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간이 GPS를 이용한 거리측량의 정밀도 분석

        김용백 조선대학교 1996 국내석사

        RANK : 247647

        One of most exiting and effective technical developments to emerge in the last decade is the Global Positioning System is called NAVSTAR in United states. This system was developed for the purpose of military applications but more advanced GPS technology is applied in Navigation, Surveying, Traffic control, protecting Environment, etc. The Navstar GPS employs orbiting satellites. From Navstar satellites broadcast precise, reliable, and continuous navigation signals tp a worldwide class of users. Military dollars pay for the satellites. So the developement and applying of GPS in the present and effect in the future using GPS and analysing precision using GPS is studied in this thesis.

      • 골육종의 술전 항암 화학요법 시 Methotrexate의 최고 혈중 농도에 따른 종양 괴사율

        김용백 고신대학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배경: 골육종의 치료에 있어 methotrexate(MTX)를 포함한 다양한 종류의 항암 화학요법제가 소개되어 생존률의 향상에 기여하였으나, 무병 생존율을 예측할 수 있는 인자로서 조직 반응도에 대한 연구는 현재까지 드물다. 본 연구에서는 조직 반응도로서 종양 괴사율과 MTX 최고 혈중 농도와의 관계 및 이에 영향을 미지는 인자로서 나이, 성별, 종양의 위치, 병리 조직형 및 항암 화학요법의 종류를 연구하였다. 방법 및 대상: 1995년 6월에서 2001년 6월까지 44례의 stage IIB 골육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술전에 두가지 종류의 항암 화학요법을 사용하였고(modified T-10 & T-20 protocol), 정맥내 MTX, Ifosphamide(IFOS), Adriamycin(ADR), 동맥내 Cisplatin(CDDP)을 사용하였다. 조직 반응도는 완전 반응(종양 괴사율 100%) 및 불완전 반응(종양 괴사율 100% 미만)으로 분류하였고, MTX의 최고 혈중 농도는 편광면역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평균치를 사용하였다. 항암 화학요법에 따라 modofied T-10요법 22례, T-20요법 22례였다. 통계학적 분석은 SPSS Window ver 10.0을 이용하여, 빈도 분석은 x²-test, 두 군간의 평균값은 t-test로 검정하였고, 생존률은 Kaplan-Meyer방법을 이용하였고, 유의 수준은 0.05로 하였다. 결과: 나이는 평균 18세였고, 성별은 남자 29례, 여자 15례였으며, 종양의 위치는 원위 대퇴골 21례, 근위 경비골 19례, 그 외 4례였다. 병리 조직형은 골모세포성 32례, 섬유모세포성 9례, 인골모세포성 3례였다. 술전 항암 화학요법 후 완전 조직 반응은 전체 44례 중 10례(22.7%)였으며, MTX 최고 혈중 농도가 1000μ mol/ℓ 이상인 경우 26례 중 9례(34.6%)에서, 1000μ mol/ℓ 미만인 경우 18례 중 1례(5.6%)에서 완전 조직 반응을 나타내어, MTX 최고 혈중 농도가 1000μ mol/ℓ 이상에서 완전 조직 반응의 빈도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0.031). MTX 최고 혈중 농도 1000μ mol/ℓ 이상은 여자 15례 중 12례, 남자 29례 중 14례였고, 완전 조직 반응은 여자 15례 중 7례(46.7%), 남자 29례 중 3례(10.3%)로, 여자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완전 조직 반응의 빈도가 높았다(p=0.019). 대상 전체 5년 생존률은 82.1%, 지속적 무병 5년 생존율은 73.6%였다. 종양의 위치, 병리 조직형, 항암 화학요법의 종류는 MTX 최고 혈중 농도 및 완전 조직 반응도와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 않았고, 생존율과도 상관관계가 없었다. 결론: 술전 항암 화학요법에서 MTX의 최고 혈중 농도가 1000μ mol/ℓ 이상에서 유의하게 완전 조직 반응의 빈도가 높았고, 이에 관여하는 인자로 여자에서 유의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MTX 최고 혈중 농도는 조직 반응도의 예측 인자로 생각되며, MTX의 혈중 농도를 높게 유지할 수 있는 방법적인 연구가 더 많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 Preoperative chemotherapy was introduced for the treatment of osteosarcoma. High dose methotrexate (MTX) dramatically increases the survival rate. However, there are a few reports relating the rates of tumor necrosis and survival rate after the MTX treatment. We, therefore, investigated in the present study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rate of tumor necrosis and various variables such as the serum peak level of MTX, age, gender, location and pathologic type of tumor, and chemotherapeutic regimen. Materials and Methods :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4 stage IIB osteosarcoma patients operated in our hospital during the period from June 1995 to June 2001. We applied two similar chemotherapeutic protocols, T10 (22 cases) and T20 (22 cases), which were based on intravenous MTX, Ifosphamide (IFOS), and adriamycin (ADR), and intra-arterial Cisplatin (CDDP). The degree of necrosis indicating the histological response of chemotherapy was graded as complete (No viable tumor cells) and incomplete (Persistent viable tumor cells) necrosis. MTX serum level was determinn1 by fluorescence-polarization immunoassay (FPI). The frequency was tested by x²-test and the mean value of two groups were tested by t-test. The significant value is 0.05. Survival rate was analysed by Kaplan-Meyer method. Results : Of 44 subjects 26 showed the serum MTX level over 1000 μmol/ℓ, and 18 subjects showed the MTX level less than 1000 μmol/ℓ. 29 subjects were male and 15 were female. 21 cases were below 15 years old and 23 cases were over 16 years. Tumor was located at femur in 21 cases, at tibia in 19 cases, and at other sites in 4 cases. Pathologic type of tumor was chondroblastic in 3 cases, fibroblastic in 9 cases, and osteoblastic in 32 cases. Of 44 cases, complete necrosis was observed in 10 cases (22.7%), 9 (34.6%) out of 26 patients with the serum MTX peak level over 1000 μmol/ℓ and 1 (5.6%) out of 18 patients with the MTX level below 1000 μmol/ℓ. Complete necrosis was seen in 7 females (46.7% of 15 female subjects) and 2 males (10.7% of 29 male subjects) with the serum MTX peak level over 1000 μmol/ℓ. The prevalence of complete necrosi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females than in males (p<0.02) and in patients with the serum MTX peak level over 1000 μmol/ℓ ( than in those with MTX below 1000 μmol/ℓ (p<0.03). No such correlation was observed with other variables, Overall 5 year survival rate was 82.1% and 5 year continuous disease-free survival rate was 56.3%.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survival rate and variables. Conclusion : In the present study we observed a high rate of complete necrosis after preoperative high dose MTX therapy in patients with the serum MTX peak level over 1000 μmol/ℓ, especially in females. We, therefore, suggest that the preoperative dose of MTX should be maintained high enough to give the peak serum level of the drug over 1000 μmol/ℓ, whenever possible.

