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MPEG-2에서 H.264로 변환하기 위한 고속 모드 결정 기법

        김원균,박경준,유종민,정제창,Kim, Won-Kyun,Park, Kyung-Jun,You, Jong-Min,Jeong, Je-Chang 한국통신학회 2007 韓國通信學會論文誌 Vol.32 No.3C

        본 논문에서는 MPEG-2로 부호화된 비디오 스트림에서 H.264부호화 표준으로 변환하기 위한 저 복잡도 모드 결정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MPEG-2에서 H.264로의 트랜스코더는 MPEG-2 복호화부와 H.264 부호화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MPEG-2 복호화부에서 얻을 수 있는 현재 매크로블록외 정보를 이용해서 H.264에서 I프레임과 P프레임의 매크로블록 모드를 적응적으로 선택함으로써 전체 트랜스코더의 복잡도를 감소시킨다. 제안하는 트랜스 코더를 시퀀스에 적용한 결과 주목할 만한 화질열화나 비트율의 증가 없이 $30\sim60%$정도 복잡도가 감소된 것으로 나타난다. In this paper, we present a efficient transcoding method from MPEG-2 to H.264. The proposed transcoder is the transcoding method for spatial domain which consists of MPEG-2 decoder part and H.264 encoding part. In transcoder, we can get useful information to estimate less probable modes from MPEG-2 decoder. Using this information, H.264 encoder chooses the macroblock mode of I-frame and P-frame adaptively to reduce the whole complexity of the transcoder. Our experimental result shows that the proposed algorithm can archive about $30\sim60%$ computational saving without significant degradation of visual quality and increasing of bit rate.

      • KCI등재

        원격탐사자료와 수치표고모형을 이용한 옥천대 남서경계부의 선구조 분석 연구

        김원균,이윤수,원중선,민경덕,이영훈,Kim, Won Kyun,Lee, Youn Soo,Won, Joong-Sun,Min, Kyung Duck,Lee, Younghoon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1997 자원환경지질 Vol.30 No.5

        In order to examine the primary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geological lineaments along the southwestern boundary of Okcheon zone, we carried out the analysis of geological lineament trends over six selected sub-areas using Landsat-5 TM images and digital elevation model. The trends of lineaments is determined by a minimum variance method, and the resulting geological lineament map can be obtained through generalized Hough transform. We have corrected look direction biases reduces the interpretability of remotely sensed image. An approach of histogram modification is also adopted to extract drainage pattern specifically in alluvial plains. The lineament extracting method adopted in this study is very effective to analyze geological lineaments, and that helps estimate geological trends associated various with the tectonic events. In six sub-areas, the general trends of lineaments are characterized NW, NNW, NS-NNE, and NE directions. NW trends in Cretaceous volcanic rocks and Jurassic granite areas may represent tension joints that developed by rejuvenated end of the Early Cretaceous left-lateral strike-slip motion along the Honam Shear Zone, while NE and NS-NNE trends correspond to fault directions which are parallel to the above Shear Zone. NE and NW trends in Granitic Gneiss are parallel to the direction of schitosity, and NS-NNE and NE trends are interpreted the lineation by compressive force which acted by right-lateral strike-slip fault from late Triassic to Jurassic. And in foliated Granite, NE and NNE trends are coincided with directions of ductile foliation and Honam Shear Zone, and NW-NNW trends may be interpreted direction of another compressional foliation (Triassic to Early Jurassic) or end of the Early Cretaceous tensional joints. We interpreted NS-NNE direction lineation is related with the rejuvenated Chugaryung Fault System.

      • KCI등재

        원격탐사자료와 수치표고모형을 이용한 지질학적 선구조 분석기술: 경상분지 의성지역을 중심으로

        김원균 ( Won Kyun Kim ),원중선 ( Joong Sun Won ),김상완 ( Sang Wan Kim ) 大韓遠隔探査學會 1996 大韓遠隔探査學會誌 Vol.12 No.2

