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제17대 대선에서의 투표 참여 요인

        김왕식 한국시민윤리학회 2008 한국시민윤리학회보 Vol.21 No.2

        본 논문의 목적은 제 17대 대통령 선거에 나타난 투표참여의 요인과 기권의 정치적 결과를 분석하고자 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우선 유권자의 사회경제적 특성과 합리적 선택 모형이 기초하고 있는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논리적 추론을 통하여 13개의 변수들을 설문조사에 기초하여 개발하였다. 이 가운데 투표참여를 유인한 중요한 요인은 선거 관심도, 투표 효능감, 투표행위만족감, 정당일체감 그리고 나이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 모형의 예측 적중률은 80.8%로 높은 적중률을 보였다. 또한 투표 참여자와 기권자 집단의 정치적 성향을 비교해본 결과 기권 행위가 선거 결과에 영향을 미쳤음이 밝혀졌다. 즉 제 17대 대통령 선거에서의 유권자의 기권 행위는 야당인 한나라당 후보에게 유리한 결과를 가져오게 했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factors that contributed to voting of the Korean voters and the political consequences of non-voting in the 17th presidential election. This analysis of the electoral survey on the 17th presidential election reveals that voters' concerns in election, efficacy of voting, party identification and age we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that contributed to voting in the 17th presidential election. Comparison of the political propensity between the voting and non-voting voters also shows that abstention from the presidential election affected the electoral outcome favorable to the candidate of the Grand National Party.

      • KCI등재

        한국, 일본, 대만의 신뢰향상을 위한 정부역할 비교연구

        김왕식 한국거버넌스학회 2010 한국거버넌스학회보 Vol.17 No.1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the role of government in increasing trust in the frame of state-centered approaches and suggest possible policy directions for it. Using 2006 ISSP data of Korea, Japan and Taiwan,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s that first, the effects of welfare and unemployment policies on the citizens have statistical significance in generalizing trust in all three nations. Second, in the area of political efficacy, which implies political inputs and influences of the citizens on their governments, Korea and Taiwan have an impact on increasing trust. In all three nations, the effective execution of government policies such as welfare and unemployment policies has positive effects on increasing trust. Unlike Japan, however, Korea and Taiwan, with their entry into developed countries approaching, need to prepare policy measures and more actively seek ways to enhance political efficacy of their citizens in order to increase trust in both nations. 본 연구는 2006년 ISSP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한국, 일본, 대만의 분석을 통해 일반시민의 신뢰향상을 위한 정부의 역할을 국가중심적 접근방법을 토대로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신뢰증진을 위한 정책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한 결과 첫째, 한국, 일본, 대만 모두 복지정책과 실업억제와 같은 정부정책의 효과가 일반시민의 신뢰향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부에 대한 일반시민의 정치적 투입(input)과 영향력의 인식정도를 의미하는 정치효능감의 면에서 일본을 제외한 한국과 대만의 경우 일반시민의 신뢰향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일본, 대만 모두 복지와 실업억제와 같은 정부정책의 집행이 신뢰향상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지만, 선진국 진입을 눈앞에 두고 있는 한국과 대만의 경우 신뢰증진을 위해 정부가 정책적 노력과 함께 국민들의 정치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 KCI등재

        Assessment of Electoral Reforms in Korea

        김왕식 한국학술연구원 2008 Korea Observer Vol.39 No.1

        This paper aims to assess the recent electoral reforms in terms of democratic criteria. First, the new electoral system can be evaluated as reflecting democratic principles more accurately than did the previous one; this is because the new system — the proportional representation system — permits voters to make choices among parties and candidates. Second, this system does not take into account the local or regional distribution of electorates or local and regional specialties and identities. Third, the proportional representation system has the potential to resolve disproportionality; however, its effect is minimal. Fourth, the new rule that compels parties to offer a balanced selection of candidates, when offering their lists for the proportional representation of seats, has drastically increased the proportion of female representation in the National Assembly. However, the new electoral system also needs to be revised in order for democratic principles, especially with respect to political equality, to be reflected as closely as possible. For a proportional representation election, the electoral system should be revised from a single national list of candidates to a provincebased list; moreover, it should be revised in order to increase the number of seats allocated on the basis of a proportional representation election. We need to undertake further efforts to increase the proportion of female representation in the National Assembly. In this regard, we should consider the introduction of a quota system for female representation as part of the singlemember district elections.