      • 공막봉합고정에 의한 후방인공수정체삽입술

        김용백 충남대학교 1990 국내석사

        RANK : 247631

        Posterior chamber intraocular lenses were implanted into 20 eyes without the posterior capsular support by securing both haptics of the lens to the sclera with 1 0-0 prolene suture. These included 12 eyes in which the posterior capsule or zonules were ruptured during a planned extracapsular catract extraction, 5 aphakic eyes which had previously undergone an intracapsular cataract extraction, 2 eyes with a dislocated intraocular lens and 1 eye with dislocated cataract. The follow-up period ranged from 6 to 24 months (average 9.4 months). At the last follow-up visit, 17 eyes(85%) had a vision of 0.7 or better. The position of the implanted lens was proved satisfactory when compared with eyes with posterior chamber intraocular lens without scleral fixation suture by postoperative A-scan measurement of the anterior chamber depth, the results of refraction and slit-lamp examination. There were no eyes with remarkable decentration or tilt of the implanted lens. In two eyes, intraoperative bleeding occurred from the inferior chamber angle and ceased spontaneously. Loosening and slippage of a suture tied to the lens haptic occurred in 2 eyes. In one eye, the suture tied to the lens haptic was broken when suturing onto the sclera, but the lens was placed in safe and steadiness. Postoperatively there were no remarkable inflammatory responses or complications. From the results, we suggest that the position of scleral pucture with a hypodermic needle is 1.2-1.4mm from the posterior surgical limbus in the upper quadrant and the advancement of the needle is directing parallel to the posterior surface of the iris.

