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자아성장 프로그램을 통한 문제행동 학생의 자아존중감 및 행동 변화 연구

        김은자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비교적 가벼운 문제행동을 보이는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심각한 문제행동을 예방하고 치료하기 위하여 자아성장 프로그램을 실시했을 때, 자아존중감 및 행동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 학생들은 집단폭행 등 문제행동으로 처벌을 받은 19명이었으며, 이중 10명에게는 자아성장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9명의 학생은 비교집단으로 자아성장 프로그램을 실시하지 않았다. 자아성장 프로그램은 10명을 한 집단으로 한 주에 90분씩 8회 동안 본 연구자와 청소년상담실에서 파견 나온 상담자가 실시하였다. 그리고 자아성장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자아존중감 검사와 자기보고 문제행동 검사, 교사용 학생 평가 검사를 프로그램 전후에 실시하였다. 사전 사후 검사 점수를 비교한 결과 비교집단에 비해 자아성장 프로그램 실시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자아존중감이 향상되었고, 자기보고 문제행동이 유의미하게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교사용 문제행동 평가의 상호작용 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으나 프로그램 실시 후 점수는 유의미하게 낮아졌다. 이 같은 연구결과는 자아성장 프로그램이 학교 현장에서 문제행동 학생의 문제행동 개선 및 예방에 효과를 거둘 수 있음을 시사해준다고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vent the slightly delinquent middle school students from committing seriously delinquent acts or treat them. For this purpose, a "self-growth program" was designed and applied to them to determine their self-esteem and behavioral changes. For this study, 19 middle school students were sampled; 10 students were chosen for a test group subject to the program, while 9 students were reserved as control group. The test group students were subject to 8 rounds of the program training, each of which lasted 90 minutes every week. The program was operated by the researcher and a counsellor dispatched from Youth Counselling Service Center. In order to determine the effects of the "self-growth program", sample students' self-esteem as well as delinquent behaviors perceived by them and teachers, respectively was analyz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As a result, the test group students showed a higher self-esteem than the control group, and the delinquent behaviors perceived by them decreased significantly. Although the difference of delinquent behaviors perceived by teachers was not significant between two groups, the post-program delinquent behaviors were less shown in the test group than the control group. Such findings suggest that the "self-growth program" may help to correct or prevent delinquent students' wrong behaviors at their school.

      • 발 반사 마사지가 노인의 생리적지수와 근골격계의 기능에 미치는 영향

        김은자 충남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oot reflex-massage on the physiological index and function of musculoskeletal system in elderly people through one-group pre-post test design.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9 elderly people who used senior center located in dong-gu Daejeon. Each individuals in the test received the foot reflex-massage for an hour each time, 3 times a week, totally 10 sessions. Each individuals physiological index, musculoskeletal system test and self-reported questions were tested before and after sessions. The selected dependent variables were, physiological index(Hematology & biochemical, carotid artery velocity, EEG), musculoskeletal system(K-WOMAC, Joint angle, muscular strength, EMG), which were all measured before and after foot reflex-massage was offered. The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WIN 12.0 program. chi-test and t-test was used for general factors, paired t-test for analysis of the outcome measures. The level of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set at 0.05. The findings of the study was as follows: 1. Changes of the Physiological index 1-1. No significant changes were observed in Temperature, but systolic․ diastolic of the Blood pressure and Purse rates showed decrease(p<0.01). 1-2. Carotid artery velocity by ECG showed increase in the right systolic․diastolic velocity and left diastolic velocity(p<0.05). Parasympathetic nerves activated by the decrease of the Norm LF and the increase of the Norm HF in Autonomic nerves system(p<0.05). 1-3. WBC count showed decrease(p<0.01). No significant changes were observed RBC count, Platelet count, Hct, Hb in Hematology. No significant changes were observed AST, ALT, ALP, GGT, CHO in Biochemical. 1-4. Absolute Brain waves by EEG showed decrease relativistic-?, relativistic-?, relativistic-?, relativistic-? in order. Relativistic Brain waves by EEG ranged the same as Absolute Brain waves but relativistic-? showed increase relatively. 1-5. No significant changes were observed in SEF 50% brain waves. EEG depression index A1, A2 showed increase in Temporal Lobe(p<0.01). 2. Changes of the function of Musculoskeletal system 2-1. Mean subjective symptoms by K-WOMAC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joint pain, joint stiffness, physical function(p<0.001). 2-2. Knee joint angles showed significant increase in both flexion and extention(p<0.001). Ankle joint angles showed significant increase in both dorsal flexions(p<0.001).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statistic increase in both plantal flexions. 2-3. Muscular strength of the Lower Limbs showed significant increase in the right flexion and extention muscular strength(p<0.001) and the left flexion and extention muscular strength(p<0.01). Muscular strength of the Foots showed increase in the right dorsal flexion․plantal flexion muscular strength(p<0.01) and the left plantal flexion muscular strength(p<0.01) and the left dorsal flexion muscular strength(p<0.05). 2-4. Muscular activations by EMG showed increase in the left rectus femoris muscle and tibialis anterior muscle(p<0.001), the right biceps femoris muscle(p<0.001), the right rectus femoris muscle and tibialis anterior muscle(p<0.01), the left gastrocnemius muscle (p<0.01).

