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신명기에 나타난 하나님의 성민

        김유중 협성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논문요약 본 논문의 목적은 신명기에서 나타난 하나님의 성민을 연구한다. 신명기에서 ‘하나님의 성민’은 개역개정과 개역한글에서 한자를 기반으로 된 언어이고, 총 5번 활용된다. 모세가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총 3번을 설교한다. 그 중에서 모세의 두 번째 설교(5-28장)를 말하는데, ‘권고와 메시지’, ‘율법’, ‘축복과 저주’에서 하나님의 성민이 나온다. 하나님께서 이스라엘을 하나님의 성민으로 선택하셨는데, 하나님의 성민은 누구인지 설명하고 있다. 선택받은 이스라엘은 하나님의 성민으로서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지 말하고 있다. 그리고 하나님의 성민인 이스라엘은 하나님께서 선조들에게 약속했던 땅에 들어가 하나님의 복을 받는다고 예고한다. 또한 하나님의 성민은 오늘 기점으로 1세대와 2세대를 나눌 수 있다. 1세대는 출애굽에 경험한 세대이고, 2세대는 출애굽에 경험하지 않는 세대이다. 하나님은 1세대와 2세대에게 동일하게 하나님의 성민으로 주셨지만, 하나님의 성민으로 응한 것은 바로 2세대이다. 1세대는 하나님께서 말씀하신 하나님의 성민으로 살아가지 못했고, 하나님께 불순종을 하였다. 그래서 하나님께서 1세대를 약속의 땅에 들어가지 못하게 하셨다. 그리고 하나님은 2세대에게 하나님께서 선조들에게 하신 말씀들을 교육시켜서 하나님의 성민으로 살아가는 것을 말한다. 본 논문의 각 장의 내용을 간단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2장은 신명기 개관에서 신명기의 구조와 신명기의 내용을 고찰하였다. 제3장은 하나님의 성민에 대해 4개의 본문을 본문구조와 본문분석을 하였다. 하나님의 성민과 신명기의 핵심은 밀접하게 연결되는데, 7장 1-11절(가나안 타파와 유일신 사상), 14장(중앙 성소), 26장(사랑과 정의 공동체)이다. 그리고 마지막 28장은 신명기의 핵심을 지킨 이스라엘은 하나님께서 말씀하신 복을 받을 수 있다고 결론으로 맺었다. 제4장은 결론이다. 이 장에서 하나님의 성민을 다시 정리하였다. 1세대와 2세대를 나누고, 1세대와 2세대뿐만 아니라 오늘날 우리에게 하나님의 성민으로서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 것에 대해 설명하고 끝맺음으로 마무리한다. Holy People of God in Deuteronomy This paper presents an investigation into Holy People of God in Deuteronomy. In the New Korean Revised Version and the Korean Revised Version of Deuteronomy, "Holy People of God" was translated based on Chinese characters and used total five times. Moses gives total three sermons to people of Israel. Of the three sermons, the second one(Chapters 5-28) includes Holy People of God in his "recommendations and messages," "commandments" and "blessings and curses." God chose Israel as his Holy People, and his sermon offers explanations about who are Holy People of God and how the people of Israel chosen by God should live as Holy People of God. It is predicted that the people of Israel as Holy People of God will enter the land that God promised their ancestors and be blessed with God's luck. Holy People of God can be divided into the first and second generation based on today. The first generation of Holy People of God has experiences with the Exodus, whereas the second generation does not. God called both the first and second generation as his Holy People equally, but it was the second generation that answered his call. The first generation failed to live as Holy People of God mentioned by God himself and disobeyed him, which made God prevent them from entering the land of his promise. God offers the second generation education on what he told their ancestors and talks about living as his Holy People. The present study consists of four chapters, whose content was briefly covered in the followings: Chapter 2 examined the structure and content of Book of Deuteronomy as an overview to the book. Chapter 3 analyzed the four bodies about Holy People of God in the structure and content. There are close connections between Holy People of God and the essence of Book of Deuteronomy, where 1-11 of Chapter 7, Chapter 14, and Chapter 26 cover the conquest of Canaan and monotheism, the central holy place, and the community of love and justice, respectively. The last Chapter 28 concludes that Israel is eligible to receive the luck God mentioned as they kept the essence of Book of Deuteronomy. Chapter 4 offers conclusions, arranging the findings about Holy People of God again. After dividing Holy People of God into the first and second generation, the chapter wraps up by providing explanations and conclusions about how today's people should live as Holy People of God as well as the first and second generation. Keywords: Holy People of God, Israel, choice, land that God promised their ancestors, today.