      • Zoledronate가 골육종 세포에서 matrix metalloproteinase-2와 14의 발현과 폐전이에 미치는 영향

        김용백 고신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박사

        RANK : 247631

        연구 배경 및 목적: 암의 전이에서 세포외 기질과 기저막을 분해시키는 gelatinase A(MMP-2)와 membrane-type metalloproteinase(MT1-MMP, MMP-14)가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MMP 억제제인 bisphosphonate는 전이성 골종양에서 골흡수를 억제할뿐만 아니라 암세포의 침범과 전이를 억제하고 혈관 신생을 막는다고 알려져 있어 3세대 제재인 zoledronate가 MMP를 억제함으로써 폐전이를 막는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재료 및 방법 : 인간 MG-63 골육종 세포주와 HOS 골육종 세포주를 배양하여 zoledronate를 처치하여 MMP-2와 MMP-14의 mRNA 발현과 MMP-2의 단백 형성을 정량적으로 측정하였다. 생체내 실험을 위해 nude mouse model을 대상으로 하여 쥐의 foot pad에 형질 변화된 골육종 세포를 주입한 후 폐전이에 대한 zoledronate의 효과를 관찰하였다. 결과 : 1) MG 63 골육종 세포주와 HOS 골육종 세포주에 zoledronate를 처치하여 MMP-2와 MMP-14의 mRNA의 발현이 억제됨을 정량적 RT-PCR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2) MG 63 골육종 세포주와 HOS 골육종 세포주에서 zoledronate는 62KD의 활성화된 MMP-2의 양이 감소하는 것을 gelatine zymography를 통하여 관찰하였다. 3) 생체 실험의 결과로 zoledronate가 골육종에서 폐전이를 감소시킴을 확인하였다. 결론 : Zoledronate는 골육종 세포주에서 폐전이를 억제하였고, 이는 MMP-2와 MMP-14의 억제와도 관련되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 Gelatinase A(MMP-2) and membrane-type metalloproteinase(MT1-MMP, MMP-14) play a critical important role in metastasis. It was known that bisphosphonate acts not only to protect bone absorption but also to inhibit tumor invasion, metastasis and angiogenesi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hibition of MMP-2 and 14 in osteosarcoma by zoledronate(ZOL), which can prevent lung metastasis in nude mouse. Material and Method : Protein synthesis and mRNA expression of MMP-2 and MMP-14 cultured human MG-63 osteosarcoma and HOS osteosarcoma cell lines with ZOL were measured. In vivo test, it was observed how was the inhibitory effect of ZOL on lung metastasis of osteosarcoma with nude mouse model. Result : 1)ZOL inhibited mRNA expression of MMP-14 and MMP-2 in cultured human MG-63 osteosarcoma and HOS osteosarcoma cell lines. 2)ZOL decreased the amount of activated 62KD MMP-2 in human MG-63 osteosarcoma and HOS osteosarcoma cell lines on gelatine zymography. 3)ZOL had a preventive effect on lung metastasis of osteosarcoma, in vivo. Conclusion : In vitro, ZOL had an inhibitory effect of MMP-14 and MMP-2, which also prevents lung metastasis of osteosarcoma, in vivo. So, ZOL could be one of good chemotherapeutic agents against metastasis of osteosarcoma.