      • 유방암 수술환자의 성적행동 및 영향요인

        김은자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유방암수술을 받은 유방암환자의 성적행동 및 그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본 연구는 성(sexuality)이란 포괄적인 영역으로 양적인 결과로만 측정되어지는 한계를 보완하여 유방암 수술환자와의 심층면담을 통해 유방암 수술환자의 성적 행동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신체적, 정서적, 사회적, 문화적인 영향요인을 파악하고자 한다. 자료 분석 방법은 SPSS WIN 14.0을 이용하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질병관련특성은 빈도분석을 통해 실수와 백분율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월경유무에 따른 성적행동의 비교는 독립표본 t-test를 이용하였으며 대상자의 수술형태, 타목시펜복용유무, 방사선요법유무, 항암화학요법유무와 관련된 성적행동 및 하부영역의 차이분석은 월경유무를 공변수로 처리하여 ANCOVA분석을 이용하였다. 또한 심층면담을 이용하여 수집한 질적 자료의 분석은 문장의 의미를 범주화하여 이끌어낸 주제를 토대로 유방암 수술환자의 성적 행동 및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월경유무에 따른 성적행동비교는 의사소통영역(p=0.000), 성반응영역(p=0.004), 자위영역(p=0.049), 성적행동(p=0.001)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대상자의 수술형태에 따른 성적행동비교는 성반응영역(p=0.006)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대상자의 항암화학요법에 따른 성적행동비교에서는 성반응영역(p=0.011), 관계질영역(p=0.018)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대상자의 타목시펜복용유무에 따른 성적행동비교에서는 관계질영역(p=0.032, 자위영역(p=0.044)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대상자의 방사선요법유무에 따른 성적행동비교에서는 모든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 유방암 11인과의 심층면담을 통한 질적 자료 분석 결과, 1) 유방암 수술 후 긍정적으로 변화된 성적행동 및 영향요인으로는 남편의 아내에 대한 배려하는 행동으로 인해 수술 전보다 더 관계가 가까워지고 친밀해졌으며, 사랑스러운 감정의 교류로 인해 성관계시 더 애틋해지고 성의를 가지며 성관계에 대한 대화가 많아지고 성관계에 적극적으로 노력하였다. 2) 유방암 수술 후 부정적으로 변화된 성적행동 및 영향요인으로는 수술 후 신체피로감으로 성욕이 감소되고 항암제로 인한 오심, 구토, 허약감이 심해져 성생활의 빈도가 감소하며 성생활에 대한 관심이 없어진다고 하였다. 또한 질 분비물의 감소로 성관계시 고통스러움을 느끼며 유방의 상실로 여성이 아니다라는 느낌을 가지고 남편의 가슴애무가 없어지고 질병으로 인해 자신감의 감소로 성생활이 두렵고 자신이 없다고 하였다. 그리고 항암제로 인한 폐경증상으로 여성으로서 끝났다는 느낌을 가지며 수술부위 상처로 성관계시 자세가 불편하고 조심스럽다고 하였다. 3) 유방암 수술 후 변화되지 않은 성적행동 및 영향요인으로는 월경이나 몸 상태가 정상이로 돌아와 성생활의 변화가 없으며 유방을 보존하였기 때문에 유방상실감이 느껴지지 않는다고 하였고 외관상 유방모양이 변화가 없어 남편이 자연스럽게 대해 주었기 때문에 여자로서의 정체감이 유지된다고 하였다. 4) 유방암 수술 전 후 모두 부정적 성적행동 및 영향요인으로는 성욕이 없어 의무적인 성생활을 하며 수술 전과 변함없이 남편의 배려가 없어 성생활을 기피한다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 유방암 수술환자의 성적행동 및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폐경, 수술, 항암화학요법, 타목시펜치료, 방사선요법에 따른 성적행동을 분석하였고 유방암 수술환자의 성적행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수술, 항암화학요법, 타목시펜치료 등이 있으며 질적 자료 분석을 통해 도출된 심리적, 사회적 영향요인으로 배우자의 적극적 배려를 통한 친밀감의 증가, 수술 후 신체피로, 항암치료의 오심, 구토, 허약감, 유방의 상실로 인한 자신감의 상실, 수술 후 흉터로 인한 성관계시 자세의 불편감, 수술 전과 변함없는 성생활, 의무적인 성생활의 지속 등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몇 가지 제언을 하면, 첫째, 유방암 여성의 수술, 치료로 야기되는 성문제에 대한 지식도구나 중재프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된다. 둘째, 배우자의 성적 행동 및 영향요인에 대한 연구 또한 시도될 필요가 있다. 셋째, 임상현장에서 성에 관한 간호중재 시 대상자의 경험을 통한 질적 측면에서의 접근이 요구된다. This study is designed by a predicative study for understanding the sexual behavior of breast cancer patients after surgery and its influencing factors. Using SPSS WIN 14.0, I analyzed the targets’ general characteristics and condition of sickness by failure and percentage through the frequency analysis while I employed a t-test for a distinctive analysis of scores for seven areas that include presence of menstruation and I also employed an ANCOVA analysis for a distinctive analysis of scores for seven areas that include surgery, chemotherapy, Tamoxifen, radiation therapy, and related sexual behavior. The results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n comparison of sexual behaviors of scores for communication area(p<0.001), sexual response area(p=0.004), masturbation area(p=0.049), sexual behavior's total score(p=0.001) that include presence of menstrua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n comparison of sexual behaviors of scores for sexual response(p=0.006) that include surgical typ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n comparison of sexual behaviors of scores for sexual response(p=0.011), relationship quality(p=0.018) that include chemotherap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n comparison of sexual behaviors of scores for relationship quality(p=0.032), masturbation(p=0.044) that include medication (Tamoxifen). 2. The analysis of qualitative data obtained by profound interviews with 11 breast cancer patients revealed that, as the positive changes in their sexual behaviors and other influential factors, the relationships with their husband have become closer than before surgery as the husbands began behaving with care toward their wives. Due to more frequent communication of love, they tend to have more affectionate sexual intercourses than before, began discussing their sexual relations more frequently and paid more attention and effort in their sexual relations. Second, as for the negative changes in their sexual behaviors and other influential factors, the patients who lost their breast by surgery tend to claim the decrease of their sexual desire due to physical fatigue after surgery. They say that anti-cancer medicine causes nausea, vomiting and weakness and, as a result, the number of sexual intercourse decreases and their interest in sexual relations gradually deteriorates. Furthermore, they tend to feel pain during sexual intercourses due to the decrease of vaginal secretion. They also tend to lose confidence as a female due to a breast