      • 알칼리 금속 조촉매를 활용한 이황화몰리브덴 (MoS2) 단일층 박막 성장에서 성장 메커니즘에 관한 연구

        김유중 동국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recently years, two-dimensional semiconducting transition metal dichalcogenides have attracted much attention because of its unique structure as well as chemical and physical properties. Particularly, single-layer molybdenum disulfide (MoS2) exhibits outstanding optical properties. Many researchers utilize various seeding promoters to achieve the MoS2 thin layer. Composite organic compounds has low thermal stability. Here, we report MoS2 monolayer growth using inorganic seeding promoter containing alkali metal ions and the role of inorganic seeding promoter enhancing the nucleation of molybdenum disulfide by chemical vapor deposition. In this growth process, molybdenum oxide as precursor react with seeding promoter including alkali metal on the substrate, this reaction produces alkali metal molybdate, and then formed compounds play the nucleation sites in MoS2 growth. The presence of them increase partial pressure of molybdenum on substrate and is sulfurized to MoS2. In the study, we investigated the role of alkali metal ion is confirmed. A variety of measurement techniques were characterized high crystalline quality, uniformity and layer numbers of the fabricated MoS2 thin layer. Consequently, we suggest the growth mechanism of MoS2 by using the alkali metal ions as inorganic seeding promoter and expect this method paves the new routes for the advanced fundamental study and development of practical device applications with monolayer MoS2

      • 중년기 여성이 지각하는 부부관계와 사회적 관계가 성공적 노화인식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김유중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중년기 여성이 지각하는 부부관계와 사회적 관계가 성공적 노화인식에 미치는 영향-자기효능감을 매개로- 본 연구는 중년기 여성의 부부관계와 사회적 관계가 성공적 노화인식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 경로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여, 중년기 여성의 성공적 노화인식 수준을 향상시켜 중년기 여성이 노년기를 성공적으로 맞이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방안을 마련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부산광역시와 경남에 거주하는 자녀가 있는, 40-64세 이하의 기혼 여성 618명의 설문조사 자료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t검증, 일원분산분석(ANOVA), 상관관계분석, 그리고 위계적 다중회귀분석과 Baron & Kenny(1986)의 매개분석법,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부부관계와 사회적 관계 첫째, 중년기 여성이 지각하는 부부관계와 사회적 관계의 사회적 지지와 사회활동의 전반적인 경향은 5점 만점에 부부관계는 3.69점, 사회적 지지는 3.66점, 사회활동은 3.38점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중년기 여성이 지각하는 부부관계와 사회적 관계의 차이분석에서 부부관계는 연령, 건강, 학력, 월소득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60대 이상 집단에 비해 40대 집단과 건강이 좋은 집단, 전문대졸 이상의 집단, 월소득 400만원 이상 집단이 부부관계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관계는 연령, 종교, 건강, 학력, 월소득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40대와 50대 집단이, 종교가 있는 집단, 건강이 좋은 집단, 전문대졸 이상의 집단, 월소득 400만원 이상 집단이 사회적 관계가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 관계의 사회적 지지는 연령, 건강, 학력, 월소득 300만원 미만 집단과 300~400만원 미만 집단, 그리고 500만원 이상 집단 사이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40대와 50대 집단이, 건강이 좋은 집단, 전문대졸 이상의 집단, 월소득이 높은 집단이 사회적 지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활동은 종교, 건강, 학력, 월소득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종교가 있는 집단과 건강이 좋은 집단, 전문대졸 이상의 집단, 월소득 500만원 이상의 집단이 사회활동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 자기효능감 첫째, 중년기 여성이 지각하는 자기효능감의 전반적 경향은 5점 만점에 3.57점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중년기 여성이 지각하는 자기효능감의 차이분석에서 건강이 좋은 집단, 전문대졸 이상의 집단, 월소득 400만원 이상의 집단이 자기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중년기 여성이 지각하는 부부관계와 사회적 관계에 따른 자기효능감의 차이분석에서 부부관계와 사회적 관계가 좋을수록,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사회활동이 많을수록 자기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년기 여성이 지각하는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배경변수는 건강, 월소득 500만원 이상, 월소득 400~500만원 미만, 연령순으로 나타났으며, 가장 영향력 있는 변수는 사회적 지지로 나타났고, 다음은 사회활동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성공적 노화인식 첫째, 중년기 여성이 지각하는 성공적 노화인식의 전반적 경향은 5점 만점에 4.03점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인구학적 특성 중 종교, 건강, 학력, 월소득 등에 따라 중년기 여성이 지각하는 성공적 노화인식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여, 종교가 있는 집단, 건강이 좋은 집단, 전문대졸 이상 집단, 월소득 500만원 이상의 집단이 성공적 노화인식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부관계, 사회적 관계, 사회적 지지와 사회활동 모두 성공적 노화인식과 유의한 차이를 보여, 부부관계가 좋을수록, 사회적지지가 높을수록, 사회활동이 많을수록, 사회적관계도 좋을수록 성공적 노화인식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년기 여성이 지각하는 자기효능감에 따른 성공적 노화인식의 차이분석에서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성공적 노화인식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중년기 여성이 지각하는 성공적 노화인식에 가장 영향력 있는 변수는 자기효능감으로 나타났고, 다음은 사회적지지, 부부관계, 건강, 사회활동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부부관계와 사회적 관계의 사회적지지, 사회활동과 성공적 노화인식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은 부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부부관계, 사회적지지, 사회활동이 성공적 노화인식에 직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치지만, 자기효능감이 간접적으로 긍정적 기여를 함으로서 성공적 노화인식 수준을 높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어 : 중년기 여성, 부부관계, 사회적 관계, 사회적지지, 사회활동, 성공적 노화인식, 자기효능감. A Study of the influence of marital relations and social relations which middle-aged women perceive in recognition of successful aging – Focused on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to identify the influences of marital and social relations in recognition of successful aging, which in turn helps to analyze the mediated effects of self-efficacy and provides a database in an effort to help middle-aged women obtain a better perception on successful aging, and ultimately arrive at positive senescence. The questionnaire was given to 618 respondents aged between 40 to 64 years old, having raised children, residing in Busan and Gyungsangnamdo province to obtain the results regarding frequency, percentage, mean, t-test,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parameter analysis of Baron & Kenny, and Sobel test through a statistical analysis program, SPSS 23.