        본 연구에서는 Landsat TM 센서의 관측방향에 따른 선택적 증감효과와 이를 고려한 지질학적 선구조의 주방향성 분석방법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경상분지내 의성지역의 2개의 소지역에 대한 TM 영상, 수치표고모형으로부터 얻어진 음영기복도, 지질도 및 지형도에서 분석한 선구조도에 대해 Hough 변환을 적용하여 얻어진 결과들의 상관관계 및 선구조의 주방향을 비교, 분석하였다. Hough 변환은 지질학적 선구조의 방향성을 객관적으로 분석하는데 효과적이며, 본 연구에서는 Hough 변환을 이용하여 실제적인 선구조의 방향성을 구할 수 있었다. 위성 영상에서 센서의 관측방향에 따른 선택적 증감효과를 보정하기 위해서는 센서의 관측방향에 평행한 선구조를 분석할 수 있는 보조자료가 필요하며, 본 연구에서는 태양의 조명방위각이 센서의 관측방향에 수직인 음영기복도를 보조 자료로 이용하여 선구조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방위각을 달리한 음영기복도의 각각의 방향성분을 모두 더한 자료도 선구조도와의 상관관계가 높아 해석의 보조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 의하면 신동층군과 하양층군의 일부를 포함하는 의성군일대는 N5˚~10˚W 방향의 주방향성을, 하양층군, 유천층군 및 불국사화강암이 분포하는 청송군일대는 N55˚~65˚W의 주방향성을 보인다. 해석시 수치표고모형을 보조자료로 사용하여, 의성군일대의 TM 영상에서는 나타나지 않은 N55˚~65˚W 방향의 선구조의 존재가 확인되었으며, 그 위치가 백악기의 특징적인 주향이동단층인 가음단층과 금천단층의 연장선상에 놓여 있어 두 단층은 북서부의 신동층군까지 연장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In order to evaluate the sensor`s look direction bias in the Landsat TM image and to estimate trends of primary geological lineaments, we have attempted to systematically compare lineaments in TM image, relief shadowed DEM`s, and actual lineaments of geologic and topographic map through the Hough transform technique. Hough transform is known to be very effective to estimate the trend of geological lineaments, and help us to obtain the true trends of lineaments. It is often necessary to compensate the preferential enhancements of terrain lineaments in a TM image occurred by to look direction bias, and that can be achieved by utilizing an auxiliary data. In this study, we have successfully adopted the relief shadowed DEM in which the illuminating azimuth angle is perpendicular to look direction of a TM image for assessing true trends of geological lineaments. The results also show that the sum of four relief shadowed DEM`s directional components can possibly be used as an alternative. In Euiseong-gun area where Sindong Group and Hayang Group are mainly distributed, geological lineaments trending N5˚~10˚W are dominant, while those of N55˚~65˚W are major trends in Cheongsong-gun area where Hayang Group, Yucheon Group and Bulguksa Granite are distributed. Using relief shadowed DEM as an auxiliary data, we found the N55˚-65˚W lineaments which are not cleanly observed in TM image over Euiseong-gun area. Compared with the trend of Gumchon and Gaum strike-slip faults, these lineaments are considered to be an extension of the faults. Therefore these strike-slip faults possibly extend up to Sindong Group in the northwest parts in the study area.

      • KCI등재

        위성 영상선구조의 지질학적 응용 : 의성소분지의 경우

        김원균 ( Wom Kyun Kim ),김상완 ( Sang Wan Kim ),원중선 ( Joong Sun Won ),민경덕 ( Kyung Duck Min ),김정우 ( Jeong Woo Kim ) 大韓遠隔探査學會 2000 大韓遠隔探査學會誌 Vol.16 No.1

        위성영상으로부터 추출된 선구조가 지질 및 지질구조와 연관되어 해석이 가능한 지 알아보기 위하여 의성소분지에서 추출된 선구조와 지표지질 조사 결과를 비교하였다 위성영상으로부터 추출된 선구조는 N20°~30˚E, N60°~70˚E, N60°~70°W의 주방향을 보이며, 이는 단층, 주향 및 절리의 방향을 대표한다. 한편. 퇴적층내의 선구조들은 밀양소분지와 의성소분지의 경계인 팔공산융기대를 경계로 이북에서는 북북동, 서북서 방향이, 이남에서는 동북동 방향의 선구조가 우세하게 나타나, 퇴적상을 기준으로 결정된 기존의 경계와 잘 일치한다. 따라서 위성영상을 이용한 선구조는 광역 지질구조 및 지표지질 연구에 매우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To evaluate the feasibility of using lineaments for the interpretation of regional geological structures, the extracted lineaments from satellite image and surveyed surface geological features mapped in the field were analyzed for the Euiseong Sub-basin. The lineaments extracted from Landsat-5 TM images show primary directions of N20˚~30˚E, N60˚~70˚E, and N60˚-70˚W, which represent the trends of faults, strikes, and joints. In the sedimentary formation in the northern part of Palgongsan Uplift Zone, primary directions of the lineaments are NNE and NWW, and NEE in southern parts. The analysis of satellite lineaments is proved to be very useful to study the large-scale structures and surface geology of the Euiseong Sub-basin, whereas the previous research using brittle tectonics approach was advantaged in the outcrop scale in interpretation.