loss. They feel that their husbands lost an interest in their breasts after surgery. They also claim that they are afraid of having a sexual intercourse as they are not confident with their body. The menopause caused by the chemotherapy agent is another reason for them to lose confidence as female while the surgery scar causes inconvenience in posture during sexual intercourse. Third, as for the unchanged aspects in their sexual behaviors and other influential factors, the patients who did not lose their breast or menstrual seem to have been able to regain their normal sexual relations with their husbands. They could keep their breast as they had been and hadn’t suffered from the feeling of loss. They also have been able to maintain their identity as female since their husbands addressed them spontaneously. On the other hand, they claim that they didn’t have much sexual desire both before and after surgery. As a result, their sexual intercourses have become more dutiful and they began avoiding a sexual intercourse because of the lack of their husbands’ caring attention. In this study, I examined the sexual behaviors of breast cancer patients after surgery, in relations with menopause, surgery, chemotherapy, Tamoxifen and radiation therapy, to understand their sexual behaviors and other influential factors. The study revealed that what influences upon the sexual behaviors of breast cancer patients after surgery, chemotherapy and Tamoxifen. As for the psychological and social factors that influence upon their sexual relations, the examination of qualitative data suggests the increase of closeness due to the spouse’s positive care, the physical fatigue after surgery, the nausea, vomiting and weakness due to the anti-cancer treatment, the loss of confidence due to the breast loss, the inconvenience in posture during sexual intercourse due to the surgery scar, the unchanged sexual relation than before surgery, and the continuance of dutiful sexual relationship. At last, I would like to suggest a couple of proposals. The research method of this study can be applied not only to the patients’ sexual behaviors but also to a wide variety of aspects. This study could be more helpful if the targets of interview have included the patients’ support system and spouses. Also,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tool or mediation program in relation of sexual life is necessary as a part of the supportive treatment of breast cancer patients.

      • 학교 운동부 운영 실태에 대한 사례 연구

        김은자 청주교육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초등학교 운동부 선수의 학교생활 실태, 운동부의 조직 및 운영 실태를 파악하는 과정에서 운동부 주체들의 생활 속에 내포된 문화적 의미들을 탐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해 잠두초등학교 운동선수, 코치, 학부모, 감독, 관리자를 대상으로 선정하여 심층면담, 참여관찰, 결정적 사건 기록의 방법을 통해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이상의 연구 과정을 통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교 운동부의 성과 위주 운영은 학교 운동부 주체들의 삶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구조적인 문제로 인해 학교 운동부 주체인 학생, 학부모, 코치, 감독, 관리자 모두 성과 위주 운영에 동조하고 있다. 긍정적인 측면으로 본다면 꿈을 실현하기 위한 정진으로 볼 수 있지만 지나친 성과 위주의 운영 속에서 생성되는 문제들로 인해 각 주체들은 힘들어 하기도 한다. 1. 학생들이 얻는 것과 잃는 것 학교 운동부 활동을 통해 학생들이 얻는 것은 명확한 목표 설정을 통해 주체적인 생활을 하며 즐거움과 행복, 성취감을 통한 자신감 획득, 공동체 의식 함양 등이며 잃는 것은 지나친 훈련 계획으로 인한 수업 결손, 즉 교육 기회의 상실과 학교생활 중 교우 관계의 어려움을 겪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학부모의 반대와 지원 우리 사회에 팽배해 있는 운동부에 대한 부정적 시각과 운동부 운영에 있어서의 승리지상주의 풍토, 학생들의 불확실한 진로 등의 문제로 학부모는 자녀가 운동부에 가입하여 활동하는 것에 반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나친 성과 위주로 운영되는 시스템을 수정하고 운동부 학생들의 사회 진출 기회를 넓혀 사회·경제적 안정을 보장한다면 학부모의 반대로 신입 선수를 선발하기 어려운 현실적 문제가 해결될 것이다. 학교 운동부 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학부모 지원은 학생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안정을 위한 지원이 되어야 한다. 3. 코치의 재임용과 해임 낮은 보수와 생계를 위협하는 임용제도 등 코치의 열악한 신분은 성과 위주의 운영을 할 수밖에 없는 구조적 문제를 안고 있다. 승리지상주의로 인해 나타나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선 코치가 전문 지도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 주어야 한다. 4. 유능한 감독, 무능한 감독 학교 현장에서 기피 업무인 체육 업무는 주로 본인의 희망 여부와 관계없이 학교 상황에 따라 맡겨지게 되므로 주어진 업무를 처리하는데 있어 적극적이지 못한 상황이 벌어질 수도 있으며 담당자가 자주 바뀌게 되면 크고 작은 시행착오를 반복적으로 겪기도 한다. 성과와 관련된 보상 이외에 힘든 상황을 보상해 줌으로서 적극적인 역할 수행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5. 학교 운동부의 의미 엘리트 체육의 일환인 학교 운동부는 성과 위주로 운영되어 온 집단으로 현재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학교 교육의 목표아래 정해진 모든 학습을 따르도록 선수에게 학습권을 보장해 주어야 하며 코치 임용과 해임의 구조적인 문제를 개선하여 운영의 정상화를 꾀하여야 한다. 따라서 이상적인 학교 운동부는 학생 선수 스스로 명확한 목표를 설정하여 즐거움을 느끼며 운동할 수 있어야 하며 긍정적인 자신감을 가지고 생활할 수 있도록 운영 주체들이 유기적으로 노력하는 집단이 되어야 한다. ABSTRACT A Case Study on the Management of Elementary School Sports Clubs kim eun ja Major in educational administration Graduate School Ch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ung-buk. Korea Supervised by Professor kim yong This study was conducted under the goal of examining the cultural meaning included in the actual of the management of the school athletic club. For the purpose of such a research, the author selected athlete, coach, school parents, manager, as participants in research and collected data through the method of various literature, in-depth interview, observation by participation, and record of a decisive event. The research result through the above research process is as follows. The performance-based management of school athletic teams has exerted a great influence on lives of their subjects. Due to structured problems, all the subjects, students, their parents, coaches, supervisors and managers, also have followed the performance-based management. On the positive side, it seems devotion for realization of dreams, however excessive performance-based management sometimes makes it hard for them to deal with its problems. 