에도 패러다임의 변화가 일어나 학생들이 전인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 감정노동, 일-생활 균형, 임파워먼트가 중소병원간호사의 전문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김인선 순천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감정노동, 일-생활균형, 임파워먼트가 중소병원간호사의 전문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전문직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전라남도 여수시, 순천시, 광양시에 소재한 중소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로서 근무경력 6개월 이상인 간호사 240명이다. 연구도구는 감정노동 9문항, 일-생활 균형 29문항, 임파워먼트 12문항, 전문직 삶의 질 30문항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자료수집은 2022년 4월 19일부터 4월30일까지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 26.0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독립표본 t-검정(Independent t-test), 분산분석(ANOVA) 및 사후검증(Sche ffé test ), 상관관계분석(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으로 분석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대상자의 감정노동 점수는 45점 만점에 27.25±5.68점, 일-생활 균형점수는 145점 만점에 92.48±20.51점, 임파워먼트 점수는 60점 만점에 40.92±6.67점, 전문직 삶의 질은 150점 만점에 102.72±14.81점이었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연구대상자의 전문직 삶의 질은 성별(t=-2.14, p=.033), 결혼상태(t=2.84, p=.005), 종교(t=2.65, =.009), 학력(F=4.04, p=.019)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연구대상자의 전문직 삶의 질은 감정노동(r=-.550, p<.001)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 일-생활 균형(r=.680, p<.001), 임파워먼트(r=.454, p<.001)와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일-생활 균형(β=.44, p<.001), 임파워먼트(β=.28, p<.001), 감정노동(β=-.27, p<.001), 결혼상태(β=.10, p=.029)는 전문직 삶의 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일-생활 균형과 임파워먼트가 긍정적일수록, 감정노동이 낮을수록, 결혼상태는 기혼일 때 전문직 삶의 질의 수준이 높아지며 이들 변수는 중소병원간호사의 전문직 삶의 질의 62.1%을 설명하였다(F=42.86, p<.001). 본 연구결과를 통해 중소병원간호사의 전문직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일-생활 균형을 조절할 수 있는 방안과 감정노동을 낮추고 임파워먼트를 향상시킬 수 있는 간호관리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한다면 중소병원간호사의 전문직 삶의 질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한다. 핵심어 : 감정노동, 일-생활 균형, 임파워먼트, 중소병원간호사, 전문직 삶의 질 This descriptive survey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motional labor, work-life balance (WLB), and empowerment on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ProQOL) and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improving ProQOL in nurses of small and medium-sized hospitals. Two hundred and forty nurses of a small and medium-sized hospital in the cities of Yeosu, Suncheon, and Gwangyang with at least six months of experience were enrolled. A structured questionnaire consisting of nine items for emotional labor, 29 items for WLB, 12 items for empowerment, and 30 items for ProQOL was used. Data was collected from April 19, 2022 to April 30, 2022.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independent t-test, ANOVA, Scheffe test for post-hoc comparison,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using the SPSS 26.0 software.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The mean emotional labor score was 27.25±5.68 out of 45, and the mean WLB score was 92.48±20.51 out of 145. The mean empowerment score was 40.92±6.67 out of 60, and the mean ProQOL score was 102.72±14.81 out of 150. The participants’ ProQOL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d according to sex (t=-2.14, p=.033), marital status (t=2.84, p=.005), religion (t=2.65, p=.009), and education level (F=4.04, p=.019). ProQOL was significantly negatively correlated with emotional labor (r=-.550, p<.001) and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WLB (r=.680, p<.001) and empowerment (r=.454, p<.001). WLB (β=.44, p<.001), empowerment (β=.28, p<.001), emotional labor (β =-.27, p<.001) and marital status (β=.10, p=.029) were identified as the predictors of ProQOL, where ProQOL increased with decreasing emotional labor and increasing WLB and empowerment. These factors explained 62.1% of the variance of ProQOL among nurses of small and medium-sized hospitals (F=42.86, p<.001). Based on these findings, measures that help nurses adjust WLB and nursing management interventions that decrease emotional labor and increase empowerment should be developed to enhance ProQOL of nurses in small and medium-sized hospitals.

