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상라이다 자료를 이용한 자연사면의 변위 모니터링

        박재국(Park Jae Kook),이상윤(Lee Sang Yun),양인태(Yang In Tae),김동문(Kim Dong Moon) 대한토목학회 2010 대한토목학회논문집 D Vol.30 No.2D

        사면의 변위는 산사태의 위험성을 예측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인자이다. 따라서 사면의 변위는 지속적인 관측과 높은 정밀도의 관측이 요구된다. 최근에는 사면관측을 위해서 광섬유센서, GPS, Total Station, 계측기 등의 침단장비가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관측 장비는 경제성, 환경성, 편리성과 유지관리 측면에서 장비의 제약으로 인해 실제 현장적용이 부진한 상태이다. 그러므로 다양한 사면관측과 현장적용을 위해서는 실질적인 관측기술개발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지상라이다의 사면 모니터링에 대한 적용 가능성을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사면조사와 사면유지관리를 위한 정보획득 기술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지상라이다의 모니터링 정확도를 평가하였으며, 변위 발생 지역의 육안판독을 위한 그리드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사면 모니터링을 위한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The displacement of slope is a key factor in predicting the risk of a landslide. Therefore, the slope displacement should be continuously observed with high accuracy. Recently, high-tech equipment such as optical fiber sensor, GPS, total station and measuring instrument have been used. However, such equipment is poorly used in fields due to economics, environment, convenience and management. Because of this, development of substantial observational techniques for varied slope observation and field applications is needed. This study analyzed the possibility of terrestrial LiDAR for slope monitoring and suggested it as information-obtaining technique for slope investigation and management. For that, this study evaluated the monitoring accuracy of terrestrial LiDAR and performed GRID analysis to read the displacement area with the naked eye. In addition, it suggested a methodology for slope monitoring.

      • KCI등재

        장애아동 어머니의 부모역량 연구

        박재국(Park, Jaekook),서보순(Seo, Bosoon),김은라(Kim, Eunra)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3 특수교육 Vol.12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아동 어머니들이 인식하는 부모의 역량요소를 구인하고, 역량에 대한 어머니들의 인식 경향을 살피며, 이에 영향을 주는 사회인구학적 변인을 탐색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43개 역량요소에 대한 지식, 기술, 태도를 평정하도록 구성된 어머니용 부모역량 질문지를 B시의 장애아동 어머니들에게 의뢰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장애아동 부모의 역량요소는 ‘사회적 역량’, ‘자기체계 역량’, ‘양육기반 역량’, ‘양육수행 역량’으로 구인되었다. 둘째, 장애아동 어머니들의 부모역량에 대한 인식은 다소 긍정적인 경향을 나타내었는데, 4가지의 역량요소 중 사회적 역량을 더 많이 보유하고 있다고 여기고 있었고, 지식과 태도보다 기술의 습득정도를 더 낮게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장애아동 어머니들의 부모역량에 대한 인식에는 어머니의 학력과 연령이 영향을 주는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직업 유무나 소득수준의 영향은 미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장애아동 부모가 자녀를 양육하며 주도적인 삶을 살기 위한 역량의 요소들을 찾아내고, 어머니들의 역량 수준에 대한 인식을 구체적으로 살펴 이들에 대한 이해를 넓히며, 장애아동 부모들을 지원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하는 계기를 제공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struct parental competence perceived by mo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explore the tendency of perception on their own competence, and identify variables affecting the perception. To these ends, mo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were asked to rate the questionnaire composed of 43 competences elements, each was formed by 3 levels, such as knowledge, skill and attitud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ompetences were constructed by 4 domains like ‘social competence’, ‘self-system competence’, ‘development support competence’ and ‘parenting implement competence’. Second, almost mothers perceived on competence positively, and, in particular, thought they have more social competences than the others. In addition, they perceived they possess less skills than knowledge and attitude of competences. Finally,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following variables such as mother’s educational level and age, but mother’s job or income level affected little. Based on these results, it will be possible to identify competence elements which help mo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live self-directed life, raise the understanding level on competence, and offer the specific supports.