1. What Students Gain and Lose What students gain from their activities of school athletic teams is living their subjective lives according to definite goal setting, obtaining self-confidence through pleasure, happiness and feeling of accomplishment and building community spirit. On the other hand, what they lose is class absence caused by excessive training programs, such as loss of educational opportunities and difficulty in peer relationships in their school lives. 2. Parents' Opposition and Support Due to problems such as victory supremacy in management of athletic teams and uncertainty of students' careers, in addition to the spread of negative perspectives in our society, parents are shown to take objection to participation in school athletic teams of their children and their activities. H

      • 자활사업 참여자의 사회적 관계망이 정서적 자활에 미치는 영향 요인

        김은자 상지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self-help business has become the basis of the work-related welfare policy that promotes self-sufficiency and escape from poverty by providing stable jobs to low-income capable workers. Therefore, the emphasis was on psychological and emotional aspects such as providing poverty by providing jobs, cultivating self-sufficiency of low-income people, supporting skills acquisition and providing work opportunities. However, it is not easy to have a positive change to cope with the environment of poverty and to maintain life on its own. Therefore, motivation to provide the first step of psychological and emotional positive change has become an important factor. These motives are influenced by various factors in social relations. Especially, it is confirmed that types of social relations formed with others are important factors in expanding individual value to self-sufficiency Social relations have both a positive role of supporting support for buffering or defending stress and a negative function of conflict. Conflicting factors, rather than supportive factors, have been shown to have a greater impact on motivation. In particular, criticism or ignorance caused by economic difficulties was pointed out as the cause of social stress and loss of social capital formation and social relations, leading to negative interpersonal relations. Therefore, in this study, we tried to find a way to strengthen the emotional self-sufficiency as a process step of economic self-support by analyzing the social network of the self-help project participants and confirming the inherent characteristics. For this study, a total of 356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7 local self-help centers in Gangwon-do Province with more than 70 participants, and 339 copies were collected. Of these, 321 were used as final analysis data.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in the self-sufficiency program were found to affect emotional self-sufficiency by gender, family type, education level, and monthly average income. The more women and the people living with the family, the higher the education level, the higher the monthly average income, the higher the emotional self-sufficiency. Seco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lf-help business showed that self- sufficiency type, re-participation, and participation duration had an effect on emotional self-sufficiency. As the participants in the self-help enterprise, the first person to participate in the self-help business, The longer the participation period, the higher the emotional self-sufficiency. Third, the size of social network and contact frequency affected emotional self–sufficiency. Especially, the size of the network w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in emotional self-sufficiency. The larger the social network, the higher the emotional self-efficacy, and the higher the frequency of contact, the higher the emotional self-efficacy. In particular, the size of the network shows a statistically correlated relationship with the emotional self-sufficiency in the order of peer network size, expert network size, and family network size. The frequency of contact was not correlated with the emotional self-efficacy of the family network and the peer network, bu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emotional self-sufficiency. Fourth, social support and social conflict affected emotional self-sufficiency. The higher the social support, the higher the emotional self-efficacy. The lower the social conflict, the higher the emotional self-efficacy. Especially, emotional support and material support were found to have a great influence on emotional self-sufficiency . Fifth,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sub-factors of social network and sub-factors of emotional self-sufficiency. Relative network size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positive