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Marital relations and social relations First, the marital relations middle-aged women perceived, social assistance through social relations and overall tendency of social activities stood at 3.69, 3.66 and 3.38 respectively out of 5 points. Second, the difference analysis of marital relations and social relations which middle-aged women perceived showed that the marital relations, as social demographic attribut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age, health condition, level of education, and monthly income. Those who were in their 40’s when compared to the respondents in their 60’s, had a relatively healthier physical condition, possessed junior college degrees or higher, and earned more than 4,000,000 KRW (Korean Won, currency unit) per month reported better marital relations. In terms of social relations, significant differences exist according to age, health condition, level of education, and monthly incomes. The respondents who were at their 40’s and 50’s, practiced religion, had relatively healthier physical condition, possessed junior college degrees or higher, and earned more than 4 million KRW reported better social relations. Also, social assistance through social relations significantly vari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variables such as age, health condition, and level of education. The group whose monthly incomes were less than 3 million KRW, the group that earned between 3 million KRW and 4 million KRW, and the group that earned more than 5 million KRW reported significantly differently. This led to the result that the respondents who were at their 40’s and 50’s, and had relatively healthy physical condition, possessed junior college degrees or higher, and earned higher monthly incomes reported better social assistance. Social activities were apparent among those who practiced religion, had healthier physical condition, higher levels of education and earned higher monthly incomes, which suggested that those who practiced religion, had healthier physical condition, possessed junior college degrees or higher, and earned more than 5 million KRW were involved in more social activities. 2. Self-Efficacy First, the overall tendency of self-efficacy which middle-aged women perceived stood at 3.57 out of 5 points. Second, the difference analysis of self-efficacy which middle-aged women perceived showed that the self-efficacy, as a social demographic attribute, turned out to have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other variables such as how the respondents recognize their health, level of education, whether they earned more than 4 million KRW. In addition, the analysis result implies that the better perceived marital relations and social relations middle-aged women correlated with better social assistance, and increased engagement in social activities, the higher self-efficacy points they indicated. Third, the background variables which were thought to have significant influences on the self-efficacy that middle-aged women perceived were, as seen in sequence of magnitude, health condition, earnings above 5 million KRW per month, and age. Social assistance is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followed by social activities; health condition; age and monthly income, which all influence self-efficacy. 3. Recognition of successful aging First, the overall tendency of recognition of successful aging perceived by middle-aged women stood at 4.03 out of 5 points. Second, the social demographic attributes mentioned above also had significant influences on recognition of successful aging perceived by middle-aged women. Religion stood out as the greatest influential variable, which was in order of magnitude followed by health condition, level of education and monthly income. Those who practice religion, have a relatively healthy physical condition, possessed junior college degrees or higher and earned more than 5 million KRW per month displayed higher levels of recognition of successful aging. Besides, it appears that marital relations, social relations, social assistance and social activities all significantly associate with recognition of successful aging. This finding suggests that there i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better marital relations and social relations; increased more social assistance; higher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the higher the reported levels of recognition of successful aging. Third, the difference analysis of recognition of successful aging through the self-efficacy middle-aged women perceived suggests that the higher self-efficacy they had, the higher levels of recognition of successful aging they reported. Fourth, the background variable that was expected to have greatest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recognition of successful aging that middle-aged women perceived was their health condition, which in turn was followed earnings of between 5 and 4 million KRW per month and religion.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on the level of recognition of successful aging turned out to be the self-efficacy, followed by social assistance, marital relations, health condition and social activities. Fifth, in terms of recognition of successful aging, self-efficacy turned out to play a partial role in mediating in the relationship of marital relations, social assistance through social relations and social activities. That is, marital relations, social assistance, social activities were significantly influential on the recognition of successful aging in a direct manner, but it turned out that self-efficacy contributed positively to increase of recognition of successful aging only in an indirect manner. Keyword: middle-aged women, marital relations, social relations, social assistance, social activities, recognition of successful aging, self-efficacy.