      • KCI등재

        무기체계 정비 데이터를 활용한 품질 개선 프로세스 개발

        김원균 ( Won Kyun Kim ),권세민 ( Semin Kwon ),조경호 ( Kyoungho Cho ),성시일 ( Si Il Sung ) 한국품질경영학회 2015 품질경영학회지 Vol.43 No.4

        Purpose: This paper treats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and reliability of military weapon systems based on the maintenance data.Methods: The proposed method of the data integration and refinement are used to obtain the component reliability information and to find the frequently failed components based on the Pareto analysis. Based on the reliability information and the number of failed component frequencies, the target components of quality improvement are determined and improved by multiple methods such as engineering changes, special meetings,additional training and revising maintenance manuals.Results: Based on the proposed process, we find some components which need to be improved in order to enhance the quality and reliability.Conclusion: A process is developed for improving the quality and reliability of weapon systems. This process will be adopted by various weapon systems to enhance the quality and reliability, as well as reduce military spending.

      • 데이터 재순환 LMS 알고리즘의 탭 가중치 갱신을 통한 수렴속도 개선

        김원균(Won-Kyun Kim),김광준(Kwang-Jun Kim),나상동(Sang-Dong Na) 한국정보과학회 1998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5 No.2Ⅲ

        In this paper, a new simple and efficient technique to improve the convergence speed of LMS algorithm is introduced. The convergence characteristics of the proposed algorithm, whose coefficients are multiply adapted in a symbol time period by recycling the received data, are analyzed to prove theoretically the improvement of convergence speed. The theoretical analysis shows that the data-recycling LMS technique can increase convergence speed by (B+1) times, where B is the number of recycled data. The results of the computer simulation demonstrate that the simulation results are in accordance with the theoretical analysis and the superiority of the filter algorithm.

      • 공간빅데이터를 위한 정보 시각화 방법

        서양모,김원균,Seo, Yang Mo,Kim, Won Kyun 한국공간정보학회 2015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23 No.6

        본 연구에서는 공간빅데이터의 개념과 특징을 정의하고 데이터에 대한 통찰력을 높일 수 있는 정보 시각화 방법론을 조사하였다. 또한 시각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 및 해결방법을 제시하였다. 공간빅데이터를 공간정보의 정량적인 확장의 결과와 빅데이터의 정성적인 확장의 결과로 정의하였다. 공간빅데이터는 6V(Volume, Variety, Velocity, Value, Veracity, Visualization)의 특징을 갖고 있으며, 최근 활용 서비스 측면이 이슈화 되면서 공간빅데이터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하여 데이터의 활용 가치를 높이기 위해 공간빅데이터의 시각화가 주목받고 있다. 정보 시각화의 방법은 Matthias, Ben, 정보디자인교과서 등을 통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정의 되어 있으나 공간빅데이터의 시각화는 방대한 양의 원시 데이터를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데이터의 조직화 과정을 거쳐야 하며 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하려는 정보를 추출해야 하는 차이점이 있다. 추출된 정보는 특성에 따른 적합한 시각적 표현 방법을 사용해야 하며, 많은 양의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것은 사용자에게 정확한 정보를 제공 할 수 없으므로 필터링, 샘플링, 데이터 비닝, 클러스터링 등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축소하여 표현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In this study, define the concept of spatial big data and special feature of spatial big data, examine information visualization methodology for increase the insight into the data. Also presented problems and solutions in the visualization process. Spatial big data is defined as a result of quantitative expansion from spatial information and qualitative expansion from big data. Characteristics of spatial big data id defined as 6V (Volume, Variety, Velocity, Value, Veracity, Visualization), As the utilization and service aspects of spatial big data at issue, visualization of spatial big data has received attention for provide insight into the spatial big data to improve the data value. Methods of information visualization is organized in a variety of ways through Matthias, Ben, information design textbook, etc, but visualization of the spatial big data will go through the process of organizing data in the target because of the vast amounts of raw data, need to extract information from data for want delivered to user. The extracted information is used efficient visual representation of the characteristic, The large amounts of data representing visually can not provide accurate information to user, need to data reduction methods such as filtering, sampling, data binning, clustering.