life attitude, self-efficacy, self-control,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e contact frequency of the network showed a statistically correlated order of self-efficacy, positive life attitude, and self- control power, but no correlation was found in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Social suppor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elf-control, interpersonal relationship, self-efficacy, and positive attitude toward life as emotional support increased. As material support and information support increased, self-control, interpersonal relationship, positive attitudes of life, and self-efficacy were statistically correlated. As social conflict increased, interpersonal relationship, self-efficacy, self-control, positive attitude showed negative correlations. The results of research showed that the influence of emotional self-efficacy was the highest in the network size(β=.247), followed by emotional support(β=.226), material support(β=.187) ), Social conflict(β=-.168), self-support(β=.161), business type(β=-.145), contact frequency(β=.124) , Gender(β= .121), monthly average income(β=.106), and participation period(β= .101). It was confirmed that emotional self-sufficiency vari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cial network of participants in the self-support project. Especially, the size of the network, emotional support, and social conflict level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emotional self-sufficiency of self-help project participants. Therefore, a social network expansion plan should be established to strengthen the emotional support of participants in the self-help project and to reduce social conflicts. We proposed a concrete practical program to strengthen the social network of self-help project participants by diversifying types of self-help projects, expanding case management practitioners, cooperating with community organizations, and securing stable jobs through localized self-help programs. 자활사업은 근로능력 있는 저소득층에 안정적인 일자리를 제공함으로써 자활능력을 향상시키고 빈곤에서 탈출하도록 유도하는 근로연계복지정책의 기반이 되었다. 따라서 일자리 제공을 통한 탈빈곤 지원, 저소득층의 자활능력 배양, 기술습득 지원 및 근로기회 제공 등 심리·정서적인 측면에 중점을 두고 있다. 그러나 빈곤이라는 환경에 대처하며 스스로 삶을 유지하려는 긍정적인 변화를 갖는다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따라서 심리·정서적으로 긍정적인 변화의 단초(端初)를 제공할 동기부여가 중요한 요인으로 대두되었다. 이러한 동기는 사회적 관계 내 다양한 요인들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특히 타인들과 형성하는 여러 유형의 사회적 관계가 자활에 대한 개인의 가치 확장에 중요한 요인이라는 것이 확인되었다. 사회적 관계는 스트레스를 완충시키거나 방어해 주는 지지라는 긍정적인 역할과 갈등이라는 부정적인 기능을 동시에 갖고 있으나, 갈등요인보다는 지지요인이 정서적 자활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경제적 어려움으로 발생되는 비난이나 무시 등이 삶의 스트레스로 작용하여 부정적인 대인관계로 이어짐으로써 사회적 관계망의 크기나 구성원들과의 접촉빈도를 줄어들게 하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활사업 참여자들이 갖는 사회적 관계망을 분석하고, 그 속에 내재되어 있는 특성을 확인함으로써 경제적 자활의 과정적 단계로서 정서적 자활을 강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위해 자활사업 참여자가 70명 이상인 강원도 내 7개 지역자활센터를 대상으로 총 356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339부를 회수하였으며, 그중 321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활사업 참여자의 개인적 특성에서는 성별, 가족유형, 학력, 월 평균소득이 정서적 자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일수록, 가족과 함께 생활하고 있는 대상자일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월 평균소득이 높을수록 정서적 자활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활사업 특성에서는 자활사업 유형, 재참여, 참여기간이 정서적 자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활기업 참여자일수록, 자활사업에 처음 참여한 대상자일수록, 참여기간이 길수록 정서적 자활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 관계망의 크기와 접촉빈도는 정서적 자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관계망 크기는 정서적 자활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관계망이 클수록 정서적 자활이 높아지고, 접촉빈도가 클수록 정서적 자활 또한 높게 나타났다. 특히 관계망 크기는 동료 관계망 크기, 전문가 관계망 크기, 가족 관계망 크기의 순으로 정서적 자활과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접촉빈도는 가족 관계망과 동료 관계망의 접촉빈도는 정서적 자활과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전문가 관계망의 접촉빈도에서만 정서적 자활과 정적인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적 지지와 사회적 갈등이 정서적 자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정서적 자활이 높게 나타나는 정적 상관관계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갈등이 낮을수록 정서적 자활이 높게 나타나는 부적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다. 특히 정서적 지지, 물질적 지지가 정서적 자활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정보적 지지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사회적 관계망 하위요인과 정서적 자활의 하위요인 간의 상관관계이다. 관계망 크기는 긍정적 삶의 태도, 자기효능감, 자아통제력, 대인관계 순으로 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관계망 접촉빈도는 자기효능감, 긍정적 삶의 태도, 자아통제력의 순으로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대인관계에서는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사회적 지지는 정서적 지지가 커질수록 자아통제력, 대인관계, 자기효능감, 긍정적 삶의 태도 순으로 정적인 상관관계가 높게 나타났다. 물질적 지지와 정보적 지지가 커질수록 자아통제력, 대인관계, 긍정적 삶의 태도, 자기효능감 순으로 정적인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사회적 갈등이 커질수록 대인관계, 자기효능감, 자아통제력, 긍정적 삶의 태도 순으로 부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연구 결과, 정서적 자활에 미치는 영향력은 관계망 크기(β=.247)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정서적 지지(β=.226), 물질적 지지(β=.187), 학력(β=-.171), 사회적 갈등(β= -.168), 자활사업 재참여(β=.161), 사업유형(β=-.145), 접촉빈도(β=.124), 가족유형(β=.123), 성별(β=.121), 월 평균소득(β=.106), 참여기간(β=.101)의 순으로 나타났다. 자활사업 참여자의 사회적 관계망 특성에 따라 정서적 자활이 달라진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특히 관계망 크기와 정서적 지지, 사회적 갈등 수준이 자활사업 참여자의 정서적 자활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어 사회복지적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자활사업 참여자의 정서적 지지를 강화하고 사회적 갈등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지역사회를 통한 사회적 관계망 확충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자활사업 유형의 다양화, 사례관리 실무자 확충, 지역사회 기관과의 업무협력, 지역특화 자활사업을 통한 안정적인 일자리 확보 등 자활사업 참여자들의 사회적 관계망을 강화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천적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 유아교사의 원내와 원외 교사학습공동체 참여 경험 비교 탐색