      • 한국 성인의 우울증 및 식사의 질과 대사증후군 간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

        김인선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한국 성인을 대상으로 우울증 및 식사의 질과 대사증후군 간의 연관성을 탐색하고 식사의 질이 우울증과 대사증후군 간 연관성을 변화시키는지(교호작용 또는 조절효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우울증 선별도구(The Patient Health Questionnaire-9, PHQ-9) 항목의 조사가 실시된 2014, 2016, 2018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선정 기준에 따라 만 19세~80세 성인 총 13,571명을 분석에 포함하였다. 우울 수준은 PHQ-9 총 점수를 기준으로 정상군(0-4), 중간 우울군(5-9), 고우울군(≥10)으로 나누었으며, 식사의 질은 한국인을 위한 식생활평가지수 총점에 따라 3분위수로 분류하였다(T1-하위군, T2-중위군, T3-상위군). 결과 변수에는 개별 영양소 섭취량, 영양소 적정섭취비·평균 적정섭취비(Nutrient adequacy ratio, NAR·Mean adequacy ratio, MAR), 식생활평가지수(Korean healthy eating index, KHEI), 대사증후군 지표인 허리둘레, 중성지방, HDL-콜레스테롤, 수축기 및 이완기혈압, 공복혈당이 포함되었다. 복합표본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우울증, 식사의 질 그룹에 따른 독립 변수 간 차이를 비교하고 복합표본 로지스틱 분석을 통해 우울 수준과 식사의 질에 따른 대사증후군의 유병 위험도를 분석하였다. 식사의 질이 우울 수준과 대사증후군 간의 연관성을 변화시키는지(effect modification) 탐색하기 위해서 식사의 질로 층화하여 정상군 대비 대사증후군 위험요인 및 대사증후군 유병에 대한 교차비(odds ratio, OR)와 신뢰구간(95% confidence interval, CI), 교차비의 선형성(P for trend)을 확인하였다. 우울 수준에 따른 영양소 섭취 상태 및 식사의 질을 비교한 결과, 모든 11가지 영양소의 NAR이 정상군, 중간 우울군에 비해 고우울군에서 낮았다(탄수화물, 비타민 C, 칼슘, 총 식이섬유, 단백질, 비타민 B1, 비타민 B2, 나이아신, 인, 칼륨, 철 각 P<0.001). 식생활평가지수 총점은 정상군, 중간 우울군, 고우울군 순으로 감소했다 (P<0.001). 우울 수준에 따른 대사증후군 및 구성 요소의 교차비의 경우, 정상군에 비하여 고우울군에서 대사증후군(OR: 1.555, 95% CI: 1.1232-1.962), 고중성지방혈증(OR: 1.445, 95% CI: 1.170-1.785), 고혈당(OR: 1.292, 95% CI: 1.053-1.586) 위험에 대한 교차비가 유의미하게 높았으며, 저HDL-콜레스테롤혈증의 경우 정상군보다 중간 우울군의 교차비가 유의하게 높았다(OR: 1.840, 95% CI: 1.327-2.552). 앞서 언급된 4가지 항목의 경우 우울수준이 증가할수록 교차비가 증가하는 선형성도 유의하게 나타났다(P for trend<0.001; <0.001; 0.013; 0.040). 식사의 질의 경우 하위군 대비 상위군에서 복부비만 위험에 대한 교차비가 낮게 나타났지만(OR: 0.794, 95% CI: 0.661-0.954, P for trend= 0.014) 이외의 지표와 대사증후군 위험에 대한 교차비 및 선형성은 유의하지 않았다. 식사의 질로 층화하여 우울 수준에 따른 대사증후군 위험도를 분석한 결과, 대사증후군(OR: 1.840, 95% CI: 1.327-2.552), 복부비만(OR: 1.655, 95% CI: 1.001-2.737), 저HDL-콜레스테롤혈증(OR: 1.433, 95% CI: 1.068-1.950)에 대한 교차비가 식생활평가지수 점수가 낮은 하위군, 즉, 식사의 질이 낮은 군에서만 정상군 대비 고우울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대사증후군과 저HDL-콜레스테롤혈증의 경우 식사의 질 하위군에서만 우울수준이 증가하면 유병 위험이 증가하는 선형성 또한 유의했다(P for trend=0.002; 0.004). 성별로 층화하였을 때 남성의 경우 대사증후군 위험에 대한 교차비가 정상군보다 고우울군에서 유의미하게 높았고(OR: 2.523, 95% CI: 1.528-4.168, P for trend=0.016) 여성에서는 연관성이 관찰되지 않았다. 추가로 유산소 신체활동 수준을 교란변수로 보정하였을 때도 대사증후군의 구성요소 및 대사증후군의 유병 위험은 이전의 결과와 유사했다. 단, 고중성지방혈증의 경우 유산소 신체활동 수준 보정 전후 결과의 차이가 존재했다. 보정 전 분석 결과에서는 식사의 질 층화여부와 관계없이 정상군 대비 우울군의 유병 위험이 높았지만, 보정 후 식사의 질 층화 전 우울 수준이 높아질수록 교차비의 선형성이 증가하였던(P for trend=0.003) 결과가 층화 후 사라졌다(HEI T1;T2;T3, P for trend=0.123; 0.310; 0.010). 본 연구 결과, 우울증과 대사증후군 간 연관성은 확인하였지만 식사의 질과 대사증후군 간의 유의한 연관성은 없었다. 또한 대사증후군 유병 위험에 대한 우울증과 식사의 질 간의 교호작용은 유의하지 않았으며 (P=0.501), 신체활동 수준이 두 질환의 연관성에 미치는 직접적인 효과는 확인할 수 없었다. 