      • 최고경영자와 노조대표의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구성원의 몰입을 통하여 경영혁신 참여의사에 미치는 영향

        김용백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631

        최고경영자와 노조대표의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구성원의 몰입을 통하여 경영혁신 참여의사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CEOs and Union Presidents on the Union Members'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Management Innovation through Members' Commitment 경영학과 김 용 백 지도교수 이 종 법 본 연구는 최고경영자와 노조대표의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몰입, 노조몰입 및 이중몰입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을 매개로 노조원의 경영혁신 참여의사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부산․경남지역에 소재하는 노조가 결성된 25개 기업의 노조원 46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그 중 유효설문지 434부의 자료를 다중회귀분석, 로지스틱 회귀분석, t-검정, 분산분석 등의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실증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조대표의 변혁적 리더십과 조직몰입 간에는 유의적인 영향관계를 발견할 수 없었으나 최고경영자의 변혁적 리더십과 조직몰입 간에는 정(+)의 영향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최고경영자의 변혁적 리더십과 노조몰입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관계가 있음을 확인할 수 없었으나 노조대표 변혁적 리더십과 노조몰입 간에는 정(+)의 영향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최고경영자의 변혁적 리더십과 노조대표의 변혁적 리더십이 높을수록 이중몰입의 정도가 높아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협력적인 노사관계 분위기가 높을수록, 근무연수가 길수록 이중몰입의 정도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조직몰입이나 노조몰입이 높을수록 경영혁신 참여의사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이중몰입이 높은 집단은 조직몰입과 노조몰입이 모두 낮은 집단이나 회사몰입과 노조몰입 중 어느 하나만 높은 집단에 비해 경영혁신 참여의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이론적ㆍ실무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먼저, 이론적 시사점으로서, 첫째, 본 연구의 결과 그동안 조직에서 깊이 유의하지 않았던 노조대표의 역할이 중요하며, 최고경영자뿐만 아니라 노조대표의 변혁적 리더십이 노조원의 몰입을 이끌어내어, 그들의 경영혁신 참여의사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이중몰입의 정도를 설명하는 주요 통제변수로 포함시킨 협력적 노사관계가 노조원의 제반 몰입변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한 점이다. 한편 실무적 시사점으로서 첫째, 최고경영자와 노조대표의 변혁적 리더십을 강화할 수 있는 경영관리상의 제반 여건 조성과 조치가 필요하다. 둘째, 조직구성원의 높은 몰입을 통한 적극적인 경영혁신 참여의사를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조직과 노조가 대립관계가 아닌 상생(相生)관계에 있음을 확인시켜주는 노력과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 셋째, 조직구성원의 경영혁신 참여의사는 이중몰입이 높은 집단이 조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조직에서는 조직몰입 뿐만 아니라, 노조몰입에도 관심을 가져, 이중몰입을 강화시키는 것이 조직의 경영혁신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주요어 : 최고경영자, 노조대표, 변혁적 리더십, 몰입, 협력적 노사관계, 경영혁신 참여의사

