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특수학교 자유학기제에 대한 특수교사의 메타포

        김은라(Eun Ra Kim),백지혜(Ji Hye Baek),박재국(Jae Kook Park) 한국특수교육학회 2019 한국특수교육학회 학술대회 Vol.2019 No.-

        연구목적: 본 연구는 특수학교 자유학기제에 대한 특수교사의 메타포(metaphor) 의미를 분석함으로써 특수학교 자유학기제의 방향 정립과 효과적인 실행 전략 모색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이를 위하여 부산과 대구, 경남 소재 특수교육기관에 재직 중인 교사 123명을 대상으로 자유학기제에 대한 메타포를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코딩, 메타포의 분류, 범주 개발 및 주제명 부여, 타당도와 신뢰도 검토, 양적 분석의 4단계를 통해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지유학기제에 대한 특수교사의 메타포 의미를 범주화하여 ‘꿈을 찾아가는 여행’, ‘어제와 다르지 않은 일상’, ‘연구대상’, ‘요원한 희망’ 등 총 4개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둘째, 4개 주제에 대한 특수교사 변인별 차이를 살펴본 결과, 자유학기제 관련 연수경험 유무에 따라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즉, 연수 경험이 있는 집단은 특수학교 자유학기제를 ‘꿈을 찾아가는 여행(53.9%)’, ‘요원한 희망(23.7%)’으로 인식하는 한편, 연수 경험이 없는 집단은 ‘연구대상(33.3%)’, ‘꿈을 찾아가는 여행(19.1%)’으로 여기고 있었다. 결론: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특수학교 자유학기제가 지향하는 궁극적 목표 성취를 위한 제도적 기반 마련 및 활성화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중도중복장애학생 수업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과 지원요구

        김은라(Kim, Eun-Ra),박재국(Park, Jae-Kook),박선미(Park, Sun-Mi)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20 교육혁신연구 Vol.30 No.3

        연구목적: 본 연구는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수업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을 탐색하고 동시에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수업 향상을 위하여 우선적으로 지원되어야 할 요소를 살피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중도중복장애학생을 담당하고 있는 특수교사 153명을 대상으로 수업에 대한 중요도와 수행도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수업에 대한 우선 지원 영역과 항목을 알아보기 위한 IPA 분석 결과, 1사분면에 위치하여 지속유지 해야 하는 영역은 교수-학습계획, 교수-학습과정, 수업관리 영역이었으며, 중요도는 높으나 실행도가 낮아 개선노력이 시급한 항목은 ‘학생의 기능 수준에 따라 과제분석 하기’, ‘학생의 특성에 적합한 교수-학습방법 계획하기’, ‘학생의 특성을 고려한 교수-학습자료 선정하기’, ‘중도중복장애학생 수업전략, 교수-학습방법의 개선 등 수업개선을 위해 노력하기’, ‘교육과정(성취기준, 교과용 도서 등) 연구하기’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중도중복장애학생을 위해 특수교사가 활용할 수 있는 실질적인 교수-학습 전략을 제시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look into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 and support needs on lesson for students with severe-multiple disabilities. Method: 153 special education teachers completed questionnaire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a paired t-test, and IPA matrix analysis method. Results: According to IPA analysis to find out the priority support areas and items for the classes of students with severe-multiple disabilities, the areas that should be maintained in the first quadrant were teaching-learning plans, teaching-learning courses, class management, and the areas that are of high importance but low performance urgent for improvement efforts were to Analysis of tasks according to student s skill level , Planning teaching-learning method suitable for student s characteristics , Selecting teaching-learning materials considering student s characteristics , Efforts to improve the class by teaching strategy for students with severe-multiple disabilities and improving teaching-learning methods , and Studying the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textbooks, etc.).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various practical strategies to improve teaching-learning for students with severe-multiple disabilities were suggested.

      • KCI등재

        특수교육교사의 역할수행이 교사전문성에 미치는 영향 : 조직지원인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은라(Kim, Eun-Ra),박재국(Park, Jae-Kook)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20 교육혁신연구 Vol.30 No.4

        연구목적: 본 연구는 특수교육교사의 역할수행이 교사전문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조직지원인식의 매개효과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부산시 소재 특수교육기관에 근무 중인 교사 256명을 대상으로 역할수행, 교사전문성, 조직지원인식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문제에 따라 기술통계, Pearson 상관관계 분석, SEM 검증, 부트스트래핑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특수교육교사의 역할수행, 교사전문성, 조직지원인식은 긍정적인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세 변인 모두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특수교육교사의 역할수행은 교사전문성과 조직지원인식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며, 조직지원인식 또한 교사전문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또한 특수교육교사의 역할수행이 교사전문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조직지원인식은 유의미한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특수교육교사의 전문성을 신장시키기 위한 조직의 지원 방향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support perception in the effect of special teacher s role performance on teacher expertise. Method: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256 teachers working at special education institutions in Busan on their role performance, teacher expertise, and organizational support perceptio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SEM verification, and bootstrapping according to the research problems. Results: First, the role performance, teacher expertise, and organizational support perception of special teachers were found to be at a positive level, and all three variables were found to have positive correlations. Second, the role performance of a special teacher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eacher expertise and organizational support perception, and organizational support perception also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eacher expertise.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organizational support perception had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in the effect of the role performance of special teachers on teacher expertise.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direction of the organization s support to enhance the expertise of special teachers in the future was discussed.