      • 교육전문대학원생의 정보이용행태 연구

        김유중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As the number of Specialized Graduate Schools is increasing, Graduate School of Education(GSE) are also gradually growing to satisfy the new demands from Korean education society. The majority members of GSE students are current teachers, and the schools offer both Masters and Doctoral degree courses. Information use behaviors of these GSE students are being altered dramatically since the subject areas in their education field are diversified and also subdivided into small categor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new information use behavior of GSE students and suggest more effective reference service system to fulfill their needs. This study examined four factors. The first factor was GSE students’ purpose of pursuing graduate level studies and their devotion to the course works. The second factor was common information use behavior of current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GSE and their core job description. The third factor was the different information behaviors of GSE students between their roles as teachers and graduate students. The fourth factor was the relations between student characteristics and how well they utilize the library based on the frequency of library visits. To understand GSE student’s characteristics and their common information use behavior, this study researched preliminary studies on similar areas. It also accomplished in-depth interviews with four students, who have used the library previously, started from November 20 to 30, 2016. The surveys from 146 GSE students were also conducted to make sure the research results are objective and universal. Based on the preliminary studies, the primary role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re student guidance and teaching classes, and numerous studies emphasize that the teachers should be encouraged to enhance their professionality all the time. The result of in-depth interviews was used to analyze GSE students’ purpose of pursuing graduate study, the nature of elementary level teaching, their information use behavior, information needs, and the library use behavior. The survey results were led to verify the different information behaviors based on student’s gender, age, work experience, and job requirements. Thesis results were also utilized to quantify the differences. The findings that are measured and analyzed in this study are shown in the following. Firstly, most of the GSE students are current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they value the studies on teaching and guidance methods the most. They often seek for teaching materials or information about classroom management, and these are mostly found in online communities, seminars/professional development sessions, and the commercial websites that are related to the education field. Secondly, the difficulties on information search are caused by not knowing the sources and the extra accessing fees for using certain materials. Most of the students preferred using scholarly websites rather than visiting the library; however, higher they value the graduate course works, more often they utilized the library services. Thirdly, the main reasons for not visiting the library or the library website were either their busy work schedules or being aware of other convenient ways to access the scholarly website through external sources. Librarian’s assistance was often considered unnecessary as students felt confident enough to achieve the information themselves. On the other hand, majority of the students showed their demands on a greater collection of major books in the library. Fourthly, the number of library visits is relevant to the number of accessing the library website and attending the library’s user educations. It is also shown that the successful library user education changes students’ point of views on librarians and their performances, and it improves the satisfactory level of their library experiences as well. In conclusion, this study has proved that it is positively necessary to develop better library reference service system to support GSE students to enhance their performances as teachers and students. It will also give the library society a significant chance to support the reformation in the education field that they have yet to achieve. 전문직의 양성과 계속교육을 위한 전문대학원의 설립과 함께 우리나라 교직 분야에서도 시대 변화와 사회 요구에 맞추어 교육전문대학원이 설립·운영되고 있다. 교육전문대학원의 구성 학생은 현직 교사들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학위 과정은 석사와 박사과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교육환경의 변화에 따라 교육전문대학원생의 정보추구 방식은 급격히 변화하고 있으며 연구주제의 다변화와 세분화에 따라 다양한 유형과 주제의 정보를 요구하고 있다. 본 연구는 교육전문대학원생의 정보이용행태를 분석하고 그에 따른 효율적 지원 방안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첫째, 교육전문대학원생의 개인적 특성을 바탕으로 이들의 학업추구 목적과 학업·직무의 비중 정도를 조사하고 둘째, 초등교사의 주요직무와 직무관련 정보의 필요도와 정보의 출처를 분석하며 셋째, 교사와 대학원생으로서 역할에 따른 정보이용행태를 구분하여 그 차이를 알아보며 넷째, 소속 도서관의 이용 정도를 바탕으로 개인적 특성과 도서관이용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교육전문대학원과 초등교사의 특성을 알아보고 정보이용행태 이론을 기반으로 대학원생과 초등교사를 대상으로 한 정보이용행태 선행연구를 조사하고 교육전문대학원생의 개인적 성향과 정보이용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한 우선 탐색으로 예비조사인 심층면담을 2016년 11월20일부터 10일간 도서관 이용경험이 있는 4명의 대상자를 임의 선정하여 조사함으로서 설문조사의 문항개발과 연구의 방향을 설정하였다. 