      • 春川 貊國 硏究

        김용백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北漢江 상류에 자리잡고 있는 春川지역의 고대사회를 규명하고, 춘천이 옛 貊의 땅이라고 기록하고 있는『三國史記』의 기록과 같이 춘천에 실제 ‘貊國’이 존재 했었는지에 대한 검토를 하기 위해 진행한 것이다. 이를 위해 그간 발굴조사를 통해 밝혀진 靑銅器時代와 初期鐵器時代의 여러 유적들의 조사 성과를 살펴보고, 이와 연계하여 중국과 우리나라의 사료들을 비교 분석하여 春川 貊國의 성격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春川盆地는 사방이 험준한 산에 둘러싸여 있으며, 분지 내를 북한강과 소양강의 물줄기가 관통하면서 비옥한 토양을 만들고 있다. 이와같은 자연조건은 일찍부터 다양한 문화가 생성·교류를 거치면서 유지될 수 있는 터전을 마련해 주었다. 기원전 12세기 이전부터 시작된 춘천의 靑銅器 文化는 泉田里·牛頭洞·新梅里·玄岩里 등 여러 유적에 대한 조사를 통해 대규모 마을유적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음이 확인되었다. 그들은 강가의 충적대지와 구릉지 위에 마을을 이루고 농사와 사냥, 어로 등 다양한 경제 활동을 영위하였다. 특히, 천전리 유적은 이색점토구역과 작업공간으로 특징지을 수 있는 독특한 주거지를 조성한 것으로 파악되었고, 이와같은 주거 양식이 북한강 유역의 동시대 유적에서 나타남에 따라 ‘泉田里式 住居址’로 명명할 수 있다. 춘천의 청동기인들은 무덤 양식으로 고인돌에 앞서 대형 周溝墓를 조성하였음이 천전리 유적에 대한 조사를 통해 밝혀 졌으며, 이후 곳곳에 고인돌을 축조하였다. 신매리 대형 고인돌의 경우 1,300여 명의 노동력이 투입될 정도의 규모를 보이고 있어 당시 춘천 지역의 인구가 6천 명 정도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춘천의 청동기시대 유적에서는 각종 토기류와 석기류가 출토되고 있으며, 우두동·현암리 등에서 청동검과 청동화살촉이 함께 출토되고 있다. 이와같은 유물과 함께 마을 유적·주구묘·고인돌 등을 연계하여 볼 때 이 지역에는 일찍부터 토착 세력에 의해 城邑國家 단계의 정치체제가 있었던 것으로 추정해 볼 수 있다. 춘천 지역에서는 기원전 12세기 이전부터 기원전 3~4세기 경까지 청동기시대가 이어져 왔으며, 이후 급속히 유입되기 시작한 철기문화의 영향을 받아 初期鐵器時代가 자리잡아 가기 시작하였다. 강가의 충적대지 위에 집단 마을을 형성한 춘천의 초기철기시대 사람들은 주거지 내부에 아궁이와 부뚜막, 배연시설까지 갖추고, 판재로 벽처리를 한 주거지에서 생활하였으며, 硬質無文土器와 打捺文土器를 사용하였다. 이들 주거지에서는 樂浪과의 교류 관계를 엿볼 수 있는 漢式系 토기류와 環頭小刀·주조괭이·U자형 삽날 등의 철기류가 다수 출토되고 있고, 樂浪으로부터 직접 유입되어 유통되었을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는 五銖錢이 발견되어 漢四郡 설치 이후 춘천이 낙랑의 영향력 하에 영서 내륙지역에서 중심지 역할을 했던 것으로 보인다. 춘천을 비롯한 北漢江 유역과 臨津江·南漢江·平昌江 유역에서 발견되고 있는 積石塚은 貊族(靺鞨)의 분포 지역과 비슷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춘천 中島에서 조사된 적석총은 기원후 1~2세기 경에 축조된 것으로 보이며, 당시 통치 세력과 밀접한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춘천을 비롯한 중부 내륙의 강가에서 발견되고 있는 적석총은 高句麗 무덤 축조 양식과 비슷하며, 이는 고구려 계열의 貊族이 남하하여 기존 토착세력을 장악하고 정착 생활을 하는 가운데 조성한 것으로 볼 수 있다. 『書經』을 비롯한 많은 중국 사료에는 濊와 貊에 관한 기록이 보이고 있다. 예·맥은 기원전 10세기 이전부터 중국 북방의 광범위한 지역에 걸쳐 살았던 것으로 보이나 이후 기원전 7~8세기 무렵부터는 요동과 만주지역 일대를 중심 지역으로 하고 있으며, 일부는 조세를 수취하는 통치 체제를 갖추었던 것으로 보인다. 예·맥은 때로는 단일 호칭으로, 때로는 복합 호칭으로 불려 졌으며, 夫餘·高句麗·沃沮·濊 등 여러 聯盟王國으로 자리를 잡았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기원전 3세기 말 燕나라의 고조선 침공과 같은 전쟁이 중국의 春秋戰國時代를 거치는 동안 지속되자 전란을 피해 많은 예맥족이 만주를 거쳐 한반도 내륙 지역으로 이주하였다. 그들은 철기 문화를 바탕으로 정착 지역의 주도세력으로 부상하였으며, 춘천에서 ‘貊國’을 건국하였지만『漢書』『三國志』『後漢書』등 중국사료 편찬 당시에 이미 국가 단계에서 소멸되었거나 인지되지 못하여 기록에서 빠진 것으로 보인다. 초기철기시대 삼한 여러나라의 생활상을 기록하고 있는 사료들과 비교해 볼 때 1천 호 이상의 주민이 대규모 마을을 이루고 살면서 다양한 토기류와 철기류를 활용했고, 적석총을 조성했던 춘천 지역에도 주민들을 다스리던 통치세력이 있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三國史記』「新羅本紀」에는 貊國 관련 기록이 등장한다. 儒理王 17년 河西(江陵)에서 華麗와 不耐의 신라 침입을 저지한 맥국의 渠帥는 근거지가 지금의 평창 지역 이었다. 평창 지역도 춘천과 마찬가지로 적석총이 확인되고 있다.『삼국사기』기록과 함께 춘천·평창 지역의 유적·유물과 지명·전설 등을 종합하면 적어도 기원전 1세기 무렵까지 춘천에 맥국이 있었던 것으로 보이나 한사군의 낙랑 세력의 확대와 연계해 이들 세력이 춘천에서 밀려 나 평창에 근거를 마련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춘천 맥국의 주 세력이 이주한 후 이 지역에는 낙랑의 영향력이 확대 되었다. 낙랑은 맥국의 주축 세력이 떠난 이후 남아있던 지배 세력에게 印綬를 주어 영향력을 행사한 것으로 보인다. 