        김은자 전남대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교육에 대한 개념은 시대의 흐름에 따라 변화한다. 과거에는 지식 전달에 초점을 두고 학생들이 갖추어야 할 지식을 교사가 효율적으로 전달하는 교수 기법이 중시되었다. 그러나 교사의 교수 기술만 교육의 효과를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학생들 개인이 속한 교육적 환경과 이전 경험에 따라 성취도가 달라진다. 교육은 단순한 지식 전달의 투입-산출이 아닌 교육과정에서 학습자의 능동성과 학습 환경에 의해 많은 영향을 받는 복합성을 지니는 일인 것이다. 교육에 관한 이러한 관점 변화로 학생들의 필요에 맞추어 적절한 시점에 교육적 활동을 수행하는 교육적 민감성이 교사 전문성의 주요 요소로 강조되기 시작하였다. 또한 반성적 사고를 통한 교육활동의 성찰이 개별적으로 이루어지던 것에서부터 집단적 반성을 통한 다양한 관점에서의 실천 공유와 논의가 중요하게 부각되었다. 이에 교사 교육에서도 일방적 연수나 교육 프로그램의 적용이 아닌 교사학습공동체를 통해 구성원들이 서로의 실천을 나누고 공동의 반성적 성찰을 통해 실제적 지식을 재구성하는 등 집단 지성을 발휘할 수 있는 접근이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교사학습공동체의 종류는 기관 단위로 구성되는 원내 교사학습공동체와 개별 교사들이 소속 기관과 무관하게 모여서 자유롭게 구성하는 원외 교사학습공동체로 나눌 수 있다. 특히 유아교육 분야는 단일학급 병설유치원이나 소규모 유치원이 많아서 원외 교사학습공동체 역시 활발한 편이며 앞으로도 원내와 원외 교사학습공동체가 공존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이런 상황에서 지금까지 유아교육분야의 교사학습공동체 관련 선행연구들은 원내와 원외 교사학습공동체의 형태적 특징에 주목하지 않고 교사들의 학습공동체 참여 경험을 위주로 살펴본 경향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원내와 원외 교사학습공동체의 형태적 특징을 이해하기 위해 두 형태의 교사학습공동체에 모두 참여한 교사들의 이야기를 통해 그 경험이 각각 어떠하였는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교사들이 학습공동체 운영 및 참여 태도를 성찰할 수 있도록 돕고, 정책적으로는 원내와 원외 교사학습공동체의 특징에 맞는 지원 계획 수립에 기초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G시와 J도의 공립유치원에 근무하면서 원내와 원외 교사학습공동체 모두에 참여한 경험 있는 유아교사 6명이었다. 자료수집을 위해 2022년 5월부터 8월까지 4개월 동안 참여자들과 3차의 개별 심층면담(in-depth interview)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전사, 코딩, 유목화의 순환적인 과정을 통해 유의미한 연구 결과를 주제화하고, 이를 검토한 후 최종 주제로 도출하였다. 연구의 신뢰도 및 타당도 확보를 위해 지속적인 반성과 연구 참여자의 피드백을 확인하고, 유아교육 전문가의 검토 및 자문을 거쳤다. 연구 결과, 참여 교사 대부분이 원내 교사학습공동체는 의무적 참여로 시작되었고 연구의 내용과 주제도 다양하며, 운영 면에서도 느슨한 편이라고 하였다. 반면, 원외 교사학습공동체는 개인의 필요와 지향 목적이 명확하여 밀도 있는 주제 중심으로 운영되는 특성이 있었다. 원외는 한 가지 주제에 대한 뚜렷한 목적의식이 존재하여 구성원의 직위, 경력 등의 개인적 요소가 미치는 영향이 상대적으로 덜 드러나는 반면 원내는 구성원의 직위나 경력, 성향 등의 개인적 요소가 공동체 운영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배움의 내용도 차이가 있었는데 원내 교사학습공동체는 업무 중심의 실천적 지식에 대한 습득이 주로 이루어졌고, 원외 교사학습공동체는 교육과 배움에 대한 철학적 고민과 교사의 자세 등 교육적 현상에 관한 탐구 위주였다. 배움의 방식에 있어서도 원내는 경력 교사로부터 초임 교사에게 지식이 전달되는 방식이지만, 원외에서는 구성원 간의 활발한 참여와 교류가 이루어지면서 집단 지성을 형성하는 식이었다. 그러나 참여 교사들은 원내와 원외 교사학습공동체의 경험은 모두 중요하며 나름의 가치를 지니기에, 어느 한쪽의 선택이나 우위를 논하는 것보다 두 공동체가 순환적으로 상호 발전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대부분이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들의 교육적 의미를 논하면 첫째, 본 연구의 참여자들은 자발적이며 동료적·수평적 관계의 원외 교사학습공동체가 원래 교사학습공동체의 취지에 부합한다고 보았다. 그러나 교사 간 친목 도모와 업무 관련 실천적 지식의 공유, 의무적이지만 공동체 경험의 기회 제공, 신규 교사의 교직 적응 돕기 등 원내 교사학습공동체의 장점도 있다고 보았다. 참여 교사들의 이야기처럼 두 형태의 교사학습공동체가 공존, 선순환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정책적 차원에서 다양한 형태의 교사학습공동체를 인정하고 운영 방식에 폭넓은 자유를 부여하는 등 각각의 장점을 성장시킬 수 있는 지원 방향이 필요하다. 둘째, 본 연구 참여자들은 교사학습공동체를 통해 다양한 토론과 나눔을 경험하고 있었으며, 이는 교사 전문성 발달만이 아니라 민주적인 교직 문화 형성 측면에서도 매우 중요한 부분이라고 생각된다. 원내 교사학습공동체를 통한 친밀감 형성과 원외에서의 자유롭고 평등한 토론의 경험은 교직 사회의 문화를 민주적이고 수평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중요한 토대가 될 것이다. 따라서 조직문화의 측면에서 교사학습공동체의 역할에 주목하고 적절한 지원과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셋째, 원외 교사학습공동체는 개인적 필요에 따른 자발적 참여로 깊이 있는 연구와 탐색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이를 통한 배움이 실제로 교육 현장에서 효과적으로 연결되고 있는지 점검하고 지원하는 것이 필요하다. 교사학습공동체에서의 배움은 어떤 방식으로든 교육 실천에 영향을 주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직접적 배움의 형태로 실천적 지식의 공유, 전달이 일어나는 원내 교사학습공동체와 달리 원외의 경우 보다 철학적 관점과 태도 중심의 학습이 이루어지는 경향이 있었다. 이는 교사의 배움에 매우 중요한 부분이지만, 실천에 적용될 때 그 가치를 지닐 것이다. 따라서 원외의 배움을 원내의 교육 현장으로 유입하고 원내 교사학습공동체에서도 함께 고민하고 적용하는 등 배움을 실천, 순환시킬 수 있는 방안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는 원내와 원외 교사학습공동체에 모두 참여한 유아교사들이 각각의 학습공동체에서 어떤 경험을 하는지 비교, 탐색하였다. 결론적으로 원내와 원외 교사학습공동체의 경험은 다양한 측면에서 차이가 존재하였지만, 어느 한쪽 선택의 문제가 아니라 각 형태의 장점을 촉진하고 단점을 보완하여 상호 순환적 성장을 돕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앞으로 두 교사학습공동체의 형태적 차이에 주목하여 더 다양한 연구들이 수행되기를 기대한다. Important concepts in education have continuously changed with paradigm shifts over time. In the past, education was focused on knowledge delivery, and people tended to place importance on teaching methods for effectively transmitting knowledge that students need to acquire. However, the effects of education are not determined solely by teachers’ teaching methods or skills, but students’ academic performance also depends on individual students’ educational context and prior experience. Education cannot be defined simply in terms of the input and output of knowledge delivery, but it is a complex process that is significantly affected by learners’ voluntariness and their learning context. As a result of these changes in the views on education, educational sensitivity for performing educational activities suited to students’ needs at the right time began to be emphasized as a major element of teacher expertise. Furthermore, in the past, contemplative reviews of educational activities through self-reflection were generally performed individually. Currently, greater emphasis tends to be placed on sharing and discussing educational practice from various perspectives through group reflective practice. Therefore, in the field of teacher education, instead of applying training or education programs that teachers passively attend without participating in the operation of programs, people are increasingly adopting an approach that enables teachers to exert collective intelligence through teacher learning communities. This approach allows the members of teacher learning communities to share their practice and reconstruct practical knowledge through group reflective practice. These teacher learning communities can be divided into school-based and non-school-based communities. A school-based learning community is composed of a group of teachers working in the same educational institution, while a non-school-based learning community is freely organized by teachers from different educational institutions regardless of the institutions that individual teachers belong to.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small-sized educational institutions, such as kindergartens with a single class affiliated with an elementary school or small-sized kindergartens, are frequently found. For this reas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non-school-based learning communities are relatively actively operated, and both types of teacher learning communities would inevitably continue to coexist in the future. In this situation, previous studies on early childhood teachers’ learning communities tended to be focused on teachers’ experiences of participation in learning communities without taking note of the characteristics of school-based and non-school-based learning communities.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early childhood teachers’ experiences of teacher learning communities through the narratives of teachers who were involved in the activities of both types of teacher learning communities in order to gain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istics of two types of teacher learning communities.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are expected to help teachers to reflect on their operation of learning communities as well as their participation attitudes. Also, in relation to government policies, the study findings may also be utilized as a basic data for establishing support plans appropriate for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of teacher learning community.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6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in public kindergartens located in G City or J Province. All participants had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both school-based and non-school-based teacher learning communities. Data collection was carried out through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over a period of 4 months from May to August, 2022. Each participant was interviewed three time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a cyclic process composed of transcription, coding and categorization to identify significant themes and patterns, and final themes were derived by reviewing the initial analysis results. To secure adequate reliability and validity, this study used methods such as the researcher’s continuous self-reflection, the participants’ member-checking, and expert review and consultation.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most of the participants reported that school-based learning communities were formed through compulsory participation, the communities dealt with a broad scope of research content and various topics, and they were relatively loosely operated. On the other hand, the operation of non-school-based learning communities was characteristically focused on thoroughly studied specific topics in relation to definite personal needs and clear objectives pursued.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since non-school-based communities have a clear sense of purpose regarding a single topic, individual factors such as members’ position or length of teaching experience were found to have a relatively less obvious effect on the operation of communities. In contrast, for school-based learning communities, the operation of learning communities was greatly affected by individual factors such as members’ position, length of teaching experience, and dispositional characteristics. With respect to differences in the content of learning, in school-based communities, the content of learning mostly consists of the acquisition of practical knowledge related to job duties. Meanwhile, in non-school-based communities, learning is mainly focused on the exploration of educational phenomena such as philosophical contemplation on education and learning and teachers’ attitudes. In terms of the method of learning, in school-based communities, knowledge is generally conveyed from experienced teachers to novice teachers. However, for non-school-based communities, a frequently used method of learning is to derive collective intelligence through active participation and exchanges among members. However, the participants expressed the view that since both types of teacher learning communities provide meaningful experiences and have their respective values, it is necessary to encourage both types of communities to develop together. More specifically, they thought that it is more desirable to allow two types of teacher learning communities to influence each other’s development reciprocally and cyclically than discussing the selection of the better form out of the two or the superiority of one type of community over the other.