예비연구의 객관적 검증과 일반적 적용을 위하여 교육전문대학원생 14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그 데이터를 바탕으로 개인적 특성과 정보이용행태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초등교사의 교육활동에서 가장 본질적인 것은 교과수업이며 일반 교사의 특성을 함께하는 초등교사의 주요 직무는 학생지도이며 교육환경의 변화에 따라 교사의 전문적 역량은 지속적으로 신장되어야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예비조사인 심층면담을 통해 학업추구 목적과 초등교직의 특성, 정보추구 목적과 정보의 필요도, 도서관 이용정도를 파악하였고 설문조사를 통해 성별, 연령, 경력, 역할에 따른 정보이용행태의 차이를 객관적인 데이터로 확인하고 도서관 이용정도의 빈도를 바탕으로 항목간의 관련성과 도서관 만족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방법을 통해 분석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가 대부분인 교육전문대학원생은 교사의 가르침과 지도방법에 대한 학업을 가장 높게 추구하며 직무분야에서는 학생생활지도를 가장 우선으로 생각하고 직무관련 정보는 교과학습 정보를 가장 많이 필요로 하지만 교과학습과 학생생활지도와 학교·학급경영 정보도 많이 필요로 하고 있었고 관련 정보는 온라인 교사커뮤니티에서 가장 많이 이용하며 다음으로 동료 및 전문가와 세미나·연수자료, 교육기관 순으로 나타났으며 상업용 교육웹정보에도 많은 관심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정보수집의 어려운 점은 정보소재의 파악과 유료정보에 대한 부담으로 조사되었고 대학원 학업정보는 외부학술사이트를 선호하며 도서관 정보이용과 방문은 매우 저조하였으나 학업의 비중을 높게 추구할수록 도서관 이용정도가 높게 조사되었다. 셋째, 도서관 방문과 홈페이지 접속이 저조한 이유에 대하여 바쁜 일과와 외부접속으로 전자정보원을 이용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하였고 자신의 정보활용 능력과 주변의 지인을 통해 도서관 사서의 도움 없이도 정보이용에 큰 문제가 없으며 도서관에 대한 희망사항은 전공도서의 확충을 원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넷째, 도서관 방문빈도는 홈페이지 접속 횟수와 도서관 이용자교육 수강과 관련이 있으며 이용자교육의 수강은 사서의 만족도로 이어지고 사서의 만족도는 도서관 만족도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상과 같이 교육전문대학원생의 정보이용행태에 대한 실제적인 검증과 분석을 바탕으로 교육전문대학원생의 전문성과 학위취득을 지원하기 위한 효율적인 정보지원 방안을 마련함으로서 교육전문대학원생은 물론 나아가 초등교육 연구에 기여하고자 한다.

      • 빅데이터를 활용한 한국인의 일본여행 트렌드 분석 : 개별자유여행과 패키지여행 중심으로

        김유중 경기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소셜 네트워크 활성화로 매일같이 방대한 양의 정보가 쏟아지고 빠르게 변화하는 현대 사회에서 관광분야도 대규모로 만들어지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정보를 추출하는 빅데이터 분석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중요성을 인식하고 국가적인 차원, 학계에서 이러한 주제를 다룬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활용에 대하여 낮은 수준이고, 관심에 비해서 아직까지는 빅데이터의 미래 추세 예측과 마케팅 활용도가 높음에도 불구하고 관광학계나 관광산업 분야에 실제로 적용한 사례는 드물며, 한국인이 가장 많이 가는 나라 일본에 대해 일본여행에 대하여 알아보거나 다녀온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여행형태별 트렌드 및 여행형태를 반영한 논의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하여 한국인의 일본여행에 대한 여행형태별 트렌드를 분석하는 데에 있다. 문제제기의 내용을 바탕으로 기존 선행연구에서 많이 사용한 설문조사방식에서 벗어나 빅데이터와 관련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일본여행에 대하여 한국인의 여행형태에 따른 여행트렌드를 분석하여 실무적으로 새로운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의 달성을 위해 시간적 범위는 2018년 1월 1일부터 2019년 4월 30일까지를 기준년도로 설정, 공간적 범위는 인터넷 사용자의 97%가 사용하고 있는 네이버와 구글, 다음을 대상으로 한다. 빅데이터 분석을 위해 텍스트 마이닝 기술을 이용한 솔루션으로 온라인에서 데이터를 수집하고 정제하며 매트릭스 데이터 생성까지 처리할 수 있는 솔루션인 텍스톰을 활용하여 분석한다. 여행형태별 트렌드를 분석하고자 키워드를 '일본 자유여행', '일본 패키지여행'으로 선정하였다. 분석 결과, 자유여행과 패키지여행의 연관 단어 빈도분석 결과 공통적으로 여행목적지, 여행동반자, 숙박형태, 여행일정, 등 여행속성들이 상위에 나타나고 있다. 자유여행의 경우 스스로 전반적인 여행에 대한 준비를 하기 위해 호텔, 숙소, 리조트 와 같이 숙박형태를 알아보고 관광지, 여행정보, 구경 과 같이 볼거리에 대한 정보, 이용방법, 다양한 교통수단 등 여행일정과 계획을 만들고 실천하기 위한 정보를 수집하려는 모습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정보를 주로 카페, 블로그를 통해 정보를 수집하고 서로 공유하고 질문과 답변을 하면서 수집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패키지여행의 경우 여행사, 여행사의 상품, 여행사의 일정과 관련된 단어들이 나타났으며 시기로는 여름, 겨울, 9월, 8월, 10월 등 다양하게 나타나있다. 주로 부모, 가족 등 가족여행이 친구들과의 여행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패키지여행을 혼자 준비하는 고객들도 적지 않게 나타나고 있다. 배낭여행, 기차여행, 크루즈여행, 섬여행, 바다여행, 온천여행 등 테마를 가지고 떠나는 여행에 대한 관심이 높게 나타나 있다. 본 연구는 기존의 설문방식에서 벗어나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하여 한국인의 일본여행에 대한 트렌드를 여행유형별로 분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향후 일본여행에 대한 개별자유여행과 패키지여행의 트렌드를 파악하고 각 여행유형별 마케팅 활성화 방안, 관광상품의 개발 방안을 모색하는 참고자료로써 향후 기초자료로 활용가치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In today's fast-changing society, where social networking is pouring in vast amounts of information every day, the tourism sector is increasingly interested in big data analytics that process and extract information on a large scale, recognizing its importance, and studies that address these topics at the national level and academia are underway. However, despite the low utilization rate and the high future trend of big data and marketing utilization compared to interest, it is rare for Korea to actually apply to the field of tourism or tourism industry, and there are not enough discussions to reflect the trends and travel patterns of Koreans who have visited Japan, the most visited countr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s of travel patterns of Koreans on their tours to Japan by utilizing big data analysis. Based on the contents of the question raised, the government intends to draw new implications in practice by analyzing travel trends according to the travel patterns of Koreans in Japan by using big data and related analysis methods. To achieve these research purposes, the time range is set as the base year from Jan. 1, 2018 to April 30, 2019, while the spatial range is targeted at Naver, Google and Daum, which are used by 97 percent of Internet users. For big data analysis, a solution using text mining technology can collect and refine data online, and even handle matrix data generation, which can be analyzed using text mining technology. To analyze trends by travel type, keywords were selected as "free travel to Japan" and "packaged travel to Japan."