그러나 식사의 질로 층화 시 식사의 질이 높아질수록 우울증과 대사증후군 간의 연관성이 사라져 우울군의 대사증후군 유병 위험에 있어 식사의 질의 유의한 조절효과가 있음을 추정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를 종합하자면, 일반적인 한국 성인 인구집단에서 건강한 식생활은 우울 수준이 높은 사람의 대사증후군 유병 위험을 상쇄시킬 수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단면(cross-sectional) 연구라는 특성상 인과관계를 규명할 수 없다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표준화된 도구와 한국인을 대표할 수 있는 국가수준의 자료를 기반으로 한국 성인의 우울증, 대사증후군, 식사의 질 세 요소 간 관련성을 확인한 첫 연구인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생각된다. 향후 고우울군의 대사증후군 발생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는 개인 및 환경적 요소를 탐색할 경우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Several studies have hypothesized that depression and metabolic syndrome may exist concurrently because the two diseases share unhealthy life styles as risk factors such as diet quality.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ssociations between depression, diet quality, and metabolic syndrome, and to examine whether diet quality modifies or interacts an association between depression and metabolic syndrome. A total of 13,571 Korean adults aged 19 to 80 from 2014, 2016, 2018 Korea National Health Examination Survey data. Subjects were divided into subgroups according to depression normal (0-4), moderate (5-9), and high depression (≥10) groups based on PHQ-9(The Patient Health Questionnaire-9) scores), and diet quality (third quartile groups according to KHEI(Korea Health Eating Index) scores). We used complex sample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to estimate odds ratio (OR) and 95% confidence interval (CI) of risk of metabolic syndrome and its components. Models were further stratified by diet quality levels to explore whether diet quality modifies the association between depression severity and metabolic syndrome. Depression severity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risk of metabolic syndrome (P for trend<0.001) but such an association did not exist between diet quality and metabolic syndrome (P for trend=0.134) after adjustment for age, sex, drinking status, education level, and energy intake. Only in the lowest diet quality group, high depression group showed a higher risk of metabolic syndrome (OR: 1.840, 95% CI: 1.327-2.552) and of low HDL-cholesterol (OR: 1.433, 95% CI: 1.068-1.950) compared with normal group. This remained significant among men but not in women. After further adjustment for physical activity, the OR of hypertriglyceridemia became insignificant after stratified with diet quality. The associations between depression severity and metabolic syndrome were disappeared in the second and third tertiles of diet quality groups. Our results suggest that healthy diet quality could offset the increased risk of metabolic syndrome for those with high depression in the general Korean adult population.