      • KCI등재
      • KCI등재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한 보행속도에 따른 대피소 서비스 영역 분석

        박재국(Park, Jae Kook),김동문(Kim, Dong Moon) 대한공간정보학회 2012 대한공간정보학회지 Vol.20 No.4

        위급상황 발생시 국민의 안전을 위해 신속히 대피할 수 있는 대피소가 전국에 약 2만 5,724개소가 지정되어 있으며, 서울시의 경우 약 3,870개소가 지정되어 있다. 전국에 설치된 대피소는 신속한 대피를 위해 주변 반경 5분 이내에 도착할 수 있는 위치에 지정되어 있으며, 서울시의 대피소 수용능력은 서울인구의 285%를 수용할 수 있다. 하지만 문제는 보행자의 나이, 신장, 건강상태, 신체조건 등과 같은 개인차에 의한 보행속도를 고려하였을 경우 5분 이내에 도착할 수 있는 대피소가 얼마나 되는지는 알 수 없다. 또한 대피소의 공간적 배분 및 분포에 따라 수용 가능한 서비스 영역이 달라지며, 이에 따른 취약지가 발생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사례를 통해서 보행자의 유형별 보행속도를 1m/s, 1.3m/s, 2m/s 정의하였고, 서울시에 지정된 대피소와 도로망을 이용하여 입지할 당모형의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서울시 행정구역별로 보행속도에 따른 대피소의 서비스 지역과 취약 지역을 알 수 있었으며, 노약자의 경우 대피소에 도달할 수 없는 취약 지역이 빠른 걸음의 성인남녀에 비해 2배 이상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There are approximately 25,724 shelters to which people can be quickly evacuated for safety in case of emergency across the nation, and Seoul has about 3,870 shelters. Those nationwide shelters are located at a point within a five-minute radius for quick evacuation. Seoul"s shelter capacity can hold 285% of its population. The problem is, however, that there is no knowing how many shelters are reachable within five minutes when considering walking speed according to individual differences in age, height, health state, and physical condition. In addition, available service areas become different according to the spatial allocation and distribution of shelters with possible vulnerable points. This study thus defined the pedestrian walking speed at 1m/s, 1.3m/s, and 2m/s by reviewing previous studies and conducted network analysis of the Location Allocation Model with the designated shelters and road networks in Seoul. The results identified the shelter service and vulnerable areas in each administrative district of Seoul according to walking speeds. It was analyzed that the vulnerable areas in which the elderly could not reach a shelter were more than twice as big as those of adult men and women with a fast walking speed.

      • KCI등재

        특수교사의 교직적응탄력성과 사회적 지지에 대한 인식 : 일반교사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박재국(Park, Jae-Kook),김은라(Kim, Eun-Ra),강은옥(Kang, Eun-Ok)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21 교육혁신연구 Vol.31 No.3

        연구목적: 본 연구는 특수교사의 교직적응탄력성과 사회적 지지에 대한 인식 수준을 일반교사와 비교하여 살피보자 하였다. 연구방법: 특수교사 100명, 일반교사 100명을 대상으로 교직적응탄력성과 사회적 지지에 대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교직적응탄력성 수준은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환경만족과 정책적 지지에서 두 집단 간 유의미한 인식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특수교사는 학교 유형, 일반교사는 학교급에 따라 집단 간 차이가 있었다. 둘째,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사회적 지지에 대한 인식 수준은 긍정적인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행정가 지지에 대해 특수교사와 일반교사 간 유의미한 인식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특수교사의 경력, 일반교사의 학교급에 따라 집단 간 차이가 있었다. 셋째,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교직적응탄력성과 사회적 지지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에서 탐색된 결과를 바탕으로 일반교사와는 차별화되는 특수교사의 교직적응탄력성과 사회적 지지에 대한 인식 특성에 적합한 지원 방안을 제시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nd compare the perception on the teaching adaptive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teaching adaptive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in special teachers and seek support plans for them. Method: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a total of 200 teachers, including 100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100 general education teachers, on the teaching adaptive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After that, based on the collected data, it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set of research problems. Result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level of teaching adaptive resilience of special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was positive,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ception between the two groups in domains such as environmental satisfaction and policy support. Second, the level of perception of the social support of special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was confirmed to be positive,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ception between special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regarding the support of administrators. Thir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teaching adaptive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Conclusion: Based on the findings in this study, a support plan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daptability to teaching and social support differentiated from general education teachers was suggested.