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 study results described above can be described as follows. First, the participants thought that non-school-based learning communities, which are characterized by voluntary participation and a horizontal peer relationship, have features that better fulfill the main purpose of teacher learning communities. However, they also reported that school-based learning communities have various advantages such as promotion of friendly relationships among teachers, sharing practical knowledge related to their job duties, provision of opportunities to experience community activities despite non-voluntary participation, and provision of help for novice teachers’ professional adaptation. In view of the respective advantages of the two forms of learning communities, as suggested by the participants, it is necessary to help two types of teacher learning communities to coexist harmoniously through a virtuous cycle in which they reciprocally influence each other. Therefore, at the policy level, it is required to find an appropriate direction of support to further develop the respective advantages of the two forms of learning communities. For this purpose,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various forms of teacher learning communities and permit a broad range of freedom in the method of operation. Second, the participants were found to have experienced various discussions and diverse cases of knowledge sharing through teacher learning communities, and these experiences are thought to play a very important part in the formation of a democratic organizational culture for teaching profession as well as the enhancement of teacher expertise. The formation of the sense of closeness through school-based communities and the experience of free and equal discussion through non-school-based communities will both serve as crucial groundwork for changing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teaching profession into a democratic and horizontal organizational culture.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pay attention to the role of teacher learning communities in terms of organizational culture, and implement appropriate support measures for these learning communities as well as related research. Third, although in-depth research and exploration are conducted through voluntary participation due to individual learning needs in non-school-based learning communities,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connection between learning and practice and provide proper support in order to ensure that learning from non-school-based communities will be effectively integrated into actual practice in the field of education. It is desirable that learning through teacher learning communities should influence educational practice in a certain manner. In this regard, while the sharing and transmission of practical knowledge take place in the form of direct learning in school-based learning communities, learning in non-school-based communities tends to be focused on more philosophical views and attitudes. Although teachers’ philosophical viewpoint or attitude toward education is a very crucial element in teachers’ learning, it does not have any value if it is not applied to educational practic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plore strategies to help teachers to put into practice and circulate their learning In particular, learning in non-school-based communities should be allowed to flow into the field of education of school-based communities so that the members of school-based communities can also carefully consider and apply learning obtained from non-school-based communities. This study attempted to comparatively explore the experienc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had participated in both school-based and non-school-based learning communities. In conclusion, study results suggested that although there are differences in various aspects between two types of teacher learning communities, it is necessary to encourage the development of both forms of communities rather than adopting only one type of community. In other words, it is important to help two types of learning communities to reciprocally influence each other through a virtuous cycle by strengthening their respective advantages and supplementing their shortcomings. In the future, more diverse studies should be conducted by paying attention to formal differences between the two types of teacher learning commun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