      • KCI등재

        장애유아 아버지와 비장애 유아 아버지의 행복에 대한 인식

        김은라 ( Eunra Kim ),박재국 ( Jaekook Park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5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7 No.2

        본 연구는 장애유아 아버지와 비장애 유아 아버지의 행복에 대한 인식을 탐색함으로써 장애유 아 아버지의 행복감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사회적 지원 방안 탐색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 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와 경상남도 소재 유아교육기관에 재원중인 만 1-8세 특수교육대상 유아 아버지 112명과 만 1-8세의 비장애 유아 아버지 114명, 총 226명을 대상으로 행복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이를 통해 얻은 주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유아 아버지의 행복감은 평균 수준이었으며, 비장애 유아 아버지의 행복감은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장애유아 아버지의 행복감과 비장애 유아 아버지의 행복감에 통계적 으로 유의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둘째, 장애유아 아버지의 변인에 따른 행복감은 학력과 수입에 서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비장애 유아 아버지의 변인에 행복감은 학력, 수입, 단체 활동 참여 유무, 자녀 연령에서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장애유아 아 버지의 행복감 향상이 자녀양육에의 긍정적 파급효과를 가지기 위해서는 장애유아 가정을 지원 해 줄 국가적 정책 및 부모교육 프로그램 등의 개발이 요구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level of perception on happiness of fathers of young children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To this end, 226 subjects who were fathers of young children aged 1-8 were asked to complete the questionnair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recognition on happiness of father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was on the average. As well the level of perception on happiness of fathers of young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was more or less higher than the average. Also,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level of happiness of father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without disabilities. Seco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variables of father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such as scholarship and income level. As well,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variables of fathers of young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such as scholarship, income level, group activity, and child’s age. Based on these results, it could be concluded that it needs to develop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and offer welfare supports to facilitate the level of happiness of father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지적장애학생의 어머니가 인식한 직업준비 기술과 자기결정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

        김은라 ( Kim Eun-ra ),박재국 ( Park Jae-kook ),김효선 ( Kim Hyo-sun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8 특수아동교육연구 Vol.20 No.3

        연구목적: 본 연구는 지적장애학생의 직업준비 기술과 자기결정의 중요도와 실행도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을 살피는 동시에 지원이 시급히 요구되는 항목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지적장애학생 어머니 110명을 대상으로 직업준비 기술과 자기결정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데이터는 대응표본 t-검증 및 Borich 요구도 분석, IPA 매트릭스 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지적장애학생의 직업준비 기술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의 인식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지원이 우선시 되어야 하는 영역은 작업기술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적장애학생의 자기결정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의 인식 차이는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그리고 하위 영역 중 자기인식과 자기이해의 영역에 대한 지원이 가장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지적장애학생의 직업준비 기술과 자기결정의 신장을 위한 실천적 전략에 대해 논의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of mothers’ perception on job readiness skills and self-determination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t the same time, to explore the needs of mothers for supporting these two key concepts. Method: To these ends, 110 mother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ere asked to complete questionnaires. And the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a paired t-test, Borich’s need, and IPA matrix analysis method. Result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level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job readiness skill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s well, the supports for ‘job skills’ domain were needed strongly.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level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self-determination. As well, the supports for ‘self-awareness and self-knowledge’ domain were needed most strongly. Conclus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rategies to support and enhance job readiness level and self-determination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ere suggested.

      • KCI등재

        특수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그릿(Grit)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은라 ( Kim¸ Eun-ra ),박재국 ( Park¸ Jae-kook ),강은옥 ( Kang¸ Eun-ok ) 한국특수아동학회 2021 특수아동교육연구 Vol.23 No.3

        연구목적: 본 연구는 특수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서 그릿의 매개효과를 탐색함으로써 특수교사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지원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특수교육기관에 재직 중인 교사 201명을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 삶의 질, 그릿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후 연구문제에 따라 기술통계와 SEM 검증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이때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부트스트레핑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특수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삶의 질, 그릿의 수준은 긍정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특수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삶의 질과 그릿에 유의미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릿도 삶의 질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특수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서 그릿은 유의미한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에서 그릿은 특수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서 효과적인 매개 변인으로써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확인됨에 따라, 특수교사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그릿에 초점에 두어 논의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 mediating effect of Grit in the effect of job stresse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on quality of life. Method: A survey on job stresses, quality of life, and Grit was conducted with 201 participants. Descriptive statistics and SEM verification were us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As well, to verify the signification of indirect effect, bootstrapping was used. Results: First, the levels of job stresses, quality of life, and Grit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positive, and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three variables. Second, the job stresse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Grit and quality of life. As well, Gri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quality of life. and it had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between job stresses and quality of life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Conclusion: As it was found that Grit had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Grit was discussed as a way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