      • KCI등재

        토지의 감정평가를 위한 GIS 공간분석 활용에 관한 연구

        박재국(Park Jae Kook),이인엽(Lee In Youp),오이균(Oh Yi Kyun) 한국지적학회 2006 한국지적학회지 Vol.22 No.2

          토지에 대한 감정평가는 현장조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감정평사사의 지식ㆍ경험ㆍ판단력에 의존하는 경향이 크다. 따라서 평가관련 자료의 효율적인 수집과 감정평가의 과학화 및 정보화를 통해 감정평가 업무의 신뢰성 향상과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필요가 있다. 본 여구에서는 평가관련 자료를 GIS 기능을 이용하여 수집하고 DB를 구축함으로써 현장 중심의 자료 수집을 최소화 하였으며, 감정평가 지원을 위한 GIS 공간분석 적용에 대한 활용성을 검토하였다. 특히 공간정보와 공간분석을 통해 감정평가 업무의 난해하고 복잡한 공간문제를 해결하고 감정평가의 신속하고 정확한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하였다.   The land valuation is done by the data collected from the field survey and is too much dependent on the appraiser"s knowledge, experience and judgment.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greatly improve the reliability and efficiency of the valuation works through the effective collection of evaluation data and with high levels of scientific methods and information. In this study, we minimized the field survey by collecting the valuation data with means of GIS functions and by storing the database in the computer. And we examined the applicability of GIS-based spatial analysis to support the valuation work. Especially, through the spatial information and analysis, we provided the appraisers with options to solve the difficult and complicated spatial problems in valuation works and for their rapid and clear decision-making of valuation.

      • KCI등재

        장애아동,청소년의 학습활동 및 학교생활에 관한 연구

        박재국 ( Jae Kook Park ),김영미 ( Young Mi Kim ),김혜리 ( Hae Ri Kim ),박영균 ( Young Kyoon Park ),정대영 ( Dae Young Jung ),황순영 ( Soon Young Hwang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1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3 No.2

        본 연구는 장애아동·청소년의 학습활동 및 학교생활에 관한 실태와 교사들의 인식을 살펴봄으로써 장애아동·청소년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측면에서의 교육지원 방안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시한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특수학교와 특수학급에 근무하는 초·중등 특수교사(n=305)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주로 사용하고 있는 교육과정은 기본교육과정이었고 사회영역에 가장 중점을 둔 지도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교과와 관련하여서는 사회적응능력 향상을 목표로 하는 현장학습과 체험학습을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만큼 그에 대한 선호도도 높았던 반면 학생들의 낮은 인지능력과 많은 학습내용, 그리고 시험에 대한 부담감을 안고 있는 과학과 수학은 지도하기 어려운 교과로 인식하고 있었다. 한편 치료교육활동에 대한 요구가 많았으며, 이는 치료지원센터 및 병원과의 기관 간 연계체제 구축의 요구로 나타났다. 둘째, 교수-학습활동에 관한 전반적인 인식은 보통 수준이었지만 많은 교사들이 스스로 학급의 장애아동을 애정을 가지고 지도하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한편 하위 문항 중 ``장애아동 스스로 교수-학습활동을 선택할 수 있는지``에 대한 문항에서는 근무장소에 따른 차이를 보였는데, 특수학교 초등부 교사와 특수학급 중등부 교사가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고 ``교수-학습활동 중 문제행동을 보이는지``에 대한 문항에 있어서는 특수학교 초등부 교사와 특수학급 중등부 교사가 ``아니다``라고 응답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s to explore educational supports for improving quality of life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rough their teachers` perception on condition in learning and school life of them. The subjects were 305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were working at special classroom in regular school or special education school in elementary and secondar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eachers were perceived that they usually make use of the basic curriculum, put more emphasis on social part. Also they preferred the field trip and real-life experience for improving social adaptation ability, whereas they perceived science and math as a difficult subject because of the burden of testing, load of learning, students` lower cognitive ability. Above this, it was high demands on therapeutic education, this was a demand on linkage system between therapeutic support center and hospital. Second, the perception on instruction-learning activity was general level, but many teachers had thought that they had loving with their students with disability. whereas there were difference in teachers` perception according to working place, on sub question "students with special needs can have choice instructional learning activity by themselves disability". That is special classroom teachers more positive on the above question than teachers in special education school. Besides, special classroom teachers answered ``no`` on the item, "do they act out problematic behaviors?"