      • 한국어 환경에서 발생하는 귀국초등학생의 영어손실에 관한 연구 : 통사 오류 분석을 중심으로

        김인선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늘날 세계화에 따른 활발한 국제 교류로 인적 자원의 교류 또한 활발해짐에 따라 부모와 함께 해외에서 장기 체류 하였다가 한국으로 귀국하는 귀국학생들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들은 한국어 환경에의 노출이 증가되어 한국어를 습득함에 따라 영어를 점차적으로 손실하게 되는 안타까운 환경에 처해 있다.$$a$$a본 연구는 영어권 국가에서 비교적 장기간 거주하다 한국어를 모국어로 하는 환경의 초등학교에서 수업을 받기 시작한 4,5,6학년의 귀국학생들이(귀국한지 1년 미만) 겪는 영어 손실 중 문법에서의 통사 오류 형태를 분석해 보았다. 아울러 다음과 같은 문제를 중심으로 연구하고자 한다.$$a$$a첫째, 영어의 손실 정도가 해외 거주 기간의 길이와 귀국 이후의 기간, 꾸준한 영어 학습 정도와 어떤 관계가 있는가?$$a$$a둘째, 영어 손실에 따른 통사 오류의 유형은 어떠하며 오류의 원인은 무엇인가?$$a$$a셋째, 통사 오류를 줄여 귀국학생의 영어 손실을 최소화 시키고 언어 능력을 신장시켜 줄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가?$$a$$a실험의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a$$a첫째, 실험 대상자의 거주 기간 변인(단기 거주 집단, 장기 거주 집단)에 따른 영어 통사 기능의 오류율을 문법성 판단 과제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통사 영역별 두 집단간 오류율을 비교해 보면 관계 대명사를 제외한 부정사, 대명사, 전치사, 분사 등 거의 대부분의 영역에서 장기 거주 집단의 오류율이 확실히 낮은 것을 볼 수 있었다. 또한 통사 영역별 오류율을 비교해 보았을 때 전치사와 관계 대명사의 경우에는 단기 집단과 장기 집단 사이의 오류율의 차이가 거의 없을 뿐 아니라 다른 통사에 비하여 오류율이 매우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상이한 오류 패턴을 보여 주었던 관계 대명사는 오류의 유형과 원인을 분석한 후속 실험에서 더욱 자세히 다루었다.$$a$$a둘째, 학년별 오류율 분석, 다시 말해 4,5,6 학년별 단기 거주 집단끼리의 오류율과 4,5,6 학년별 장기 거주 집단끼리의 오류율을 비교 분석 하였다. 학년별 단기 거주 집단끼리 비교해 보면, 6학년 집단은 4,5학년 집단에 비하여 관계 대명사를 제외한 모든 통사 영역에서 낮은 오류율을 보여준다. 반면 학년별 장기 거주 집단끼리 비교해 보면 학년별 단기 거주 집단끼리의 비교와는 반대로 4학년 집단이 5,6학년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오류율을 보여준다. 이러한 실험의 결과로 장기 거주 집단의 경우 영어에 처음 노출된 나이가 어리면 어릴수록 문법 기능 습득에 도움이 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a$$a셋째, 귀국 이후의 기간별 오류율을 비교해 보았다. 귀국 이후의 기간이 짧은 학생(귀국 후 6개월 미만)이 귀국 이후의 기간이 긴 학생(귀국 후 6개월 이상 1년 미만)보다 통사 오류율이 비교적 낮았다. 즉 실험 대상자들이 제 1언어인 한국어에 많이 노출될수록 제 2언어인 영어의 손실률도 증가한다고 할 수 있다.$$a$$a넷째, 1·2차 통사 영역별 오류율을 비교, 분석해 보았다. 두 번의 조사 결과를 비교해 볼 때 조사한 대부분의 영역에서 1차 조사(2004년 11월 실시)의 오류율 보다 2차 조사(2005년 9월 실시) 의 오류율이 더 높았다. 전체적 통계 수치로는 오류율이 더욱 높아졌으나 개인별로 실험 결과를 분석해 보면 오히려 2차 테스트 후 오류율이 감소된 학생도 있었다. 이에 1차에 비해 2차 오류율이 감소한 집단과 오류율이 상승한 집단의 차이를 유발하는 원인 규명을 위해 설문지 분석을 한 결과 귀국 후 꾸준한 영어 학습, 그 중에서도 reading, writing, grammar중심의 문법 학습이 통사 오류율 및 영어 손실률의 감소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얻게 되었다. 또한 꾸준히 영어와 접촉하는 집단은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전체적인 통사 오류율도 낮은 것을 알 수 있었다.$$a$$a다섯째, 관계대명사와 전치사를 중심으로 통사 오류 후속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대상 아동들이 문법성 판단 검사지를 통해 작성한 오류문장들은 첨가와 생략의 오류 유형으로 나뉘었는데 오류의 원인으로는 언어간 오류의 간섭과 언어내 오류의 과잉 일반화였다. 관계대명사의 경우 단기 집단에서 첨가 오류가 많이 발생했는데 이는 한국어 문법의 전이에 의한 언어간 오류라고 볼 수 있다. 관계대명사의 생략 오류의 경우는 주로 장기 집단에서 많이 발생했으며 한 가지 규칙을 여러 문법에 확대적용 시키는 과잉일반화의 예시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이유로 관계 대명사는 단기 집단보다 장기 집단의 오류율이 더 높았던 상이한 오류 패턴을 보여 주었던 것이다. 전치사의 첨가, 생략 오류의 경우는 모두 한국어 문법에 의한 전이로 인하여 발생하였다. 귀국 학생들은 귀국 이후 한국어 문법에 점차로 노출되면서 영어에 한국어 문법을 적용시킴으로써 통사 오류를 범하게 됨을 알 수 있다.$$a$$a결론적으로 해외 거주 기간이 길어 영어에의 노출이 많을수록, 귀국 이후 경과 시간이 짧아 한국어에의 노출이 적을수록, 또한 speaking , listening 뿐 아니라 reading, writing, grammar 중심의 꾸준한 영어 교육을 받았을 때 통사 오류율 및 영어 손실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통사 오류 분석의 결과를 토대로 언어내 오류와 언어간 오류가 발생함을 알고 한국어와 영어의 통사구조를 비교하여 교수하거나, 학생들이 공통적으로 범하는 통사 오류의 구체적인 항목들을 중심으로 영어 교육을 실시하여 똑같은 오류가 다시 반복되지 않도록 손실을 미리 예방함을 바탕으로 귀국 학생의 소중한 영어 능력을 신장시켜 주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a$$a귀국학생들이 해외에서 생활하면서 습득했던 문화적인 체험과 유창한 영어 실력은 귀국학생 본인에게는 물론 국가적으로 볼 때 매우 소중한 자산이다. 이를 지속적으로 발전시킴으로써 개인자신의 성장은 물론, 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인적 자원으로 성장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해서는, 그들의 영어 손실을 최소화 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도록 꾸준히 영어를 접촉할 수 있는 언어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필수적이라 하겠다.$$a$$a As international exchanges grow due to globalization, the number of the students who return home from their long overseas life with their parents increases. While they are increasingly exposed to the Korean-speaking environment, they learn Korean gradually, but lose their English language skills proportionately.$$a$$a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ttrition of English, particularly the syntactic errors committed by the elementary 4th~6th graders who returned home within the past one year from their overseas life in English-speaking countries.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study points were set up;$$a$$aFirst, what relations would exist between subject children''s attrition of English and their demographic variables such as period of time of overseas life, elapsed time after returning home and steady English learning?$$a$$aSecond, what would be the types of their syntactic errors due to attrition of English? And what would cause such errors?