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frequency analysis of the words associated with free travel and package travel shows the travel attributes, such as travel destination, travel partner, accommodation type, itinerary, and so on, in common. In case of free travel, people are shown looking into accommodation patterns such as hotels, lodgings, and resorts to prepare themselves for the overall tour, and collecting information to make and implement travel schedules and plans, such as information on viewing streets, methods of use and various means of transportation, such as tourist attractions, travel information, etc. This information is usually collected through cafes and blogs, sharing information with each other and answering questions and answers. For package tours, words related to travel agencies, products of travel agencies, and schedules of travel agencies appeared, and the timing was various, including summer, winter, September, August and October. Family tours, mostly parents and family members, were higher than tours with friends, and many customers are preparing for the package tour alone. There is a high interest in traveling with themes such as backpacking, train travel, cruise tour, island tour, sea tour and spa tour. It is meaningful that this study analyzed the trend of Koreans traveling to Japan by type of travel by utilizing big data analysis in a departure from the existing survey method. It is believed that there will be value as basic data in the future as reference materials for understanding the trends of individual free and package tours to Japan and seeking ways to promote marketing for each type of travel and develop tourism products.

      • 작업기억에 부과되는 인지부하가 마인드맵 지원 유형에 따라 창의적 사고력에 미치는 영향

        김유중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창의적 사고력은 개인의 창의성을 드러내는 중요한 지표로 창의적 산출물을 만들어내기 위한 기반이 된다. 창의적 사고력은 아이디어를 양적으로 많이 생성해내는 동시에 질적인 차원에서 새롭고, 유용한 아이디어를 선택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학습자가 이러한 창의적 사고력 과제를 수행할 때, 과제 자체가 지니는 복잡성 및 사고의 어려움으로 인해 작업기억에 인지부하가 발생하게 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현재 학교교육과정은 창의융합인재의 양성을 교육의 주요 목표로 삼아 학습자는 교과통합수업 등을 통해 학업과 창의적 수행을 병행하도록 요구받고 있는데, 이는 창의적 사고 활동을 할 때 인지부하의 가능성을 높인다. 인지과부하는 창의적 사고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선행연구에서 뒷받침되고 있기 때문에 창의적 사고력 과제를 수행할 때 인지과부하를 완충시키는 방안이 필요하다. 특히 교수설계, 학습전략 등 외재적 인지부하를 감소시키는 방법을 사용하여 창의적 사고로 발생하는 인지부하를 줄일 수 있는데, 다양한 창의적 사고 활동을 신장시키는 방법으로 활용되어 온 마인드맵을 인지부하의 관점에서 살펴본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마인드맵 지원 유형은 학습자에게 마인드맵 양식(tepmplate)을 부여하여 빈칸을 채워나가는 형태인 구조화된 마인드맵(mind-map template), 학습자가 주도하여 완성하는 기존의 마인드맵 형태인 비구조화된 마인드맵(classic mind-map)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그러나, 작업기억에 부과되는 인지부하 수준(고, 저)이 창의적 사고력에 미치는 영향이 마인드맵 지원 유형(구조화, 비구조화, 마인드맵 없음)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지 마인드맵 지원 유형 간 효과 차이를 직접적으로 비교하여 본 선행연구가 부족하다는 점에 착안하여, 본 연구에서는 실제 창의적 사고력 과제 수행 시 작업기억에 부과되는 인지부하 수준(고, 저)을 조작하여 마인드맵 지원 유형(구조화, 비구조화, 마인드맵 없음)따라 창의적 사고력 점수가 다르게 나타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나아가, 창의적 사고력의 하위요인인 유창성, 정교성, 독창성에 각각 다른 영향을 미치는 지도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는 중학교 3학년 학생 150명이 참여하였고, 연구참여자는 작업기억에 부과되는 인지부하(고, 저) 수준과 마인드맵 지원 유형(구조화, 비구조화, 마인드맵 없음)에 따라 나누어진 6개 처치 집단 중 한 개의 집단에 무선 배정되었다. 연구참여자는 사전 설문으로 창의적 자기효능감, 인지양식 등에 응답하였고, 본 과제 수행 전 구조화, 비구조화 마인드맵 집단은 마인드맵 기법 훈련을 받았으며 마인드맵 없음 집단은 혁신에 관한 스크립트를 청취하였다. 이어서 인지부하 수준을 고, 저로 조작하여 마인드맵 지원 유형(구조화, 비구조화, 마인드맵 없음)에 따라 창의적 사고력 검사 과제를 두 차례에 걸쳐 수행하였다. 창의적 사고력 과제는 한국형 타당화된 창의적 사고력 검사도구인 i+3C 글로벌 재능 진단검사의 창의적 사고 검사 부분이며, 1차-아이디어생성력 영역, 2차-원격연합력 영역으로 구성되었다(이선영 외, 2018). 작업기억에 부과되는 인지부하가 마인드맵 지원 유형에 따라 창의적 사고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작업기억에 부과되는 인지부하가 창의적 사고력에 미치는 영향이 마인드맵 지원 유형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특히, 1차 과제인 i+3C의 창의적 사고력 검사 아이디어생성력 과제에서는 창의적 사고력 점수에 대해 인지부하와 마인드맵 지원 유형의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하지 않았고, 2차 과제인 원격엽합력에서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원격연합력 점수에서는 인지부하가 높을 때 구조화, 비구조화된 마인드맵 집단이 마인드맵 없음 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으로 높게 나타났고, 인지부하가 낮을 때 비구조화된 마인드맵 집단이 구조화, 마인드맵 없음 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이는 인지부하가 높은 상황에서는 마인드맵(구조화, 비구조화)이, 인지부하가 낮은 상황에서는 구조화된 마인드맵이 창의적 사고력에 혜택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마인드맵을 사용이 선행지식과 새로운 주제와의 관계를 외현화하여 인출을 유도한 것이 인지부하를 줄이고, 더 필수적인 정보에 집중하도록 이끌어 창의적 사고의 유연성을 높일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또한 인지부하가 창의적 사고력 하위요인(유창성, 정교성, 독창성)에 미치는 영향이 마인드맵 지원 유형(구조화, 비구조화, 마인드맵 없음)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지 분석한 결과, 원격연합력 1 유창성, 독창성 점수에서 인지부하와 마인드맵 지원 유형의 상호작용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지부하가 높을 때 유창성 점수는 구조화 집단이 비구조화, 마인드맵 없음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고, 독창성 점수는 구조화 집단이 비구조화, 마인드맵 없음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 한편, 인지부하가 낮을 때 유창성, 독창성 점수는 비구조화 집단이 구조화, 마인드맵 없음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는 인지부하가 높게 부과되는 상황에서 구조화된 마인드맵이 마인드맵 기법 활용에 소요되는 불필요한 인지부하를 감소시켜 유리하고, 인지부하가 낮게 부과될 때는 규칙, 규율, 위계화 등과 같은 구조화된 방식이 창의성 발현에 방해가 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하는 바이다. 