      • KCI등재

        감각통합 훈련이 발달장애유아의 운동기획 및 공간지각 능력에 미치는 효과

        박재국 ( Jae Kook Park ),류정숙 ( Jung Suk Ryu ),강대옥 ( Dae Ok Kang ) 한국특수아동학회 2006 특수아동교육연구 Vol.8 No.1

        본 연구는 감각통합훈련이 발달장애유아의 운동기획 및 공간지각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보기 위한 목적으로 만 5-7세 발달장애유아 3명을 대상으로 ABA 반전설계법을 설계하여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감각통합훈련이 발달장애유아의 운동기획능력에 미치는 효과에서 자세모방과 좌우동형의 운동조정영역에서 A, B, C 유아 모두에게 효과가 있었다. 둘째, 감각통합훈련이 발달장애유아의 공간지각능력에 미치는 효과에서 공간위치와 공간표상 영역에서 A, B, C 유아 모두에게 효과가 있었다. 셋째, 감각통합훈련을 통해 연구대상 발달장애유아의 전반적 감각통합영역에서 변화가 있었다. 본 연구는 운동기획능력에서는 자세모방과 좌우동형의 운동조정능력에 한정해서 측정하였으며, 공간지각력에서는 공간위치와 공간표상영역에 한정하여 측정하였으므로 추후 연구는 다른 영역에까지 확장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감각통합훈련기간과 다양한 장애아동, 다른 발달영역 등의 확장을 통하여 감각통합훈련의 효과를 볼 수 있는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how to approach to the effective and reasonable ways to improve sensory integration abilitie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by means of sensory integration training program which can affect the motor plan and the space perception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3 children who are 5 to 7 years old with development disabilities, who show problematic behaviors in the motor plan and the space perception, and who have problems with the vestibular sensation. In this study, ABA Reversal Design which uses baseline measurement and Sensory Integration Training, and then baseline measurement again, was applied for the 3 childre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areas of the Imitation of Postures and Bilateral Motor Coordination of SCSIT,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sensory integration training on motor plan of children with development disabilities showed high effectiveness because all 3 children had acquired much higher scores that is more than ±2 standard deviation. Second, the sensory integration training on space perception of children with development disabilities was also effective because all 3 children had acquired scores much more than ±2 standard deviation in the areas of Position in Space and Space Visualization of SCSIT. Third, we compared the pretest result of SCSIT with the post-test result of SCSIT in order to see the change on the sensory integration abilitie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 disabilities. In general, sensory integration abilities was showed positive change.

      • KCI등재

        장애대학생과 비장애대학생의불안과 진로자기효능감에 대한 인식

        박재국 ( Jae Kook Park ),김은라 ( Eun Ra Kim ),권언남 ( Un Nam Gun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5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7 No.4

        본 연구는 전환기에 있는 장애대학생과 비장애대학생의 불안과 진로자기효능감 수준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대학교에 재학 중인 장애대학생 107명과 비장애대학생 107명, 총 214명을 대상으로 불안과 진로자기효능감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데이터를 연구문제에 따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한 주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대학생과 비장애대학생의 불안 수준은 평균으로 나타났으며, 두 집단 간 불안수준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다음으로 가장 높은 수준의 불안 유형은 장애대학생의 경우 이성문제와 가족관계, 자신에 대한 느낌으로, 비장애대학생의 경우 가족관계와 진로인식, 사회적 유능감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대학생과 비장애대학생의 진로자기효능감은 평균보다 다소 높았으며, 두 집단 간 진로자기효능감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한편 진로자기효능감은 장애대학생의 학년, 장애유형, 일상생활수행정도, 자격증 유무에 따라, 비장애대학생은 학년에 따라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장애대학생의 행복한 성인기 삶을 위한 준비를 위하여 대학에서부터 개별맞춤식 생활 상담 및 가족지원이 이루어져야 함을 의미하므로 이에 대한 실제적 해결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level of recognition on anxiety and career self-efficacy of university students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To these ends, 214 subjects who attended in the university were asked to complete the questionnair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recognition on anxiety of university students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was on average.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according to the factors of anxiety such as social efficacy, home relationship, opposite sex, and choosing a career path. In regard to the dominant types of anxiety, while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re anxious for the opposite sex, home relationship, and myself, the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were anxious for the home relationship, choosing a career path, and social efficacy. Second, the level of recognition on career self-efficacy of university students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was more or less higher than the average. As well,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level of career self-efficacy of university students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As well,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variables of students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such as garde, type of disabilities, level of daily activities, and status of licenses for the career. Based on these results, it could be concluded that it needs to develop the individualized consulting system and the supports for the family to reduce the level of anxiety and improve the level of career self-efficacy of university students with disabilities.