$$a$$aThird, how could their attrition of English be minimized to help improve their English language skills?$$a$$a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a$$a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subject children''s syntactic errors of English with a grammar test in relation with their demographic variables (long overseas life and short overseas life), it was found that the long overseas life group showed less errors in every area (infinitives, pronouns, prepositions, particles, etc.), but relative pronouns than the short overseas life group. Moreover, as a consequence of comparing the errors by syntactic part between two groups, it was disclos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in commanding prepositions and relative pronouns; both groups made more errors in these parts than other syntactic parts.$$a$$aSecond, as a result of comparatively analyzing the syntactic errors by grade between long and short overseas life groups, it was revealed that in case of short overseas life groups, the 6th graders committed less errors in every part except relative pronouns than the other 4th and 5th graders. In contrast, in case of long overseas life group, the 4th graders showed less syntactic errors than the 5th and 6th graders. Such findings suggest that the younger a child was when he/she was exposed first to the English-speaking environment, he/she would better learn about English grammar.$$a$$aThird, as a consequence of comparing the errors by the period of time elapsed after returning home, it was found that those children who returned home more recently (within the past 6 months) committed less syntactic errors than the other group of children. Such a finding implies that the longer a child was exposed to their mother tongue or the Korean language, he/she would lose his/her secondary language or English more.$$a$$aFourth,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errors by syntactic part between first and second grammar tests, it was found that more errors were committed by many children in the second test (September, 9, 2005) than the first test (November 11, 2004). Of course, some children committed less errors in the second test. As a consequence of a questionnaire survey to determine such differences, it was disclosed that those students who performed better in the second test had steadily practiced reading, writing and grammar. In addition, the group who had continued to be exposed to English committed less syntactic errors.$$a$$aFifth, as a result of testing the subject children''s commanding of relative pronouns and prepositions again by using another grammar scale and thereby, grouping their writing errors into those of additions and omissions, it was found that their syntactic errors had been caused by inter-lingual interventions or intra-lingual over-generalization in most cases. Those errors of addition or omitting prepositions were deemed attributable to the transition into the Korean grammar. Namely, while the children were exposed gradually to the Korean grammar, they tended more to apply the Korean grammar to English, committing such syntactic errors.$$a$$aIn conclusion, the longer a child had been exposed to the English-speaking environment and the shorter he/she was exposed to the Korean-speaking environment later, and additionally, the more he/she has been steadily learning English centered about reading, writing and grammar, he/she would be able to minimize syntactic errors and attrition of English. Give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seems to be important for elementary English teachers to compare the syntactics between Korean and English for the children, being reminded of inter-lingual and intra-lingual errors, or focus on their common syntactic errors to prevent them from repeating the same errors and thereby, help them improve their English language skills.$$a$$a

      • 국제결혼부부의 의사소통 및 스트레스대처가 결혼만족에 미치는 영향 : 친밀감의 매개효과와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