본 연구는 실제 창의적 사고력 과제를 수행하는 교육 현장에서 작업기억에 부과되는 인지부하 수준에 따라 학습자에게 마인드맵 지원 유형을 차별적으로 적용하여 창의적 사고력을 증진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또한 1차 과제인 아이디어생성력 영역보다 2차 과제인 원격연합력 영역에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난 것으로 보아, 선행 지식을 인출하여 조합하는 것이 중요한 영역에서 마인드맵 지원 유형의 효과가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탐색하였다는 점에서 교육적 의의가 있다. Creative thinking skills are an important indicator of individual creativity and serve as the basis for producing creative products. Creative thinking ability refers to the ability to generate many ideas quantitatively while choosing new, useful ideas on a qualitative level. When learners perform these creative thinking tasks, the complexity and the difficulty of thinking of the task itself tend to cause cognitive loads in their work memories. Also, the current school curriculum uses the training of creative talent as the main goal of education and learners are required to combine academic and creative performance through integrated curriculum classes, which increases the possibility of cognitive overload when engaging in creative thinking activities. Since cognitive overload is supported by prior research by negatively affecting creative thinking, measures are needed to buffer cognitive and overload when carrying out creative thinking tasks. In particular, the cognitive load generated by creative thinking can be reduced by using methods such as teaching design and learning strategy, and there is a lack of research that examined mind-maps from the perspective of cognitive load, which have been used as a way to increase various creative thinking activities. The type of mind-map support can be divided into structured mind-map, which fills the blanks by giving the learner a mind map form and classified mind map, which is an existing mind map form led by the learner. However, based on the lack of prior research by directly comparing the effectiveness differences between mind-map support types (structural, unstructured, and no mind-map) that cognitive load levels (high, low) on working memory differ depending on the type of mind map support. Furthermore, we wanted to explore how differently influences fluency, sophistication, and originality, which are sub-factors of creative thinking. 150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he six treatment groups divided according to the cognitive load (high, low) level and type of mind map support(structured, unstructured, no mind-map). Research participants responded to creative self-efficiency, cognitive styles by pre-surveying, the structured and unstructured mind-map groups trained in mind-map techniques before performing the creative thinking task and the no mind-map group listened to scripts on innovation. The cognitive load level was operated low vs. high right before performing two creative thinking ability tests according to the type of mind map support (structured, unstructured, and no mind map). The creative thinking tasks are part of the creative thinking test of the i+3C Global Talent Test, a Korean validated creative thinking inspection tool, consisting of the idea generation area and the remote-association area(Lee et al., 2018). An analysis of the impact of cognitive load on creative thinking ability according to the type of mind-map support showed that the impact of cognitive load on working memory on creative thinking power varies depending on the type of mind map support. In particular, the creative thinking ability test idea generation task of i+3C showed that the interaction effects of cognitive load and mind-map support types were not significant for the creative thinking ability score, and that they were significant for the second task-remote association. In remote association scores, the structured and unstructured mind-map group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bove no mind-map group when cognitive loads were high and the unstructured mind-map group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structured, no mind-map groups when cognitive loads were low. This means that mind maps(structured, unstructured) can benefit from high cognitive load conditions and structured mind-maps can benefit creative thinking power in low cognitive load conditions. That is, we suggest that using