이는 낙랑이 東部都尉를 폐지하고 난 이후 그 지역의 토착 세력에게 侯의 직위를 주어 관리한 사례가 있고, 또한 자신들의 힘이 직접 미치지 못하는 마한 여러 나라 臣智 등에게 몰래 인수를 주고 옷과 두건을 갖출 수 있게 하였는데 그 수가 1천 명에 달할 정도였다는 기록을 볼 때 충분히 가능한 일이라고 할 수 있다. 맥국이 떠난 후 春川 牛頭山城을 중심으로 한 세력들은 낙랑의 인수를 받아 스스로 낙랑이라고 칭하며 百濟를 공격하는 지휘부 역할을 수행하였으며, 영서 내륙 지역에 퍼져 있는 貊系 靺鞨을 총괄하였다. 『三國史記』「百濟本紀」의 기록을 보면 백제는 건국 초기부터 동쪽과 북쪽의 낙랑·말갈과 치열한 전쟁을 하고 있으며, 백제를 침입한 말갈세력에 대한 응징으로 낙랑과의 교통로를 차단하거나 직접 樂浪 牛頭山城 공격을 시도하였고, 서울을 漢水 이남으로 옮기기도 하였다. 「백제본기」溫祚王 대의 기록에는 백제의 동쪽 강역이 走壤(春川)에 이르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를 두고 일부에서는 춘천이 백제의 동쪽 영역이었으므로 낙랑 우두산성은 다른 지역일 것으로 보고 있으나 당시의 경계가 산과 강 등 자연 조건에 따라 나누어 졌던 것을 볼 때 백제의 동쪽 경계는 춘천을 포함한 것이 아니라 북한강을 사이에 두고 춘천과 맞닿아 있는 嘉平까지 였음을 유추해 볼 수 있다. 『삼국사기』에 등장하는 말갈은 그간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濊系 靺鞨(嶺東)과 貊系 靺鞨(嶺西)을 지칭하는 것으로 연구되었다. 초기 춘천 우두산성을 중심으로 한 낙랑의 영향력에 의해 백제를 침공하는데 동원되었던 맥계 말갈은 古爾王 대에 이르러 전쟁 대신 화친을 통해 생존하는 방식으로 전환하고 있다. 고이왕 25년(258) 말갈은 백제에 화친을 청하고 있는데 이는 춘천 우두산성을 중심으로 했던 낙랑의 영향력이 소멸되어 더 이상 영서 내륙의 말갈을 도와줄 수 없는 상황이 발생했기 때문으로 여겨지며, 이 무렵 춘천도 백제의 영역에 포함된 것으로 보인다. 『삼국사기』의 〈地理〉는 춘천을 비롯한 많은 지역이 최초 고구려의 영역이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고구려 지명 중 69개 지명이 朝鮮時代 金正浩에 의해 백제 지명으로 환원되었고, 최근의 연구는 춘천을 비롯한 강원 영서지역 대부분을 포함하는 52개 지명이 백제 지명으로 추가 환원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어 춘천이 삼국 중 백제에 가장 먼저 편입되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간 춘천을 비롯한 북한강 상류 지역에서는 청동기시대와 초기철기시대의 많은 유적들이 조사됨에 따라 당시 사회를 이해 할 수 있는 다양한 자료들이 축적되었지만, 아직까지 춘천 맥국을 명확하게 밝혀 줄 수 있는 명문 등의 유물은 출토되지 않고 있다. 그러나 각종 고고학적 성과와 문헌 기록에 대한 분석을 통해 이 지역에 靑銅器時代에 이미 성읍국가 단계의 통치체제가 있었으며, 初期鐵器時代에 접어드는 기원전 3세기 무렵부터 기원전 1세기 경까지 貊國이 있었음을 확인해 볼 수 있다. 맥국의 옛터가 있었다고 전해지는 新北邑 일대와 牛頭山을 중심으로 한 우두동 일대에는 청동기시대부터 철기시대에 이르기까지 대규모 마을 유적들이 있었던 것으로 이미 밝혀지고 있으므로 이들 지역에 대한 보다 폭넓은 조사가 실시된다면 성읍국가 단계의 통치체제와 함께 춘천 맥국의 실체를 보다 명확하게 규명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주제어 : 春川, 靑銅器時代, 泉田里式 住居址, 周溝墓, 고인돌, 初期鐵器時代, 漢式系土器, 環頭小刀, 五銖錢, 積石塚, 三國史記, 濊貊, 春川 貊國, 走壤, 春川 牛頭山城, 貊系 靺鞨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the ancient society of Chuncheon area which was located in the upper region of the Bukhan river and the existence of Mac country in this area as described in 『samkuksagi』. For doing these, results from investigating several remains of the Bronze age and the Iron age are to be studied and historical materials from China and Korea are to be compared. Chuncheon is a basin which is surrounded with rugged mountain terrain and has fertilized soil due to the Bukhan river and the Soyang river that are through this basin. This natural environment made a good dwelling where lots of cultures appeared and were exchanged. It has been proved that the Bronze culture in Chunchen, which started in 12 century BC, was set up around the remains of villages by investigating several remains such as Chenjeonri, Ududong, Sinmaeri and Hyunamri. The early people built a village on aullvial plains and hill areas and led lives through farming, hunting and fishing. Specially, the remains in Cheonjeonri is marked by unique dwellings characterized with special clay area and working