        김인선 경상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이 연구의 목적은 국제결혼부부의 결혼만족 수준을 파악하고, 결혼만족과 관련된 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경상남도에 거주하는 중국출생 아내와 한국인남편, 베트남출생 아내와 한국인남편, 필리핀출생의 아내와 한국인남편, 캄보디아 출생의 아내와 한국인남편이다. 부부 161쌍 332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수집된 데이터 분석을 위해 통계패키지 SPSS 21.0을 활용하여 기술통계분석, t-test, ANOVA and correlation. 그리고 회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하였다. 다음과 같이 연구결과를 요약한다. 결혼만족의 일반적 수준은 한국인남편이 외국인아내보다 다소 높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아니다. 또한 의사소통유형 및 스트레스대처방식에서도 부부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부부의 의사소통유형과 스트레스대처방식에 따른 집단 간 결혼만족 수준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친밀감은 의사소통 및 스트레스대처와 결혼만족 간 부분매개역할을 하였고, 사회적지지는 의사소통 및 스트레스대처가 결혼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효과가 없었다. 주요발견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특성 중 부부의 교육수준 별 결혼만족 수준에 차이가 있고, 월평균수입은 결혼만족 수준과 상관이 있었다. 또한 외국인아내 중 필리핀출생이 중국출생 보다 결혼만족 수준이 유의하게 높았다. 둘째, 한국인남편은 개인적 만남을 통하여 결혼한 사람이 친구나 동료의 소개로 만나서 결혼 한 사람보다 결혼만족 수준이 유의하게 높았다. 셋째, 결혼 전에 들었던 배우자에 대한 정보가 결혼 후 일치하였는가에 대한 정보일치도 정도에 따라 결혼만족 수준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부부 모두 정보가 일치한다고 응답한 사람이 일치하지 않다고 응답한 사람보다 결혼만족 수준이 유의하게 높았다. 넷째, 의사소통유형이나 스트레스대처방식에서 부부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다만 의사소통유형 중 파트너요구-자기철회의 의사소통에서 부부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일반적으로 아내가 요구하고 남편이 철회하는 의사소통을 나타내는데 반해 외국인아내가 한국인남편보다 더 요구하거나 더 철회하는 의사소통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스트레스대처방식 중 자신의 위임대처에서 부부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일상생활에서 사소한 일들을 외국인아내가 한국인남편보다 더 떠 맡아서 한다는 것이다. 다섯째, 부부의 의사소통유형이나 스트레스대처방식에 따라 부부의 결혼만족 수준에 차이가 있었다. 즉 부부 모두 건설적 의사소통을 하는 집단과 부부 모두 긍정적 대처방식을 사용하는 집단이 다른 집단에 비해 결혼만족 수준이 가장 유의하게 높았다. 여섯째, 부부 모두 건설적 의사소통을 할수록 결혼만족 수준이 높아지고, 부부 모두 긍정적 대처방식을 사용할수록 결혼만족 수준이 높아진다. 일곱째, 부부 모두 건설적 의사소통을 할수록 친밀감은 높아지고 친밀감이 높아지면 결혼만족 수준이 높아진다. 또한 부부 모두 긍정적 대처방식을 사용할수록 친밀감은 높아지고 친밀감이 높아지면 결혼만족 수준이 높아진다. 여덟째, 사회적지지는 부부의 의사소통 및 스트레스대처가 결혼만족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효과가 없었다. 다만 조절하는 효과가 악하지만 외국인아내의 의사소통이 결혼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사회적지지가 조절하는 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위 연구결과는 부부의 차이를 고려하는 효과적 개입방안을 구성할 뿐만 아니라 동시에 부부 모두를 대상으로 하는 통합적 개입방안을 구성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은 함의를 제공한다. 첫째, 국제결혼부부의 결혼해체를 방지하기 위하여 결혼만족 수준을 높인다. 둘째, 국제결혼부부의 건설적 의사소통기술과 긍정적 스트레스대처기술의 향상을 위한 교육 등 부부의 역량강화를 위한 대안으로써 부부관계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셋째, 국제결혼부부의 결혼만족 수준을 높이기 위하여 친밀감의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marital satisfaction level of international married couples and to analyze the factors related to marital satisfaction. The survey subjects of this study are international married couples consisting of Korean husband and foreign wives living in Gyeongnam Province. The survey subjects are Korean husbands and Chinese-born wives, Korean husbands and Vietnamese-born wives, Korean husbands and Philippine-born wives, Korean husbands and Cambodian-born wives. 322 data cases from 161 couples were collected and used for the analysis. Statistical analyses were descriptive statistics using t-test, ANOVA and correlation, and advanced statistic using simpl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Statistical software SPSS 21.0 version was utilized for the analyses of the collected data. The study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general level of marital satisfaction of Korean husbands was somewhat higher than that of their foreign born wives,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ddition,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ouples in communication pattern and stress coping. However,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marital satisfaction level between groups according to the couple's communication pattern and stress coping. Intimacy played a part of mediation between communication and marital satisfaction, intimacy also played a part of mediation between stress coping and marital satisfaction. Social support had no effect on moderating the effects of communication and stress coping on marital satisfaction. The major findings as follows. First, among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married couples showed difference in marital satisfaction level according to educational level, and monthly average income was correlated to marital satisfaction level. In addition, the marital satisfaction level of the Philippine wive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Chinese wives Second, Korean husbands married through personal encounter had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marital satisfaction than Korean husbands married through friend or colleague introduction.