      • KCI등재

        장애유아와 비장애유아의 감각통합기능과 운동기술능력 비교

        박재국 ( Jae Kook Park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0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2 No.4

        본 연구는 장애유아와 비장애유아의 감각통합 능력 및 운동기술 능력을 살펴보고, 감각통합과 운동기술 능력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장애유아의 감각통합과 운동기술 능력 정도에 따른 조기프로그램을 개발·적용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한다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부산·경남 지역 유아특수학교, 장애전담 어린이집, 일반유치원과 어린이집을 다니고 있는 장애유아와 비장애유아 주양육자(N=179)를 대상으로 감각통합장애 조기 선별척도와 K-SIB-R의 운동기술 척도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주된 결론을 얻었다. 첫째, 장애유아의 감각통합 능력은 전반적으로 `위험군`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 특히 고유-전정감각과 청각-시각의 능력이 낮았다. 반면 비장애유아는 전반적으로 `정상군`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장애유아들이 비장애유아들보다 감각통합 능력이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성별에 따라서는 남아가 여아보다 촉각 영역에서만 다소 낮은 결과를 보였으나 장애유무와 성별 간, 장애유무와 연령 간, 성과 연령 간, 그리고 장애유무와 성 및 연령 간에는 감각통합 능력에 있어 서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감각통합 능력은 성이나 연령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 중추신경계의 손상이 주요 요인임을 시사한다. 둘째, 장애유아의 운동기술 능력은 전반적으로 `낮음`에 속하였으며, 특히 대근육운동은 `평균 이하`, 소근육운동은 `매우 낮음`으로 나타났다. 반면 비장애유아는 대근육운동과 소근육운동 모두 `평균 이상`의 수준이었는데, 이는 장애유아들이 비장애유아들보다 운동기술 능력이 보다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장애유무를 제외한 성, 연령, 그들 간의 상호작용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는데, 이러한 결과는 운동기술 능력은 유아의 성이나 연령의 영향보다 장애의 유무가 주된 영향 요인임을 시사한다. 셋째, 감각통합 능력과 운동기술 능력과의 관계에 있어서는, 감각통합장애의 위험이 높을수록 운동기술에 어려움을 가지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소근육운동 영역과의 상호 관련성이 매우 높았다. 한편 하위 영역들과의 상관에서는, 운동기술 영역들은 감각통합의 하위 영역들 중 고유-전정감각, 청각-시각, 회전-전정감각과의 관련성이 높았는데, 이러한 결과는 감각통합 능력이 운동기술 능력을 예측할 수 있는 인자임을 시사하는 것으로, 향후 유아에게 필요한 학습관련 기술들, 즉 필기도구 조작하기. 글씨쓰기 등과 같은 운동기술들 및 일상생활 기술들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조기에 감각통합프로그램을 개발·실시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e study investigated the abilities of sensory integration and movement skills of young children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As well, the study analyzed the corelation between the ability of sensory integration and that of movement skills. Thus, the purposes of the study was to provide resources to develop and apply early intervention programs based on the abilities of sensory integration and movement skill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study included 179 main caregivers of young children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who were enrolled in special schools, special daycares, integrated daycares and kindergarten in Busan and KyungNam. The study used the early screening scale of sensory integration disabilities and the movement skill scale from K-SIB-R. The results of the study follows. First, the level of the sensory integration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was belonged to the danger group. In particular, the abilities of proprioceptive sensibility and vision-hearing showed low. However, young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was belonged to the normal group. This result showed that the ability of the sensory integration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was lower than that of young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Second, the ability of the movement skill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showed low level. In special, gross-motor movement showed below average, and fine-motor movement skills showed very low. However, gross-motor and fine-motor movement skill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showed over average. This result meant that the ability of movement skill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was lower than that of young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Finally, the relation between the abilities of sensory integration and movement skills showed more difficult sensory integration and more difficult movement skills. Especially, the correlation with fine-motor skills was very hig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