      • 위성/드론영상 기반 농업가뭄관리를 위한 모니터링 및 자료체계 정립

        남원호 ( Won-ho Nam ),윤동현 ( Dong-hyun Yoon ),장민원 ( Min-won Jang ),김원균 ( Won-kyun Kim ),김희문 ( Hi-mun Kim ),김대의 ( Dae-eui Kim ) 한국농공학회 2018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8 No.-

        가뭄은 다른 재난에 비해 영향면적이 넓고 장기간에 걸쳐 느린 속도로 진행되므로 광역에 걸쳐 전반적인 정보를 획득 할 수 있는 위성영상 모니터링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신속한 농업재해 대응 의사결정지원을 위한 농업가뭄 모니터링 및 예측 기술이 필요하며, 농업가뭄에 대한 과학적, 체계적, 종합적, 장기적 대응체계 기반 구축을 위해 전국적으로 분포한 농업 분야의 특성상 위성영상 기반의 원격탐사기술의 도입이 대두되고 있다. 원격탐사기술의 발전에 따라 인공 위성과 드론을 위한 실시간 모니터링 기술이 실용화되고 있고, 향후 취득 가능한 위성영상의 해상도는 더욱 높아질 것을 고려하면 위성영상 기반 농업가뭄 모니터링 기술 확보가 요구되며, 국내의 농업·농촌용수 및 농업재해 관리에 있어서 위성영상을 활용한 농업가뭄 판단에 앞서 농업분야에 활용 가능한 위성영상 자료 수집, 분류, 체계화 및 표준화 연구 기반 정립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농업가뭄 모니터링을 위한 위성영상 기반의 농업가뭄자료 분류 및 체계화 정립, 위성영상기반 농업가뭄 모니터링 모델 개발, 드론영상 및 위성영상 연계를 통한 농업가뭄 모니터링 방안 등의 세부 연구내용으로 위성영상과 드론의 통합적인 가뭄 모니터링과 예경보 시스템을 구축하여, 농업재해의 신속한 피해 현황을 파악하여 선제적 대응이 가능하도록 맞춤지능형 의사결정의 지원 및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 KCI등재

        포항일원에 분포하는 제3기 암류에 대한 고지자기 연구

        민경덕,김원균,이대하,이윤수,김인수,이영훈,Min, Kyung Duck,Kim, Won Kyun,Lee, Dae Ha,Lee, Youn Soo,Kim, In Su,Lee, Young-Hoon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1994 자원환경지질 Vol.27 No.1

        Paleomagnetic study of Tertiary rocks in Pohang area has been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 directon of natural remanent magnetization, the position of paleomagnetic pole, the stratigraphic correlation, and the tectonic movement. A total of 196 specimens was collected from 5 sites in the Pohang Basin, 19 sites in the Janggi Basin, and 10 sites in the Eoil Basin, respectively. The mean declination and inclination of 4 sites (3 sites in the Yonil Group and 1 site in the Yonil Basalt) are $-3.2^{\circ}$ and $54.3^{\circ}$, and yield the paleomagnetic pole position $86.9^{\circ}N$ and $7.7^{\circ}E$. These are the characteristic direction and pole position of Miocene Epoch by comparison with contemporary Eurasian and Chinese data. The characteristic direction and pole position of remaining 30 sites are $47.6^{\circ}$ and $57.5^{\circ}$, and $52.3^{\circ}N$ and $201.5^{\circ}E$, respectively. These show clockwise rotation of $50.8^{\circ}$ with respect to the Miocene ones resulted by a tectonic movement before the deposition of the Hakjeon Formation of the Yonil Group about 15~16 Ma in the study area. The mechanism of the clockwise rotation is considered to be the dextral movement of the Yangsan Fault presumably caused by the opening of the East Sea. The Yonil Basalt is reclassified into pre- and post-deposition of the Yonil Group, i.e. the former is early Miocene and the latter late Mioce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