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marital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degree of information agreement on whether the information of the couples heard before marriage matched with the information of the couples after marriage. The marital satisfaction level of the couples who answered that the information was very consistent was significantly higher. Fourt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ouples in communication pattern and stress coping. Howev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artner demand-self withdraw for the couples in communication. The wife demand-husband withdraw is general in communication, but the results showed that demand and withdraw of foreign wives was more than that of Korean husbands. In addi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ouples in delegated dyadic coping by oneself (DDCO). This means that foreign wives take on more things in daily life than Korean husbands do. Fifth, there was a difference in marital satisfaction level according to the couple's communication pattern and stress coping. In other words, the couple with constructive communication and with positive stress coping had the highest levels of marital satisfaction. Sixth, the more constructive communication the couple has, the higher the marital satisfaction level. the more positive stress coping the couple has, the higher the marital satisfaction level. Seventh, as couple communicate with each other constructively, intimacy increases. and the more intimacy increases, the higher the level of marital satisfaction. Also, as couple has the more positive coping, the higher the level of intimacy. and the higher the level of intimacy, the higher the level of marital satisfaction. Eighth, social support had no moderating effects of communication and stress coping on marital satisfaction. However, although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was weak, social support had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communication of foreign wives on marital satisfaction. Therefore, the above findings will not only be an effective intervention that takes into account the differences between husband and wife, but also be helpful for constructing an integrated intervention for the couples. The results of the study provide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the level of marital satisfaction should be high to prevent marital dissolution of the international married couples. Second, a program for improving couple relationship should be developed as an alternative for strengthening the capability of couples, such as the educations for the improvement of constructive communication skill and for the improvement of positive stress coping. Third, a program for improving intimacy should be developed for the international marriage couple to have a higher level of marital satisfaction.

      • 어둠에서의 유음의 인지와 발화 :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을 중심으로

        김인선 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erception and Production of English Word Initial Liquids: With Reference to First Year Middle School Students Most Koreans can't distinguish between Korean liquid /ㄹ/ and English liquids, /l/ and /r/ because of phonetic and phonological differences.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earlier Korean learner's acquisitional pattern in English of /l/ and /r/.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n experiment with the Korean native speakers' perception and production of English word initial liquids /l/ and /r/ with Korean first year of middle school students. Forty four Korean learners of English participated for perception experiment, and six participated for production experiment. Fourteen minimal pairs with word initial liquids followed by one of the vowel set /i, e, æ, ə, u, o, a/ were used as stimuli. The results show that perception errors of /l/(27.75%) was a greater problem than that of /r/(18.33) for Korean learners of English. The perception results of /l/ and /r/ according to position of tongue showed an increase in difficulty in the order of front → central → back vowels, and according to the height of tongue, mid → high → low vowels for /l/ and low → mid → high vowels for /r/. On the other hand, Korean learners of English had more difficulty in pronouncing /r/(65.07%) than /l/(19.70%). The position of the tongue when producing a /l/ showed an increase in difficulty in the order of central → back → front vowels but producing a /r/ in the order of back → front → central. As for the height of tongue, the error rate in producing /l/ was about the same between high and low vowels but the middle vowels showed the least number of errors, while it was in the order of low → high → mid vowels for producing /r/. A systematic phonetic approach based on a comparative study of Korean and English phonemes is essential for the effective and efficient learning for Korean learners. By introducing systematic phonemes, Korean speakers' pronunciation clarity and listening proficiency would be greatly enhanced.