mind-maps to extrapolate prior knowledge from new topics to reduce cognitive load and increase the flexibility of creative thinking by focusing on more essential information. Furthermore, the impact of cognitive load on the creative thinking sub-factors (creativity, sophistication, originality) depends on the type of mind-map support(structured, unstructured and no mind-map), and the interaction of cognitive load and mind-map support types in remote association 1 fluency and originality scores is significant. When cognitive load is high, the fluency score is shown to be higher than the unstructured, no mind-map group, and the originality score is higher than the unstructured, no mind-map group. On the other hand, when cognitive load is low, the scores of fluency and originality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unstructured groups with no mind-map. This suggests that structured mind-maps are advantageous in the conditions where cognitive loads are high, reducing the unnecessary cognitive load required to utilize mind map techniques and that structured methods such as rules, discipline, and hierarchicalization can interfere with the expression of creativity when cognitive load is low. This work is significant in that it has explored ways to promote creative thinking by discriminately applying mind-map support types to learners according to cognitive load levels imposed on their working memories training sites performing real-world creative thinking tasks. It is also educational significance in that we explore the different effects of mind-map support types in areas where collecting and combining prior knowledge is important, given that significant results have been found in the remote association area, rather than in the area of idea generation.

      • 호텔조리사의 친환경 지향성과 고객지향성이 친환경 혁신역량성과에 미치는 영향

        김유중 경주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s a empirical and documentary research purposed to investigate if the eco-oriented awareness of a hotel culinary staff has a significant affect on the eco-innovation capability achievement, and determine the influence of a customer-oriented culinary staff on the empowerment of the eco-innovation capability. The verification of Hypothesis-1, the correlation between eco orientation and customer orientation, concludes that eco orientation has a significantly positive influence on customer orientation. The verification of Hypothesis-2, the correlation between customer orientation and eco-innovation capability achievement, concludes that customer orientation has a significantly positive influence on eco-innovation capability achievement. The verification of Hypothesis-3, the correlation between eco orientation and eco-innovation capability achievement, concludes that eco-friendly ingredients have a significantly positive influence on eco-innovation capability achievement. These conclusions suggest the following discussions. Firstly, the hotel culinary staff is educated and embodied with the company’s vision and mission throughout his/her tenure with the hotel. Therefore, staff members with higher statuses and/or larger salaries tend to invest more time and effort for self-development than staff member with lower statuses and/or smaller salaries. It is shown that hotel culinary staffs having longer tenures possess a more stronger eco orientation and customer orientation than staff members with shorter tenures. The recent trend of more highly educated culinary staff members increases the overall customer orientation shown by the culinary staff. Even though the hotel industry has a high employment turnover rate, the culinary staff requires stronger professionalism than other staffs, and a culinary staff member has a higher pride in his/her technical profession. Therefore, once he/she fully molds into a member of the culinary staff, each staff member personally invests his/her time and effort to correlate with customers, to improve his/her skill in cooking, and to enhance eco-innovation capabilities. Secondly, pro-active attitude toward eco orientation leads to efforts to empower eco-innovation capabilities, where culinary staff members who are highly concerned about the environment shows lower customer orientation. In other words, customers who fond hotel dining have higher priority on the convenience of the dining experience over eco-friendly aspects. This concludes that a stronger eco-oriented attitude of a culinary staff may hinder the customer oriented nature of the industry. Customers should learn this trend through experience. Thirdly, for the customer orientation of a culinary staff, the customer relation-oriented approach of culinary staff complements the correlation between eco-friendly perspectives and eco-innovation capabilities. It is also concluded that a strict temperament for food ingredient selection shown by a culinary staff shall empower the eco-innovation capability through the customer oriented approa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