      • KCI등재

        지방의회의 활동 및 운영양태에 대한 지방의회의원의 의식구조

        김왕식 연세대학교 동서문제연구원 2000 동서연구 Vol.12 No.1

        본 연구는 지방의회의 활동 및 운영양태에 대한 지방의회의원의 의식구조를 분석한 것이다. 설문조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방자치에 대한 지방의회의원의 인지수준과 평가의 측면을 보면 지방의회의원들은 지방자치가 중앙과 지방간의 권력분화를 잘 이루어 내고 있다고 보고 있지는 않으나, 지방자치가 지방과 지방간의 조정과 협력에 기여하며, 그 지방의 자율성과 자립성을 강화시키며, 지방자치를 통해 지방정부 및 의회가 독창성과 자발성을 발휘하며, 지방의 특수성을 부각시키며, 지방자치가 민원 등의 현실적, 국지적 정책 뿐만 아니라 종합적이고 장기적인 정책 수행도 한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지방자치제도가 정치지도자의 충원, 주민의 참여기회 확대, 민주주의의 훈련 기회, 지역 주민의 요구부응, 그리고 주민대표의 책임의식 함양에 기여한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지방의회의원의 의정태도와 지방의회의 활동에 대한 조사 결과를 보면, 대다수의 지방의회의원들은 지방의회의원임에 대하여 상당한 자부심을 갖고 있으며, 예산안 심의시 주민 선호의 반영, 적극적인 투자유치, 효과적인 행정통제를 위하여 세심한 준비와 참여를 하는 한편, 자신의 소속의회 활동에 대하여 주민들이 어떠한 평가를 내리고 있는지 대체로 알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대부분의 지방의회의회의 기능인 정책결정, 대표, 입법, 행정통제, 청원처리, 심의기능 등을 원활히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자체 평가하고 있다. 대부분의 지방의회의원들은 자신이 소속한 지방의회의 활동에 대하여 지역주민들이 대체로 잘 알고 있으며, 그에 대하여 대체로 긍정적으로 평가한다고 보고 있다. 그러나 주민들이 내린 평가의 정당성에 대해서는 유보하는 태도를 보이고 있다. 셋째, 지방의회의 운영양태에 대한 조사결과를 보면 지방의회에서 가장 많이 제의된 안건은 예산 및 재정, 지역자치사업, 그리고 주민복지와 관련된 사항들이며, 지역의 현안문제로서 지역경제개발, 산업화, 부의 평등실현, 균형복지, 실업자구제 등의 경제회복사업, 교육문화사업으로 나타나고 있다. 제의안건의 발의기관으로 대부분의 지방의회의원들은 지방자치단체장을 꼽고 있으며, 지방의회가 외부세력이나 기관으로부터의 독자성이나 자율성을 갖고 있으며, 입법활동과 관련하여 대부분의 조례안은 주민들의 의사가 최대한 반영되고 있으며, 조례안은 충분한 토론을 거처서 제정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행정통제와 관련된 운영양태는 대체적으로 부정적인 것으로, 그리고 청원심사시 지방의회와 집행기관간에 긴밀한 협조는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서울특별시에 위치한 기초의회의 충원양태와 정치적 실적분석

        김왕식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1994 韓國文化硏究院 論叢 Vol.64 No.2-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mpirical relation between recruitment pattern and political performance of the District Councils in Seoul. For this purpose, I have analyzed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 regional self-government system in Korea, the recruitment pattern of the District Councils in terms of socio-economic and political background, and the political performance of the District Councils by examining sessional records of the Council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strong relationship between development pattern of the regional self-government and political change in Korea has been found. The rise of authoritarian regime undermined autonomy of regional self-government, while decline of authoritarian regime worked as a good opportunity to enhance autonomy of regional self-government. Second, the District Council members are recruited by the persons working in commerce, construction or industrial business, with age of forties and higher educational background. Judging from socio-economic background, the District Council members are equipped with basic skill and enough knowledge to carry out decision-making function of the District Council. However, as most of the District Council members are relatively young persons who lack enough experiences in policy-making, but have strong political ambition to utilize their position in the District Council as a stepping stone for future career, there are high possibility for the District Council members to play rather passive role than active role in operation of the District Councils. The District Council members are prone to serve for the interest of specific business group rather than general interest of the residents due to the fact that the District Councils are over represented by the specific occupational groups. Furthermore, as most of the District Council members are recruited from the ruling party, political control of the District Council over the administrative organ can be weakened. Third, in relation to the above mentioned recruitment pattern, the political performance of the District Councils are not that much impressive. 1) The District Councils did not play an important role in policy formation. This was evidenced by the fact that the District Councils are passive in proposing the District Act as well as examining the District Act proposed by the executive organs. Even though basic function of the District councils are to enact the District Act, the District Council proposed tenfold less bill than the executive organ. The District Councils passed more than 99% of bills proposed by the executive organ without any meaningful revision. In this sense the District Councils are seen to be rather "Rubber-stamp" than active players in policy formation. 2) The role of the District Councils were neither impressive. Judging from distribution of issues dealt with in the District Councils, District Councils seem to put little emphasis on control function over policy implementation by the executive organs. 3) The District Councils showed efficiency in dealing with petitions. Roughly 70% of petitions are properly dealt with by the District Council, while the Seoul City Council dealted with only 24.2% of the total petitions. In this sense response capability of the District Councils can be evaluated relatively go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