      • 넓은 저지대역을 갖는 일반화된 체비셰프형 저역통과필터 설계에 관한 연구

        김인선 順天鄕大學校 2005 국내박사

        RANK : 247631

        Rhodes, Alseyab 등에 의해 이미 서로 다른 세 가지 형태의 Generalized Chebyshev(GC) 원형(Prototype) 필터가 발표 되었다. 이 구조들은 응답특성이 타원함수 필터와 매우 유사하여 우수한 선택도를 갖고, 타원 함수 필터에 비해 임피던스 변화율이 훨씬 작아 기판 구현에 적합하므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형태 중의 하나이다. 대개 GC 필터는 저 손실, 광대역 구현의 용이성, 온도에 대한 안전성을 갖는 suspended substrate stripline(SSS)을 이용한 필터 응용에 적용된다. 대부분의 분포소자 필터가 고조파(또는 의사신호)를 갖는 것과 마찬가지로 SSS 필터도 또한 고조파를 갖게 된다. 이런 상황은 넓은 저지대역 구현을 심각하게 제한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고조파를 제거하거나 억제시키기 위해 추가적인 회로를 이용하여 강제적인 감쇠극을 만든다. 공간적인 제약이 엄격하지 않다면 이런 방법도 원하는 성능을 얻기에 적당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 크기와 손실의 증가로 인해 비효율적이다. 또한 이와 같은 방법으로 동시에 여러 개의 감쇠극을 만드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본 논문에서는 넓은 저지대역 구현을 위해 다음과 같은 새로운 방법을 제안하였다. 우선 두 가지의 새로운 GC 유리 함수를 제안하였고, 그 함수를 적용하여 두 종류의 새로운 저역통과필터를 합성하였다. 제안한 필터는 통과대역 등리플을 갖는 GC 응답 특성을 만족하면서, 오직 한 주파수와 무한대에서 전송영점을 갖는 기존의 구조와 달리 두 개 또는 세 개의 유한 주파수와 무한대에서 전송영점을 갖는다. 이 추가적인 전송영점은 분포소자 필터에서 발생하는 원하지 않는 고조파(또는 의사신호)를 억제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제안한 필터는 기존의 GC 필터보다 넓은 저지대역 구현에 유리하다. 몇 가지 형태의 SSS 저역통과필터가 제안된 이론에 근거하여 설계, 제작 되었다. 제작된 필터의 측정결과는 제안된 이론과 매우 잘 일치한다. The generalized Chebyshev prototype filters of three different types had already published by Rhodes and Alseyab et al. These structures are the most widely used filter due to good selectivity similar to elliptic filter, much smaller impedance variation ratio than elliptic filter, so these type are available for printed circuit realization. For the most part, a generalized Chebyshev filter is applied to filter application using suspended substrate stripline(SSS) configuration, because SSS is low loss, easy broadband realization, good stability over temperature. As most distributed element filters have the harmonics(or spurious responses), SSS filters also have harmonics. This situation seriously restricts to realize wide stopband. In general, we make a compulsory attenuation pole using additional circuit to reject or suppress the harmonics. If the spatial limitation is not required strictly, this technique is adequate to obtain desired performance. Otherwise, these methods may be inefficient because of increment of size and loss, and also, it is difficult to make several attenuation poles simultaneously in this way. In this dissertation, the following new methods have been presented in order to realize wide stopband. First of all, two modified generalized Chebyshev rational functions are presented, and then two kinds of new low pass filters using these functions are synthesized. These proposed filters satisfy a generalized Chebyshev response with an equal ripple passband. but unlike conventional designs which have several transmission zeros at only one finite frequency and infinite, the proposed filters have transmission zeros at two or three finite frequencies and infinite each other. Since these additional transmission zeros play an important role in suppression unwanted the harmonics(or spurious response) which usually arises in distributed element filter, the suggested prototype filters are superior to the conventional generalized Chebyshev prototype filters for wide stopband realizations. Several types of SSS low pass filters are designed on the basis of proposed theory. The measured results of fabricated filters have excellent agreement with suggested theo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