space. Since this style of dwellings was widespread around the Bukhan river contemporarily, it can be called as 'Cheonjeonri style dwellings'. The fact that the style of tombs that were used by people from the Bronze Age in Chuncheon was the large Jugu tomb before the dolmens was proved by studying on remains in Cheonjeonri. After this style appeared, dolmens were constructed in several areas. In case of the large dolmen in Sinmaeri, its size made it possible to assume that there were about 6,000 people living in Chuncheon through considering that its construction needed approximately 1,300 labors, While several earthenware and stoneware have been evacuated from these remains, bronze sword and arrowhead were found in Ududong, Hyunamri. Considering the existence of these relics, village remains, Jugu tombs and dolmens, it is possible to assume that there was a country at a castle town level made by the natives. In Chuncheon region, the Bronze Age was from 12 century BC to 3 or 4 century BC, and then rapid inflow of the Iron culture initiated the Iron Age. People from the Iron age in this region set up the communal village on an alluvial plain and had a furnace, a woodburning system, a chimney and a wall processed with boards in their dwellings. Patternless hard earthenwares and pressed pattern earthenwares were used. In thse dwellings, chinese style earthenwares that makes it possible to guess cultural exchange with Nakrang and ironwares such as Hwandusodo, metallic hoes and U-shape shovels were excavated. More interestingly Osujeon was found, which was directly coming from Nakrang. This means that after setup of Hansakun, Chuncheon might have been the center of an inland area of western parts from Daekwonryung under the influence of Nakrang. The stone mound tombs that were found in regions near Imjin river, Namhan river, Pyungchang river and Hunkan river including Chuncheon had similar aspects with the distribution of Mac race population. One in Jungdo was made in 1 or 2 century BC and assumed to have close relation with a ruling class. A lot of Chinese historical materials like 『Seokyung』described about Ye and Mac. They are considered to have lived widely in northern China in 10 century BC and in Liaodong and Manchuria in 7 or 8 century BC and to have had ruling system with taxation. Ye and Mac were called as a single name and sometimes as a combined name, which became stable as allied kingdoms such as Buyeo, Goguryeo, Okjeo and Ye. But Ye and Mac race moved to an inland of Korean Peninsular to escape from wars in Chunchujeonguk era. They became the leading race based on the Iron culture and founded Mac country in Chuncheon but this fact was not included in some Chinese historical materials such as 『Hanseo』『Three Kingdoms』 and 『Huhanseo』. But Mac was described in『Samkuksagi』and 「Shillabongi」. The base of Mac which defeated the invasion of Shilla was Pyongchang area. Stone-stack tombs were also found in this area like Chuncheon and there are some legends about the last king of Mac, king Taegi, and place named after him. These legends and names also exist in Chuncheon and Hoengseong. When all data is put together, Mac seems to have been in Chuncheon at least till around 1 century BC but have moved to Pyongchang because of the expansion of Nakrang. After the main force of Mac was evicted, the influence of Nakrang on Chuncheon was getting greater. They gave the right to a remained ruling class to keep the influence. This can be proved with the fact that there are some examples they gave some local people feudal lords after Dongbudowi was demolished and secretly gave stamp to Sinji in various countries like Mahan, where their influence was not effective, whose total number was up to 1,000. After Mac had left, in areas near Udu mountain castle remained force was given stamp from Nakrang and called themselves as Nakrang to do the role of attacking Shilla and controled the Mac origin Malgal race in inland of western area. In 『Samkuksagi』「Baekjebongi」, Baekje had fierce wars against Nakrang and Malgal in North from its very beginning. They destroyed the way to Nakrang and even attacked the Woodoo Castle as revenge of Malgal's invasion on Baekje and moved the capital to southern part. In 「Baekjebongi」for King Onjo era, rivers in Baekje reached Chuncheon. For analyzing this data, some insist that Nakrang Woodoo castle was in different area because Chuncheon was the eastern part of Baekje and others insist that based on the fact that they divided country based on geography the boundary of Baekje was Gapyong that was across the Hukhan river. Malgal race in『Samkuksagi』was considered to indicate Ye origin Malgal (eastern) and Mac origin Malgal(western) by many scholars. Mac origin malgal who were dispatched to invade Baekje by Nakrang changed their militant policy to amity one in King Goi era. This was because the influence of Nakrang over Udu castle was getting weaker and they couldn't help Malgal any more. Chuncheon is considered to have belonged to Baekje in this time. Although lots of remains from the Bronze age and the Iron age in the upper region of Bukhan river have been investigated a lot but no clear evidence was found to prove the connection between Chuncheon and Mac. However, it was clearly assumed that there was the ruling system which was transitional before ancient nation in the Bronze age and that there was Mac between 3 century BC and 1 century BC in this area through the wide analysis on several historical data. It is believed that there were lots of remains of large sized villages in Sinbuk eup and Mt. Udu. In case of Ududong, the fact that there were lots of big villages from the Bronze era to the Iron era was proved. So it is very safe to say that if there is wider investigation over these area, there will be high chance to prove the existence of Mac in Chuncheon. Key Words : Chuncheon, Cheonjeonri style dwelling, Jugu tomb, dolmen, chinese style earthenware, Hwandusodo, Osujeon, stone mound tomb, Ye Mac, Chuncheon Mac, Nakrang Udu Castle, Mac origin Malgal(wester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